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6325A - 옻칠을 이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옻칠을 이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6325A
KR20040006325A KR1020020040572A KR20020040572A KR20040006325A KR 20040006325 A KR20040006325 A KR 20040006325A KR 1020020040572 A KR1020020040572 A KR 1020020040572A KR 20020040572 A KR20020040572 A KR 20020040572A KR 20040006325 A KR20040006325 A KR 20040006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dried
sandpaper
whale
pear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7076B1 (ko
Inventor
김복곤
Original Assignee
김복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복곤 filed Critical 김복곤
Priority to KR10-2002-0040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076B1/ko
Publication of KR20040006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0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HBENDING WOOD OR SIMILAR MATERIAL; COOPERAGE; MAKING WHEELS FROM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H3/00Manufacture of constructional elements of tubes, coops, or barrels
    • B27H3/02Manufacture of barrel st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동나무와 밤나무 등과 같은 목재를 이용하여 상측공명판과 하측공명판을 일체형으로 부착하여 제작된 울림통의 외면을 매끄럽고 깨끗하게 가공 처리한 후에 그 표면(외면)에 전통의 옻칠기법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시킨 순수한 옻을 칠하고 건조시키는 과정을 수회 반복 실시하여서 된 옻칠을 이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 및 옻칠울림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도포된 옻이 외면으로 노출되는 미세공의 내부로 침투하여 충진되어지면서 도포되어지므로 공기의 유통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고, 특히 옻칠을 여러번 실시하여 두터운 옻칠층을 형성하게 되므로 완전한 밀폐상태로 유지시켜 불순물이 유입되거나 침투하는 것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울림통의 외면이 산화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장기간 동안 보관 할 수 있으며, 외기와 열에도 변형되지 않으므로 음색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래의 원색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옻칠을 이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 및 그 제조방법{A Japanning Sound Tube and Product method for The Korea Classical Stringed Instrument}
본 발명은 국악기 중에서 거문고 가야금과 같은 현악기의 울림통의 외면에 전통의 옻을 도포(칠)하여서 된 옻칠을 응이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오동나무와 밤나무 등과 같은 목재를 이용하여 상측공명판과 하측공명판을 일체형으로 부착하여 울림통을 제작하고, 이와 같이 제작된 울림통의 외면을 매끄럽고 깨끗하게 가공 처리한 후에 그 표면(외면)에 전통의 옻칠기법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시킨 순수한 옻을 칠하고 건조시키는 과정을 수회 반복 실시하여 옻칠울림통을 제조하거나, 또는 옻칠을 하는 도중에 자개를 붙착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나전칠기울림통을 제조하도록 하는 옻칠을 이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 및 옻칠울림통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야금 및 거문고와 같은 전통의 현악기의 공명판은 주로 오동나무와 밤나무로 제작하였으며, 이와 같이 목재를 이용하여 현악기의 공명판을 제작함에 있어, 보다 뛰어난 음질을 낼 수 있도록 하고 장기간(긴세월)동안 보관하더라도 습기와 온도 등의 외부의 환경조건에도 형태(형상)와 음색이 변하지 않는 현악기를 제작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첨부도면 도 1a는 우리민족의 고유한 전통의 현악기들 중에서 가야금(1)을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 가야금(1)과 같은 전통적인 현악기의 울림통은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측공명판(2)과 하측공명판(3)을 별도로 제작한 후에 이들을 일체형으로 부착한 것으로써, 상측공명판(2)은 나무 중에서도 울림이 가장 좋고 결이 연하며 독하여 벌레들이 잘모이지 않는 오동나무를 주로 사용하고, 하측공명판(3)은 강하면서도 연하고 선명하고 밝은 소리를 내며 울림이 좋은 밤나무를 사용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통현악기의 울림통을 제작할 때에 전통적으로는 그 외면에 아무것도 도포시키지 않았었으므로 장기간(오랜세월동안)보관하게 되면 습기로 인하여 외관이 변형되거나 부패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장기간동안 보관할 수 없었고 그로 인해 음색도 크게 달라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울림통의 외면에 일명 셀루로오스 도료라고 일컬어지는 화학성분의 래커(Lacqer)를 1 ~ 2회 도포시키거나, 또는 열대성식물인 캐슈의 과실껍질에 함유되어 있는 액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합성칠도료(유성도료)인 캐슈도료(Cashew resin paint)를 1 ~ 2회 도포시켜 제조하게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래커(Lacqer) 또는 캐슈도료(Cashew resin paint)이 도포(도장)된 종래의 울림통은 래커(Lacqer) 또는 캐슈도료(Cashew resin paint)를 1 ~ 2회 분무하여 도포시켜 주므로 도료입자가 울림통에 형성된 미세구멍에까지 침투하지 못하여 외면에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표면이 거칠어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장기간 보관하면 피복된 래커(Lacqer) 또는 캐슈도료(Cashew resin paint)이 박피되는 현상에 쉽게 발생하였고, 공기중에 함유되는 수분과 화학 성분에 의해 변색될 뿐만 아니라 산화(부석부석해짐)가 심화(점진적으로 이루어짐)되어 쉽게 부서지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그로인하여 수분이 침투하여 외관이 뒤틀리게 되고 뿐만 아니라 음색도 크게 변하였으며, 장기간 보관 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발전시킨 옻칠을 