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185B1 -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185B1
KR101185185B1 KR1020090052022A KR20090052022A KR101185185B1 KR 101185185 B1 KR101185185 B1 KR 101185185B1 KR 1020090052022 A KR1020090052022 A KR 1020090052022A KR 20090052022 A KR20090052022 A KR 20090052022A KR 101185185 B1 KR101185185 B1 KR 101185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work
lacquer
jewelry
wood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234A (ko
Inventor
강인구
Original Assignee
강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구 filed Critical 강인구
Priority to KR1020090052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185B1/ko
Priority to JP2010133357A priority patent/JP5719531B2/ja
Publication of KR20100133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장착홈이 형성된 목공예품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고, 연마된 목공예품에 형성된 장착홈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착한 상태에서 목공예품에 옻을 바탕칠한 후 건조시키고, 틀메임, 베바름, 고태바르기, 숫돌갈기, 옻 덧칠 과정을 거친 목공예품의 표면에 광택 부재를 발라 광택처리하여 고운 윤을 내고, 광택처리된 목공예품에 장착된 보석 또는 귀금속에 묻은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목공예품의 장식적인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보석, 귀금속, 목공예품, 옻칠, 자개

Description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ree craftwork decorated with jewels or precious metals}
본 발명은 목공예품 제조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 진주, 산호 등과 같은 보석류 및 백금, 순금 등의 귀금속 소재는 희소 가치뿐만 아니라 빛의 반사에 의한 아름다움으로 인해 장식용 소재로서 최고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목기 등의 목공예품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식 부재로 부가할 수 있다면, 목공예품의 장식적인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며, 생활 수준이 윤택해지면서 목공예품의 수요가 증가하는 최근의 추세를 감안하면 이러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위와 같은 시대적 추세에 따라, 본 발명 특허출원인은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목공예품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식 부재로 부가하여 목공예품의 장식적인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장착홈이 형성된 목공예품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고, 연마된 목공예품에 형성된 장착홈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착한 상태에서 목공예품에 옻을 바탕칠한 후 건조시키고, 틀메임, 베바름, 고태바르기, 숫돌갈기, 옻 덧칠 과정을 거친 목공예품의 표면에 광택 부재를 발라 광택처리하여 고운 윤을 내고, 광택처리된 목공예품에 장착된 보석 또는 귀금속에 묻은 오염물을 제거하여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목공예품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식 부재로 부가하여 목공예품의 장식적인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한편, 자수정 등의 보석 자체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에 의해 살균 및 항균 작용이 발생해 인체에 유익한 목공예품을 제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은 사포질단계(S110)와, 장착단계(S120)와, 바탕칠단계(S130)와, 틀메임단계(S140)와, 베바름단계(S150)와, 고태바름단계(S160)와, 숫돌갈기단계(S170)와, 덧칠단계(S180)와, 광택단계(S190)와, 오염물 제거단계(S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포질단계(S110)는 장착홈(도면 도시 생략)이 형성된 목공예품의 표면을 사포로 매끄럽게 연마한다. 목공예품을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하는 과정에서 목공예품의 특정위치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장착홈은 목공예품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관통 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목공예품의 특정위치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을 구비한 아직 미가공된 목공예품이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사포질단계(S110)를 통해 장착홈이 형성된 목공예품의 표면을 사포로 매끄럽게 연마한다.
