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4921A -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4921A
KR20040004921A KR1020020039151A KR20020039151A KR20040004921A KR 20040004921 A KR20040004921 A KR 20040004921A KR 1020020039151 A KR1020020039151 A KR 1020020039151A KR 20020039151 A KR20020039151 A KR 20020039151A KR 20040004921 A KR20040004921 A KR 20040004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ink
image forming
unit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9814B1 (ko
Inventor
박우용
노영하
노광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9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814B1/ko
Priority to US10/395,107 priority patent/US6711370B2/en
Priority to JP2003142172A priority patent/JP3883523B2/ja
Priority to CNA031429068A priority patent/CN1467584A/zh
Publication of KR20040004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시된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현상롤러가 일정 수위로 잠기게 일정 수위가 유지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부로 공급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저장부와, 상기 잉크저장부에 수용된 잉크를 상기 현상부에 공급하는 잉크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부 및 잉크저장부가 하나의 현상용기 내에 포함되며 상기 잉크저장부로부터 상기 현상부로 잉크를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현상부 및 잉크저장부를 하나의 유니트로 단순하게 구성함으로써 현상부 및 잉크저장부 사이의 순환부에 필요한 부품 및 공간을 줄일 수 있어서 습식 프린터 구조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Liqui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광체를 현상하는 현상기와 상기 현상기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저장조가 일체로 형성된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 또는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시키고, 그 정전잠상을 소정 색상의 현상제로 현상하여 용지에 전사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사용하는 토너에 따라 건식과 습식으로 구분되는데, 건식 화상형성장치는 분말 상태의 토너를 사용한다. 반면에,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휘발 성분의 액체캐리어에 토너가 혼합된 액상의 현상제가 사용되며, 건식의 경우보다 인쇄 품질이 우수한 동시에 유해한 토너 분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현상제는 잉크로 칭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롤러들(41, 42, 44)에 의해서 무한궤도를 순환하는 전사벨트(40)의 순환경로 상에 다수의 화상형성유닛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화상현상유닛은 상기 전사벨트에 각각 사이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화상을 전사한다.
상기 각 화상형성유닛은, 전사벨트(40)에 소정의 색상의 토너화상을 전사하는 감광드럼(30)과, 감광드럼(30) 표면을 소정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36)와, 대전된 감광드럼(30)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유닛(laser scanning unit)(38)과, 정전잠상을 소정의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유닛(10)과, 현상된 토너화상을 전사벨트(40)에 전사하고 남은 감광드럼(30) 상의 토너화상을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32)를 구비한다. 참조번호 34는 감광드럼(30) 상의 전하를 지우는 제전기이다.
상기 전사벨트(140)는 구동롤러(41), 2차전사백업롤러(44) 및 상기 감광드럼(30)에 대응하는 다수의 1차전사백업롤러(42)에 지지되어 회전하면서 감광드럼(30)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받는다. 상기 전사벨트(40)를 사이에 두고, 2차전사백업롤러(44)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전사벨트(40)의 화상을 다시 용지(60)에 전사하는 2차전사롤러(43)가 마련된다.
상기 2차전사롤러(43)에 의해서 컬러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용지배출경로 상에 설치된 정착장치(50)에 의해서 소정 온도로 가열 및 가압되며, 토너화상은 용지(160)에 융착된다.
도 2는 도 1의 현상유닛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현상유닛 중 마젠타 현상유닛(10-M)을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상유닛(10)은 현상부(11)와, 현상부(11)로 공급되는 잉크를 저장하고 있는 잉크저장부(12)와, 현상부(11)와 잉크저장부(12)와의 사이에서 잉크를 순환시키는 순환부(13)로 구성된다.
현상부(11)은, 잉크를 수용한 현상용기(14)와, 현상용기(14)에 일부 잠긴 채로 감광드럼(30)과 대면하게 설치된 현상롤러(15)와 디포지트롤러(16), 클리닝롤러(17) 및 미터링 롤러(18)를 구비한다.
