KR20040006518A -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06518A KR20040006518A KR1020020040817A KR20020040817A KR20040006518A KR 20040006518 A KR20040006518 A KR 20040006518A KR 1020020040817 A KR1020020040817 A KR 1020020040817A KR 20020040817 A KR20020040817 A KR 20020040817A KR 20040006518 A KR20040006518 A KR 200400065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ass
- convex portion
- rear glass
- side wall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03—Electrode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 컴퓨터 단말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사용되는 칼라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곽 유리 용기의 후면 유리 또는 측벽부에 소정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 시킴으로써 열 공정을 통과하게 될 때 상기 유리 용기의 내,외면의 온도차가 커져 발생하게 되는 크랙을 방지하고 진공 팩킹 시 유리 용기의 취약부를 보완할 수 있도록 유리 용기의 구조 강도를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외곽 유리 용기에 볼록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유리 용기의 구조 강도가 종래보다 떨어지지 않으면서 상기 유리 용기의 유리 두께를 얇게 성형하여 종래보다 가벼운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 컴퓨터 단말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사용되는 칼라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칼라 텔레비젼 화상 표시 소자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브라운 관으로 , 상기 브라운 관은 음극선 관(CRT : Cathode Ray Tube,이하 CRT)을 통칭하는 말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멀티미디어 시대가 본격적으로 도래함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으며 그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경량, 박형, 저 소비 전력, 저 가격, 고 품질의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CRT를 슬림화하기 위해 광각의 펀넬을 설계할 경우 편향요크의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광각화에 따른 컨버젼스(convergence) 와 디스토션(distortion) 등의 문제를 야기 시킨다.
또한, CRT를 대형화하게 되면 스크린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부피나 무게가 비선형적으로 엄청나게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CRT에서는 안 길이 (Depth)가 화면에 비해 상당히 길어 CRT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하는 것은 불가능했었다.
그래서, 최근에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EL(Electro Luminescence:전계 발광)표시 소자, 플라즈마(Plasma ) 표시 소자, 액정 표시 소자 등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데 상기 음극선 관에 비해 이들 모두 휘도, 색대비 (Contrast), 색 재현성등 성능적인 면에서 떨어진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박형의 칼라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도 특히 종래의 음극선 관(CRT)방식에서 음극으로부터 양극까지의 거리를 현저하게 짧게 한 빔 주사방식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한 다른 표시 소자에 의한 것보다 성능면에서 뛰어나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에 일본국 平 3-184247과 平3-205751에서는 브라운 관에 버금가는 고품질의 화상을 전자빔을 사용한 평판상의 장치에서 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스크린상의 화면을 매트릭스상의 구분으로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구분으로 분할하고 수평방향으로도 복수의 구분으로 분할하여 복수의 라인을 표시하고 각각의 구분마다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혹은 수직방향으로 편향 주사하여 형광체를 발광 시켜 전체적으로 칼라 텔레비젼 화상을 구성하는 화상 표시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상형의 진공용기내에 음극으로부터 양극부에 이르는 거리를 극도로 짧게 한 전극 유닛과 전자빔 발생원이 되는 음극을 수납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 전극 유닛에는 상기 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하고 집속하여 제어하기 위한 작은 직경의 구멍이나 슬릿(slit)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전자빔은 상기 각 전극의 구멍이나 슬릿에 의해 제어되면서 통과하여 상기 양극부에 가속충돌하여 이 양극부에 도포된 형광체를 발광시켜서 화상표시를 행하는 것이다.
제 1도는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측벽과 연결되어 있는 전면 유리(100)와 후면 유리(110)는 서로 절연성의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으며(도시되지 않음) 상기 전면 유리(100)와 연결되어 있는 측벽에는 소정의 고압 단자용 홀(130)이 형성되고 양극의 고압 단자(120)와 용기내를 진공화하기 위한 배기관(101)과 전극 유닛을 구성하는 각종 전극과 상기 각 전극과 캐소오드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용 단자(102)를 형성하고 있다.