예컨대, 고정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통해 목공예품을 잡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면서 사포를 구비한 연마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구동시켜 목공예품의 표면을 사포질하여 매끄럽게 연마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장착단계(S120)는 상기 사포질단계(S110)에 의해 연마된 목공예품에 형성된 장착홈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착한다. 예컨대, 상기 장착단계(S120)에서는 표면이 부드럽게 연마된 목공예품을 고정장치(도면 도시 생략)로 고정한 상태에서 암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통해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잡아 이송하여 목공예품에 형성된 장착홈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착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바탕칠단계(S130)는 상기 장착단계(S120)에 의해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에 옻을 바탕칠한 후 건조시킨다. 예컨대, 목공예품에 형성된 장착홈에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되면, 상기 바탕칠단계(S130)에서 이송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통해 목공예품을 이송시키면서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에 옻액을 분사하여 옻을 바탕칠(초칠)하고, 건조장치(도면 도시 생략)에 바탕칠한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을 투입하여 저온 건조시킨다. 저온 건조시키는 이유는 고온에서 건조시킬 경우 목공예품이 타기 때문이다.
상기 틀메임단계(S140)는 상기 바탕칠단계(S130)에 의해 바탕칠된 목공예품 의 틈이 난 부분을 틀메임 부재를 사용해 메운다. 이 때, 상기 틀메임 부재가 톱밥과 쌀풀 및 옻액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고정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이용해 바탕칠된 목공예품을 고정한 상태에서 틈이 난 부분에 틀메임 부재 주입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통해 톱밥과 쌀풀 및 옻액의 혼합비율을 각각 40%, 15%, 45%로 하여 혼합한 틀메임 부재를 주입하여 바탕칠된 목공예품의 틈이 난 부분을 메우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베바름단계(S150)는 상기 틀메임단계(S140)에 의해 틀메임된 목공예품을 터지거나 뒤틀리지 않게 베바름 부재를 사용해 베를 바른다. 이 때, 상기 베바름 부재가 옻액과 쌀풀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고정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이용해 틀메임된 목공예품을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면서 베바름 부재 주입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통해 옻액과 쌀풀의 혼합비율을 각각 55%, 45%로 하여 혼합한 베바름 부재를 주입하여 베를 바르도록 구현함으로써 틀메임된 목공예품을 터지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태바름단계(S160)는 상기 베바름단계(S150)에 의해 베바름된 목공예품에 고태바름 부재를 사용해 고태바르기를 하여 틈을 메우고 평평하게 한다. 이 때, 상기 고태바름 부재가 황토가루와 옻액과 쌀풀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고정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이용해 베바름된 목공예품을 고정한 상태에서 고태바름 부재 주입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통해 황토가루와 옻액과 쌀풀의 혼합비율을 각각 45%, 50%, 5%로 하여 혼합한 고태바름 부재를 주입하여 고태바르기 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베바름된 목공예품의 틈을 메우고 평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숫돌갈기단계(S170)는 상기 고태바름단계(S160)에 의해 고태바름된 목공예품의 표면에 물을 주입하면서 숫돌로 표면을 부드럽게 간다. 예컨대, 고정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통해 고태바름된 목공예품을 잡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면서 숫돌을 구비한 연마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구동시켜 목공예품의 표면을 부드럽게 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덧칠단계(S180)는 상기 숫돌갈기단계(S170)에 의해 표면이 부드러워진 목공예품에 옻을 덧칠한 후 건조장치(도면 도시 생략)에 투입하여 저온 건조시키고, 건조된 목공예품 표면을 은행나무 등의 숯으로 부드럽게 간다. 이 때, 상기 덧칠단계(S180)가 여러번 반복(중칠, 상칠)될 수록 좋으며, 이 과정중에 목공예품의 표면에 그림이나 문양 등을 그려넣을 수도 있다. 저온 건조시키는 이유는 고온에서 건조시킬 경우 목공예품이 타기 때문이다.
상기 광택단계(S190)는 상기 덧칠단계(S180)에 의해 덧칠된 목공예품의 표면에 광택 부재를 발라 광택처리하여 고운 윤을 낸다. 예컨대, 치분과 콩기름을 혼합한 광택 부재를 숯으로 갈고 솜에 찍어 목공예품 표면에 문지른 다음 콩기름만을 솜에 찍어 문지른 후 기름기를 빼면 고운 윤을 낼 수 있다.
