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4056A - 봉제 방법 - Google Patents

봉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4056A
KR20040004056A KR1020030039604A KR20030039604A KR20040004056A KR 20040004056 A KR20040004056 A KR 20040004056A KR 1020030039604 A KR1020030039604 A KR 1020030039604A KR 20030039604 A KR20030039604 A KR 20030039604A KR 20040004056 A KR20040004056 A KR 20040004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point needle
needle
sewing
cou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치나오마사
모리료스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단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단
Publication of KR20040004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05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00Linking machines, e.g. for joining knitted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코스 방향의 가장자리 부근에 편성되어 있는 사뜨기코에 포인트바늘을 꿰뚫지 않고 강고한 봉합 처리를 행하고, 또한, 그 밖의 사뜨기코의 링킹 처리를 효율적으로 자동 처리 할 수 있는 봉제 방법을 얻는다. 본 발명에 관한 봉제 방법은, 코스의 최단부에 사뜨기코를 가지는 편지끼리가, 사뜨기코의 연속한 일부에 포인트바늘이 코찔려, 코스 방향으로 신장된 편지끼리를 봉합하는 봉제 방법이며, 편지끼리를 사뜨기코의 근방에서 코스 방향에 걸쳐 협지한 상태에서 포인트바늘을 뽑아 낸다. 그리고, 포인트바늘이 코찔려 있지 않았던 사뜨기코를 포인트바늘이 코찔려 있지 않았던 사뜨기코가 배치되어 있는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봉합하고, 포인트바늘이 코찔려 있던 사뜨기코를 코찔러서 봉합한다.

Description

봉제 방법{Sewing Method}
본원 발명은, 봉제 방법에 관하며, 특히 예를 든다면, 환편생지(丸編生地) 및 평편생지(平編生地)등의 편지에 편성된 사뜨기코에 있어서 확실하게 봉제할 수 있는, 봉제 방법에 관한다.
니트 제품의 소재가 되는 편지(編地)에는, 링킹(코 찌르기 봉합)할 때에, 기정된 사이즈, 형상에 맞게 링킹되도록, 사뜨기코로 이루어진 루즈코스가 편성되어 있다. 링킹은, 이 사뜨기코에 코 찔러진 포인트바늘의 가이드홈을 이용해서 미싱에 의해 봉합이 행해진다. 링킹을 행할 때에는, 작업자가 육안에 의해 사뜨기코를 확인하면서, 링킹 미싱의 포인트바늘에 사뜨기코를 꿰뚫은 후, 미싱에 의해 봉합이 행해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 방법에서는, 사뜨기코에 포인트바늘을 꿰뚫는데에 숙련을 요하기 때문에, 한정된 사람밖에 작업을 행할 수 없었다. 또, 숙련된 사람이 작업을 행한 경우라도, 코를 잘못 찔러, 코가 빠진 상태에서 링킹해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특개평 11-207061 호나 특개평 11-207062 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편지를 코스 방향이나 웰 방향으로 신장하는 것에 따라 넓힌 사뜨기코의 화상을 촬상하여, 그 화상을 처리해서 사뜨기코를 검출하고 포인트바늘을 꿰뚫어, 자동적으로 링킹을 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 링킹 장치 등이 발명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링킹 장치 등에서는, 사뜨기코를 검출하는데에 시간을 요하고, 또한, 사뜨기코에 포인트바늘을 꿰뚫는데에는, 사뜨기코와 포인트바늘과의 상대위치를 축차 조정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링킹을 행할 수 없었다.
또한, 코스 방향의 가장자리 부근에 있는 사뜨기코는, 사뜨기코를 신장하는 텐션이 균등하게 가해지지 않아 일그러져 신장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검출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히, 환편지의 경우에는, 통상(筒狀)의 편지를 편평화하기 위해, 이문제가 현저히 나타난다. 게다가, 환편지가 양말인 경우에는, 발끝의 고어라인이 사뜨기코의 근방에 편성되어, 사뜨기코보다 큰 뜨개코가 사뜨기코 주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검출이 매우 곤란했다. 그 때문에, 편지 양단부의 사뜨기로에 대해서는, 작업자가 육안에 의해 위치를 확인하여, 포인트바늘과는 별도로 마련된 고정핀에 꿰뚫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링킹 작업을 완전히 자동화 할 수 없었다.