각 전극과 접속된 이들의 단자군은 전면유리(100)에 연하고 있는 측벽유리와 후면유리(110) 사이로 외부로 빼내져서 구동 회로나 신호 처리 회로 등에 접속되어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텔레비젼 수상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그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상기 도 1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사시도 내부 구성 부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00 은 후면 유리,210 는 배면 전극, 220 는 전자 빔원으로서 수평으로 팽팽하게 걸은 선 음극, 230 은 전자 빔 인출 전극 , 240 는 신호전극, 250 은 집속 전극, 260 은 수평 편향 전극, 270 은 수직 편향 전극이며 280 은 전면 유리이며 상기 모두를 포함하여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 음극(220)은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수평 방향으로 일정하게 분포하는 전자 빔(295)을 발생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팽팽히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선 음극(220)은 텅스텐(Tungsten)선의 표면에 산화물 음극 재료가 도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선 음극(220)에 대해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는 배면 전극(210)은 후면유리측(200)에 위치하며 평판상의 도전 재료로 되어 있고 인출 전극(230)은 선 음극(220) 앞쪽 스크린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배면 전극(210)과 대향하고 수평 방향으로 적당 간격으로 설치된 관통 공의 열을 각 선 음극(220)에 대향하도록 수평 선상에 가지는 도전 판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신호 전극(240)은 상기 인출 전극(230)에서의 관통 공의 각각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 배치된 수직 방향으로 가늘고 긴 도전판의 열로 되어 있다. 상기 각 도전 판에서는 상기 인출 전극(230)의 관통 공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동일한 모양의 관통 공을 가지고 있다. 집속 전극(250)은 상기 신호전극(240)의 관통공과 각각의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 공을 가지는 도전 판으로 되어 있다. 수평 편향 전극(260)은 동일 평면에 적당 간격을 게재하여 서로 맞물린 2매의 즐치 상의 단부로 연결된 도전 판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수직 편향 전극(270)은 단부에서 연결된 도전 판 2매의 즐치 상의 도전 판을 동일 평면에서 적당 간격을 게재하고 서로 맞물린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스크린(150)은 전자빔(295)의 조사에 의해 발광하는 형광체를 유리(glass)용기의 내면에 도포하고 그 위에 상기 조사된 전자빔이 반사되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Al(Aluminum,도시되지 않음)막이 도포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전술한 상기 복수개의 전극들은 체결볼트(130)에 의해 체결되어 전극 지지구조(186)에 의해 후면유리(110)에 절연성의 접착제(도시되지 않음)로 접착된다.
상술한 도 2의 각 전극들은 도 1과 같은 유리 용기 안에 수납되게 되는데, 도 3은 이와 같은 평면 디스플레이의 내부의 부분 단면 상세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전극 유닛(160)은 차례대로 체결 볼트(130)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체결볼트(130)는 장변 프레임(180)과 결합되고 용접편(185)에 의해 상기 장변 프레임(180)과 금속의 전극 지지 구조(186)가 결합되어 접착제에 의해 후면 유리(110)에 고정된다.
상기 전극 유닛(160)과 후면 유리(110)사이에는 배면 전극(185)과 선 음극(190)이 위치하게 되며 상기 각 전극 단부로부터 도출된 전극과 캐소오드의 전압인가용 단자(140)가 전면 유리(100)와 후면 유리(110)의 유리용기 봉착전에 접속점에서 용접 접속한다.
또한 측벽이 연결되어 있는 전면 유리(100)를 프레스 성형시킨 후 스크린(150)에 고압의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고압 단자(120)의 접속을 위해 고압 단자용 홀(121)을 전면 유리(100)와 연결된 측벽에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드릴을 이용해 뚫어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이 전면 유리에 측벽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평면의 후면 유리와 결합되어 있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 있어서 전면 유리와 후면 유리의 구조가 평판의 형상을 이루고 대면하고 있어 상기 유리 용기에 드릴을 이용해 고압 단자용 홀을 형성시킬 경우 유리 용기에 크랙(crack)이 발생하기가 쉽다.
또한 상기 외곽 유리 용기에 각 전극들을 수납한 후 진공 팩킹할 경우에 상기 유리 용기는 전면 유리와 후면 유리가 평판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고압의 외부 압력에 대해서 상기 유리 용기의 전면 유리와 후면 유리의 중앙부분과 상기 전면 유리에 연하고 있는 측벽부와 후면 유리의 결합부위가 응력(stress)에 특히 취약하게 되어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게 된다.