현상롤러(15)는 현상용기(14)내에 저장된 현상제에 일부가 잠기도록 설치된다. 디포지트 롤러(16)는 현상용기(14)내에 저장된 현상제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현상롤러(15)와 소정 갭(gap)으로 떨어진 상태로 소정 전압이 인가된다. 이러한 디포지트 롤러(16)는 소정 전압을 가지는 현상롤러(15)와의 전위 차를 이용하여 현상제를 현상롤러(15)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미터링 롤러(18)는 상기 현상롤러(15)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롤러(15)에 부착된 현상제를 소정 두께로 규제한다.
상기 현상용기(14)에는 잉크공급구(19)와 잉크배출구(20)가 구비되어 있다.
순환부(13)는 잉크저장부(12)와 현상용기(14)의 잉크공급구(19)와 잉크배출구(20)를 각각 연결하는 잉크공급경로(21) 및 잉크회수경로(22)를 포함하며, 잉크공급경로(21)에는 펌프(23)가 설치되어 있다.
펌프(23)에 의해 잉크저장부(12)로부터 인출된 잉크는 잉크공급구(19)와 연결된 잉크공급경로(21)를 통하여 현상용기(14)로 공급된다. 현상용기(14)내의 잉크는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수위를 초과하여 공급된 잉크는 잉크배출구(20)와 연결된 잉크회수경로(22)를 통하여 잉크저장부(12)로 회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잉크저장부(12)로부터 인출된 잉크가 잉크공급경로(21), 현상용기(14), 잉크회수경로(22)를 거쳐 다시 잉크저장부(12)로 돌아오는 순환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구성에 의해서는 현상부(11)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서 별도의 잉크저장부(12)가 필요하고, 상기 잉크저장부(12) 및 현상용기(14) 사이를 잉크의 순환경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호스를 사용하며, 잉크를 공급하기 위해서 펌프(23)를 사용하므로 장치가 커진다. 또한, 상기 호스가 잉크에 의해서 막히는 현상도 일어날 수 있으며, 호스 또는 잉크저장부(12)를 교환시 커플러(미도시)를 착탈하기가 어려우며, 착탈시 잉크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현상부 및 잉크저장부를 일체화하고 상기 잉크저장부로부터 상기 현상부로 잉크를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한 습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습식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현상유닛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현상유닛과 감광드럼, 제전기, 대전기 등이 일체형으로 된 화상형성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30: 감광드럼 110: 현상용기
111: 현상부 112: 잉크저장부
120: 격벽 122,222: 잉크공급롤러
224: 돌출부 300: 잉크공급펌프
302: 케이싱 304: 편심축
306: 임펠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상의 정전잠상을 소정의 색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가 일정 수위로 잠기게 일정 수위가 유지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부로 공급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저장부와, 상기 잉크저장부에 수용된 잉크를 상기 현상부에 공급하는잉크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부 및 잉크저장부가 하나의 현상용기 내에 포함되며,
상기 잉크공급수단은,
상기 현상용기를 상기 현상부 및 잉크저장부를 구분하며 그 하부가 개방된 격벽; 및
상기 격벽 하부 및 상기 현상용기의 바닥면 사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잉크저장부의 잉크를 상기 현상부로 공급하는 잉크공급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잉크공급롤러는, 상기 격벽의 하단에 의해서 압축되며, 상기 격벽 하단을 벗어나면서 팽창되어 상기 잉크저장부의 잉크를 흡수하며, 회전시 상기 격벽 하단을 만나면서 압축되면서 함유된 잉크를 상기 현상부에 토출한다.
또한, 상기 잉크공급롤러와 접촉되는 상기 현상용기의 바닥면에서, 상기 격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잉크공급롤러의 외주를 압축하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잉크공급롤러는, 상기 돌출부를 벗어나면서 팽창되어 상기 잉크저장부의 잉크를 흡수하며, 회전시 상기 돌출부와 만나면서 압축되어 함유된 잉크를 상기 현상부에 토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잉크공급롤러는,
외주에 탄성력을 가지는 다공성 부재이 스폰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상롤러에 의해 현상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을 제전시키는 제전기; 및
상기 제전된 감광드럼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현상용기 내에 마련되어서 하나의 화상형성유닛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습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상의 정전잠상을 소정의 색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가 일정 수위로 잠기게 일정 수위가 유지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부로 공급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저장부와, 상기 잉크저장부에 수용된 잉크를 상기 현상부에 공급하는 잉크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부 및 잉크저장부가 하나의 현상용기에 포함되며,
상기 잉크공급수단은,
상기 현상용기를 상기 현상부 및 잉크저장부를 구분하며 그 하부가 개방된 격벽;
상기 격벽 하부 및 상기 현상용기의 바닥면 사이에 그 상부 및 하부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양측면에서 각각 상기 현상부 및 잉크저장부에 대향되게 형성된 개방부를 구비하는 원통형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서 편심된 축; 및
상기 편심축에 일측이 고정된 다수의 임펠러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편심축은,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현상부 방향으로 편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심축은, 상기 임펠러는 탄성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 및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잉크가 저장되는 현상용기(110) 내에 하나의 격벽(120)이 마련되어 있다. 이 격벽(120)에 의해서 현상용기(110)는 감광드럼(30)을 현상하는 현상부(111)와 현상부(111)로 공급되는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저장부(112)로 구분된다.