이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오동나무와 밤나무 등과 같은 목재를 이용하여 상측공명판과 하측공명판을 제작하고 이들을 일체형으로 부착하여 울림통을 제작하며, 이와 같이 제작된 울림통의 외면을 매끄럽고 깨끗하게 가공 처리한 후에 그 표면(외면)에 전통의 옻칠기법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시킨 순수한 옻을 칠하고 건조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반복 실시하여 옻칠울림통을 제조하거나, 또는 옻칠을 하는 도중에 자개를 붙착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실시하여 나전칠기울림통을 제조하도록 하는 옻칠을 이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 및 옻칠울림통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울림통의 외면에 옻칠 수회 반복하여 미세공에 침투하여 충진되어지고 옻칠층이 형성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경도와 부착성 및 광택성을 양호하게 하고, 습기가 침투하거나 오염되지 않고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하며, 온도에도 변화하지 않으면서 뒤틀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음색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 및 옻칠울림통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오동나무와 밤나무와 같은 목재를 이용하여 상측공명판(2)과 하측공명판(3)을 제작하고, 이들을 일체형으로 부착하여서 된 울림통(1-1)에 있어서,
상기 울림통(1-1)의 외면을 매끄럽게 깨끗하게 하고, 그 외면에 전통의 옻칠기법에 의해 불순물이 제거된 옻을 칠하고 건조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회 실시하여 옻칠층(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기법을 응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 및 옻칠울림통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도 1a 및 도 1b는 국악 현악기 중에서 가야금을 보인 예시도 및 울림통의 구 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옻칠기법에 의해 제조되는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 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옻칠기법에 따른 국악 현악기 옻칠울림통의 제조공 정도를 보인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나전칠기방법에 다른 국악 현악기 나전칠 기울림통의 제조공정도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야금 2. 상공명판 3. 하공명판
4. 옻칠층 10. 옻칠울림통제조공정도
10-1. 나전칠기울림통제조공정도 11. 울림통/검사손질공정
12. 생칠공정 13. 심재단공정 14. 나무눈메우기공정
15. 심바르기공정 16. 방부제칠하기공정 17. 심소제공정
18. 고래고르기 및 고래갈기공정 19. 방부제칠하기공정
20. 옻칠/건조 및 갈기공정 22. 자게붙임공정
23.칠/면손질공정 24. 상칠(옻칠)공정 25. 미광공정
26. 안칠 27. 후면칠 28. 끝손질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옻칠울림통(1-2)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옻칠울림통의 제조공정도(10)이며, 도 4a 및 도 4b는 나전칠기방법에 따른 국악 현악기 나전칠기울림통의 제조공정도(10-1)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옻칠울림통(1-2)은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된바와 같이 상측공명판(2)과 하측공명판(3)을 일체형으로 부착시킨 울림통(1-1)의 외면에 옻칠층(4)을 형성하여서된 것이 주지적인 특징이다.
도 3에 예시된바와 같은 옻칠울림통의 제조공정도(10)는 울림통(1-1)의 외면에 옻칠층(4)을 형성한 옻칠울림통(1-2)을 제조하기 위한 일 실시예이다.
통상의 오동나무와 밤나무를 이용하여 상측공명판(2)과 하측공명판(3)을 제작하고, 이들 상측공명판(2)과 하측공명판(3)을 통상의 접착수단에 의해 일체형으로 부착시켜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은 통상의 울림통(1-1)을 제작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울림통(1-1)에 울림통검사/손질공정(11)을 실시하였다, 상기 울림통검사/손질공정(11)은 통상의 사포(샌드페이퍼)를 이용하여 울림통(1-1)의 외면을 매끄럽고 깨끗하게 다듬어 주는 공정으로써, 불순물과 이물질등은 구두칼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제거하면서 나무가 갈라지거나 터진곳은 아교를 주입하면서 접착시켜 주되 나무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옹이가 심한 경우에는 불로 달군 인두를 이용하여 옹이를 다듬으면서 송진을 제거해 주며, 사포(센드페이퍼)를 이용하여 표면 전체를 매그럽고 고르게 다듬은 후에 깨끗하게 유지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울림통(1-1)의 외면을 매끄럽고 깨끗하게 다듬어 줌으로써, 울림통(1-1)의 외면을 균일하게 하면서 두께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울림통(1-1)에 형성된 나무의 미세한 구멍들이 외부에 완전하게 노출되어지도록하여 옻칠을 하였을 때에 액상의 옻이 용이하게 침투하여 충진되고 나무의 눈 등이 메워지게 되므로 울림통(1-1)은 더욱 단단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울림통검사/손질공정(11)을 실시하여 외면이 매끄럽고 깨끗하게다듬어진 울림통(1-1)의 표면(외면)에 생칠공정(12)을 실시한다. 상기 생칠공정(12)은 실내의 습도가 75 ~ 85%로 유지되고 온도가 20 ~ 30℃로 유지되는 클리닝실에서 생칠(옻)을 도포시키고 칠장에 넣어 7 ~ 10시간 동안 건조시켜 준다. 이와 같이 생칠공정(12)을 실시하게 되면 생칠이 울림통(1-1)을 유지하는 목재의 내부로 스며들어 나무의 눈 등이 메우꾸어질 뿐만 아니라 울림통(1-1)이 단단해지게 된다.
생칠공정(12)을 완료한 후에는 표면으로 노출되는 틈을없애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나무눈메우기공정(14)을 실시한다. 상기 나무눈메우기공정(14)은 아교 ·호분 · 염료를 이용하여 물고래를 만들거나 또는 생칠 · 톱밥 · 밥풀을 혼합한 것을 나무를 이은 곳이나 틈이 발생되어 있는 곳 등을 메워주며, 특히 생칠 · 톱밥 · 밥풀을 혼합할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생칠 40 ~ 50% : 톱밥 35 ~ 45% : 밥풀 10 ~ 20%의 비율로 혼합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무눈메우기공정(14)을 완료한 후에는 필요에 따라 고래바르기 및 고래갈기공정(18)을 실시할 수 있는데, 상기 고래바르기 및 고래갈기공정(18)에서 고래바르기에 사용되는 고래는 적당한 불에다 구워낸 황토를 바로 물에 띄워 얻어진 고운 황토가루와 생칠과 풀을 40 ~ 50 : 45 ~ 55 : 5 ~ 15%의 비율로 혼합하여서 된 것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틈새를 메우고 표면이 평평해지도록 도포시켜 주고, 고래바르기가 완료되면 갈돌(숯돌)또는 사포(샌드페이퍼)를 사용하여 고래갈기를 실시하며, 고래갈기를 실시할 때에 물을 주면서 갈돌(숯돌)또는 사포(샌드페이퍼)를 사용하여 표면을 갈아 고르고 평평하게 해 준다.