도 4는 종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서 취약부를 나타낸 정면 부분 사시도(a)와 저면 부분 사시도(b)이다.
상기 종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를 유한 요소 방법을 이용한 FEM 모델링(Finite_Element_Method modeling)을 하여 상기 유리 용기의 구조 강도를 해석한 결과, 상기 외곽 유리 용기에 나타난 취약부를 표시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를 정면 부분 사시한 것과 저면 부분 사시한 것을 함께 도시하였다.
즉,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 있어서, 외곽 유리 용기의 구조 강도를 보면 전면유리와 측벽부와 후면유리에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도 4에서와 같다.
상기 시뮬레이션에 의해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 있어서,정면 부분 사시한 것(a)을 보면 후면 유리의 내면 중앙부(310)와 전면 유리에서 측벽부로 연하여 구부러지는 모서리의 외면(340)과 후면부와 결합되는 쪽의 측벽부(320)에 취약부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고 저면 부분 사시한 것(b)을 보면 상기 측벽부와 결합되는 쪽의 후면부의 외면(330)과 전면 유리의 내면 중앙부(300)에 취약부가 나타나는 것을 알수 있었다.
상기 표현에 있어서, 내면이라고 하는 것은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 있어서 각 부품과 전극이 수납되는 내부의 유리 면을 일컬으며, 외면이라고 하는 것은 상기 외곽 유리 용기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유리 면을 일컫는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취약부를 보완하여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의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종래에는 유리 용기의 구조적인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전면 유리와 후면 유리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의 유리 두께를 두껍게 하게 되면 강도는 높아지게 되나 이하와 같은 다른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우선,평면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에는 여러 번의 열 공정이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열 공정을 통과하게 될 때, 외곽 유리 용기의 두께가 두꺼울 수록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가 심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서 유리 용기의 내,외면의 온도차가 크게 발생하여 상기 유리 용기에 크랙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평면 디스플레이의 유리 용기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될 수록 전면 유리와 후면 유리의 생산 능률은 저하되게 되고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비 효율적이게 된다.
최근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향을 보면 경량화와 박형의 대형화면으로 가는 추세인데, 종래와 같이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리 용기의 두께를 두껍게 하게 되면 박형의 대형화면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가 증가하여 경량의 제품을 기대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이하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은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외곽 유리 용기의 후면 유리 또는 측벽부에 소정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 시킴으로써 열 공정을 통과하게 될 때 상기 유리 용기의 내,외면의 온도차가 커져 발생하게 되는 크랙을 방지하고 진공 팩킹 시 유리 용기의 취약부를 보완할 수 있도록 유리 용기의 구조 강도를 향상 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외곽 유리 용기에 볼록부를 형성시켜 상기 유리 용기의 구조 강도가 종래보다 떨어지지 않으면서 상기 유리 용기의 유리 두께를 얇게 성형하여 평면 디스플레이의 경량화를 이루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종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부품 분해도.
도 3은 종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종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의 취약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외곽 유리 용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 대해 변형 가능한 외곽 유리 용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외곽 유리 용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 가능한 외곽 유리 용기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외곽 유리 용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 가능한 외곽 유리 용기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외곽 유리 용기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의 다른 실시예.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후면 유리 또는 측벽부에 소정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5의 저면 사시도는 평판 형상의 전면 유리와 상기 전면유리와 소정의 간격으로 평형을 이루는 평판 형상의 후면 유리와 상기 전면 유리와 분리되어 상기 전면 유리와 후면 유리 사이에서 결합되는 측벽부로 구성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와 후면 유리의 외측면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측벽부에 형성된 볼록부는 요철(凸)형상으로 돌출되어 측벽부를 이단으로 둘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 단의 볼록부 중 하나의 볼록부는 취약부를 보완하기 위하여 측벽부에서 후면 유리 또는 전면 유리와 결합되어 있는 쪽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후면 유리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는 후면 유리의 외측면에서 H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요철(凸) 형상으로 후면 유리 전체에 걸쳐 세 개가 길게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 유리의 취약부를 보완하기 위하여 후면 유리에서 측벽부와 결합되어 있는 쪽과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H 방향의 볼록부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의 요철 형상으로 후면 유리 전체에 걸쳐 한개 길게 돌출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도 6은 볼록부와 일체로 성형된 후면 유리와 평판 형상의 전면 유리와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는 측벽부가 결합하여 구성되는 도 5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의 단면도(A-A`)이다.