또한, 수작업이나 상술한 링킹 장치에 의해 링킹을 행한 경우, 사뜨기코에 실을 꿰뚫는다고 하는 링킹의 수법상, 봉합 개시 부분이나 봉합 종료 부분에 있어서의 단부 처리가 강고하게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가장자리에서 실이 풀리거나, 봉합이 느슨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오버록 방식의 1 방식인 롯소방식에 의해 봉합한 경우에는, 재봉실에 의해 봉합한 부분이 높아져 버려, 장착감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의 주된 목적은, 코스 방향의 가장자리 부근에 편성되어 있는 사뜨기코에 포인트바늘을 꿰뚫지 않고 강고한 봉합 처리를 행하고, 또한, 그밖의 사뜨기코의 링킹 처리를 효율적으로 자동 처리할 수 있는, 봉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봉제 방법의 일실시 형태를 실시하기 위한 봉제 장치의 전체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 도해도이다.
도 2 는, 이 실시 형태로 링킹되는 환편지를 나타내는 정면 도해도이다.
도 3 은, 포인트바늘이 꿰뚫린 상태의 환편지를 나타내는 정면 도해도이다.
도 4 는, 협지부재(狹持部材)주변을 나타내는 정면 도해도이다.
도 5 는, 협지판(狹持板)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 도해도이다.
도 6 은, 환편지(W)가 협지부재에 의해 협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도해도이다.
도 7 은, 본 실시 형태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도이다.
도 8 은, 다른 협지판의 상단면을 확대한 정면 도해도이다.
청구항 1 에 기재한 발명은, 코스의 최단부에 사뜨기코를 가지는 편지끼리가, 사뜨기코의 연속한 일부에 포인트바늘이 코 찔려, 코스 방향으로 신장 된 편지끼리를 봉합하는 봉제 방법이며, 편지끼리를 사뜨기코의 근방에서 코스방향에 걸쳐협지하는 스텝과, 편지끼리를 협지한 상태에서 포인트바늘을 뽑아내는 스텝과, 포인트바늘이 코 찔려 있지 않았던 사뜨기코를 포인트바늘이 코 찔려 있지 않았던 사뜨기코가 배치되어 있는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봉합하는 스텝과, 포인트바늘이 코 찔려 있는 사뜨기코를 코찔러서 봉합하는 스텝을 가지는, 봉제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편지를 봉합할 때에 포인트바늘이 사뜨기코에 꿰뚫려 있지 않기 때문에, 미싱의 바늘과 포인트바늘이 간섭하는 일이 없다. 이에 따라, 포인트바늘이 꿰뚫려 있지 않은 사뜨기코를, 코는 무시하고 뜨개코의 간격보다도 촘촘하게 봉합할 수 있다. 또한, 포인트바늘이 꿰뚫려 있던 사뜨기코는, 포인트바늘이 뽑힌 후도, 코 찔리는 사뜨기코끼리가 넓혀진 상태에서 서로 겹쳐져 붙어 있기 때문에, 코 찔러서 봉합할 수 있다.
청구항 2 에 기재한 발명은, 편지끼리를 협지하는 협지부재 사이에 편지끼리를 배치하는 스텝과, 협지부재의 단면에 포인트바늘을 계지(係止)하는 스텝을 가지는, 청구항 1 에 기재한 봉제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사뜨기코의 근방에서 편지를 협지하기 때문에, 사뜨기코가 쉽게 쓰러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용이하게 사뜨기코를 코 찌를 수 있다.
청구항 3 에 기재한 발명은, 협지부재의 한쪽 또는 쌍방은, 단면에 사뜨기코를 구성하는 뜨개실과 접촉하는 돌기를 복수 가지는, 청구항 2 에 기재한 봉제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돌기가, 사뜨기코를 구성하는 뜨개실과 접촉하여, 사뜨기코를 지지한다. 또한, 편지를 확실하게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층 더 사뜨기코가 쓰러지기 어렵게 되어, 확실하게 사뜨기코를 코 찌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상술 목적,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해서 행하는 다음의 발명의 실시 형태의 상세한 설명에서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봉제 방법의 일실시 형태를 실시하기 위한 봉제장치의 전체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 도해도이다. 또한, 이 봉제 장치(10)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양말 엮어올리기 기계에 의해 엮어올려진 통상의 환편지(W)의 끝(발끝)을 봉합하는데에 최적화된 봉제 장치이다.