현상부(111)에는 감광드럼(30)과 대면되도록 설치된 현상롤러(115)와, 현상롤러(115)에 잉크를 부착시키는 디포지트롤러(116)와 현상롤러(115)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잉크의 양을 규제하는 미터링 롤러(118) 및 클리닝 롤러(117)를 포함한다.
상기 격벽(120)은 그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120) 하부 및 상기 현상용기(110) 바닥면 사이에는 잉크공급롤러(122)가 마련되어 있다. 잉크공급롤러(122)는 격벽(120)과 함께 현상부(111) 및 잉크저장부(112)의 잉크의 흐름을 억제한다. 상기 잉크공급롤러(122)는 탄성력을 가지는 다공성 부재, 예컨대 스폰지가 그 외주를 감싸져 있다. 이 다공성 부재는 도 3에서 보듯이 격벽(120)의 하단에 의해서 압축된 상태로 회전된다. 상기 잉크공급롤러(122)는 상기 격벽(120)의 하단을 벗어나서 잉크저장부(112)로 회전되면 압축된 다공성 부재가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잉크저장부(112)의 잉크를 흡수하며, 회전으로 상기 격벽(120) 하단을 만나면서 다시 압축되면서 함유된 잉크를 현상부(111)에 토출하여 공급한다.
상기 현상롤러(115)는 일정 부위만이 현상부(111)의 잉크에 잠기게 되도록 현상부(111)의 수위는 일정해야 한다. 따라서 잉크공급롤러(122)에 의해서 충분한 양의 잉크가 현상부(111)로 공급되어야 하며, 일정 수위를 초과한 잉크는 격벽(120) 상부를 타고 잉크저장부(112)로 되돌아간다.
상기 구조의 현상유닛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현상부(112)의 작용을 설명한다. 감광드럼(30) 상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면, 현상롤러(115)는 회전되면서 현상롤러(115) 표면에 부착된 잉크로 상기 정전잠상을 소정의 색상으로 현상한다. 이어서 클리닝 롤러(117)에 의해서 현상롤러 표면에 남아있는 잉크는 제거된다. 이어서 일정한 전압이 인가된 디포지트 롤러(116)의 잉크가 상기 현상롤러(115)로 옮겨가면서 회전된다. 회전되는 현상롤러(115)는 미터링 롤러(118)와 만나면서 소정 두께 이하의 잉크만 현상롤러(115)에 남아서 현상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은, 잉크저장부(112)로부터 현상부(111)로의 잉크공급과정을 설명한다. 잉크공급롤러(122)는 잉크용기(110) 바닥면에서 볼 때 잉크공급부(112)로부터 현상부(111)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하는 잉크공급롤러(122)는 격벽(120)의 하단과 만나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깊이로 압축된다. 압축된 잉크공급롤러(122)는 잉크저장부(112) 영역으로 회전되면서 복원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면서 잉크저장부(112)의 잉크를 팽창된 기공에 흡수한다. 이어서 다시 격벽(120)의 하단과 만나면서 압축시 기공이 수축하면서 함유된 잉크를 현상부(111)로 토출한다. 한편, 잉크저장부(112)로부터 현상부(111)로 공급된 잉크가 격벽(120)의 상단을 넘게 되면 상기 격벽(120)을 넘어서 잉크저장부(112)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현상부(111)는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도 4는 도 3의 현상유닛과 감광드럼, 제전기, 대전기 등이 일체형으로 된 화상형성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감광드럼(130), 상기 감광드럼(130)을 대전시키는 대전기(136),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유닛, 전사체로의 전사가 완료된 감광드럼(130) 상의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132),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132)에 의해서 제거된 토너를 회수하는 용기(139)가 하나의 카세트(140)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의 일측에는 대전된 감광드럼(130)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광주사유닛(138)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광주사유닛(138)은 카세트(140)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부(140a)를 통하여 감광드럼(130)에 광을 주사하게 된다.
