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811B1 -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이물질 방지부재 - Google Patents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이물질 방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811B1
KR100503811B1 KR10-2003-0076234A KR20030076234A KR100503811B1 KR 100503811 B1 KR100503811 B1 KR 100503811B1 KR 20030076234 A KR20030076234 A KR 20030076234A KR 100503811 B1 KR100503811 B1 KR 100503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oner
foreign matter
prevention member
toner inl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1173A (ko
Inventor
윤영민
안병화
유세현
정우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6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811B1/ko
Priority to US10/928,134 priority patent/US7110712B2/en
Publication of KR20050041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이물질 방지부재가 개시된다. 개시된 이물질 방지부재는 폐토너 유입구의 상측에 설치되어 감광매체가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에는 폐토너 유입구를 막으며, 감광매체가 본체에 장착될 때에는 폐토너 유입구를 연다.

Description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이물질 방지부재{Alien substance protecting device for electro-photographic printer}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광매체를 본체로부터 제거하였을 때 폐토너 인입구에 이물질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방지부재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광 주사장치에 의하여 감광매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고, 이 정전잠상에 토너입자를 공급하여 현상된 토너화상을 용지에 전사시키고 열을 가하여 융착 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는 장치이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와 전사장치 또는 전사장치와 인쇄매체 사이의 전위 차를 이용하여 토너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여 원하는 화상을 얻는다. 하지만, 감광매체로부터 전사장치로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과정 또는 전사장치로부터 인쇄매체로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과정 중에 토너화상이 완전하게 전사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일부는 감광매체나 전사장치에 잔류하게 된다. 이러한 폐토너는 폐토너 클리닝장치에 의하여 제거되어 폐토너통에 저장된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서 클리닝장치 및 폐토너 유입구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폐토너 유입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감광매체(10)의 일측에는 감광매체(10)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감광매채(10) 및 클리닝장치(11)는 조립체를 형성하여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립체가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클리닝장치(11)는 본체에 설치된 덕트(30)의 폐토너 유입구(31)와 연통된다. 따라서, 클리닝장치(11)에 의하여 감광매체(10)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는 폐토너 유입구(31)로 들어가게 된다. 참조부호 20은 본체에 설치되는 브라켓트를 나타낸다.
그런데, 조립체가 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폐토너 유입구(31)는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잘못하여 이물질을 떨어뜨렸을 때, 이물질이 폐토너 유입구(31)에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된다.
덕트(30)의 내부에는 폐토너 유입구(31)를 통하여 유입된 폐토너를 이송시키기 위한 오거(미도시)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만약 이물질이 폐토너 유입구(31)를 통하여 덕트(30)내로 들어가면 오거(미도시)의 동작을 방해하여 폐토너가 원활하게 이송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치명적인 오동작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폐토너 이송부 전체를 교체하거나 완전 분해하여 수리해야 하므로, 이물질이 폐토너 유입구(30)에 유입되지 못하게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감광매체가 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폐토너 유입구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이물질 방지부재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이물질 방지부재는 감광매체에 묻어있는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장치로부터 저장용기로 상기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폐토너 이송장치의 폐토너 유입구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이물질 방지부재로서,
상기 폐토너 유입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매체가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에는 상기 폐토너 유입구를 막으며, 상기 감광매체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에는 폐토너 유입구를 연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방지부재는 유연하면서도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방지부재는 상기 폐토너 유입구의 상측에 그 일단이 브라켓트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상기 감광매체에 접촉되면서 접혔다가 또는 다시 원 상태로 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감광매체가 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의 이물질 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물질 방지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감광매체가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의 이물질 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물질 방지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사진방식 인쇄기(100)는 감광드럼(101), 광주사장치(102), 현상장치(103), 전사벨트(104) 및 정착장치(106)를 구비한다.
상기 감광드럼(101)은 금속제 드럼의 외주에 광도전성 물질층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감광드럼(101) 대신에 감광벨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광주사장치(102)는 균일한 전위를 가지도록 대전된 감광드럼(101)에 화상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상기 현상장치(103)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는 4 개의 현상기(103C,103M,103Y,103K)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각각 토너를 감광드럼(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시킨다.
상기 전사벨트(104)는 감광매체로부터 토너화상을 전달받아 이를 기록매체(P)로 전달하는 중간전사매체이다. 상기 전사벨트(104)대신에 전사드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전사벨트(104)에는 상기 감광드럼(101)에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토너화상이 순차적으로 전사되어 중첩됨으로써 칼라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상기 전사벨트(104)의 주행 선속도는 상기 감광드럼(101)의 회전 선속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사벨트(104)의 길이는 칼라토너화상이 최종적으로 수용되는 기록매체(P)의 길이와 같거나 적어도 그보다 길어야 한다.
