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34Y1 -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 Google Patents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34Y1
KR200400034Y1 KR20-2005-0023071U KR20050023071U KR200400034Y1 KR 200400034 Y1 KR200400034 Y1 KR 200400034Y1 KR 20050023071 U KR20050023071 U KR 20050023071U KR 200400034 Y1 KR200400034 Y1 KR 200400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ridge
girder
plate
stee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0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박경용
최영구
황병국
임노수
Original Assignee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5-00230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01D2101/32Metal prestressed

Abstract

본 고안은 육교 또는 소규모의 교량에 적용할 수 있는 상판과 난간이 일체로 제작된 판거더교량을 이용하여 교량을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의 폭을 이루도록 양측에 강관을 설치하고, 상기 양측에 설치된 강관을 강판으로 상호 용접연결하여 판거더를 제작한 다음, 상기 양측에 설치된 강관위에 난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을 두고 강관을 설치하고, 트러스형의 난간을 설치한 판거더교량을 제작한 다음, 교각위에 상기 제작된 판거더교량을 거치하여 교량을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Platetype girder bridge which platetype girder and parapet are in one body}
본 고안은 육교 또는 소규모의 교량에 적용할 수 있는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로 제작된 판거더교량을 이용하여 교량을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의 폭을 이루도록 양측에 강관을 설치하고, 상기 양측에 설치된 강관을 강판으로 상호 용접연결하여 판거더를 제작한 다음, 상기 양측에 설치된 강관위에 난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을 두고 강관을 설치하고, 상기 일정한 공간내에 트러스형의 난간을 설치한 판거더교량을 제작한 다음, 교각위에 상기 제작된 판거더교량을 거치하여 교량을 설치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강판과 강관으로 이루어진 판거더에 난간을 일체형으로 제작한 판거더교량을 교각에 설치하면 간단히 교량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형하공간이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제작이 간편하고, 교량의 길이에 따라 적정의 단위 거더로 제작하여 조립설치도 할 수 있도록 하여 교량설치에 소요되는 제작비의 절감과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고, 주기적인 유지관리의 필요성이 없는 판거더교량을 이용하여 교량을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에는 도 1에서보는바와 같이 육교와 같은 소교량을 설치하기 위하여 강판으로 이루어진 상판(16)의 하부 중앙에 일정한 크기의 강박스(13)를 용접설치하고, 그 좌우측에 헌치부(15)를 설치한 다음 상기 상판의 좌우측단부에 난간(11)을 별도로 설치하도록 한 강박스거더교량(10)을 교각(14)에 거치하여 교량을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교량은 상판의 하부에 별도로 부착되는 강박스(13)의 높이에 의하여 형하공간을 확보하기가 곤란한 점이 있으며, 제작에 따른 강재가 과다하게 소요되므로서 재료비의 원가가 상승되며, 제작기간 또한 장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과 설치하고난 후에도 주기적으로 상기 강박스(13)내에 인력이 투입되어 강박스(13)내부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지관리를 지속적으로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강판과 강관으로 이루어진 판거더에 난간을 일체형으로 제작한 판거더교량을 교각에 설치하면 간단히 교량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형하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제작이 간편하면서 설치 또한 간단하여 교량설치에 소요되는 제작비의 절감과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고, 주기적인 유지관리의 필요성이 없는 판거더교량을 이용하여 교량을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육교 또는 소규모의 교량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량의 폭을 이루도록 양측에 강관(21)을 설치하고, 상기 양측에 설치된 강관(21)을 강판(23)으로 상호 용접연결하여 판거더(27)를 제작한 다음, 상기 판거더(27)의 양측에 설치된 강관(21)위에 