종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지않은 후면 유리의 두께를 T1(도 3에 도시되어 있음)이라고 하고, 도 6의 본 발명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 있어서 볼록부가 형성된 후면 유리에서 볼록부를 제외한 후면 유리의 두께를 T3 , 상기 후면 유리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볼록부의 두께를 T4라고 하면 T3 + T4 ≤T1 의 식을 만족한다.
또한, 종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면부의 두께를 T2(도 3에 도시되어 있음)라고 하고, 도 6의 본 발명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 있어서 볼록부가 형성된 측벽부에서 볼록부를 제외한 측벽부의 두께를 T5 , 상기 측벽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볼록부의 두께를 T6이라고 하면 T5 + T6 ≤T2 의 식을 만족한다.
즉, 볼록부가 형성된 후면 유리의 두께( T3 + T4 )는 종래의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은 후면 유리의 두께(T1)보다 두껍지 않고 볼록부가 형성된 측벽부의 두께(T5 + T6)는 종래의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부의 두께(T2)보다 두껍지 않아 유리 용기의 무게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경량화 시킬수 있어 본 발명의 목적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전면 유리와 후면 유리와 측벽부가 분리되어 성형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 있어서 측벽부에는 볼록부를 형성시키지 않고 후면 유리에만 볼록부를 형성시킨 것으로 이와 같은 구조도 종래에 비해 구조 강도가 동등이상으로 향상되며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량화 측면에서도 효과가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4와 같은 종래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와 도 6과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대해서 유한 요소 방법을 이용하여 FEM 모델링을 하여 구조 강도 해석을 한 후 비교 하였다.
그 결과, 종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후면 유리의 두께를 9mm 로 하여 FEM 모델링을 하였을 경우에 유한 요소 방법을 이용하여 해석한 구조 강도 응력값은 약 11.9MPa 이었으며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후면 유리의 무게는 약 1.43kg 으로 계산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도 6과 같은, 전면 유리와 후면 유리와 측벽부가 각각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 유리와 측벽부에 소정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된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 있어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후면 유리에서 볼록부를 제외한 후면 유리의 두께를 7.8mm 라고 하고 볼록부의 두께를 1mm 로 하여 FEM 모델링을 하였을 경우에 유한 요소 방법을 이용하여 해석한 구조 강도 응력값은 약 11.4MPa 이었으며 상기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후면 유리의 무게는 1.3kg으로 계산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종래의 기술보다 구조 강도면에서 유리한 구조이며 무게면에서도 약 10%의 경량화를 이룰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연히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도 8는 측벽부가 일체로 프레스 성형된 전면 유리와 평판 형상의 후면 유리가 결합된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상기 전면 유리와 연결되어 절곡된 측벽부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 유리의 외측면에도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부에 형성된 볼록부는 요철(凸)형상으로 돌출되어 측벽부를 이단으로 둘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 단의 볼록부 중 하나의 볼록부는 취약부를 보완하기 위하여 측벽부에서 후면 유리와 결합되어 있는 쪽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후면 유리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는 후면 유리의 외측면에서 H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요철(凸) 형상으로 후면 유리 전체에 걸쳐 세 개가 길게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 유리의 취약부를 보완하기 위하여 후면 유리에서 측벽부와 결합되어 있는 쪽과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H 방향의 볼록부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의 요철 형상으로 후면 유리 전체에 걸쳐 한개 길게 돌출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볼록부와 일체로 성형된 후면 유리와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는 측벽부와 일체로 성형된 전면 유리가 결합되어 구성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의 단면도를 도 9에 도시하였다.
종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후면 유리의 두께를 T1(도 3에 도시되어 있음)이라고 하고, 도 9의 본 발명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 있어서 볼록부가 형성된 후면 유리에서 볼록부를 제외한 후면 유리의 두께를 T7 , 상기 후면 유리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볼록부의 두께를 T8라고 하면 T7 + T8 ≤T1 의 식을 만족한다.