상기 고래바르기 및 고래갈기공정(18)은 1차고래바르기(16-1)와 고래갈기를 실시한 후에 2차고래바르기(16-2)와 고래갈기를 재차 실시해 주게 되면 처음에 고르지 못했던 표면을 고르게 손질해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고래바르기 및 고래갈기공정(18)을 완료한 후에는 전술한바와 같은 방부제칠하기공정(16)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부제칠하기공정(19)을 재차 실시한 후에 옻칠/건조 및 갈기공정(20)을 실시하는데, 옻칠/건조 및 갈기공정(20)은 대체적으로 7회정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그 회수를 줄이거나 늘려실시할 수 있으며. 불순물이 낙하하여 적층되지 않도록 학 위하여 실내의 습도가 75 ~ 85%로 유지되고 온도가 20 ~ 30℃로 유지되는 클리닝건조실에서 옻을 도포시키고 건조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옻이 도포된 울림통(1-1)을 전조시킬 때에 특별히 개발된 장치내 장전하여 100℃ 이상에서 수분 내지 수시간내에 건조 경화시키는 고온경화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울림통(1-1)의 외면에 덧 칠하여지는 옻은 옻나무에서 채취된 옻을 깨끗하게 정재하여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시킨 순수한 옻만을 사용하여 도포시켜 준다.
1차옻칠/건조/갈기공정(20-1)은 정재된 순수한 옻을 도포하고 5 ~ 12시간 바람직하게는 6 ~ 8시간동안 자연상태에서 건조시켜 주거나, 또는 고온경화법을 이용하여 건조시켜주며, 1차로 도포된 옻이 완전히 건조되면 클리닝건조실의 외부에서 300메쉬의 사포 또는 숯돌을 이용하여 1차로 도포건조된 옻칠의 표면을 매끄럽게다듬어주고, 통상의 에어분사장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사포질할 때에 발생된 입자를 깨끗하게 제거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옻이 1차로 도포되어 건조 및 사포로 매끄럽고 깨끗하게 처리된 울림통(1-1)에는 2차옻칠/건조/갈기공정(20-2)을 실시한다. 2차옻칠/건조/갈기공정(20-2)은 옻이 1차로 도포되어 건조 및 사포로 매끄럽고 깨끗하게 처리된 울림통(1-1)을 상기 클리닝건조실에서 옻을 2차로 도포시키고 소정의 시간동안 방치하여 건조시키거나 고온경화법을 이용하여 완전히 건조시켜 주며, 이와 같이 2차 도포된 옻이 완전히 건조되면 클리닝건조실의 외부에서 350메쉬로 입자가 보다 고은 사포를 이용하여 2차로 도포 건조된 옻칠의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어 준 후에 통상의 에어분사장치를 이용하여 사포질할 때에 발생된 입자를 깨끗하게 제거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옻이 2차로 도포되어 건조 및 사포로 매끄럽고 깨끗하게 처리된 울림통(1-1)에는 3차옻칠/건조/갈기공정(20-3)을 실시한다. 3차옻칠/건조/갈기공정(20-3)은 옻이 2차로 도포되어 건조 및 사포로 매끄럽고 깨끗하게 처리된 울림통(1-1)을 상기 클리닝건조실에서 3차로 옻을 도포시키고, 소정의 시간동안 방치하여 완전히 건조시키거나 고온경화법을 이용하여 완전히 건조시켜 주며, 이와 같이 3차 도포된 옻이 완전히 건조되면 클리닝건조실의 외부에서 입자가 보다 고은 400메쉬의 사포를 이용하여 3차로 도포 건조된 옻칠의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어 준 후에 통상의 에어분사장치를 이용하여 사포질할 때에 발생된 입자를 깨끗하게 제거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옻이 3차로 도포되어 건조 및 사포로 매끄럽고 깨끗하게 처리된 울림통(1-1)에는 4차옻칠/건조/갈기공정(20-4)을 실시한다. 4차옻칠/건조/갈기공정(20-4)은 옻이 3차로 도포되어 건조 및 사포로 매끄럽고 깨끗하게 처리된 울림통(1-1)을 상기 클리닝건조실에서 옻을 4차로 도포시키고, 소정의 시간동안 방치하여 완전히 건조시키거나 고온경화법을 이용하여 건조시켜 주며, 이와 같이 4차 도포된 옻이 완전히 건조되면 클리닝건조실의 외부에서 입자가 보다 고은 450메쉬의 사포를 이용하여 4차로 도포 건조된 옻칠의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어 준 후에 통상의 에어분사장치를 이용하여 사포질할 때에 발생된 입자를 깨끗하게 제거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옻이 4차로 도포되어 건조 및 사포로 매끄럽고 깨끗하게 처리된 울림통(1-1)에는 5차옻칠/건조/갈기공정(20-5)을 실시한다. 5차옻칠/건조/갈기공정(20-5)은 옻이 4차로 도포되어 건조 및 사포로 매끄럽고 깨끗하게 처리된 울림통(1-1)을 상기 클리닝건조실에서 옻을 5차로 도포시키고, 소정의 시간동안 방치하여 완전히 건조시키거나 고온경화법을 이용하여 건조시켜 주며, 이와 같이 5차 도포된 옻이 완전히 건조되면 클리닝건조실의 외부에서 입자가 보다 고은 500메쉬의 사포를 이용하여 5차로 도포 건조된 옻칠의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어 준 후에 통상의 에어분사장치를 이용하여 사포질할 때에 발생된 입자를 깨끗하게 제거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옻이 5차로 도포되어 건조 및 사포로 매끄럽고 깨끗하게 처리된 울림통(1-1)에는 6차옻칠/건조/갈기공정(20-6)을 실시한다. 6차옻칠/건조/갈기공정(20-6)은 옻이 5차로 도포되어 건조 및 사포로 매끄럽고 깨끗하게 처리된 울림통(1-1)을 상기 클리닝건조실에서 옻을 6차로 도포시키고, 소정의 시간동안 방치하여 완전히 건조시키거나 고온경화법을 이용하여 건조시켜 주며, 이와 같이 6차 도포된 옻이 완전히 건조되면 클리닝건조실의 외부에서 입자가 보다 고은 550메쉬의 사포를 이용하여 6차로 도포 건조된 옻칠의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어 준 후에 통상의 에어분사장치를 이용하여 사포질할 때에 발생된 입자를 깨끗하게 제거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옻이 6차로 도포되어 건조 및 사포로 매끄럽고 깨끗하게 처리된 울림통(1-1)에는 7차옻칠/건조/갈기공정(20-7)을 실시한다. 7차옻칠/건조/갈기공정(20-7)은 옻이 6차로 도포되어 건조 및 사포로 매끄럽고 깨끗하게 처리된 울림통(1-1)을 상기 클리닝건조실에서 옻을 7차로 도포시키고, 소정의 시간동안 방치하여 완전히 건조시키거나 고온건조법을 이용하여 건조시켜 줌으로써, 옻칠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공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7차 도포된 옻이 완전히 건조되면 클리닝건조실의 외부에서 입자가 보다 고은 600메쉬의 사포를 이용하여 7차로 도포 건조된 옻칠의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어 준 후에 통상의 에어분사장치등을 이용하여 사포질할 때에 발생된 입자를 깨끗하게 제거하여 줌으로써 옻칠/건조/갈기공정(20)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옻칠/건조/갈기공정(20)을 실시할 때에 7차옻칠/건조/갈기공정(20-7)을 완료하거나 소정의 횟수를 실시한 후에 후면칠공정(27)을 실시하는데, 후면칠공정(27)은 정제된 옻칠중에서 가장 좋은 상칠로서 옻칠/건조/갈기공정(20)에서 적정한 최종 횟수의 옻칠/건조/갈기공정을 실시해서 사포 또는 숯으로 갈라내는 것을 2 ~ 3회 반복 실시한 후에 마지막회 칠하는 것이다.
