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4289A - 도로 표지판 - Google Patents

도로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4289A
KR20040004289A KR1020030091595A KR20030091595A KR20040004289A KR 20040004289 A KR20040004289 A KR 20040004289A KR 1020030091595 A KR1020030091595 A KR 1020030091595A KR 20030091595 A KR20030091595 A KR 20030091595A KR 20040004289 A KR20040004289 A KR 20040004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plate
road sign
indicator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은수
Original Assignee
어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은수 filed Critical 어은수
Publication of KR20040004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28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46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extensible, collapsible or pivo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판은 일측면에 방향지시부가 구비되며, 표면경도 및 채광성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지시판과; 전면에 상기 지시판이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구비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베이스판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시판은 자외선 차단처리가 실시된 폴리 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투명판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향지시부가 구비된 상기 지시판의 일측면에는 형광처리, 실크 인쇄처리 또는 스프레이 분사처리 중 어느 하나가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차단처리가 이루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투명판이 구비되어 표면의 퇴색이나 외부 충격에도 강하고,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긁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도로 표지판을 얻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 표지판{A route and destination plate}
본 발명은 도로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면에 자외선 차단처리가 실시된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의 투명판이 구비되고, 야간 식별이 용이하도록 LED가 구비되며, 더욱이 야간점등을 위한 LED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태양열의 변환 및 축적을 위한 솔라셀 및 축전지가 구비된 도로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자동차는 현대인의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생활용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차량의 증가추세에 따른 교통사고 역시 증가하고 있는데, 교통사고의 주된 원인은 운전미숙, 졸음운전, 음주운전 또는 도로 지형의 미숙지에서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중에서 도로 지형의 미숙지에 의한 사고는 낯선 곳을 주행할 경우 전방에 굴곡진 도로가 있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주행을 하는 경우 대부분 발생한다.
이러한 도로상황을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시내도로, 국도, 고속도로 등의 모든 도로에는 운전자들에게 진행방향을 인지시키도록 안내하는 도로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로 표지판은 행선지의 방향표시나 위험표시, 전방도로의 상황 등을 미리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문자, 숫자 또는 도형 등이 일정한 규격의 기판에 표시되어 있다.
특히, 산간지역에서의 도로 표지판은 전방 도로의 급커브 등을 운전자에게 미리 알려주어 안전운행을 도모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의 도로 표지판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지지판에 초고휘도의 반사지가 바탕으로서 부착되고, 그 위에 도로표시를 하는 무광의 검정색 시트지가 부착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도로 표지판은 지지판에 반사지가 부착되는 구성을 갖기 때문에 돌이나 그 밖의 외부의 충격에 매우 약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반사지의 내구성이 약하기 때문에 표면의 퇴색이 생기기 쉽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시트지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시트지의 파손이나 긁힘이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도로 표지판은 일정한 크기의 지지판에 형광 페인트를 도색처리 하거나 또는 반사지를 부착한 것이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먼지 또는 이물질 등에 의해 반사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자외선에 의해 반사물질 등이 산화되어 식별기능이 떨어지고 도로의 운전자가 안전 운행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도로 표지판은, 도로 표지판의 주변에 일정량의 빛이 비추어지는 반사에 의한 방법으로 식별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산화되거나 또는 이물질이 부착된 상태에서는 차량의 조명이 비추어지더라도 식별기능은 더욱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사고의 발생률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종래의 도로 표지판은 안개나 구름 또는 눈이나 비 등의 기후 변화가 잦은 지역에서는 차량의 조명이 투과되더라도 도로 표지판의 인식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도로 표지판은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불빛이 비추지 않으면 반사가 되지 않아 자동차 전조등의 기능이 고장난 경우에 야간 운전자가 도로 표지판을 식별하기 어려워 도로 상황을 알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로 표지판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지판이 찌그러지거나 시트지가 오랜 시간 동안에 갈라지거나 산화 되는 등 표지판으로부터 분리되어 미관상 좋지 않게 되어 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 차단처리가 이루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투명판이 구비되어 자외선에 의하여 반사지의 표면이 