먼저, 봉제 장치(10)에 대해 설명을 행하기 전에, 본 장치에 의해 봉제되는 환편지(W)에 대해 설명을 행한다. 환편지(W)에는, 양말 엮어올리기 기계에 의해 나란히 줄지어 편성된 환편지를 1매분씩 절단한 것이 사용된다. 환편지는, 특개평 11-2070 62 호나 특허출원 2000-373504 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코스 방향에 신장된 상태에서, 코스 방향 양단부 부근에 있는 사뜨기코를 제외한 모든 사뜨기코 (K)에, 연속해서 포인트바늘(P)이 꿰뚫린다. 또한, 포인트바늘(P)에는, 상술한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늘 박스나 포인트바늘 유니트에 수납되어 있는 포인트바늘(P)이 사용된다 또, 코스 방향 양단부 부근의 포인트바늘(P)이 꿰뚫지 않는 사뜨기코(K)는, 화상 처리에 의해 검출이 곤란한 사뜨기코(K)를 미리 확인하는 것으로, 결정되고 있다.
환편지는, 루즈코스(L) 보다 위에 편성되어 있는 사편(捨編)부분(도시하지 않음)이, 적당한 커터 등에 의해 절단되어 환편지(W)로 된다. 환편지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웰 방향의 최단부(최상단)가 루즈코스(L)가 되도록 가공되어,환편지(W)가 된다. 또한, 환편지(W)는, 포인트바늘(P)이 꿰뚫려 코스 방향에 신장된 상태에서, 본 장치(10)에 공급된다.
봉제 장치(10)는, 대략해서, 장치를 지지하는 대(臺)(12)와, 편지를 봉제하기 위한 미싱(14)과, 봉합할 때에 편지를 봉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이동모듈(16)과, 환편지(W)를 고정하기 위해서 협지부재(20)와, 미싱(14)과 직선이동모듈(16)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26)로 구성되어 있다.
대(12)는, 봉제 장치(10)를 감시하는 사람 등이 감시하기 쉬운 높이로 미싱(14)등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대(12)는, 다리(12a)와 천판(天板)(12b)으로 이루어진다. 다리(12a)는, 천판(12b)의 네 모퉁이에서 아래쪽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고, 천판(12b)을 수평으로 지지한다. 천판(12b)은, 가로로 길게 형성된 평면형상 장방형의 평판이다. 천판(12b)은, 그 윗면에 미싱(14)과 직선이동모듈(16)과 제어장치(26)를 재치한다.
미싱(14)은, 천판(12b)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다. 미싱(14)은, 환편지(W)를 사뜨기코(K)에서 봉합하기 위한 것이다. 미싱(14)에는, 2개의 침사(針絲)와 1개의 루퍼사로, 편지의 단부를 따라서 봉합하는 미싱이 적용된다. 미싱(14)은, 침사(針絲)를 꿰뚫는 2개의 곡침(曲針)이 간격을 두어 같은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2개의 곡침은, 천판(12b)의 단변방향을 향해 달려 있다. 곡침과 직교하는 방향에는, 루퍼사를 꿰뚫는 루퍼침이 설치되어 있다. 미싱(14)은, 사뜨기코(K)에 침사를 꿰뚫어, 침사를 루퍼사에 의해 떠올려 잡음으로서 봉합을 행한다. 미싱(14)은, 구동모터(14a)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모터(14a)는, 제어장치(2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 제어장치(26)의 제어하에 구동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컨베어 체인이나 가이드 레일로 된 편지 등 가공품을 보내는 기구는 이용하지 않고, 직선이동모듈(16)과 협지부재(20)에 의해, 환편지(W)를 곡침이 찔러 넣을 수 있는 방향과 직교하도록 이동시킨다.