상기 광주사유닛(138)을 제외한 구성요소는 하나의 일체형 카세트(140)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 시간 사용후 교환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화상형성유닛은 전사체와 접촉하는 감광드럼(130)을 위한 개구부(140b)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사체에 컬러화상을 전사하는 다수의 화상형성유닛은 수직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개구부(140b)가 화상형성유닛의 상부에 위치하게 하면, 도 1과 같이 수평으로 다수의 화상형성유닛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조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대전기(136)는 감광드럼(130)을 소정 전위로 대전시킨다. 이어서 광주사유닛(138)은 개방부(140a)를 통하여 대전된 감광드럼(130)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상기 정전잠상은 현상롤러(115)에 의해서 소정의 색상으로 현상된다. 상기 감광드럼(130)은 전사체(미도시)에 현상된 화상을 전사한 뒤 제전기(134)에 의해서 표면의 전위가 제거된다. 이어서 감광드럼(130) 표면의 잔사 토너가 클리닝 블레이드(132)에 의해서 제거되어서 토너회수용기(139)로 회수된다. 다른 구조의 작용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잉크가 저장되는 현상용기(110) 내에 하나의 격벽(120)이 마련되어 있다. 이 격벽(120)에 의해서 현상용기(110)는 감광드럼(30)을 현상하는 현상부(111)와 현상부(111)로 공급되는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저장부(112)로 구분된다.
상기 격벽(120)은 그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120) 하단 및 상기 현상용기(110) 바닥면 사이에는 잉크공급롤러(22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잉크공급롤러(222)와 접촉되는 현상용기(110)의 바닥면에는 상기 격벽(120) 방향으로 상기 잉크공급롤러(222)에 대응되게 돌출된 돌출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잉크공급롤러(222)는 탄성력을 가지는 다공성 부재, 예컨대 스폰지가 그 외주를 감싸고있다. 이 다공성 부재는 돌출부(224)와 만나는 부위에서 압축된다. 잉크공급롤러(222)는 격벽(120)과 함께 현상부(111) 및 잉크저장부(112)의 잉크의 이동을 억제하며, 회전시 상기 돌출부(224)를 벗어나면서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잉크저장부(112)의 잉크를 흡수하며, 상기 돌출부(2240와 만나면서 압축되어 함유된 잉크를 상기 현상부(111)로 토출한다.
상기 현상롤러(115)는 일정 부위만이 현상부(111)의 잉크에 잠기게 되도록 현상부(111)의 수위는 일정해야 한다. 따라서 잉크공급롤러(222)에 의해서 충분한 양의 잉크가 현상부로 공급되어야 하며, 일정 수위를 초과한 잉크는 격벽(120) 상부를 타고 잉크저장부(112)로 되돌아간다.
상기 실시예의 현상유닛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잉크저장부(112)로부터 현상부(111)로 잉크가 공급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잉크공급롤러(222)는 잉크용기(110) 바닥면에서 볼 때 현상부(111)로부터 잉크공급부(112)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하는 잉크공급롤러(222)는 돌출부(224)와 만나면서 소정 깊이로 압축된다. 잉크공급롤러(224)의 압축 부위는 잉크저장부(112)에서 복원력으로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면서 잉크저장부(112)의 잉크를 팽창된 기공으로 흡수한다. 이어서 다시 돌출부(224)와 만나면서 압축되어서 기공이 수축하면서 함유된 잉크를 현상부(111)로 토출한다. 한편, 현상부(111)의 잉크가 일정 수위를 넘는 경우, 과공급된 잉크는 격벽(120)의 상단을 넘어서 잉크저장부(112)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현상부(111)는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도시한 것이며,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잉크가 저장되는 현상용기(110) 내에 하나의 격벽(120)이 마련되어 있다. 이 격벽(120)에 의해서 현상용기(110)는 감광드럼(30)을 현상하는 현상부(111)와 현상부(111)로 공급되는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저장부(112)로 구분된다.