참조부호 105는 전사롤러이다. 상기 전사롤러(105)는 전사벨트(104)와 대면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전사롤러(105)는 상기 전사벨트(104)에 칼라토너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상기 전사벨트(104)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상기 전사벨트(104)에 칼라토너화상이 완전히 전사되면 이를 기록매체(P)로 전사하기 위해 상기 전사벨트(104)와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상기 정착장치(106)는 토너화상이 전사된 기록매체(P)에 열과 압력에 가하여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에 정착한다.
참조부호 107은 상기 감광드럼(101)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이다. 참조부호 108은 상기 감광드럼(101)에 잔류되는 전하를 제거하는 제전기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화상형성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의 순서로 각 색상의 토너화상을 상기 전사벨트(104)에 중첩시키고 이를 기록매체(P)로 전사한 후에 정착시킴으로써 칼라화상을 형성한다.
상기 광주사장치(102)에 의해 시안(C) 색상의 화상정보에 해당하는 광신호가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상기 감광드럼(101)에 주사되면, 광이 주사된 부분은 저항이 감소하면서 상기 감광드럼(101)의 외주면에 부착된 전하가 빠져나간다. 따라서 광이 주사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과의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며, 이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101)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감광드럼(101)이 회전하면서 정전잠상이 현상기(103C)에 접근하면, 현상기(103C)에 수용된 시안(C)색상의 토너가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시안(C)색상의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상기 감광드럼(101)의 회전에 의해 시안(C)색상의 토너화상이 전사벨트(104)에 접근하면, 상기 전사벨트(104)와의 전위차 및/또는 접촉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상기 전사벨트(104)로 전사된다. 시안(C)색상의 토너화상이 상기 전사벨트(104)에 완전히 전사되면, 다음으로,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색상의 토너화상도 상술한 단계를 거쳐 상기 전사벨트(104)에 중첩 전사되어 칼라토너화상이 형성된다. 기록매체(P)가 상기 전사벨트(104)와 상기 전사롤러(105) 사이를 통과하면 칼라토너화상이 기록매체(S)로 전사된다. 계속하여 상기 정착장치(106)에서 열 및 압력에 의해 칼라토너화상을 기록매체(S)에 고착시켜 배출함으로써 칼라화상형성이 완료된다.
상기 감광드럼(101)과 전사벨트(104)는 기록매체(P)로 토너화상을 전달하기 전에 토너화상이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화상수용체이다. 감광드럼(101)→전사벨트(104)→기록매체(S)로 토너화상이 전사되는 과정에서 일부 토너는 상기 감광드럼(101) 또는 상기 전사벨트(104)에 잔류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사진방식 인쇄기(100)는 상기 감광드럼(101) 및 상기 전사벨트(104)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장치(120)(130), 상기 클리닝장치(120)(130)에 의하여 제거된 폐토너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300), 상기 이송장치(300)에 의하여 이송된 폐토너를 저장하는 저장용기(200)를 구비한다.
상기 클리닝장치(120)는 하우징(121)과, 상기 감광드럼(101)에 접촉되어 폐토너를 긁어내리는 블레이드(122)와, 폐토너를 하우징(121)의 일측 단부에 마련된 배출구(도 3의 참조부호 320)로 이송시키는 오거(12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클리닝장치(130)는 상기 감광드럼(101)을 클리닝하기 위한 클리닝장치(12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저장용기(200)는 그 위쪽에 폐토너를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폐토너가 주입되는 주입구(도 3의 참조부호 210)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사벨트(104)가 상기 감광드럼(101)의 상방에 위치되어 있어, 상기 클리닝장치(130)에 의해 상기 전사벨트(104)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는 상기 클리닝장치(130)로부터 직접 주입구(미도시)를 통하여 저장용기(200)에 수용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클리닝장치(120)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101)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는 상기 클리닝장치(120)와 상기 저장용기(200)의 주입구(210)와의 높이 차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폐토너 이송장치(300)에 의해 상기 저장용기(200)로 이송된다.
상기 폐토너 이송장치(300)는 덕트, 반송코일을 구비한다. 상기 덕트는 상호 연결된 제1 내지 제3덕트(310)(320)(3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덕트(310)는 상기 클리닝장치(120)와 상기 제2덕트(320)를 연결하는 것으로, 그 상부에는 상기 감광드럼(101)으로부터 상기 클리닝장치(120)에 의하여 제거된 폐토너가 배출되는 폐토너 유입구(도4의 참조부호 3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3덕트(330)는 상기 제2덕트(320)와 저장용기(200)를 연결하기 용이하도록 휘어질 수 있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반송코일은 상기 덕트내에 설치되어 상기 폐토너 유입구(311)를 통하여 들어온 폐토너를 상기 저장용기(200)에 이송시킨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폐토너 유입구(311)의 상측에는 상기 폐토너 유입구(311)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방지부재(3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방지부재(350)는 본체에 설치된 브라켓트(340)에 그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폐토너 유입구(311)의 위쪽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방지부재(350)는 유연하고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폐토너 유입구(311)에는 상기 감광드럼(101)이 장착되므로, 상기 감광드럼(101)의 탈착을 방해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광드럼(101)이 본체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이물질 방지부재(350)는 상기 폐토너 유입구(311) 위에 펼쳐지면서 외부로부터 이 물질이 떨어지더라도 이 물질이 상기 폐토너 유입구(311)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광드럼(101)이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이물질 방지부재(350)는 본체에 장착되는 상기 감광드럼(101)에 접촉되면서 그 힘에 의하여 구부러지면서 접혀지게 되어 상기 클리닝장치(120)와 상기 폐토너 유입구(311)가 서로 연통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상기 감광드럼(101)이 본체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이물질 방지부재(350)는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이물질 방지부재는 본체의 하측에 위치하는 폐토너 유입구에 감광드럼이 본체로부터 분리되었거나 또는 조립 시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 줌으로써 폐토너 이송부가 막히는 치명적인 불량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서 클리닝장치 및 폐토너 유입구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폐토너 유입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감광매체가 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의 이물질 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물질 방지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감광매체가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의 이물질 방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물질 방지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감광드럼 120...클리닝장치
300...폐토너 이송장치 310...덕트
311...폐토너 유입구 340...브라켓트
350...이물질 방지부재