직선이동모듈(16)은, 천판(12b)의 앞쪽으로 긴 방향을 향해서 고정되어 있다. 직선이동모듈(16)은, 편지를 봉합하는 방향으로 협지부재(20)를 이동하기 위한 것이다. 직선이동모듈(16)은, 대략해서, 광체(筐體)(16a)와, 광체(16a)의 내부에 수납된 도시하지 않는, 나사축과, 나사축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와, 나사축에 나합된 볼너트와, 볼너트에 고착된 슬라이더(16b)에서 이루어진다. 직선이동모듈(16)은, 제어장치(2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서보모터를 임의의 회전 속도로 구동함으로서, 나사홈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더(16b)를 천판(12b)의 긴 방향으로, 임의의 속도로 임의의 거리만 이동시킨다. 또한, 직선이동모듈(16)로서는, 슬라이더(16b)에 상당하는 가동부분을 임의의 속도로 이동 가능한 기구·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면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모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더(16b)에는, 부착 브래킷(18)이 수평으로 부착되어 있다. 부착 브래킷(18)은, 협지부재(20)를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부착 브래킷(18)의 양단에는, 암(18a)이 수직으로 위쪽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암(18a)에는, 협지부재(20)가 나사고정되어 있다. 협지부재(20)는, 환편지(W)를 코스방향에 걸쳐서 협지하는 것이다. 협지부재(20)는, 협지판(20a)과 협지판(20b)과 나사(20c)로 구성되어 있다. 협지부재(20)는, 협지판(20a)이암(18a)에 나사 고정되는 것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브래킷(18)에 부착되어 있다. 협지부재(20)는, 신장된 환편지(W)의 폭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협지판(20a)의 상단면에는, 도4 나 도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인트바늘(P)의 폭보다 약간 폭넓게 간격을 두어, 종단면 형상 단형의 돌기(22a)가, 정면에서 배면에 걸쳐 근상(筋狀)으로 설치되어 있다. 돌기(22a) 끼리 사이에는, 포인트바늘(P)를 끼워 넣을 수 있을 만큼의 폭을 가지는 홈(24a)이 형성된다. 또한, 돌기(22a)는, 포인트바늘(P)의 갯수보다 1개 수가 적게 설치되어, 포인트바늘(P) 끼리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양단의 포인트바늘(P)에 대해서는, 돌기(22a)가 한쪽편에만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또한, 돌기(22a)의 높이와 폭은, 코스 방향으로 신장된 환편지(W)의 사뜨기코(K)의 코 부분을 덮어 감추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협지판(20b)은, 폭넓게 형성된 판재이다. 협지판(20b)은, 협지판(20a)와 같은 폭을 가진다. 협지판(20b)의 높이는, 환편지(W)를 코스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유지할 수 있을 만큼의 접촉면을 확보하도록, 환편지(W) 코스의 5, 6 단분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진다. 협지판(20b)의 상단면에는, 협지판(20a)의 상단면과 마찬가지로, 포인트바늘(P)의 폭보다 약간 폭넓게 간격을 두어, 종단면 형상 단형의 돌기(22b)가, 정면에서 배면에 걸쳐 근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돌기(22b)끼리 사이에는, 포인트바늘(P)을 끼어 넣을 수 있을 만큼의 폭을 가지는 홈(24b)이 형성된다. 또한, 돌기(22b)도, 포인트바늘(P)의 갯수보다 1개 수가 적게 설치되어, 포인트바늘(P) 끼리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양단의 포인트바늘(P)에 대해서는,돌기(22b)가 한쪽편에만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또한, 돌기(22b)의 높이와 폭도, 코스 방향으로 신장된 환편지(W)의 사뜨기코(K)의 코 부분을 덮어 감추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협지판(20b)은, 협지판(20a)과의 나합 위치가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도록 나사(20c)에 의해 나착되어 있다. 협지판(20b)은, 그 상단면이 협지판(20a)의 상단면과 같은 높이로 부착된다. 또한, 협지판(20b)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24b)과 홈(24a)이 겹쳐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협지판(20a)에 부착되어 있다. 홈(24a)과 홈(24b)에는, 환편지(W)에 꿰뚫린 포인트바늘(P)이 끼워져, 협지판(20a)의 상단면과 협지판(20b)의 상단면 간에 포인트바늘(P)이 걸쳐진다.