그 다음, 질좋은 옻액을 사용해 솜으로 문질러 재광, 삼광내기한 후 건조장치(도면 도시 생략)에 투입하여 저온 건조시켜 말린 다음 치분과 콩기름을 혼합한 광택 부재를 솜을 이용해 목공예품 표면에 바른 후 기름기를 빼내면 윤이 더욱 고와질 수 있다. 저온 건조시키는 이유는 고온에서 건조시킬 경우 목공예품이 타기 때문이다.
상기 오염물 제거단계(S200)는 상기 광택단계(S190)에 의해 광택처리된 목공예품에 장착된 보석 또는 귀금속에 묻은 오염물을 제거한다. 이 때, 상기 오염물 제거단계(S200)에서 전해 연막 처리하여 보석 또는 귀금속에 묻은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옻칠된 목공예품에 장착된 보석 또는 귀금속에 묻은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미려하고 아름다운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는 도 1 에 도시한 실시예와는 달리 목공예품에 자개를 더 부착한 실시예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은 사포질단계(S310)와, 장착단계(S320)와, 바탕칠단계(S330)와, 틀메임단계(S340)와, 베바름단계(S350)와, 고태바름단계(S360)와, 숫돌갈기단계(S370)와, 자개부착단계(S380)와, 덧칠단계(S390)와, 광택단계(S400)와, 오염물 제거단계(S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포질단계(S310)는 장착홈(도면 도시 생략)이 형성된 목공예품의 표면을 사포로 매끄럽게 연마한다. 목공예품을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하는 과정에서 목공예품의 특정위치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장착홈은 목공예품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관통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목공예품의 특정위치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을 구비한 아직 미가공된 목공예품이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사포질단계(S310)를 통해 장착홈이 형성된 목공예품의 표면을 사포로 매끄럽게 연마한다.
예컨대, 고정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통해 목공예품을 잡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면서 사포를 구비한 연마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구동시켜 목공예품의 표면을 사포질하여 매끄럽게 연마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장착단계(S320)는 상기 사포질단계(S310)에 의해 연마된 목공예품에 형성된 장착홈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착한다. 예컨대, 상기 장착단계(S320)에서는 표면이 부드럽게 연마된 목공예품을 고정장치(도면 도시 생략)로 고정한 상태에서 암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통해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잡아 이송하여 목공예품에 형성된 장착홈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착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바탕칠단계(S330)는 상기 장착단계(S320)에 의해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에 옻을 바탕칠한 후 건조시킨다. 예컨대, 목공예품에 형성된 장착홈에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되면, 상기 바탕칠단계(S330)에서 이송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통해 목공예품을 이송시키면서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에 옻액을 분사하여 옻을 바탕칠(초칠)하고, 건조장치(도면 도시 생략)에 바탕칠한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을 투입하여 저온 건조시킨다. 저온 건조시키는 이유는 고온에서 건조시킬 경우 목공예품이 타기 때문이다.