퇴색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하며, 시트지의 긁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도로 표지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지판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먼지 또는 이물질 등에 의해 반사율이 저하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도로 표지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솔라셀을 통해 변환된 에너지를 축전지에 저장한 후 이를 LED로 공급하여 자체적으로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야간의 경우 운전자의 시야확보 및 전방도로를 명확하게 인지시켜 도로 운전자의 안전운행이 가능하게 하는 도로 표지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함으로써 표지판의 찌그러짐을 방지하고, 반사 시트지 등이 표지판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상 보기에 좋게 되며, 도로 환경을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로 표지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판의 다른 일실시예에 다른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판의 설치상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판의 또 다른 일실시예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 표지판의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판의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지시판 22 ; 방향지시부
30 ; 시트판 40 ; 베이스판
50 ; 지지바 42 ; 설치홈
52 ; 스위치 60 ; LED
86 ; 반사경 90 ; PCB
96 ; 솔라셀 98 ; 축전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판은 일측면에 방향지시부가 구비되며, 표면경도 및 채광성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지시판과; 전면에 상기 지시판이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구비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베이스판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시판은 자외선 차단처리가 실시된 폴리 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투명판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방향지시부가 구비된 상기 지시판의 일측면에는 형광처리, 실크 인쇄처리 또는 스프레이 분사처리 중 어느 하나가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시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시판의 일측면이 부착되는 시트판과; 상기 시트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시트판이 부착되는 설치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면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설치홈의 측벽에 설치되는 다수개의LED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바에는 솔라셀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홈에는 축전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베이스판은 접철 가능한 제 1 베이스판 및 제 2 베이스판으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바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판의 접철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 설치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 설치구는 상기 지지바에 삽입되는 내부 중공 형태의 삽입체와, 상기 삽입체의 양측으로 각각 분기되도록 연장 형성된 제 1 연결판과, 상기 제 1 연결판의 단부에 일단이 제 1 힌지 결합되는 제 2 연결판과, 상기 제 2 연결판의 타단에 일단이 제 2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제 3 연결판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베이스판의 둘레에는 상기 지시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구는 단면이 ㄱ 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시판, 상기 시트판 및 상기 베이스판은 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차단처리가 이루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투명판이 구비되어 표면의 퇴색이나 외부 충격에도 강하고,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긁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도로 표지판을 얻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솔라셀을 통해 변화된 에너지를 축전지에 저장한 후 이를 LED로 공급하여, 야간의 경우 운전자의 표지판의 착시현상으로 검은색의 방향지시부가 튀어 나와 보이게 되기 때문에 시야확보 및 전방도로를 명확하게 인지시켜 안전운행이 가능하게 하는 도로 표지판을 얻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가리킨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판(10)은 운전자에게 방향 등을 알려주기 위한 방향지시부(22)가 부착된 지시판(20)과, 지시판(20)이 부착되는 베이스판(40)과, 베이스판(40)의 배면에는 베이스판(40)이 노면에 설치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지지바(50)에는 솔라셀(96)이 구비되고, 지시판(20)이 부착되는 베이스판(40)의 전면에는 설치홈(42)이 형성되고, 이 설치홈(42)에는 발광소자(60)가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판(40)의 설치홈(42)에는 지지바(50)에 구비된 솔라셀(96)에 의한 전원을 저장하여 야간의 경우 작동하는 발광소자(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98)가 구비된다.
한편, 베이스판(40)의 둘레에는 부착된 지시판(20)을 고정함과 아울러 지시판(20)과 베이스판(40)의 사이로 빗물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고정구(94)가 구비된다.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운전자에게 운전 방향을 알려주기 위한 방향지시부(22)가 구비된 지시판(20)은 자외선 차단처리(UV COATING)가 실시된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재질의 투명판 또는 아크릴 판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베이스판(40)에 부착되는 지시판(20)의 부착면(23)에는 형광처리, 실크인쇄처리, 또는 스프레이 분사처리 등을 실시한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일반 아크릴의 대용재로의 사용이 가능하고 시원한 평면연출, 자연스러운 곡면시공이 가능하며 내열성이 우수하다.