협지판(20a)과 협지판(20b)은, 나사(20c)를 조이는 것에 의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환편지(W)를 협지한다. 홈(24a)과 홈(24b) 사이에 포인트바늘(P)를 건 상태에서 환편지(W)를 협지하는 것으로, 협지판(20a)과 협지판(20b)은 루즈코스(L)의 1 단 아래의 코스에서 환편지(W)를 협지한다. 이 때, 협지판(20a), 협지판(20b)의 상단면과 거의 같은 높이로 포인트바늘(P)이 꿰뚫린 사뜨기코(K)의 가장 아래의 부분이 위치 되고, 돌기(22a)와 돌기(22b)에, 사뜨기코(K)를 구성하는 뜨개실이 접촉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포인트바늘(P)을 수평 방향으로 뽑아 내면, 사뜨기코(K)는 크게 쓰러지는 일이 없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뜨개코가 타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개구(開口)한 상태로 수직 방향으로 선다.
또한, 협지판(20a)과 협지판(20b)은, 직선이동모듈(16)에 의해 천판(12b)의긴 방향으로 이동된 때에, 미싱(14)의 곡침과 루퍼침의 아래쪽을 통과해, 미싱(14)에 의해 협지판(20a)과 협지판(20b) 사이에 배치된 환편지(W)가 봉제 가능한 높이로 고정되고 있다.
천판(12b) 위, 직선이동모듈(16)의 측방에는, 제어장치(26)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26)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싱(14)의 구동 모터(14a)와 직선 이동모듈(16)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장치(26)에는, 시퀀서나 컴퓨터가 사용되고, 구동 모터(14a)와 직선이동모듈(16)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장치(26)는, 직선이동모듈(16)의 슬라이더(16b)를 소정 위치에 소정의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소정의 시퀀서에 의해 구동 모터(14a)와 직선이동모듈(16)이 동작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동작에 대해 설명을 행한다. 또한 이 설명에 있어, 곡침이란,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편지를 최초로 봉합하는 미싱(14)의 첫번째의 곡침을 가리킨다.
작업자에 따라, 포인트바늘(P)이 꿰뚫린 환편지(W)가, 협지판(20a)과 협지판(20b) 사이에 배치된다(스텝S1). 또한, 이 때, 협지부재(20)는, 미싱 (14)의 곡침 등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포인트바늘(P)을, 홈(24a)과 홈(24b)에 끼워 넣고, 협지판(20a)과 협지판(20b)과의 상단면 사이에 걸쳐진다(스텝 S2).
작업자가 나사(20c)를 조여, 협지부재(20)에 의해 루즈코스의 1단 아래의 코스를 코스 방향에 걸쳐 협지한다(스텝 S3).
작업자가, 사뜨기코(K)로부터 포인트바늘(P)을 수평 방향으로 뽑는다(스텝S3). 이 때, 사뜨기코(K)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포인트바늘(P)이 찔려있지 않았던 사뜨기코(K)를 제외하고, 깨끗하게 개구한 상태로 수직방향에 가까운 방향을 향해 서 있다.
작업자가, 임의인 위치에 설치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누르는 것으로, 환편지(W)가 봉제 개시 위치까지 이동시킨다(스텝 S5).
그 다음은, 제어장치(26)에 의해, 포인트바늘(P)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루즈코스(L)가 봉합되도록, 직선이동모듈(16)과 미싱(14)이 구동된다(스텝 S6). 이에 따라, 포인트바늘(P)이 꿰뚫리지 않았던 사뜨기코(K)는, 코를 무시하고 봉합을 행하는 롯소 방식에 의해 봉합이 행해진다. 또한, 이 때 봉합하는 간격은, 포인트바늘(P)이 꿰뚫리지 않는 사뜨기코(K)의 코스방향으로의 신장의 정도를 고려해서, 확실하게 편지가 봉합되도록, 봉합하는 환편지(W)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 있다. 봉합의 간격은, 사뜨기코(K)가 코스 방향으로 그다지 신장하지 않는 환편지의 경우에는, 간격을 좁게, 반대로, 코스방향으로 잘 신장하는 편지의 경우에는, 간격을 넓게 잡을 수 있다.
제어장치(26)는, 포인트바늘(P)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루즈코스(L)를 봉합하고 있는 동안, 곡침이 가장 끝의 포인트바늘(P)이 위치하고 있던 위치에 이를 때까지, 슬라이더(16b)를 이동시켰는지 판단하면서 봉합을 행한다(스텝S7).