상기 틀메임단계(S340)는 상기 바탕칠단계(S330)에 의해 바탕칠된 목공예품의 틈이 난 부분을 틀메임 부재를 사용해 메운다. 이 때, 상기 틀메임 부재가 톱밥과 쌀풀 및 옻액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고정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이용해 바탕칠된 목공예품을 고정한 상태에서 틈이 난 부분에 틀메임 부재 주입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통해 톱밥과 쌀풀 및 옻액의 혼합비율을 각각 40%, 15%, 45%로 하여 혼합한 틀메임 부재를 주입하여 바탕칠된 목공예품의 틈이 난 부분을 메우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베바름단계(S350)는 상기 틀메임단계(S340)에 의해 틀메임된 목공예품을 터지거나 뒤틀리지 않게 베바름 부재를 사용해 베를 바른다. 이 때, 상기 베바름 부재가 옻액과 쌀풀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고정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이용해 틀메임된 목공예품을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면서 베바름 부재 주입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통해 옻액과 쌀풀의 혼합비율을 각각 55%, 45%로 하여 혼합한 베바름 부재를 주입하여 베를 바르도록 구현함으로써 틀메임된 목공예품을 터지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태바름단계(S360)는 상기 베바름단계(S350)에 의해 베바름된 목공예품에 고태바름 부재를 사용해 고태바르기를 하여 틈을 메우고 평평하게 한다. 이 때, 상기 고태바름 부재가 황토가루와 옻액과 쌀풀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고정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이용해 베바름된 목공예품을 고정한 상태에서 고태바름 부재 주입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통해 황토가루와 옻액과 쌀풀의 혼합비율을 각각 45%, 50%, 5%로 하여 혼합한 고태바름 부재를 주입하여 고태바르기 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베바름된 목공예품의 틈을 메우고 평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숫돌갈기단계(S370)는 상기 고태바름단계(S360)에 의해 고태바름된 목공예품의 표면에 물을 주입하면서 숫돌로 표면을 부드럽게 간다. 예컨대, 고정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통해 고태바름된 목공예품을 잡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면서 숫돌을 구비한 연마장치(도면 도시 생략)를 구동시켜 목공예품의 표면을 부드럽게 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자개부착단계(S380)는 상기 숫돌갈기단계(S370)에 의해 표면이 부드러워진 목공예품에 자개를 부착한다. 예컨대, 상기 자개부착단계(S380)에서 전복껍질 등을 도안에 맞게 실톱으로 오려서 종이에 붙여놓은 자개를 아교칠하여 목공예품의 표면에 인두로 지져 붙이고, 자개 밖으로 묻어난 아교를 90~100℃의 물로 문질러 닦아내고, 자개를 붙인 곳에 옻칠을 하고 건조장치(도면 도시 생략)에 입하여 저온 건조시킨 후, 자개가 부착된 부위에 황토가루를 바른 다음 물을 주면서 숫돌로 부드럽게 갈아서 목공예품에 자개를 부착할 수 있다. 저온 건조시키는 이유는 고온에서 건조시킬 경우 목공예품이 타기 때문이다.
상기 덧칠단계(S390)는 상기 자개부착단계(S380)에 의해 자개가 부착된 목공예품에 옻을 덧칠한 후 건조장치(도면 도시 생략)에 투입하여 저온 건조시키고, 건조된 목공예품 표면을 은행나무 등의 숯으로 부드럽게 간다. 이 때, 상기 덧칠단계(S390)가 여러번 반복(중칠, 상칠)될 수록 좋으며, 이 과정중에 목공예품의 표면에 그림이나 문양 등을 그려넣을 수도 있다. 저온 건조시키는 이유는 고온에서 건조시킬 경우 목공예품이 타기 때문이다.
상기 광택단계(S400)는 상기 덧칠단계(S390)에 의해 덧칠된 목공예품의 표면에 광택 부재를 발라 광택처리하여 고운 윤을 낸다. 예컨대, 치분과 콩기름을 혼합한 광택 부재를 숯으로 갈고 솜에 찍어 목공예품 표면에 문지른 다음 콩기름만을 솜에 찍어 문지른 후 기름기를 빼면 고운 윤을 낼 수 있다.
그 다음, 질좋은 옻액을 사용해 솜으로 문질러 재광, 삼광내기한 후 건조장치(도면 도시 생략)에 투입하여 저온 건조시켜 말린 다음 치분과 콩기름을 혼합한 광택 부재를 솜을 이용해 목공예품 표면에 바른 후 기름기를 빼내면 윤이 더욱 고와질 수 있다. 저온 건조시키는 이유는 고온에서 건조시킬 경우 목공예품이 타기 때문이다.