또한, 종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면부의 두께를 T2(도 3에 도시되어 있음)라고 하고, 도 9의 본 발명의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 있어서 볼록부가 형성된 측벽부에서 볼록부를 제외한 측벽부의 두께를 T9 , 상기 측벽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볼록부의 두께를 T10이라고 하면 T9 + T10 ≤T2 의 식을 만족한다.
즉, 볼록부가 형성된 후면 유리의 두께( T7 + T8 )는 종래의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은 후면 유리의 두께(T1)보다 두껍지 않고 볼록부가 형성된 측벽부의 두께(T9 + T10)는 종래의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부의 두께(T2)보다 두껍지 않아 유리 용기의 무게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경량화 시킬수 있어 본 발명의 목적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 있어서 전면 유리와 연하여 있는 측벽부에는 볼록부를 형성시키지 않고 후면 유리에만 볼록부를 형성시킨 것으로 이와 같은 구조도 종래에 비해 구조 강도가 동등이상으로 향상되며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량화 측면에서도 효과가 있다.
[실시예 3]
도 11은 평판 형상의 전면 유리와 측벽부와 일체로 성형된 후면 유리로 구성된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상기 후면 유리와 연하여 절곡된 형상의 측벽부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면 유리에도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부에 형성된 볼록부는 요철(凸)형상으로 돌출되어 측벽부를 이단으로 둘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 단의 볼록부 중 하나의 볼록부는 취약부를 보완하기 위하여 측벽부에서 전면 유리와 결합하는 쪽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특징이다.
상기 후면 유리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는 후면 유리의 외측면에서 H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요철(凸) 형상으로 후면 유리 전체에 걸쳐 세 개가 길게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H 방향의 볼록부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의 요철 형상으로 후면 유리 전체에 걸쳐 한개 길게 돌출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평판 형상의 전면 유리와 볼록부가 형성된 측벽부와 연하여 볼록부가 형성된 후면 유리가 결합되어 구성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의 단면도를 도 12에 도시하였다.
종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후면 유리의 두께를 T1(도 3에 도시되어 있음)이라고 하고, 도 12의 본 발명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 있어서 볼록부가 형성된 후면 유리에서 볼록부를 제외한 후면 유리의 두께를 T11 , 상기 후면 유리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볼록부의 두께를 T12라고 하면 T11 + T12 ≤T1 의 식을 만족한다.
또한, 종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면부의 두께를 T2(도 3에 도시되어 있음)라고 하고, 도 12의 본 발명의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 있어서 상기 후면 유리와 연하여 볼록부가 형성된 측벽부에서 볼록부를 제외한 측벽부의 두께를 T13 , 상기 측벽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볼록부의 두께를 T14이라고 하면 T13 + T14 ≤T2 의 식을 만족한다.
즉, 볼록부가 형성된 후면 유리의 두께( T11 + T12 )는 종래의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은 후면 유리의 두께(T1)보다 두껍지 않고 후면 유리와 연하면서 볼록부가 형성된 측벽부의 두께(T13 + T14)는 종래의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은 측벽부의 두께(T2)보다 두껍지 않아 유리 용기의 무게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경량화 시킬수 있어 본 발명의 목적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에 있어서 후면 유리와 연하여 있는 측벽부에는 볼록부를 형성시키지 않고 후면 유리에만 볼록부를 형성시킨 것으로 이와 같은 구조도 종래에 비해 구조 강도가 동등이상으로 향상되며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경량화 시킬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볼록부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들과 같은 측단면이 사각형인 요철형상(凸)뿐 아니라 도 14에서와 같이 측단면이 반원인 볼록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측벽부 또는 후면 유리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의 개수와 형상은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상술한 실시예 외에도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안에 속하는 것이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의 구조에 있어서, 후면 유리 또는 측벽부에 소정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유리용기를 구조적으로 강화시켜 강도를 높이고 상기 유리 용기의 두께를 종래보다 얇게 제작하여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량화를 이룸으로써 경량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이다.