후면칠공정(27)을 완료한 후에 미광공정(25)을 실시하는데, 미광공정(25)은 초광내기(1차)와 2,3차광내기를 실시한다.
상기에서 초광(1차 광내기)공정은 치분과 콩기름을 혼합시킨 것을 솜으로 찍어 표면에 곱게 문지르면서 도포시켜 주고, 도포가 완료되면 순수한 콩기름만을 이용하여 솜으로 찍어 바르면서 문질러주게 되면 더욱 맑고 고운 윤기가 나게 되며, 다만 한 곳만을 집중적으로 문질러주게 되면 상칠이 맑아져 흠이 발생할 염려가 있으므로 이를 주의하여야 한다.
2차 및 3차광내기도 초광(1차 광내기)공정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3차광내기는 마지막 광내기이므로 가장 좋은 콩기름을 솜으로 찍어 골고루 문질러서 칠묻은 것이 외부에 노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하며, 3차광내기를 완료한 후에 칠장에 넣어 2 ~ 3시간동안 방치하여 완전히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미광공정(25)이 완료되면 끝손질(28)을 실시한다.
상기 끝손질(28)은 칠장에서 완전히 건조된 울림통(1-1)을 인출하여 솜에 기름만을 찍어 문질러주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회를 실시하되 치분을 발라 기름기를 제거한 다음에 솜만으로 곱게 닦아내면 외면에 옻칠(4)이 도포된 옻칠움림통(1-2)을 완성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옻칠울림통(1-2:나전칠기울림통)을 제조하는 공정을 보인 나전칠기울림통제조공정도(10-1)이다.
제조된 울림통(1-1)에 울림통검사/손질공정(11)과 생칠공정(12)을 차례로 실시하며, 상기 공정들은 도 3에 예시된 옻칠울림통제조공정도(10)에서 기히 설명한바와 같은 울림통검사/손질공정(11) 및 생칠공정(12)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상기 울림통검사/손질공정(11)은 통상의 사포(샌드페이퍼)를 이용하여 울림통(1-1)의 외면을 매끄럽고 깨끗하게 다듬어 주는 공정으로써, 불순물과 이물질등은 구두칼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제거하면서 나무가 갈라지거나 터진곳은 아교를 주입하면서 접착시켜 주되 나무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옹이가 심한 경우에는 불로 달군 인두를 이용하여 옹이를 다듬으면서 송진을 제거해 주며, 사포(센드페이퍼)를 이용하여 표면 전체를 매그럽고 고르게 다듬은 후에 깨끗하게 유지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울림통(1-1)의 외면을 매끄럽고 깨끗하게 다듬어 줌으로써, 울림통(1-1)의 외면을 균일하게 하면서 두께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울림통(1-1)에 형성된 나무의 미세한 구멍들이 외부에 완전하게 노출되어지도록하여 옻칠을 하였을 때에 액상의 옻이 용이하게 침투하여 충진되고 나무의 눈 등이 메워지게 되므로 울림통(1-1)은 더욱 단단해지게 된다.
생칠공정(12)은 실내의 습도가 75 ~ 85%로 유지되고 온도가 20 ~ 30℃로 유지되는 클리닝실에서 생칠(옻)을 도포시키고 칠장에 넣어 7 ~ 10시간 동안 건조시켜 준다. 이와 같이 생칠공정(12)을 실시하게 되면 생칠이 울림통(1-1)을 유지하는 목재의 내부로 스며들어 나무의 눈 등이 메꾸어질 뿐만 아니라 울림통(1-1)이 단단해지게 된다.