상기 오염물 제거단계(S410)는 상기 광택단계(S400)에 의해 광택처리된 목공예품에 장착된 보석 또는 귀금속에 묻은 오염물을 제거한다. 이 때, 상기 오염물 제거단계(S410)에서 전해 연막 처리하여 보석 또는 귀금속에 묻은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자개가 부착되고, 옻칠된 목공예품에 장착된 보석 또는 귀금속에 묻은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미려하고 아름다운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목공예품 제조기술 분야 및 이의 응용기술 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Claims (7)

  1. 장착홈이 형성된 목공예품의 표면을 사포로 매끄럽게 연마하는 사포질단계와;
    상기 사포질단계에 의해 연마된 목공예품에 형성된 장착홈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착하는 장착단계와;
    상기 장착단계에 의해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에 옻을 바탕칠한 후 건조시키는 바탕칠단계와;
    상기 바탕칠단계에 의해 바탕칠된 목공예품의 틈이 난 부분을 틀메임 부재를 사용해 메우는 틀메임단계와;
    상기 틀메임단계에 의해 틀메임된 목공예품을 터지거나 뒤틀리지 않게 베바름 부재를 사용해 베를 바르는 베바름단계와;
    상기 베바름단계에 의해 베바름된 목공예품에 고태바름 부재를 사용해 고태바르기를 하여 틈을 메우고 평평하게 하는 고태바름단계와;
    상기 고태바름단계에 의해 고태바름된 목공예품의 표면에 물을 주입하면서 숫돌로 표면을 부드럽게 가는 숫돌갈기단계와;
    상기 숫돌갈기단계에 의해 표면이 부드러워진 목공예품에 옻을 덧칠한 후 건조시키고, 건조된 목공예품 표면을 숯으로 부드럽게 가는 덧칠단계와;
    상기 덧칠단계에 의해 덧칠된 목공예품의 표면에 광택 부재를 발라 광택처리하여 고운 윤을 내는 광택단계와;
    상기 광택단계에 의해 광택처리된 목공예품에 장착된 보석 또는 귀금속에 묻은 오염물을 제거하는 오염물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
  2. 장착홈이 형성된 목공예품의 표면을 사포로 매끄럽게 연마하는 사포질단계와;
    상기 사포질단계에 의해 연마된 목공예품에 형성된 장착홈에 보석 또는 귀금속을 장착하는 장착단계와;
    상기 장착단계에 의해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에 옻을 바탕칠한 후 건조시키는 바탕칠단계와;
    상기 바탕칠단계에 의해 바탕칠된 목공예품의 틈이 난 부분을 틀메임 부재를 사용해 메우는 틀메임단계와;
    상기 틀메임단계에 의해 틀메임된 목공예품을 터지거나 뒤틀리지 않게 베바름 부재를 사용해 베를 바르는 베바름단계와;
    상기 베바름단계에 의해 베바름된 목공예품에 고태바름 부재를 사용해 고태바르기를 하여 틈을 메우고 평평하게 하는 고태바름단계와;
    상기 고태바름단계에 의해 고태바름된 목공예품의 표면에 물을 주입하면서 숫돌로 숫돌갈기 하여 표면을 부드럽게 가는 숫돌갈기단계와;
    상기 숫돌갈기단계에 의해 표면이 부드러워진 목공예품에 자개를 부착하는 자개부착단계와;
    상기 자개부착단계에 의해 자개가 부착된 목공예품에 옻을 덧칠한 후 건조시키고, 건조된 목공예품 표면을 숯으로 부드럽게 가는 덧칠단계와;
    상기 덧칠단계에 의해 덧칠된 목공예품의 표면에 광택 부재를 발라 광택처리하여 고운 윤을 내는 광택단계와;
    상기 광택단계에 의해 광택처리된 목공예품에 장착된 보석 또는 귀금속에 묻은 오염물을 제거하는 오염물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 제거단계에서:
    전해 연막 처리하여 보석 또는 귀금속에 묻은 오염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틀메임단계에서 사용되는 틀메임 부재가:
    톱밥과 쌀풀 및 옻액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바름단계에서 사용되는 베바름 부재가:
    옻액과 쌀풀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태바름단계에서 사용되는 고태바름 부재가:
    황토가루와 옻액과 쌀풀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덧칠단계가:
    여러번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
KR1020090052022A 2009-06-11 2009-06-11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 KR101185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022A KR101185185B1 (ko) 2009-06-11 2009-06-11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
JP2010133357A JP5719531B2 (ja) 2009-06-11 2010-06-10 宝石または貴金属が装着された木工芸品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022A KR101185185B1 (ko) 2009-06-11 2009-06-11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234A KR20100133234A (ko) 2010-12-21
