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4731A -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 - Google Patents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4731A
KR20040004731A KR1020020039054A KR20020039054A KR20040004731A KR 20040004731 A KR20040004731 A KR 20040004731A KR 1020020039054 A KR1020020039054 A KR 1020020039054A KR 20020039054 A KR20020039054 A KR 20020039054A KR 20040004731 A KR20040004731 A KR 20040004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oncrete structure
underwater concrete
fracture surfac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2622B1 (ko
Inventor
이화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티마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티마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티마스타
Priority to KR10-2002-0039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622B1/ko
Publication of KR20040004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6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6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 B01D53/1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with dispersed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21Removing nitrogen compounds
    • B01D53/8625Nitrogen oxides
    • B01D53/8628Process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6Regeneration, reactivation or recycling of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9Post-treatment of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2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4Hydrogen sulf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은,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부분을 확인하여 치핑 부위를 마킹하는 단계; 마킹된 치핑 부위를 완전히 치핑처리하는 단계; 다수의 우산살 앵커를 상기 파단면 부분에 설치하는 단계; 그 중심부에는 노즐이 설치되고,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볼트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판재형 거푸집을 세트 앵커 볼트를 이용하여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부분에 고정하는 단계; 거푸집 위에 다수의 막대부재를 보강 설치하는 단계; 거푸집과 콘크리트면의 경계부위를 완전히 씰링하는 한편, 거푸집에 몰탈 주입 및 에어 배출을 위한 2개의 호스를 각각 설치하는 단계; 상기 2개의 호스를 이용하여 거푸집 내부의 물을 빼내고, 내부를 건조시키는 단계; 거푸집 중심부의 노즐을 통해 노거푸집 내부에 중성화방지제 및 방청제를 살포하는 단계; 거푸집 내부에 몰탈을 충전하고, 호스 및 노즐을 밀봉 절단한 후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섬유와 에폭시의 합성재질로 제작된 거푸집을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치핑부위)에 완벽한 씰링이 되도록 설치하고, 그 내부를 건조시킨 후 몰탈을 충전하여 파단면을 보수하므로, 담수 및 염수(해수)에 관계없이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을 효과적으로 견고하게 보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Method for repairing the chipped portion of underwater concrete structures}
본 발명은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섬유와 에폭시의 합성재질로 제작된 거푸집을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치핑부위)에 설치하고, 그 내부를 건조시킨 후 몰탈을 충전함으로써 파단면을 효과적으로 견고하게 보수할 수 있는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은 물이라는 매체에 그 몸체의 전부 혹은 일부가 늘 침잠되어 있어서, 물의 빠른 흐름에 의한 접촉마찰이나 파도 등에 의한 부딪힘, 그리고 수압 등에 의해 끊임없이 외부적으로 외력을 받고 있다. 따라서,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물에 의해 가장 집중적으로 외력을 당하는 부위나 가장 취약한 부분은 서서히 열화되어 점차 치핑(chipp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치핑 현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그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는 급격히 저하되고, 마침내 붕괴라는 최악의 사태에 이르게 된다. 그런데,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은 수중에 설치되어 있다는 그 상황적 특성 때문에 유지 및 보수가 결코 수월하지가 않다. 