난간(11)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을 두고 강관(21)을 설치하고, 상기 일정한 공간내에 트러스형(22)의 난간(11)을 설치한 판거더교량(20)을 제작한 다음, 교각(14)위에 상기 제작된 판거더교량(20)을 거치하여 교량을 설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판거더교량을 이용하여 교량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교량의 폭을 이루도록 양측에 강관(21)을 설치하고, 상기 양측에 설치된 강관(21)을 강판(23)으로 상호 용접연결하여 판거더(27)를 제작한 다음, 상기 판거더(27)의 양측에 설치된 강관(21)위에 난간(11)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을 두고 강관(21)을 설치하고, 상기 일정한 공간내에 트러스형(22)의 난간(11)을 설치한 판거더교량(20)을 제작한 다음, 교각(14)위에 상기 제작된 판거더교량(20)을 거치하여 교량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강관(21)이외에 강봉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각관등 여러 형태 및 종류의 강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난간(11)은 트러스(22)이외의 형태로 제작하되 상기 교량이 설치되는 지역의 특성을 살린 문양을 이용한 난간을 설치하거나 또는 특정 사항을 홍보하기 위한 홍보용 난간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판거더교량의 난간에 사용된 강관내에 강선 또는 강봉을 설치하여 강도를 보강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강관(21)내에 강봉 또는 강선(25)을 설치하고 상기 강관(21)의 양측단에 정착구(24)를 설치하여 상기 강관(21) 내에 설치된 강봉 또는 강선(25)을 정착하도록 하여 교량의 강도를 증강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일정기간이 경과되어 교량이 노후화가 되어 내하력의 증강이 요구될 때 상기 강관(21)내에 삽입된 강봉 또는 강선(25)을 긴장하여 교량에 압축력을 도입하여 교량의 내하력을 증강시키도록 하는 보수보강시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판거더교량을 설치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판거더교량을 제작하여 이를 상호 연결조립하여 교량을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1에서는 교각(14)과 교각(14)사이에 상기 판거더교량(20)을 한번에 설치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도에서는 일정한 길이로 구분하여 제작한 단위판거더교량(30)을 다수개 연속하여 조립하여 교각(14)에 거치하여 하나의 교량을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일정한 길이로 제작된 단위판거더교량(30)을 상호 연결하여 조립하기 위하여는 상기 단위판거더교량(30)의 강관(21)을 상호 연결하도록 하여야 하므로 상기 강관(21) 측단부에 다수개의 볼트구멍(26)을 형성하여 강관(21)을 상호 연결시 도 5에서 설명하게되는 연결소켓(40)을 상기 강관(2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하거나 또는 강관(21)내에 상기 연결소켓(40)을 삽입하도록 하고, 상기 강관(21)과 연결소켓(40)에 각각 형성된 볼트구멍(26)에 볼트와 너트(미도시)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도록 하여 조립식으로 교량을 설치하도록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강관(21)내에 강봉 또는 강선(25)을 설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단위판거더교량(30)을 상호 연결시 강관(21)내에 강봉 또는 강선(25)을 삽입관통시킨 후에 강관(21)의 최외측단부에 설치된 정착구(24)에 상기 강봉 또는 강선(25)을 정착하도록 하면서 도 5에서 설명한 연결소켓(40)을 이용하여 상기 강관(21)이 상호 연결된 부분에 연결설치하여 볼트와 너트(미도시)로 연결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단위판거더교량의 강관을 상호연결시 사용하는 연결소켓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4의 단위판거더교량(30)을 상호연결하여 교량을 조립식으로 설치하고자 할때 상기 단위판거더교량(30)의 강관(21)끼리 연결되는 부분의 강관(21)내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일정한 길이의 강관의 양측단부에 다수개의 볼트구멍(26)이 형성된 연결소켓(40)을 설치하거나, 상기 강관(21)을 상기 연결소켓(40)내에 삽입시킨 후에 볼트구멍(26)을 이용하여 볼트와 너트(미도시)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하여 단위판거더교량(30)을 조립하도록 하여 판거더교량을 설치하도록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강선을 섬유를 직조하듯이 격자형의 강선격자틀을 제작하고, 강선에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단재를 다수개 설치한 다음, 상기 강선격자틀의 상하에 수지에 함침된 토목섬유을 여러겹으로 적층경화시켜 강관을 대신할 수 있는 섬유수지관과, 판거더를 구성하고 있는 강판을 대신할 수 있는 섬유수지판을 제작하여 