곡침이 가장 끝의 포인트바늘(P)이 위치하고 있던 위치에 이를 때까지, 슬라이더(16b)가 이동된 후는, 포인트바늘(P)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루즈코스(L)가봉합되도록, 직선이동모듈(16)과 미싱(14)을 구동한다(스텝S8). 이에 따라, 포인트바늘(F)이 꿰뚫려 있던 사뜨기코(K)에는, 2개의 곡침에 의해 2 회 침사가 꿰뚫려, 링킹 방식에 의해 봉합이 행해진다.
제어장치(26)는, 포인트바늘(P)의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루즈코스(L)를 봉합하고 있는 동안, 2번째의 곡침, 즉, 편지를 2번째로 꿰뚫는 곡침이, 다른 끝쪽의 가장 끝에 있는 포인트바늘(P)이 위치하고 있던 위치에 이를때까지 슬라이더(16b)를 이동시켰는지 판단하면서 봉합을 행한다(스텝 S9).
2번째의 곡침이 다른 끝의 가장 끝의 포인트바늘(P)이 위치하고 있던 위치에 이를때까지, 슬라이더(16b)가 이동된 후는, 다시, 포인트바늘(P)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루즈코스(L)가 봉합되도록, 직선이동모듈(16 )과 미싱(14)을 구동한다(스텝 S10). 또한, 이 때의 봉합하는 간격은, 스텝S6 과 마찬가지로, 포인트바늘(P)이 꿰뚫리지 않는 사뜨기코(K)의 코스 방향으로의 신장의 정도를 고려해서, 확실하게 편지가 봉합되도록, 봉합하는 환편지(W)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결정되어 있다. 봉합의 간격은, 사뜨기코(K)가 코스방향으로 그다지 신장하지 않는 환편지인 경우에는, 간격을 좁게, 반대로, 코스 방향으로 잘 신장하는 편지인 경우에는, 간격을 넓게 잡는다. 또한 봉합하는 간격은, 스텝S6 과 같은 간격으로 할 필요는 없고, 스텝S10 에서 봉합하는 사뜨기코(K)의 신장 정도에 맞는 간격으로 되면 된다. 이에 따라, 포인트바늘(P)이 꿰뚫려 있지 않았던 다른 끝쪽의 사뜨기코(K)가, 롯소 방식에 의해 봉합이 행해진다.
상술해 온 바와 같이, 이 봉제 장치에 의하면, 봉합하는 모든 사뜨기코(K)에포인트바늘(P)이 꿰뚫어져 있지 않은 경우에도, 롯소 방식과 링킹 방식의 봉합 방법에 의해, 봉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봉합 개시 부분이나 봉합 종료 부분에 있어서의 단부 처리를 강고하게 행할 수 있으며, 게다가, 링킹한 부분에 대해서는, 장착감을 악화시키지 않고, 종래의 링킹 방식보다 강고하게 봉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텝 S1 에서 스텝 S5 까지를 수작업에 의해 행하도록 했는데, 환편지(W)를 협지판의 사이로 이동해서, 포인트바늘(P)을 홈에 끼우는 작업을 로봇트 등의 기구를 이용해 행하고, 협지판(20b)을 실린더나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협지판(20a)에 압압하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모든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환편지를 봉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을 행했는데, 말할 필요도 없이, 본 발명은, 평편지끼리의 봉제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협지판(20a)과 협지판(20)의 양쪽에, 돌기(22a),(24b) 를 설치했는데, 반드시 양쪽에 이들 돌기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게다가, 편지가, 사뜨기코(K)가 포인트바늘(P)을 뽑아 냈을 때에 용이하게 쓰러지지 않는 편지인 경우에는, 돌기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에는, 봉합 개시 위치에 어긋남이 생기지 않도록, 협지판(20a)이나 협지판(20b)에 편지를 배치하기 위한 표지 등이 붙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돌기(22a), (24b)에 의해 형성되는 홈(26a), (26b)의 바닥을 평평하게 형성했는데, 이것에 한하지 않고,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26a),(26b)의 바닥이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사뜨기코(K)를, 상술한 실시 형태보다 많게를 면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사뜨기코(K)를 세워두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8 은, 다른 협지판의 상단면을 확대한 도해도이다.
상술해 온 바와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코스 방향의 가장자리 부근에 편성되어 있는 사뜨기코에 포인트바늘을 꿰뚫지 않고 봉합 처리를 행할 수 있고, 또한, 그 밖의 사뜨기코의 링킹 처리를 효율적으로 자동 처리할 수 있다.