생칠공정(12)을 완료한 후에는 표면으로 노출되는 틈을없애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나무눈메우기공정(14)을 실시한다. 상기 나무눈메우기공정(14)은 아교 ·호분 · 염료를 이용하여 물고래를 만들거나 또는 생칠 · 톱밥 · 밥풀을 혼합한 것을 나무를 이은 곳이나 틈이 발생되어 있는 곳 등을 메워주며, 특히 생칠 · 톱밥 · 밥풀을 혼합할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생칠 40 ~ 50% : 톱밥 35 ~ 45% : 밥풀 10 ~ 20%의 비율로 혼합시킨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칠공정(12)을 완료한 후에는 종이와 베 등을 이용하여 심재단공정(13)을 실시하며, 심을 재단할 때에 칼이나 가위를 사용하여 재단하게 되면 울림통(1-1)에 부착할 때에 약간의 심이 노출되어 턱이 발생할 염려가 있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종이 등이 잘 절단되도록 미리 접어 손톱 또는 이와 유사한 도구를 사용하여 눌러주었다가 손으로 찢어내면서 재단을 하게 되면 잘려진 부분에 미세한 솜털이 발생하게 되므로 턱 또는 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무눈메우기공정(14)은 도 3에 예시된 옻칠울림통제조공정도(10)의 나무눈메우기공정(14)과 동일한 공정으로써, 아교 ·호분 · 염료를 이용하여 물고래를 만들거나 또는 생칠 · 톱밥 · 밥풀을 혼합한 것을 나무를 이은 곳이나 틈이 발생되어 있는 곳 등을 메워주며, 특히 생칠 · 톱밥 · 밥풀을 혼합할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생칠 40 ~ 50% : 톱밥 35 ~ 45% : 밥풀 10 ~ 20%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어서 심바르기공정(15)을 실시한다. 심바르기공정(15)은 아교/고래 등을사용하여 기히 재단된 심을 접착시켜 주는 공정으로써, 울림통(1-1)의 먼지를 완전히 제거하고, 아교를 묽게하여 울림통(1-1)에 도포시키되 심이 잘 접착되어지도록 고르게 도포시켜 미리 제단된 심은 중앙을 깃점으로 하여 사방으로 눌러주면서 발라주며, 갈라지기 쉬운 곳은 심을 2 ~ 3회 중복하여 발라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부재칠하기공정(16)은 아교를 이용하여 실시된 심바르기에서 아교가 부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써, 방부제인 포르말린과 물을 적정하게(포르말린을 약간 강하게) 혼합하여 환기상태가 양호한 작업장에서 울림통(1-1)의 외면에 도포시켜주되, 통상의 붓을 사용하여 울림통(1-1)의 구석구석까지 고르게 도포시켜 주고, 방부제를 도포시킨 후에 울림통(1-1)을 약간 경사지게 세워 놓아 방부제가 어느 한 곳에 고이지 않도록 하며, 대체적으로 24시간정도 경과시켜 완전히 건조되어지면 턱이 발생된 곳은 사포(센드페이퍼:320) 또는 구두칼로 완전히 제거시켜 주는 심소재공정(17)을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심바르기공정(15)과 방부제칠하기공정(16)은 필요에 따라 2회 또는 수회를 반복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고래바르기 및 고래갈기공정(18)에서 고래바르기에 사용되는 고래는 적당한 불에다 구워낸 황토를 바로 물에 띄워 얻어진 고운 황토가루와 생칠과 풀을 40 ~ 50 : 45 ~ 55 : 5 ~ 15%의 비율로 혼합하여서 된 것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틈새를 메우고 표면이 평평해지도록 도포시켜 주고, 고래바르기가 완료되면 갈돌(숯돌)또는 사포(샌드페이퍼)를 사용하여 고래갈기를 실시하며, 고래갈기를 실시할 때에 물을 주면서 갈돌(숯돌)또는 사포(샌드페이퍼)를 사용하여 표면을 갈아 고르고 평평하게 해 준다.
상기 고래바르기 및 고래갈기공정(18)은 1차고래바르기(16-1)와 고래갈기를 실시한 후에 2차고래바르기(16-2)와 고래갈기를 재차 실시해 주게 되면 처음에 고르지 못했던 표면을 고르게 손질해 줄 수 있게 되는데, 완전히 건조시킨 후에 물에 불려져 상태가 불량하게 된 곳이나 귀가 떨어진 곳, 턱이 갈라진 곳 등은 고래를 이용하여 재차 손질하였다.
상기 고래바르기 및 고래갈기공정(18)을 완료한 후에는 방부제를 칠하여 주는 방부제칠하기공정(19)을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심바르기를 실시할 때에 사용된 아교가 외부로 노출되어 부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갈돌(숯돌)과 사포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고래갈기공정(18-3)을 재차 실시한다.
1차옷칠공정(20-1)은 옻칠의 배합상태와 농도 및 옻칠의 정제상태에 유의하여야 하고, 특히 실내온도를 18 ~ 23℃로 유지시켜 주면서 바닥의 먼지를 제거하여 청결하게 유지시키고 조명상태와 각종가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하며, 또한 작업자의 손과 의복과 두발 등도 청결하게 유지시켜 주어야할 뿐만 아니라 붓을 비롯하여 각종도구도 청결하게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옻칠을 실시할 때에 깨끗한 붓에 옻칠을 조금씩 묻혀가면서 가볍게 조작하여 얇게 칠해주고, 도포된 옻칠이 한 곳에 고이거나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하며, 각진곳이나 이면은 꺽어서 칠해주어야하므로 24시간이 경과한 후에 재차 칠해 주어야하는 것 등을 각별히 유염하면서 옻칠을 실시하여야 한다.
도포된 옻칠이 완전히 건조되어지면 칠손질 즉, 칠갈기공정(21-1)을 실시한다. 칠갈기공정(21-1)은 도포된 옻칠의 표면에 상처를 주어야 차후에 실시되는 자개와 옻이 잘 부착되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제품의 상태를 좌우하게 되므로 세밀하게 실시하여야 하고, 횟가 반복될수록 사포는 더욱 고운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먼지 등의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에 자개붙임공정(22)을 실시 한다.
자개붙임공정(22)은 자개를 실톱으로 오려 종이에 붙여 놓은 것을 준비된 도안의 자개부분에 아교를 고르게 도포하여 울림통(1-1)에 비뚤어지지 않도록하면서 종이가 상측을 향하도록 부착시키며, 인두를 불로 달구어 타지 않을 정도의 온도상태로 유지되는 인두로 자개를 누르면서 지져주게 되면 자개는 완전하면서도 자연스럽게 부착되어지며, 24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완전히 건조되어진다.
자개가 완전히 부착(접착)되어지면 자개위에 붙착된 종이를 제거해 준다. 자개등 위에 찬물을 걸래에 묻혀 축여주고, 수건을 약 50℃로 유지되는 따뜻한 물에 담가두었다가 자개위에 덮어주며, 수건을 조금씩 들추어가면서 손가락 또는 핀센트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종이를 제거하되 자개가 종이와 함께 박리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종이를 완전히 제거한 후에 마른수건으로 자개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해 주고, 풀기 또는 풀덩어리 등이 자개 옆에 있을 경우에는 칫솔 또는 작은 붓등을 이용하여 완전히 제거해 준다.
종이를 완전히 제거한 후에 자개의 접착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아교를 묽게 녹이고 굳은솔에 아교를 묻혀 자개 주변에 먹여주는아교 먹여두기작업을 실시하고, 아교먹여두기작업이 완전히 완료되면 80℃로 유지되는 따뜻한 물을 사용하여 아교기를 제거해 주는데 , 이때에 하이타이를 풀어서 브러쉬로 닦아 제거해주되 물기가 오래 머물지 않도록 신속하게 실시하고 완전히 건조시켜 준다.