즉, 물이라는 방해물을 극복하고, 원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기술적으로, 비용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고, 또한 무엇보다도 안전사고까지 각별히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에 있어서 더욱 신중을 요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을 효과적으로 견고하게 보수할 수 있는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에 따라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치핑 부위에 스텐레스 우산살 앵커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에 따라 치핑 부위에 설치될 거푸집의 제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에 따라 거푸집을 치핑 부위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거푸집을 설치함에 있어서, 거푸집과 콘크리트면 사이에 고무 패킹을 개재하여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에 따라 거푸집의 설치 후, 거푸집 위에 보강용 막대 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에 따라 보강용 막대 부재의 설치 후, 콘크리트면과 거푸집의 경계부위를 씰링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에 따라 거푸집 내부의 물을 빼내고 건조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에 따라 도 8의 건조 후, 거푸집 내부에 몰탈을 충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102...스텐레스 우산살 앵커
103...거푸집 104...볼트삽입공
105...노즐삽입공 106...세트 앵커 볼트
107...고무 패킹 108...막대 부재
109,110...호스 111...몰탈 주입기
115...스프레이 노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은, 담수 및/또는 염수(해수)에 설치된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을 보수하기 위한 공법에 있어서,
(a) 보수 대상의 상기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부분을 직접 잠수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고, 치핑 부위를 마킹하는 단계;
(b) 수중용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상기 마킹된 치핑 부위를 일정 영역만큼 완전히 치핑처리하는 단계;
(c)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에의 새로운 부재의 확실한 접착을 위해 다수의 금속제 우산살 앵커를 상기 파단면 부분에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
(d) 수압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도와 어느 정도의 휨성을 갖는 판재형 거푸집을 상기 파단면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제작하고, 거푸집의 가장자리에는 거푸집을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볼트삽입공을 형성하며, 거푸집의 중심부위에는 스프레이 노즐의 삽입을 위한 노즐삽입공을 형성하여, 그 노즐삽입공에 노즐을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거푸집을 파단면 부분에 대고 거푸집의 가장 자리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삽입공에 대응하여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면에 구멍을 각각 형성한 후, 세트 앵커 볼트를 각각 설치하여 거푸집을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부분에 고정하는 단계;
(f) 상기 설치된 거푸집 위에 보수재 주입시 압력에 의한 외부쪽으로의 휨현상을 막기 위하여 상기 거푸집 위에 다수의 막대부재를 서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각각 설치하는 단계;
(g) 수중용 에폭시 퍼티를 사용하여 거푸집과 콘크리트면의 경계부위를 완전히 씰링하는 한편, 거푸집의 소정 부위에 몰탈 주입 및 에어 배출을 위한 2개의 호스를 각각 설치하는 단계;
(h) 상기 2개의 호스 설치가 완료되면, 외압이 없는 상태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자연 양생시키는 단계;
(i) 상기 양생 후, 2개의 호스중 일측 호스에 에어를 주입하여 타측 호스로 거푸집 내부의 물을 빼내고, 마침내 타측 호스로 에어가 나올 때 그 타측 호스를 막아 거푸집 내부의 압력을 높이고, 그 상태에서 에어의 유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j) 상기 확인 결과 에어의 유출이 없으면, 상기 일측 호스로 에어를 주입하고 타측 호스로 에어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에어를 일정 시간 동안 거푸집 내부에 통과시켜 거푸집 내부를 건조시키는 단계;
(k) 상기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단계 (d)에서 설치한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하여 중성화방지제 및 방청제를 거푸집 내부에 살포하는 단계;
(l) 상기 두 개의 호스중 타측 호스에 몰탈 주입기를 연결하고, 압력을 체크하면서 서서히 몰탈을 주입하여 일측 호스로 주입된 몰탈이 다시 토출되면, 두 개의 호스를 동시에 견고하게 밀봉하는 단계; 및
(m) 상기 두 개의 호스의 밀봉 후, 외압이 없는 상태에서 충분히 양생시킨 뒤 각 호스 및 노즐을 절단하고, 그 부위를 몰탈로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e)에서, 세트 앵커 볼트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부분에 고정함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세트 앵커 볼트에 고무 패킹을 끼운 후, 거푸집을 앵커 볼트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고무 패킹을 끼우는 것은 앵커 볼트 주변의 씰링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단계 (j)의 건조 작업에 있어서, 염분이 있는 지역일 경우에는 염분이 없는 물로 거푸집 내부를 통과시켜 파단면 내면부에 묻어 있는 염분을 씻어낸 후, 에어 주입에 의한 건조 작업을 수행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에 따라, 먼저 담수 및/또는 염수(해수)에 설치된 보수 대상의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부분을 직접 잠수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고, 치핑 부위를 마킹하게 된다. 그런 후, 수중용 브레이커(breaker)를 이용하여 상기 마킹된 치핑 부위를 일정 영역만큼 완전히 치핑 처리한다.