또한,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하는 공정 과정에 있어서 여러번의 열 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외곽 유리 용기의 내,외면의 온도차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이 상기 유리 용기의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감소되고 이에 따른 제품의 불량이 줄어드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유리 용기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고 상기 유리 용기에 발생하는 크랙으로 인한 불량품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생산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 전자빔 발생원인 음극과;상기 전자빔을 편향,집속,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전극 유닛과;상기 전자빔에 의해 발광하는 형광체가 도포된 스크린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유리와;상기 음극과 다수의 전극 유닛이 부착되어 있는 후면부와;상기 전면유리와 상기 후면 유리 사이에 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상기 후면 유리 또는 측벽부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후면 유리 또는 측벽부의 볼록부 형성 위치는 유리 용기의 외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측벽부의 볼록부는 후면 유리 또는 전면 유리와의 결합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후면 유리의 볼록부는 측벽부와의 결합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볼록부는 반원 내지는 사각 형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전자빔 발생원인 음극과;상기 전자빔을 편향,집속,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전극 유닛과;상기 전자빔에 의해 발광하는 형광체가 도포된 스크린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유리와;상기 전면 유리와 연하여 절곡된 측벽부와;상기 음극과 다수의 전극 유닛이 부착되어 있는 후면 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상기 후면 유리 또는 측벽부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후면 유리 또는 측벽부의 볼록부 형성 위치는 유리 용기의 외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측벽부의 볼록부는 후면 유리와의 결합부와 인접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후면 유리의 볼록부는 측벽부와의 결합부와 인접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볼록부는 반원 내지는 사각 형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전자빔 발생원인 음극과;상기 전자빔을 편향,집속,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전극 유닛과;상기 전자빔에 의해 발광하는 형광체가 도포된 스크린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유리와;상기 음극과 다수의 전극 유닛이 부착되어 있는 후면 유리와;상기 후면 유리와 연하여 절곡된 측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상기 후면 유리 또는 측벽부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후면 유리 또는 측벽부의 볼록부 형성 위치는 유리 용기의 외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측벽부의 볼록부는 전면 유리와의 결합부와 인접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상기 볼록부는 반원 내지는 사각 형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0817A KR20040006518A (ko) | 2002-07-12 | 2002-07-12 |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0817A KR20040006518A (ko) | 2002-07-12 | 2002-07-12 |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06518A true KR20040006518A (ko) | 2004-01-24 |
Family
ID=3731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40817A KR20040006518A (ko) | 2002-07-12 | 2002-07-12 |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0651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9002A (ko) | 2017-11-01 | 2019-05-09 | 주식회사 오성 | 곡면 및 평면변화가 자유로운 디스플레이장치 |
-
2002
- 2002-07-12 KR KR1020020040817A patent/KR2004000651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9002A (ko) | 2017-11-01 | 2019-05-09 | 주식회사 오성 | 곡면 및 평면변화가 자유로운 디스플레이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19286B2 (en) | Display device | |
US7233103B2 (en) | Image display device | |
US7714496B2 (en) |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nd field emission type backlight device having a sealing structure for vacuum exhaust | |
KR20040006518A (ko) |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
JP3457162B2 (ja) | 画像表示装置 | |
KR101083321B1 (ko) | 멀티스크린용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
JP2006331985A (ja) |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 |
JPH10269973A (ja) | 電子放出素子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 | |
KR100446226B1 (ko) |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 | |
CN101060057B (zh) | 真空包封和使用该真空包封的电子发射显示器 | |
US7973461B2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US8618726B2 (en) | Field emission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field emission display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packaging field emission panel | |
JP2000231892A (ja) | 画像表示装置 | |
KR100470338B1 (ko) |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20070216286A1 (en) | Image Display Device | |
KR100511266B1 (ko) | 스페이서리스 전계방출소자 | |
JP2005085713A (ja) | 平板型画像表示装置 | |
US20100301364A1 (en) | Light emission device | |
US20070103051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WO2006006365A1 (ja) | 表示装置 | |
KR20030072217A (ko) | 칼라 평면 디스플레이 소자 | |
KR20040003093A (ko) | 전계방출 표시소자 | |
JP2006059746A (ja) | 画像表示装置 | |
KR20030063909A (ko) | 화상표시장치 | |
JPH05217524A (ja) | 画像表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