이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판거더교량을 설치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섬유수지판과 섬유수지관을 이용하여 단위판거더교량을 제작하여 이를 조립연결할 때 사용하는 연결소켓도 상기 섬유수지관을 제작할때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하되 관주위에 다수개의 볼트구멍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의 섬유수지관 및 섬유수지판을 제작할 때 사용하는 강선격자틀의 각각의 강선에 긴장장치를 이용하여 긴장력을 도입하면서 수지에 함침시킨 토목섬유를 적층경화시킨 후에 상기 긴장장치에 의하여 긴장력이 도입된 상태에 있는 강선을 릴리스하여 상기 섬유수지관과 섬유수지판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교량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강판과 강관으로 이루어진 판거더에 난간을 일체형으로 제작한 판거더교량을 교각에 설치하면 간단히 교량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형하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제작이 간편하면서 설치 또한 간단하여 교량설치에 소요되는 제작비의 절감과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고, 주기적인 유지관리의 필요성이 없는 경제적이면서 효율성이 높은 판거더교량을 이용하여 교량을 설치하는 방법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실시하던 강박스거더교량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판거더교량을 이용하여 교량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판거더교량의 난간에 사용된 강관내에 강선 또는 강봉을 설치하여 강도를 보강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판거더교량을 설치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단위판거더교량을 제작하여 이를 상호 연결조립하여 교량을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인 단위판거더교량의 강관을 상호연결시 사용하는 연결소켓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강박스거더교량 11 ; 난간
12 ; 거더 13 ; 강박스
14 ; 교각 15 ; 헌치부
16 ; 상판 17 ; 지반
20 ; 판거더교량 21 ; 강관
22 ; 트러스형 23 ; 강판
24 ; 정착구 25 ; 강선 또는 강봉
26 ; 볼트구멍 27 ; 판거더
30 ; 단위판거더교량
40 ; 연결소켓

Claims (8)

  1. 교량의 폭을 이루도록 양측에 강관을 설치하고, 상기 양측에 설치된 강관을 강판으로 상호 용접연결하여 제작된 판거더와, 상기 판거더의 양측에 설치된 강관위에 난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을 두고 설치된 강관과, 상기 일정한 공간내에 트러스형의 난간을 설치한 판거더교량인 것에 특징이 있는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내에 별도의 강선 또는 강봉을 삽입설치하고, 상기 강관의 양측단부내에 정착구를 설치하여 상기 설치된 강봉 또는 강선을 정착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내에 설치된 강봉 또는 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교량에 강성을 증대시키거나 또는 노후된 교량인 경우 강봉 또는 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교량에 내하력을 보강하여 보수보강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거더교량을 일정한 크기인 단위판거더교량으로 구분하여 제작하여 상기 단위판거더교량을 다수개 연결조립하여 설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 및 판거더는 전단재가 다수개 설치된 강선을 섬유를 직조하듯이 격자형으로 제작된 강선격자틀의 상하에 수지에 함침된 토목섬유을 여러겹으로 적층경화시킨 섬유수지관 및 섬유수지판이거나, 또는 상기 강선격자틀의 각각의 강선에 긴장장치를 이용하여 긴장력을 도입하면서 수지에 함침시킨 토목섬유를 적층경화시킨 후에 상기 강선을 릴리스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섬유수지관 및 섬유수지판인 것에 특징이 있는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판거더교량의 연결조립을 위하여 강관의 내측 또는 외측에 연결소켓을 삽입설치하여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호연결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 일정한 길이의 강관의 양측단부에 다수개의 볼트구멍이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8. 