치핑 처리가 완료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101) 몸체에의 새로운 부재의 확실한 접착을 위해 다수의 금속제(예컨대, 스텐레스 스틸제) 우산살 앵커(102)를 상기 파단면 부분에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한다. 여기서, 이와 같이 우산살 앵커(102)를 사용하는 것은 후술되는 거푸집 내에 충전되는 보수 몰탈과의 부착력 강화를 위한 것이다.
우산살 앵커(102)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압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도와 어느 정도의 휨성(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에의 적용 부위가 곡면일 경우에도 어려움없이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임)을 갖는 판재형 거푸집(103)을 상기 파단면 부분(치핑 부위)(103c)보다 상대적으로 크게(예를 들면, 치핑부위보다 10% 정도 크게) 제작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판재형 거푸집(103)의 재질로는 섬유와 에폭시의 합성재질이 사용된다. 이는 설치 지역이 수중이라는 특수 상황을 고려하여 물에 의해 부식되거나 열화되는 일이 없이 거의 영구적인 내구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하여, 판재형 거푸집(103)의 제작이 완료되면, 거푸집(103)의 가장자리에는 거푸집(103)을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101)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볼트삽입공(104)을 형성(예를 들면, 직경 20mm의 관통공을 100mm∼200mm의 간격으로 천공)하고, 거푸집(103)의 중심부위에는 노즐삽입공(105)을 형성하여 스프레이 노즐 (115)을 그 노즐삽입공(105)에 삽입, 설치한다. 이때, 노즐(115)의 연결측 단부는 막아둔다.
볼트삽입공(104)의 형성 및 노즐(115)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거푸집(103)을 파단면 부분에 대고 거푸집(103)의 가장 자리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삽입공(104)에 대응하여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콘크리트면에 구멍(101h)을 각각 형성한 후, 세트 앵커 볼트(106)(도 4 참조)를 각각 설치하여 거푸집(103)을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파단면 부분에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세트 앵커 볼트(106)를 이용하여 거푸집(103)을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101)의 파단면 부분에 고정함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세트 앵커 볼트(106)에 고무 패킹(107)을 끼운 후, 거푸집(103)을 세트 앵커 볼트(106)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고무 패킹(107)을 끼우는 것은 세트 앵커 볼트(106) 주변의 씰링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서 참조 부호 106n은 너트, 106w는 와셔를 각각 나타낸다.
이렇게 하여 거푸집(103)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거푸집(103) 내부에 보수재(몰탈)를 주입할 시 압력에 의한 외부쪽으로의 휨 현상을 막기 위하여 거푸집(103) 위에 다수의 막대부재(108)를 서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각각 설치한다. 이때, 상기 세트 앵커 볼트(106)를 이용하여 막대부재 (108)를 설치한다. 막대부재(108)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용 에폭시 퍼티를 사용하여 거푸집(103)과 콘크리트면의 경계부위를 완전히 씰링하는 한편, 거푸집(103)의 소정 부위에 몰탈 주입 및 에어 배출을 위한 2개의 호스(109)(110)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2개의 호스(109)(1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외압이 없는 상태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24시간 이상) 자연 양생시킨다. 그리고 양생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호스(109)(110) 중 일측 호스(109)에 에어를 주입하여 타측 호스(110)로 거푸집(103) 내부의 물을 빼내고, 마침내 타측 호스(110)로 에어가 나올 때 그 타측 호스(110)를 막아 거푸집(103) 내부의 압력을 높이고, 그 상태에서 에어의 유출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에어의 유출이 없으면, 상기 일측 호스(109)로 에어를 주입하고 타측 호스(110)로 에어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에어를 일정 시간 동안(최소 30분 이상) 거푸집(103) 내부에 통과시켜 거푸집(103) 내부를건조시킨다.