또한, 뛰어난 내충격성(유리의 500배, 아크릴의 50배), 안전사고 및 도난사고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며, 탁월한 단열성 및 내열성으로 보온효과 및 결로방지가 이루어져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렇게 구비된 지시판(20)은 외부 충격에 의한 표면경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도로 표지판(10)이 퇴색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또한 빛 투과율이 높아 채광성이 향상되어 선명한 상태의 도로 표지판(10)이 가능하게 된다.
설치홈(42)에 설치된 발광소자(60)는 다수개의 LED로 마련되는데, 이 LED(60)는 설치홈(42)의 측벽 둘레에 설치되어 점등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야간의 경우 운전자는 원거리에서도 선명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방 도로의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게 되어 안전운행을 도모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판(40)의 둘레에 설치되어 지시판(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94)는 단면이 ㄱ 자 형상의 절곡된 형태로 마련된다.
이 고정구(94)는 지시판(20)이 베이스판(40)에 부착된 상태에서 베이스판(40)의 전면 둘레 전체에 볼트 또는 리벳(92) 등을 사용하여 체결함으로써 베이스판(40)에 지시판(20)이 견고한 상태로 결합시키며, 이들의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 빗물 등의 침투를 억제하는 방수효과의 기능을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판(1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지시판(20)과 베이스판(40)의 사이에 시트판(30)과 설치부(36)를 추가한 형태이다.
시트판(30)에는 지시판(20)이 부착되는데, 이는 지시판(20)을 보강함과 더불어 지시판(20)의 퇴색방지 및 지시판(20)에 구비된 방향지시부(22)를 더욱 선명하게 나타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시트판(30)의 종류는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발광보드지, 반사시트지, 일반시트지 중 어느 하나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면에 시트판(30)이 부착되는 설치부(36)는 시트판(30)의 둘레가 부착되도록 내부가 절개된 형태의 테로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도로 표지판(10)은 주간의 경우 기존과 같은 도로 표지판(2)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야간의 경우에는 베이스판(40)에 구비된 LED(60)가 점멸하여 운전자에게 전방도로의 상황을 인지시키게 된다.
이처럼, 운전자는 차량의 불빛이 반사되지 않는 먼 거리에 있더라도 자체적으로 점멸하는 LED(60)에 의해 전방의 도로 상황을 표지판의 착시현상으로 신속하고 더욱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어 낯선 곳을 운전하는 경우에도 안전운행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보면 베이스판(40)의 설치홈(42)에 설치된 축전지(98)와 PCB(90)를 볼 수 있다.
축전지(98)는 지지바(50)에 구비된 솔라셀(96)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된주간의 태양에너지를 저장하여 야간에 점멸하는 LED(60)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LED(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다른 형태로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이 경우 베이스판(40) 또는 지지바(50)에 교류전원 인가용 스위치(52)를 구비하여 야간의 경우 ON 위치로 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는 지하 주차장에 사용할 경우 효과적인 사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판(40)과 지지바(50)는 여러 개의 브라켓(70)과 볼트(72)에 의해 결합된다.