이후에 칠/면손질공정(23)을 실시하여 진주패가 부착되었을 때에 진주패의 위에 화학제품인 시멘트란 본드 또는 비누를 묻혀 주어서 조각이 되어 있는 요홈선 또는 음각을 메꾸어 평면(진주패 덮기)상태로 유지시켜주며, 이와 같이 실시하여 줌으로써 차후에 칠벗겨내기공정을 실시할 때에 신속하고 청결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2차옷칠공정(20-2)은 1차옷칠공정(20-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고, 칠갈기공정(21-2)도 동일하게 실시해주며, 상기와 같은 옻칠공정 및 칠갈기공정은 필요에 따라 다수회를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2차옷칠공정(20-2) 및 칠갈기공정(21-2)을 완료한 후에 상칠(옻칠)공정(24)을 실시한다. 상기 상칠(옻칠)공정(24)은 도 3에 예시된 옻칠울림통제조공정도(10)의 후면칠공정(27)과 동일한 공정으로써, 옻칠을 마무리하게되는 공정이다.
이때에 자개위의 옻칠제거(칠끌기)를 실시하되 상사칼로 자개등의 위에 도포된 옻칠, 비누등의 이물질을 긁어 제거해 주고, 고운 사포를 이용하여 곱게 갈아 제거해 주는 상칠갈기공정(24-1)을 실시한다.
1차미광공정(25-1)과 2차미광공정(25-2)은 도 3에 예시된 옻칠울림통제조공정도(10)의 미광공정(25)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특히 안칠과 후면칠을 실시 해 주며, 마지막 광내기는 가장 좋은 콩기름을 솜으로 찍어 골고루 문질러서 칠묻은 것이 외부에 노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하며, 3차광내기를 완료한 후에 칠장에 넣어 2 ~ 3시간동안 방치하여 완전히 건조시켜준다.
이와 같이 미광공정(25)이 완료되면 끝손질(28)을 실시한다.
상기 끝손질(28)은 칠장에서 완전히 건조된 울림통(1-1)을 인출하여 솜에 기름만을 찍어 문질러주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회를 실시하되 치분을 발라 기름기를 제거한 다음에 솜만으로 곱게 닦아내면 외면에 자개가 부착되고 옻칠(4)이 도포된 옻칠움림통(1-2) 즉, 나전칠기울림통을 완성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옻칠울림통제조공정도(10)·(10-1)에 따라 국악기의 현악기용 옻칠울림통(1-2)을 제작하게 되면 1차옻칠건조공정(21)에서 정재된 순수한 옻을 도포시킬 때에 도포된 옻이 울림통(1-1)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미세공의 내부로 침투하여 충진되어지면서 그 외면에 도포되어지므로 옻칠울림통(1-1)은 미세공을 통하여 공기가 유통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게 되고, 일차 도포된 옻칠층의 외면에 옻칠을 여러번 실시하여 완전히 밀폐상태로 유지시켜 주므로 옻칠울림통(1-2)은 밀폐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공기의 유통이 완전히 차단되고, 불순물이 유입되거나 침투하는 것도 완전히 차단되어지며, 울림통의 외면을 외부 공기와 완전히 차단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옻칠기법을 응용하여 제작되는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은. 도포된 옻이 외면으로 노출되는 미세공의 내부로 침투하여 충진되어지면서 도포되어지므로 공기의 유통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고, 특히 옻칠을 여러번 실시하여 두터운 옻칠층을 형성하게 되므로 완전한 밀폐상태로 유지시켜 불순물이 유입되거나 침투하는 것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울림통의 외면이 산화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장기간 동안 보관 할 수 있으며, 외기와 열에도 변형되지 않으므로 음색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래의 원색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오동나무와 밤나무와 같은 목재를 이용하여 상측공명판(2)과 하측공명판(3)을 제작하고, 이들을 일체형으로 부착하여서 된 울림통(1-1)에 있어서,
    상기 울림통(1-1)의 외면을 매끄럽게 깨끗하게 하고, 그 외면에 전통의 옻칠기법에 의해 불순물이 제거된 옻을 칠하고 건조시키는 과정을 수회 반복 실시하여 옻칠층(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기법을 응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
  2. 오동나무와 밤나무와 같은 목재를 이용하여 상측공명판(2)과 하측공명판(3)을 제작하고, 이들을 일체형으로 부착하여서 된 울림통(1-1)에 있어서,
    외면이 매끄럽게 깨끗하게 된 울림통(1-1)의 그 외면에 자개를 부착하고, 전통 옻칠기법에 의해 불순물이 제거된 옻을 칠하고 건조시키는 과정을 수회 반복 실시하여 옻칠층(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기법을 응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
  3. 오동나무와 밤나무와 같은 목재를 이용하여 상측공명판(2)과 하측공명판(3)을 제작하고, 이들을 일체형으로 부착하여서 된 울림통(1-1)을 형성하며,울림통(1-1)의 외면에 래커 또는 캐슈를 도포하는 것에 있어서,
    상측공명판(2)과 하측공명판(3)이 일체형으로 된 울림통(1-1)의 외면에서 불순물과 이물질등을 제거하고, 나무가 갈라지거나 터진곳은 접착시켜주며, 심한 옹이는 불로 달군 인두로 다듬으면서 송진을 제거해 주며, 사포를 이용하여 표면 전체를 매그럽고 고르게 다듬은 후에 깨끗하게 유지시켜 주는 울림통검사/손질공정(11)과,
    실내의 습도가 75 ~ 85%로 유지되고 온도가 20 ~ 30℃로 유지되는 클리닝실에서 생칠을 실시하고 칠장에 넣어 7 ~ 10시간동안 건조시켜 주는 생칠공정(12)과,
    생칠 · 톱밥 · 밥풀을 40 ~ 50% : 톱밥 35 ~ 45% : 밥풀 10 ~ 20%의 비율로 혼합시킨 물고래로 나무를 이은 곳이나 틈이 발생되어 있는 곳 등을 메워주도록 하는 나무눈메우기공정(14)과,
    불에다 구워낸 황토를 바로 물에 띄워 얻어진 고운 황토가루와 생칠과 풀을 40 ~ 50 : 45 ~ 55 : 5 ~ 15%의 비율로 혼합시킨 고래로 울림통(1-1)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틈새를 메우면서 평평하게 도포시키고, 고래바르기가 완료되면 물을 주면서 갈돌 또는 사포로 고르고 평평하게 갈아주는 고래바르기 및 고래갈기공정(18)과,
    울림통(1-1)의 외면에 습도 70 ~ 80%, 온도 15 ~ 25℃로 유지되는 클리닝건조실(20)에서 옷칠하고 8 ~ 24시간 건조시키며, 건조된 울림통(1-1)을 클린닝건조실의 외부에서 통상의 사포로 매그럽게 다듬고 깨끗하게 처리하는 옻칠건조공정을 수차례 반복 실시하는 옻칠/건조및갈기공정(20)과,
    치분과 콩기름을 혼합시킨 것을 솜으로 찍어 표면에 곱게 문지르면서 도포시키고 순수한 콩기름만을 이용하여 솜으로 찍어 재차 바르면서 문질러주는 과정을 수회 반복실시하여 광을 내고, 마지막 광내기를 완료한 후에 칠장에 넣어 2 ~ 3시간동안 방치하여 완전히 건조시키는 미광공정(25)과,
    끝손질(28)은 칠장에서 완전히 건조된 울림통(1-1)을 인출하여 솜에 기름만을 찍어 문질러주는 것을 수회 반복 실시하고 치분을 발라 기름기를 제거한 다음에 솜만으로 곱게 닦아 외면에 옻칠(4)이 도포된 옻칠움림통(1-2)을 완성하는 끝손질(2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기법을 응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의 제조방법.