KR101185185B1 true KR101185185B1 (ko) 2012-09-24

Family

ID=43508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022A KR101185185B1 (ko) 2009-06-11 2009-06-11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719531B2 (ko)
KR (1) KR101185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382B1 (ko) 2018-11-20 2019-07-11 조서현 유치 레진 공예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치 레진 공예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502B1 (ko) * 2017-03-06 2019-02-18 성용 옻칠을 이용한 원목의 자개부착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자개부착 장식원목
CN112493640A (zh) * 2020-11-20 2021-03-16 黄碧丹 一种利用漆和蛋壳结合金属首饰的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283B1 (ko) 2005-08-05 2006-10-11 장문순 나무결을 살린 목기의 제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6371A (en) * 1982-09-09 1984-12-04 Caliri John S Production of a decorative wood panel with simulated wood inlay
JPH0829529B2 (ja) * 1990-03-08 1996-03-27 丸福百貨株式会社 塗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283B1 (ko) 2005-08-05 2006-10-11 장문순 나무결을 살린 목기의 제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382B1 (ko) 2018-11-20 2019-07-11 조서현 유치 레진 공예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치 레진 공예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234A (ko) 2010-12-21
JP5719531B2 (ja) 2015-05-20
JP2010284971A (ja)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1433B2 (en) Jewelry displaying cremation ashes in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resin sett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200646B1 (ko) 옻칠한 유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85185B1 (ko) 보석 또는 귀금속이 장착된 목공예품 제조방법
KR102462976B1 (ko) 옻칠 도막을 활용한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25355A (ko) 옻칠 납골함의 제작방법
KR100795894B1 (ko) 목무늬결을 갖는 브러쉬 손잡이의 제조방법
KR101627230B1 (ko) 나전칠기 기법을 이용한 구두 굽 장식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구두 굽
CN105768367A (zh) 一种制作格利特鞋底的方法、格利特鞋底以及鞋子
KR20040006325A (ko) 옻칠을 이용한 국악 현악기용 옻칠울림통 및 그 제조방법
CN107053500B (zh) 一种手工雕刻珍珠的方法
KR101274973B1 (ko) 결착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나전용 접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0729B1 (ko) 건칠 액세서리 제조방법
KR100463994B1 (ko) 나전칠기가 결합된 장신구 및 그 제작방법
US5860850A (en) Method and kit for preparing polished amber
CN103465713A (zh) 一种镶嵌螺钿的加工工艺
CN109514674A (zh) 一种红木家具结巴处理方法
JP3151447U (ja) 銀古美仕上げ、燻し仕上げ溶剤を用いた装身具
CN1012463B (zh) 贝壳首饰制作方法及其贝壳首饰
KR100407236B1 (ko) 이종의 보석을 태극문양으로 일체로 가공하는 방법 및 그제품
KR102565976B1 (ko) 천 소재를 이용한 손톱미용 손질용구 제조방법
JPH08296182A (ja) 螺鈿装飾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emp Ivory-of Natural Organic Origin
KR100710243B1 (ko) 천연무늬목을 가지는 가구용 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100221078B1 (ko) 조개폐를 이용한 진주장신구의 제조방법
JPH07149585A (ja) 真珠光沢を有する人工セラミック玉石、タイル、及び工芸用陶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