도 4 내지 도 6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판(10)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로 표지판(10)이 설치된 도로(88)에 햇빛이 들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 것인데, 이와 같은 경우 솔라셀(96)을 지지바(50)로부터 분리한 후 햇빛이 비추는 곳에 설치하여 축전지(98)에 전류를 저장한 후 LED(60)에 전원을 공급하여 야간 사용이 가능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솔라셀(96)에 의해 전류가 축적되는 도로 표지판(10)은 인접한 표지판 다른 표지판(1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5는 도로(88)에 다수개의 도로 표지판(10)이 설치되었을 경우 여러 개의 도로 표지판(10) 중 어느 하나에 솔라셀(96)을 설치하여 야간에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도로(88)에 설치되는 도로 표지판(10)에 볼록거울 형태의 반사경(86)을 설치한 것으로, 이와 같은 형태의 도로 표지판(10)은 주간의 경우 방향지시부(22)를 통해 전방도로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으며, 반사경(86)을 통해 반대 방향 차로의 상태를 인식하게 하는 복합적인 기능이 가능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판(3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양방향 도로의 굴곡진 지역에 설치되는 표지판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도로에 설치되는 종래의 도로 표지판은 하나의 판체를 절곡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절곡된 부분을 기준으로 판체의 양면에 방향 표시부를 형성한 형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로 표지판은 절곡된 형태로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운반을 함에 있어 적재 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해 운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또한 절곡된 각도조차 정형화 되어있기 때문에 커브 각도가 다른 도로에는 그 도로의 커브각도에 맞게 접철각도를 다시 조절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7 내지 도 9는 접철가능하도록 제 1 베이스판(210) 및 제 2 베이스판(212)의 형태로 제작한 것이다.
이처럼 제 1 및 제 2 베이스판(210)(212)과 같은 판체 형상으로 제작할 경우 이들을 설치하기 위해 운반을 할 경우 적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많은 양의 표지판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고 운반 효율성이 향상된다.
제 1 베이스판(210)과 제 2 베이스판(212)의 접철방식은 상호 끼워 맞추는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 제 1 베이스판(210)의 일단에 돌기부(210a)를 형성하고 제 2 베이스판(212)의 일단에는 제 1 베이스판(210)의 돌기부(210a)가 삽입되도록 돌출된 형태로 삽입홀(212b)이 구비된 삽입부(212a)를 형성한 것이다.
이들을 결합할 경우 제 1 베이스판(210)의 돌기부(210a)를 제 2 베이스판(212)의 삽입부(212a)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돌기부(210a)를 삽입홀(212b)에 삽입시키면 된다.
이렇게 결합된 제 1 베이스판(210)과 제 2 베이스판(212)은 접철각도가 자유로운 상태의 결합이 된다.
이러한 형태의 제 1 베이스판(210)과 제 2 베이스판(212)은 각도조절 설치구(250)에 의해 지지바(6)에 결합된다.
각도조절 설치구(250)는 지지바(6)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중공(250a)이 형성된 삽입체(251)와, 삽입체(251)의 양측으로 각각 분기되도록 연장 형성된 제 1 연결판(252)과, 제 1 연결판(252)의 자유단에 일단이 제 1 힌지(254) 결합되는 제 2 연결판(256)과, 제 2 연결판(256)의 타단에 일단이 제 2 힌지(258) 결합되는 제 3 연결판(260)으로 구성되며, 제 3 연결판(260)은 제 1 베이스판(210)과 제 2 베이스판(212)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각도조절 설치구(250)는 도 8 과 같이 커브의 각도가 완만한 지역이나, 도 9와 같이 급커브의 지역에서도 제 1 및 제 2 베이스판(210)(212)의 접철 각도를 자연스럽게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커브 각도에 대해 탄력적인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은 베이스판(40)에 구비된 PCB(90)를 구성하는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회로도는 빛 에너지를 변환하는 솔라셀(96)로부터 출력된 교류전류(AC)를 직류전류(DC)로 변환하여 제 1 노드(Nd1)로 출력하는 제 1 다이오드(D1)가 있고, 제 1 노드(Nd1)로 전송된 전류를 저장하는 축전지(98)가 있으며, 제 1 노드(Nd1)와 전지 전압(Ves) 사이에 직렬 접속된 포토센서(PS) 및 제 1 저항(R1)이 있다.
그리고, 제 1 노드(Nd1)로부터 전원을 입력하여 포토센서(PS) 또는 스위치(SW)에 의해 도로 표지판(2)의 LED(6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 3노드(Nd3) 사이에 접속된 제 2 저항(R2)과 제 3노드(Nd3)와 전지전압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R3)과 제 3 노드(Nd3)의 전압에 의해 제 1 노드(Nd1) 및 제 4노드(Nd4)로 스위칭하는 PNP형 바이폴라 트렌지스터(TR1)가 있고, 제 4노드(Nd4)와 전지전압(Ves) 사이에 접속된 제 4 저항(R4)이 있다.