  4. 오동나무와 밤나무와 같은 목재를 이용하여 상측공명판(2)과 하측공명판(3)을 제작하고, 이들을 일체형으로 부착하여서 된 울림통(1-1)을 형성하며, 울림통(1-1)의 외면에 래커 또는 캐슈를 도포하는 것에 있어서,
    상측공명판(2)과 하측공명판(3)이 일체형으로 된 울림통(1-1)의 외면에서 불순물과 이물질등을 제거하고, 나무가 갈라지거나 터진곳은 접착시켜주며, 심한 옹이는 불로 달군 인두로 다듬으면서 송진을 제거해 주며, 사포를 이용하여 표면 전체를 매그럽고 고르게 다듬은 후에 깨끗하게 유지시켜 주는 울림통검사/손질공정(11)과,
    실내의 습도가 75 ~ 85%로 유지되고 온도가 20 ~ 30℃로 유지되는 클리닝실에서 생칠을 실시하고 칠장에 넣어 7 ~ 10시간동안 건조시켜 주는 생칠공정(12)과,
    심으로 사용되는 종이와 베를 울림통(1-1)의 형태에 따라 재단하는 심재단공정(13)과,
    생칠 · 톱밥 · 밥풀을 40 ~ 50% : 톱밥 35 ~ 45% : 밥풀 10 ~ 20%의 비율로 혼합시킨 물고래로 나무를 이은 곳이나 틈이 발생되어 있는 곳 등을 메워주도록 하는 나무눈메우기공정(14)과,
    울림통(1-1)의 먼지를 완전히 제거하여 묽은 아교/고래를 도포시키고 미리 제단된 심을 발라주되 갈라지기 쉬운 곳은 심을 2 ~ 3회 중복하여 발라주는 심바르기공정(15)과,
    방부제인 포르말린과 물을 혼합하여 환기상태가 양호한 작업장에서 울림통(1-1)의 외면에 도포시켜 주는 방부재칠하기공정(16)과,
    방부제가 도포된 울림통(1-1)을 24시간 경과시켜 방부제완전히 건조되어지면 턱이 발생된 곳은 사포 또는 구두칼로 완전히 제거시켜 주는 심소재공정(17)과,
    불에다 구워낸 황토를 바로 물에 띄워 얻어진 고운 황토가루와 생칠과 풀을 40 ~ 50 : 45 ~ 55 : 5 ~ 15%의 비율로 혼합시킨 고래로 울림통(1-1)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틈새를 메우면서 도포시키고, 고래바르기가 완료되면 물을 주면서 갈돌 또는 사포로 평평하게 갈아주는 고래바르기 및 고래갈기공정(18)과,
    포르말린과 물을 혼합시킨 방부제를 환기상태가 양호한 작업장에서 고래바르기 및 갈기가 완료된 울림통(1-1)의 외면에 도포시켜 주는 방부재칠하기공정(19)과,
    외면에 도포시킨 방부제가 완전히 건조되어지면 갈돌 또는 사포를 사용하여 표면을 고르고 평평하게 갈아주는 고래갈기공정(18-3)과,
    습도 70 ~ 80%, 온도 15 ~ 25℃로 유지되는 클리닝건조실(20)에서 울림통(1-1)의 외면에 옷칠하고 8 ~ 24시간 건조시키는 1차옻칠공정(20-1)과, 건조된 울림통(1-1)을 클린닝건조실의 외부에서 통상의 사포로 매그럽게 다듬고 깨끗하게 처리해주는 칠갈기공정(21-1)을 실시하는 것과,
    실톱으로 오려 종이에 붙여 놓은 자개를 울림통(1-1)의 자개부분에 아교를 고르게 도포하여 종이가 상측을 향하도록 부착시킨 상태에서 불로 달군 인두로 자개를 누르면서 지져 접착시키고 24시간이 경과시켜 완전히 건조시키며, 자게가 완전히 접착 건조되면 자개 위에 찬물을 걸래에 묻혀 축여주고 따뜻한 물에 담가둔 수건을 자개위에 덮은 상태에서 수건을 조금씩 들추어가면서 종이를 제거하되 자개 옆에 있는 풀기도완전히 제거해 주며, 묽은 아교를 자개 주변에 먹여주고 80·로 유지되는 따뜻한 물로 아교기를 제거해 주되 물기를 없애완전히 건조시켜 주는 자개붙임공정(22)과,
    부착 고정된 진주패의 위에 시멘트란 본드/비누를 도포시켜 조각이 되어 있는 요홈선 또는 음각을 메꾸면서 평면상태로 유지시켜주는 칠/면손질공정(23)과,
    2차옻칠공정(20-2)과 칠갈기공정(21-2) 및 상칠공정(24)과 상칠갈기공정(24-1)을 1차옷칠공정(20-1) 및 칠갈기공정(21-1)과 동일하게 실시하는 것과,
    치분과 콩기름을 혼합시킨 것을 솜으로 찍어 표면에 곱게 문지르면서 도포시키고 순수한 콩기름만을 이용하여 솜으로 찍어 재차 바르면서 문질러주는 과정을수회 반복 실시하여 광을 내고, 마지막 광내기를 후에 칠장에 넣어 2 ~ 3시간동안 방치하여 완전히 건조시키는 1차미광공정(25-1) 및 2차미광공정(25-2)으로 이루어지는 미광공정(25)과,
    끝손질(28)은 칠장에서 완전히 건조된 울림통(1-1)을 인출하여 솜에 기름만을 찍어 문질러주는 것을 수회 반복 실시하고 치분을 발라 기름기를 제거한 다음에 솜만으로 곱게 닦아 외면에 옻칠(4)이 도포된 옻칠움림통(1-2)을 완성하는 끝손질(28)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기법을 응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의 제조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울림통(1-1)의 외면에 옻칠하고 건조시킨 후에 사포로 다듬어주는 옷칠/건조 및 갈기공정(20)은 4 ~ 7회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기법을 응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의 제조방법.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울림통(1-1)의 외면에 건조된 옻칠을 사포로 다듬어주는 공정을 반복 실시할 때에 각 공정의 사포는 점진적으로 입자가 고은 사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칠기법을 응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의 제조방법.