여기서, 이상과 같은 건조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염분이 있는 지역일 경우에는 염분이 없는 물로 거푸집(103) 내부를 통과시켜 파단면 내면부에 묻어 있는 염분을 말끔히 씻어낸 후, 에어 주입에 의한 건조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건조 작업이 완료되면, 거푸집(103)의 중심부에 이미 설치되어 있던 스프레이 노즐(115)을 이용하여 중성화방지제 및 방청제를 거푸집(103) 내부에 살포한다. 그런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호스중 타측 호스(110)에 몰탈 주입기(111)를 연결하고, 압력을 체크하면서 몰탈을 서서히 계속 주입하여 일측 호스(109)로 주입된 몰탈이 다시 토출되면, 두 개의 호스(109)(110)를 동시에 견고하게 밀봉한다. 그런 다음, 외압이 없는 상태에서 충분히 양생시킨 뒤 각 호스(109) (110) 및 노즐(115)을 절단하고, 그 부위를 몰탈로 마감 처리한다. 이로써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에 대한 보수가 완료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중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은 섬유와 에폭시의 합성재질로 제작된 거푸집을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치핑부위)에 완벽한 씰링이 되도록 설치하고, 그 내부를 건조시킨 후 몰탈을 충전하여 파단면을 보수하므로, 담수 및 염수(해수)에 관계없이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을 효과적으로 견고하게 보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담수 및/또는 염수(해수)에 설치된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을 보수하기 위한 공법에 있어서,
    (a) 보수 대상의 상기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부분을 직접 잠수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고, 치핑 부위를 마킹하는 단계;
    (b) 수중용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상기 마킹된 치핑 부위를 일정 영역만큼 완전히 치핑처리하는 단계;
    (c)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 몸체에의 새로운 부재의 확실한 접착을 위해 다수의 금속제 우산살 앵커를 상기 파단면 부분에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단계;
    (d) 수압에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강도와 어느 정도의 휨성을 갖는 판재형 거푸집을 상기 파단면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제작하고, 거푸집의 가장자리에는 거푸집을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볼트삽입공을 형성하며,거푸집의 중심부위에는 스프레이 노즐의 삽입을 위한 노즐삽입공을 형성하여, 그 노즐삽입공에 노즐을 설치하는 단계;
    (e) 상기 거푸집을 파단면 부분에 대고 거푸집의 가장 자리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삽입공에 대응하여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면에 구멍을 각각 형성한 후, 세트 앵커 볼트를 각각 설치하여 거푸집을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부분에 고정하는 단계;
    (f) 상기 설치된 거푸집 위에 보수재 주입시 압력에 의한 외부쪽으로의 휨현상을 막기 위하여 상기 거푸집 위에 다수의 막대부재를 서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각각 설치하는 단계;
    (g) 수중용 에폭시 퍼티를 사용하여 거푸집과 콘크리트면의 경계부위를 완전히 씰링하는 한편, 거푸집의 소정 부위에 몰탈 주입 및 에어 배출을 위한 2개의 호스를 각각 설치하는 단계;
    (h) 상기 2개의 호스 설치가 완료되면, 외압이 없는 상태에서 충분한 시간 동안 자연 양생시키는 단계;
    (i) 상기 양생 후, 2개의 호스중 일측 호스에 에어를 주입하여 타측 호스로 거푸집 내부의 물을 빼내고, 마침내 타측 호스로 에어가 나올 때 그 타측 호스를 막아 거푸집 내부의 압력을 높이고, 그 상태에서 에어의 유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j) 상기 확인 결과 에어의 유출이 없으면, 상기 일측 호스로 에어를 주입하고 타측 호스로 에어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에어를 일정 시간 동안 거푸집 내부에 통과시켜 거푸집 내부를 건조시키는 단계;
    (k) 상기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단계 (d)에서 설치한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하여 중성화방지제 및 방청제를 거푸집 내부에 살포하는 단계;
    (l) 상기 두 개의 호스중 타측 호스에 몰탈 주입기를 연결하고, 압력을 체크하면서 서서히 몰탈을 주입하여 일측 호스로 주입된 몰탈이 다시 토출되면, 두 개의 호스를 동시에 견고하게 밀봉하는 단계; 및
    (m) 상기 두 개의 호스의 밀봉 후, 외압이 없는 상태에서 충분히 양생시킨뒤 각 호스 및 노즐을 절단하고, 그 부위를 몰탈로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의 거푸집 제작은 섬유와 에폭시의 합성재질로 치핑부위보다 10% 정도 크게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세트 앵커 볼트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부분에 고정함에 있어서, 세트 앵커 볼트에 고무 패킹을 끼운 후, 거푸집을 앵커 볼트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j)의 건조 작업에 있어서, 염분이 있는 지역일 경우에는 염분이 없는 물로 거푸집 내부를 통과시켜 파단면 내면부에 묻어 있는 염분을 씻어낸 후, 에어 주입에 의한 건조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