상기 격벽(120)은 그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120) 하부 및 상기 현상용기 바닥면 사이에는 편심된 잉크공급펌프(30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편심된 잉크공급펌프(300)는, 케이싱(302), 편심된 축(304) 및 다수의 임펠러(306)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302)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격벽(120)의 하단 및 현상용기(110) 내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양 측면에는 각각 현상부(112) 및 잉크저장부(112)에 대향하는 개방부(307, 30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편심축(304)은 상기 케이싱(302) 내에서 상기 현상부(111) 방향으로 편심되어 있다. 상기 편심 축(304)에는 다수의 임펠러(306)가 균등하게 이격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임펠러는 우레탄 재질과 같이 스티프(stiff) 하면서도 휘어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의 현상유닛의 잉크저장부(112)로부터 현상부(111)로 잉크가 공급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잉크공급펌프(300)가 도 6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시, 편심축(304)에 연결된 임펠러들(306)은 케이싱(302) 내에서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로케이싱(302)을 밀봉하면서 회전된다. 상기 임펠러(306)는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편심축(304) 및 케이싱(302) 사이의 간격이 큰 개방부(308)에서의 두 임펠러(306) 사이의 부피(A)가 편심축(304) 및 케이싱(302) 사이의 간격이 좁은 개방부(307)에서의 부피(B)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잉크저장부(112)와 연결된 개방부(308)에서 두 임펠러(306) 사이에 흡입된 잉크는 회전되어서 두 임펠러(306) 사이의 부피가 적은 개방부(307)에서 그 차(A-B) 만큼의 잉크를 현상부(111)로 배출한다. 한편, 현상부(111)의 잉크가 일정 수위를 넘는 경우, 과공급된 잉크는 격벽(120)의 상단을 넘어서 잉크저장부(112)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현상부(111)는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현상부 및 잉크저장부를 하나의 유니트로 단순하게 구성함으로써 현상부 및 잉크저장부 사이의 순환부에 필요한 부품 및 공간을 줄일 수 있어서 습식 프린터 구조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으며, 순환부에서의 클로깅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감광드럼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유닛을 하나의 카세트로 제조함으로써 수명이 종료된 화상형성유닛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감광체 상의 정전잠상을 소정의 색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가 일정 수위로 잠기게 일정 수위가 유지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부로 공급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저장부와, 상기 잉크저장부에 수용된 잉크를 상기 현상부에 공급하는 잉크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부 및 잉크저장부가 하나의 현상용기 내에 포함되며,
    상기 잉크공급수단은,
    상기 현상용기를 상기 현상부 및 잉크저장부를 구분하며 그 하부가 개방된 격벽; 및
    상기 격벽 하부 및 상기 현상용기의 바닥면 사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잉크저장부의 잉크를 상기 현상부로 공급하는 잉크공급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공급롤러는,
    상기 격벽의 하단에 의해서 압축되며, 상기 격벽 하단을 벗어나면서 팽창되어 상기 잉크저장부의 잉크를 흡수하며, 회전시 상기 격벽 하단을 만나면서 압축되면서 함유된 잉크를 상기 현상부에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공급롤러는,
    상기 현상용기의 바닥면과 만나는 부위에서 상기 잉크저장부로부터 상기 현상부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공급롤러와 접촉되는 상기 현상용기의 바닥면에서, 상기 격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잉크공급롤러의 외주를 압축하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잉크공급롤러는, 상기 돌출부를 벗어나면서 팽창되어 상기 잉크저장부의 잉크를 흡수하며, 회전시 상기 돌출부와 만나면서 압축되어 함유된 잉크를 상기 현상부에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공급롤러는,
    상기 돌출부와 만나는 부위에서 상기 현상부로부터 상기 잉크저장부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6. 제 1 항과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공급롤러는,
    외주에 탄성력을 가지는 다공성 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부재는 스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8. 제 1 항과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롤러에 의해 현상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을 제전시키는 제전기; 및
    상기 제전된 감광드럼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현상용기 내에 마련되어서 하나의 화상형성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 상의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에 의해서 제거된 토너를 담는 토너회수용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화상형성장치.