KR10-2002-0040572A 2002-07-12 2002-07-12 옻칠을 이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의 제조방법 KR100477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572A KR100477076B1 (ko) 2002-07-12 2002-07-12 옻칠을 이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572A KR100477076B1 (ko) 2002-07-12 2002-07-12 옻칠을 이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325A true KR20040006325A (ko) 2004-01-24
KR100477076B1 KR100477076B1 (ko) 2005-03-17

Family

ID=3731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572A KR100477076B1 (ko) 2002-07-12 2002-07-12 옻칠을 이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0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387A (ko) * 2002-11-11 2004-05-17 김동수 무기질 첨가물을 함유하는 현악기용 공명판과 그 제작방법
KR101455929B1 (ko) * 2013-04-18 2014-10-31 김동경 장구, 나무 항아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0267B1 (ko) 2016-08-30 2017-03-27 강순탁 배접과 옻칠을 이용한 해금의 울림통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75B1 (ko) 2008-06-16 2010-07-23 권오학 도자기 전통 현악기 울림통의 제조 방법
KR101306928B1 (ko) * 2011-06-10 2013-09-10 박신영 옻칠 및 자개 문양이 적용된 안경 제조 방법
KR101377294B1 (ko) * 2012-09-07 2014-03-24 김동경 장구
KR101802822B1 (ko) * 2017-03-28 2017-11-29 구자홍 나노 무기물 도료를 이용한 현악기의 제조방법
KR102298502B1 (ko) 2019-08-29 2021-09-06 주식회사 비노스트링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악기 및 악기케이스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07936A1 (de) * 1982-03-05 1983-09-15 Herberts Gmbh, 5600 Wuppertal Lackierungsverfahren unter verwendung von perlglanzpigmenten
KR950002037U (ko) * 1993-06-05 1995-01-04 이성용 자게 무늬를 형성시킨 국악기
KR20000052037A (ko) * 1999-01-29 2000-08-16 손철현 무늬판재 제조방법
KR20010025908A (ko) * 1999-09-01 2001-04-06 정우양 옻칠도장된 현악기 및 그 옻칠도장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387A (ko) * 2002-11-11 2004-05-17 김동수 무기질 첨가물을 함유하는 현악기용 공명판과 그 제작방법
KR101455929B1 (ko) * 2013-04-18 2014-10-31 김동경 장구, 나무 항아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0267B1 (ko) 2016-08-30 2017-03-27 강순탁 배접과 옻칠을 이용한 해금의 울림통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7076B1 (ko) 2005-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bb Lacquer: technology and conservation
KR101518732B1 (ko) 섬유를 활용한 도자공예 장식기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 공예품
CN105415473B (zh) 一种漆砂砚
KR100477076B1 (ko) 옻칠을 이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의 제조방법
KR101134026B1 (ko) 옻칠을 이용한 자개 부착 방법
KR100632283B1 (ko) 나무결을 살린 목기의 제작 방법
KR20190011225A (ko) 비취목을 이용한 헤어 브러시 몸체의 무늬 형성 방법
KR20030025355A (ko) 옻칠 납골함의 제작방법
KR101185185B1 (ko)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
Reinnel The Carpenters, Joiners, Cabinet Makers, and Gilders' Companion
KR101343542B1 (ko) 목기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목기
KR20110106773A (ko) 네잎크로버와 야생화를 이용한 장식품 제조방법
CN105415949B (zh) 漆砂砚的制作方法
CN106738175B (zh) 一种仿黄花梨人造鬼脸刨切薄木的加工方法
CN110355079A (zh) 一种木材表面涂刷清漆工艺
KR101256575B1 (ko) 연근 또는 표고버섯을 이용한 액세서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130910B1 (ko) 금속분과 유제를 이용한 옻칠 표면처리기법
KR100710243B1 (ko) 천연무늬목을 가지는 가구용 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CN107756566A (zh) 一种木材防水的处理工艺
KR20110048199A (ko) 목재가구의 표면에 입체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100564249B1 (ko) 키조개 껍질로 구성된 사군자화 액자 및 그 제조 방법
Hiebert The papermaker's companion: The ultimate guide to making and using handmade paper
JPS58137472A (ja) 木質化粧板の製造方法
Godfrey The Hardwood Finisher: With Rules and Directions for Finishing in Natural Colors and in Antique, Mahogany, Cherry, Birch, Walnut, Oak, Ash, Redwood, Sycamore, Pine, and All Other Domestic Woods. Also Miscellaneous Rules for Filling, Staining, Varnishing, Polishing, Dyeing, Gilding and Bronzing; Together with Hints on the Preparation of Woodwork for the Finisher
CN101041315A (zh) 树木年轮画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1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