KR10-2002-0039054A 2002-07-05 2002-07-05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 KR100452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054A KR100452622B1 (ko) 2002-07-05 2002-07-05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054A KR100452622B1 (ko) 2002-07-05 2002-07-05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251U Division KR200292723Y1 (ko) 2002-07-25 2002-07-25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731A true KR20040004731A (ko) 2004-01-14
KR100452622B1 KR100452622B1 (ko) 2004-10-13

Family

ID=3731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054A KR100452622B1 (ko) 2002-07-05 2002-07-05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6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656B1 (ko) * 2002-09-27 2007-03-09 주식회사 엠티마스타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를 위한 우산살 앵커 및이를 이용한 파단면 보수공법
CN100451277C (zh) * 2006-12-28 2009-01-14 上海交通大学 水下柱体混凝土裂缝表面封闭装置
KR100909569B1 (ko) * 2005-05-27 2009-07-27 유정식 관로 비굴착부 몰탈 보수공법
US20130139369A1 (en) * 2011-12-01 2013-06-06 Narayanan Srivats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a surface submerged in liquid by creating a workable sp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198B1 (ko) * 2009-12-18 2011-02-14 권기범 하이브리드 탄소섬유판과 폴리머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656B1 (ko) * 2002-09-27 2007-03-09 주식회사 엠티마스타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를 위한 우산살 앵커 및이를 이용한 파단면 보수공법
KR100909569B1 (ko) * 2005-05-27 2009-07-27 유정식 관로 비굴착부 몰탈 보수공법
CN100451277C (zh) * 2006-12-28 2009-01-14 上海交通大学 水下柱体混凝土裂缝表面封闭装置
US20130139369A1 (en) * 2011-12-01 2013-06-06 Narayanan Srivats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a surface submerged in liquid by creating a workable space
US8925168B2 (en) * 2011-12-01 2015-01-06 Akshay Srivats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a surface submerged in liquid by creating a workable sp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2622B1 (ko)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37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king crack repair
KR200414994Y1 (ko) 비굴착식 하수관 보수용 패커
CN210946696U (zh) 一种大坝混凝土防渗面板渗漏水下修复组合结构
US20190049053A1 (en) Corrugated metal pipe repair system and method
KR100452622B1 (ko)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공법
KR10069165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를 위한 우산살 앵커 및이를 이용한 파단면 보수공법
JPH11193640A (ja) 既設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及び新設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JPH09189133A (ja) コンクリート壁の補修方法
KR200292723Y1 (ko)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장치
JP3230204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防水止水補修方法
KR101331562B1 (ko) 수중 구조물의 보수 공법
KR200298127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단면 보수를 위한 우산살 앵커
KR20050053416A (ko) 콘크리트구조물의 열화 및 파단부위 보수보강재 및 이를사용한 구조물 단면보수보강 시공방법
KR10031045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0380564B1 (ko) 특수관형앵커를 이용한 보강시트 부착장치
KR100454605B1 (ko) 신/구 구조물 이음부 누수에 대한 고밀도 가압 보수 공법
KR20050109181A (ko) 해양 구조물을 보수 내지 보강하는 인케이스먼트 공법 및그에 사용되는 보수ㆍ보강 부재
KR10203209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확인 및 보수공법
JP2000087354A (ja) ピット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378208B1 (ko) 터널의 누수방지용 보수재 및 보수공법
KR20080063723A (ko) 상하수관의 비굴착 보수공법
KR20050034978A (ko) 평면, 곡면 및 각형 구조물 방수 겸 보수보강공법
KR101586801B1 (ko) 연결부재 및 보강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장치와 이를 이용한 복합보강공법
KR100837854B1 (ko) 노즐을 이용한 보수공법 및 보수용 노즐
KR200292724Y1 (ko)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