Claims (3)

  1. 감광매체에 묻어있는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장치로부터 저장용기로 상기 폐토너를 이송시키는 폐토너 이송장치의 폐토너 유입구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이물질 방지부재로서,
    상기 폐토너 유입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감광매체가 본체로부터 분리될 때에는 상기 폐토너 유입구를 막으며, 상기 감광매체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에는 상기 폐토너 유입구를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이물질 방지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방지부재는
    유연하면서도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이물질 방지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방지부재는
    상기 폐토너 유입구의 상측에 그 일단이 브라켓트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상기 감광매체에 접촉되면서 접혔다가 또는 다시 원 상태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이물질 방지부재.
KR10-2003-0076234A 2003-10-30 2003-10-30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이물질 방지부재 KR100503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234A KR100503811B1 (ko) 2003-10-30 2003-10-30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이물질 방지부재
US10/928,134 US7110712B2 (en) 2003-10-30 2004-08-30 Foreign substance prevention unit to protec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from foreign substa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234A KR100503811B1 (ko) 2003-10-30 2003-10-30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이물질 방지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173A KR20050041173A (ko) 2005-05-04
KR100503811B1 true KR100503811B1 (ko) 2005-07-26

Family

ID=3454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234A KR100503811B1 (ko) 2003-10-30 2003-10-30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이물질 방지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10712B2 (ko)
KR (1) KR1005038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3974A1 (de) * 2002-09-20 2004-04-01 Behr Gmbh & Co. Lufteinströmer,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97485B2 (en) 1987-04-22 1990-05-31 John Lysaght (Australia) Limited Non-contact determination of the position of a rectilinear feature of an article
KR910008512A (ko) 1989-10-20 1991-05-31 정용문 복사기의 폐토너통 착탈장치
KR940011869B1 (ko) 1992-08-06 1994-1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폐토너 회수 장치
DE69427414T2 (de) * 1993-01-26 2002-04-18 Sharp Kk Bilderzeugungsgerät
US5634186A (en) * 1996-05-31 1997-05-27 Xerox Corporation Image forming machine having a verifiably openable sump shutter assembly
JPH1184968A (ja) 1997-09-01 1999-03-30 Casio Electron Mfg Co Ltd 廃トナー回収装置
JP2003107971A (ja) 2001-09-27 2003-04-11 Brother Ind Ltd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453068B1 (ko) * 2002-12-27 200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폐토너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10712B2 (en) 2006-09-19
KR20050041173A (ko) 2005-05-04
US20050095044A1 (en) 2005-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9332B1 (ko) 폐토너 이송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US2006025144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099617B2 (en) Waste toner transfer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dopting the same
KR100529334B1 (ko) 폐토너 이송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US522038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cleanable transfer material carrying means
JP2005128541A (ja) 電子写真方式の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20050220516A1 (en) Waste toner contain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waste toner container
JP4972927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743137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700868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developing bias voltage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703935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replacement unit and cleaner
US7272355B2 (en) Clean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503811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이물질 방지부재
AU2007201591B2 (en) Toner cartridge
KR100561471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
KR100462617B1 (ko) 폐현상제 용기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607998B1 (ko) 폐토너재활용수단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폐토너재활용방법
KR100553903B1 (ko) 폐토너 이송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JP2001183951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6098905A (ja) 画像形成装置
KR100529333B1 (ko) 폐토너 이송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100509507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카트리지
JPH08202228A (ja) 画像形成装置
KR20050040973A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폐토너 이송장치
KR20050040972A (ko) 폐토너 교반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