또한, 제 4 노드(Nd4)와 제 5 노드(Nd5) 사이에 접속된 제 5 저항(R5)과 제 1 노드(Nd1)와 제 6노드(Nd6) 사이에 접속된 제 1 인덕터(L1)와 제 5노드(Nd5)와 제 7노드(Nd7) 사이에 접속된 제 2 인덕터(L2)와 제 7노드(Nd7)의 전압에 의해 제 6노드(Nd6)의 전압을 전지전압(Ves)으로 흘려주는 NPN형 바이폴라 트렌지스터(TR2)와 제 5노드(Nd5)와 제 8 노드(Nd8) 사이에 접속되며, NPN형 바이폴라 트렌지스터(TR2)에 의해 제 1 및 제 2 인덕터(L1)(L2)에 유기된 제 1 차 전류를 변환하여 제 8(Nd8)로 제 2차 전류를 발생하는 변류기(CT)와 제 8노드(Nd8)의 전류를 정류하여 제 9노드(Nd9)로 전송하는 제 2 다이오드(D2)와 제 9노드(Nd9)와 접지전압(Vss) 사이에 병렬접속된 다수개의 LED(LED1-LEDn)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도로 표지판(10)은 스위치(SW) 또는 포토센서(PS)에 의해 스위치 박스부(101)가 동작하여 제 3 노드(Nd3)로 전압을 인가하고, 이에 의해 PNP형 바이폴라 트렌지스터(TR1)가 작동하여 제 노드(Nd1)의 전압을 제 5저항(R5), 제 5노드(Nd5) 및 제 2 인덕터(L2)를 통해 제 7노드(Nd7)로 인가한다.
이에 따라, NPN형 바이폴라 트렌지스터(TR2)가 작동하여 제 1 인덕터(L1)를 통해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인덕터(L1-L3)로 구성된 변류기(CT)는 제 1 및 제 2 인덕터(L1)(L2)에 유기된 제 1 차 전류에 의해 제 8노드(Nd8)로 제 2 차 전류를 발생한다.
변류기(CT)에서 발생된 제 2 차 전류는 일정한 전류 및 전압을 가지며, 제 2 다이오드(D2)를 통해 도로 표지판(10)에 구비된 다수개의 LED(60)로 공급된다.
따라서, 도로 표지판(10)의 내부에 구비된 LED(16)는 포토센서(PS)에 의해 주위가 어두워지면 자동으로 작동된다.
이러한 기능의 도로 표지판(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에 어울리는 형태가 되도록 이를 이루는 각각의 지시판(20), 시트판(30) 및 베이스판(40)의 형상을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팔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95는 지지바(50)의 상부에 끼워지는 캡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차단처리가 이루어진 폴리카보네이트재질의 투명판이 구비되어 표면의 퇴색이나 외부 충격에도 강하고,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긁힘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도로 표지판을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솔라셀을 통해 변화된 에너지를 축전지에 저장한 후 이를 LED로 공급하여, 야간의 경우 운전자의 시야확보 및 전방도로를 명확하게 인지시켜 안전운행이 가능하게 하는 도로 표지판을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하면 표지판의 찌그러짐이 없어지므로 미관상 보기에 좋게 되며, 폴리카보네이트 코팅을 사용함으로써 반사 시트지 등이 갈라지거나 산화되어 표지판으로부터 분리되어 환경을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일측면에 방향지시부가 구비되며, 표면경도 및 채광성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가 이루어진 지시판과;
    전면에 상기 지시판이 설치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구비되는 발광소자와;
    상기 베이스판의 배면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판은 자외선 차단처리가 실시된 폴리 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판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지시부가 구비된 상기 지시판의 일측면에는 형광처리, 실크 인쇄처리 또는 스프레이 분사처리 중 어느 하나가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시판의 일측면이 부착되는 시트판과;
    상기 시트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시트판이 부착되는 설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판은 발광보드지, 반사시트지, 일반시트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