Claims (3)

  1. 코스의 최단부에 사뜨기코를 가지는 편지끼리가, 상기 사뜨기코의 연속한 일부에 포인트바늘이 코찔려지고, 코스 방향으로 신장된 상기 편지끼리를 봉합하는 봉제 방법이며,
    상기 편지끼리를 상기 사뜨기코의 근방에서 코스 방향에 걸쳐서 협지하는 스텝과,
    상기 편지끼리를 협지한 상태에서 상기 포인트바늘을 뽑아 내는 스텝과,
    상기 포인트바늘이 코찔려 있지 않았던 사뜨기코를 상기 포인트바늘이 코찔려 있지 않았던 사뜨기코가 배치되어 있는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봉합하는 스텝과,
    상기 포인트바늘이 코찔려 있던 사뜨기코를 코찔러서 봉합하는 스텝을 가지는, 봉제 방법.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끼리를 협지하는 협지부재의 사이에 상기 편지끼리를 배치하는 스텝과,
    상기 협지부재의 단면에 상기 포인트바늘을 계지하는 스텝을 가지는, 봉제방법.
  3. 청구항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재의 한쪽 또는 쌍방은, 단면에 상기 사뜨기코를 구성하는 뜨개실과 접촉하는 돌기를 복수 가지는, 봉제 방법.
KR1020030039604A 2002-07-02 2003-06-18 봉제 방법 KR200400040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94013A JP2004033443A (ja) 2002-07-02 2002-07-02 縫製方法
JPJP-P-2002-00194013 2002-07-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056A true KR20040004056A (ko) 2004-01-13

Family

ID=29720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604A KR20040004056A (ko) 2002-07-02 2003-06-18 봉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08633B2 (ko)
EP (1) EP1378598A2 (ko)
JP (1) JP2004033443A (ko)
KR (1) KR20040004056A (ko)
CA (1) CA24318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1903B1 (en) * 2006-06-08 2009-09-01 Thermoforte, Inc. Method of manufacture and installation flowable thermal backfill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65881B1 (it) * 1993-07-12 1996-12-12 Fabric & Mfg Principles Metodo e dispositivo per eseguire l'unione di due lembi di un manufatto tubolare tessuto a maglia al termine della sua formazione
US6397121B1 (en) * 1998-01-19 2002-05-28 Dan Co., Ltd. Proces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op stitch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apparatus for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78598A2 (en) 2004-01-07
US20040003765A1 (en) 2004-01-08
JP2004033443A (ja) 2004-02-05
CA2431851A1 (en) 2004-01-02
US6708633B2 (en) 2004-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5071A (ko) 재봉기
US10781544B2 (en) Quilting machine
KR20080081844A (ko) 재봉틀
WO1995025192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wing a label to a panel
KR20100082779A (ko) 시임 및 시임 형성 장치 및 시임의 형성 방법
US5052316A (en) Fabric holding frame for a sewing machine
KR20060046446A (ko) 자수 무늬의 보수 방법
US5582121A (en) Apparatus for sewing a thread chain in a chain stitch sewing machine
KR20040004056A (ko) 봉제 방법
JPH0234194A (ja) 複数針偏平縫いミシンの縫製方向転換方法並びにその装置
JP3637287B2 (ja) 平編地のリンキング方法および平編地リンキング装置
EP0220368A3 (en) Process and device to make quilted articles
KR101125905B1 (ko) 보턴다는 재봉틀의 제어장치 및 보턴다는 재봉틀에 의한보턴 봉제 방법
KR100705851B1 (ko) 사뜨기 재봉틀의 천오프닝 장치
KR101033076B1 (ko) 재봉틀
US458051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eeding fabric to a sewing machine
US3922980A (en) Chain stitch sewing machine
JP3508371B2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KR960034513A (ko) 편지(編地)의 링킹방법
CN108425187B (zh) 缝纫机
EP0494052B1 (en) Industrial sewing machine for simultaneously making different seaming patterns
US1332511A (en) Sewing-machine
JPH08103583A (ja) ニット製品縫製用ミシン装置
BRPI0615983A2 (pt) método de operação e dispositivo para operar uma máquina de processamento de linhas de costura com mecanismo de corte de linhas
JP3646910B2 (ja) 畳縫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