  10. 감광체 상의 정전잠상을 소정의 색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현상롤러가 일정 수위로 잠기게 일정 수위가 유지되는 현상부와, 상기 현상부로 공급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저장부와, 상기 잉크저장부에 수용된 잉크를 상기 현상부에 공급하는 잉크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상부 및 잉크저장부가 하나의 현상용기에 포함되며,
    상기 잉크공급수단은,
    상기 현상용기를 상기 현상부 및 잉크저장부를 구분하며 그 하부가 개방된 격벽;
    상기 격벽 하부 및 상기 현상용기의 바닥면 사이에 그 상부 및 하부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양측면에서 각각 상기 현상부 및 잉크저장부에 대향되게 형성된 개방부를 구비하는 원통형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에서 편심된 축; 및
    상기 편심축에 일측이 고정된 다수의 임펠러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축은,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현상부 방향으로 편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축은,
    상기 임펠러는 탄성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화상형성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현상용기의 바닥면과 만나는 부위에서 상기 잉크저장부로부터 상기 현상부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화상형성장치.
KR10-2002-0039151A 2002-07-06 2002-07-06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429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151A KR100429814B1 (ko) 2002-07-06 2002-07-06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10/395,107 US6711370B2 (en) 2002-07-06 2003-03-25 Liqui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142172A JP3883523B2 (ja) 2002-07-06 2003-05-20 湿式画像形成装置
CNA031429068A CN1467584A (zh) 2002-07-06 2003-05-31 液体静电复制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151A KR100429814B1 (ko) 2002-07-06 2002-07-06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921A true KR20040004921A (ko) 2004-01-16
KR100429814B1 KR100429814B1 (ko) 2004-05-03

Family

ID=29997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151A KR100429814B1 (ko) 2002-07-06 2002-07-06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11370B2 (ko)
JP (1) JP3883523B2 (ko)
KR (1) KR100429814B1 (ko)
CN (1) CN14675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8514A1 (en) * 2004-03-18 2005-09-22 Beauty Visi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hair coordination
KR100902342B1 (ko) * 2008-08-22 2009-06-12 주식회사 대덕기술 액체유량계 검사장치용 집수탱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1446B2 (en) * 2010-04-29 2013-12-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iling software for a hierarchical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JP6612636B2 (ja) 2016-02-01 2019-11-27 株式会社ミヤコシ 湿式現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3659A (en) * 1990-11-14 1992-10-06 Colorep, Inc. Multicolor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system with detachable liquid developing devices rotatably mounted
JPH11265122A (ja) 1998-01-08 1999-09-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8514A1 (en) * 2004-03-18 2005-09-22 Beauty Visi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hair coordination
KR100902342B1 (ko) * 2008-08-22 2009-06-12 주식회사 대덕기술 액체유량계 검사장치용 집수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05173A1 (en) 2004-01-08
CN1467584A (zh) 2004-01-14
JP2004038156A (ja) 2004-02-05
KR100429814B1 (ko) 2004-05-03
JP3883523B2 (ja) 2007-02-21
US6711370B2 (en) 2004-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0866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と画像形成装置
EP2198346B1 (en) Liquid electro-photography printing device binary ink developer having suction cavities
JP5359211B2 (ja) 廃トナー回収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40086618A1 (en) Cleaning unit,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77595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칼라화상형성장치
KR100429814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EP10588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back-plated developer
KR100219658B1 (ko) 습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JP2009042717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とその再生方法、並び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と画像形成装置
JP5222480B2 (ja) 液体試料分離抽出装置
US10802420B2 (en) Development cartridge having sealing member
US6975824B2 (en) 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0462617B1 (ko) 폐현상제 용기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7349646B2 (en) Toner cartridge used with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101786B2 (ja) 画像形成装置の現像ユニット
KR100503811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이물질 방지부재
KR100449985B1 (ko) 전사벨트 크리닝장치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JP4467049B2 (ja) 現像装置と該現像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5041156B2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13098B2 (ja) 現像装置
KR20030048689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매체 클리닝장치
KR20010083692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액 누설 방지시스템
JP2008216282A (ja) 液体試料分離抽出装置
JPH07219328A (ja) 電子写真装置
JPH06236124A (ja) 離型剤補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