제 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판거더교량의 연결조립을 위하여 강관내에 강봉 또는 강선을 삽입하고, 강관의 최외측단부 양측에 설치된 정착구에 상기 강봉 또는 강선을 정착 및 상호연결하여 교량을 설치하거나 또는 강관내에 삽입된 강봉 또는 강선에 긴장력을 도입하고, 강관의 최외측단부 양측에 설치된 정착구에 상기 강봉 또는 강선을 정착하여 연결조립한 것에 특징이 있는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KR20-2005-0023071U 2005-08-09 2005-08-09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KR200400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071U KR200400034Y1 (ko) 2005-08-09 2005-08-09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071U KR200400034Y1 (ko) 2005-08-09 2005-08-09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901A Division KR100697041B1 (ko) 2005-08-09 2005-08-09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및 이를이용한 교량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4Y1 true KR200400034Y1 (ko) 2005-11-02

Family

ID=4370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071U KR200400034Y1 (ko) 2005-08-09 2005-08-09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198B1 (ko) 2006-12-15 2007-09-0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종방향 섬유판과 프리캐스트 복합섬유 바닥판을 이용한스트레스 리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198B1 (ko) 2006-12-15 2007-09-07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종방향 섬유판과 프리캐스트 복합섬유 바닥판을 이용한스트레스 리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343B1 (ko) 전단철근을 사용하지 않은 프리텐션과 포스트텐션을 병용한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시공방법과 이를 활용한 교량의 급속시공방법
KR101202416B1 (ko) 프리플렉스 합성빔과 피에스씨빔을 이용한 구조용 빔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985139B1 (ko) 보강섬유가 부착된 보강재를 이용한 상부 구조물 보강방법 및 장치
KR100727114B1 (ko) 하로교 제작용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와 이를 이용한 하로교제작방법
KR100697041B1 (ko)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및 이를이용한 교량설치방법
KR100840190B1 (ko) 연속교용 프리스트레스 강합성 콘크리트 상부플랜지를가지는 아이빔 세그멘트 연결방법
KR100772434B1 (ko) 강재브라켓으로 강관을 연결한 위에 교량상판을 설치한강관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0400034Y1 (ko) 판거더와 난간이 일체형으로 제작된 판거더교량
KR100522298B1 (ko) 개량된 프리스트레스트 철골 철근 콘크리트 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0593664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KR101381874B1 (ko) 측면보강 psc 거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83671B1 (ko)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강재정착구와 상하 플랜지에보강재를 설치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0502584B1 (ko)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KR101892962B1 (ko) 종단부의 부가블럭 설치에 의한 종단부 부모멘트 발생억제 구성의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프리텐션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090048054A (ko) 포스트텐션 방식에 의한 장지간 피에스씨 거더교량시공방법
KR100881700B1 (ko) 장 경간용 피피씨 거더를 이용한 조립식 라멘교 시공방법
KR100549986B1 (ko) 교량 빔의 내하력 보강을 위한 조립식 보수보강장치 및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492885B1 (ko) 하부연결재와 루프 철근에 의한 이음구조를 가진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100980797B1 (ko) 하이브리드 보강재를 이용한 구조물 보강방법
KR200400041Y1 (ko) 강재브라켓으로 강관을 연결한 위에 교량상판을 설치한강관거더
KR100466017B1 (ko) 교량의 강상자형 주형보 보강공법 및 그 구조
KR200360711Y1 (ko) 가설 교량 주거더의 단면계수 및 단면 2차 모멘트를증대시키는 에이취 형강과 티 형강을 조합한 시공법에따른 가설 교량의 구조
KR100913161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보의 제작방법
KR100476917B1 (ko) 우산살 앵커와 단위 강화 frp판넬을 조립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보강하는 보수보강체 및 이를이용한 보수보강 시공방법
JP2020200729A (ja) コンクリート床版及びコンクリート床版の補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