  6. 제 3 항 또는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면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설치홈의 측벽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에는 솔라셀이 구비되고, 상기 설치홈에는 축전지와 PCB가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접철 가능한 제 1 베이스판 및 제 2 베이스판으로 마련되고, 상기 지지바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판의 접철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 설치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설치구는 상기 지지바에 삽입되는 내부 중공 형태의 삽입체와, 상기 삽입체의 양측으로 각각 분기되도록 연장 형성된 제 1 연결판과, 상기 제 1 연결판의 단부에 일단이 제 1 힌지 결합되는 제 2 연결판과, 상기 제 2 연결판의 타단에 일단이 제 2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베이스판에 결합되는 제 3 연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둘레에는 상기 지시판을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단면이 ㄱ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판, 상기 시트판 및 상기 베이스판은 원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
KR1020030091595A 2003-09-05 2003-12-15 도로 표지판 KR200400042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589 2003-09-05
KR2020030028589 2003-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289A true KR20040004289A (ko) 2004-01-13

Family

ID=3731508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608A KR20040004291A (ko) 2003-09-05 2003-12-15 도로 표지판
KR1020030091595A KR20040004289A (ko) 2003-09-05 2003-12-15 도로 표지판
KR1020030091606A KR20040004290A (ko) 2003-09-05 2003-12-15 도로 표지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608A KR20040004291A (ko) 2003-09-05 2003-12-15 도로 표지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606A KR20040004290A (ko) 2003-09-05 2003-12-15 도로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0400042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191B1 (ko) * 2012-04-04 2013-01-30 주식회사 이디더블유 방향표시의 움직임이 구현되는 시선유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351B1 (ko) * 2011-07-18 2013-07-1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소수의 엘이디와 도광판을 이용한 저전력의 가변도로표지판
CN115305847A (zh) * 2022-09-02 2022-11-08 徐州柏通交通设施有限公司 一种基于新能源的环保交通标志牌
KR20240045766A (ko) * 2022-09-30 2024-04-08 한국철도공사 토공 교량용 타력 주행 표지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191B1 (ko) * 2012-04-04 2013-01-30 주식회사 이디더블유 방향표시의 움직임이 구현되는 시선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290A (ko) 2004-01-13
KR20040004291A (ko)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19806B2 (en) Warning triangle for motor vehicles
KR100734476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US6968640B2 (en) Half mirror reflector having LED road sign
KR102227584B1 (ko) 조명 안전 볼라드
KR100569696B1 (ko) 스탠드형 안내 표지판
JP3827478B2 (ja) 自発光性視線誘導標
KR20040004289A (ko) 도로 표지판
KR20120059158A (ko) 도로 표지병
KR101970654B1 (ko) 광섬유 발광형 표지 장치
KR200385872Y1 (ko) 도로 표지판
KR101885882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시인장치
KR101031192B1 (ko) 엘이디를 이용한 표지판
JP3497665B2 (ja) 積雪用道路標識
KR200357105Y1 (ko) 가이드 레일 설치용 도로 표지판
KR101066652B1 (ko) 도로표지판
KR200323060Y1 (ko) 엘이디 도로 표지판을 구비한 하프미러 반사경 장치
KR950001952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점멸식 도로위험 표시등
KR20050024848A (ko) Pc led 전구를 구비한 도로 표지판 장치
KR200228253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점등식 도로 표지병
KR200353283Y1 (ko) 안전표지판
KR200484189Y1 (ko) Led 발광장치가 결합된 트래픽콘
KR102446073B1 (ko) 보호신호 안내용 스마트폴
JP2004231149A (ja) 大型自動車の警告灯付きサイドミラー
KR200227057Y1 (ko) 난간레일 단부에 부착된 발광장치
JP4681948B2 (ja) 再帰反射性標識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