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2292A -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2292A
KR20040002292A KR1020020037744A KR20020037744A KR20040002292A KR 20040002292 A KR20040002292 A KR 20040002292A KR 1020020037744 A KR1020020037744 A KR 1020020037744A KR 20020037744 A KR20020037744 A KR 20020037744A KR 20040002292 A KR20040002292 A KR 20040002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line
signal
liquid crystal
suppor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5494B1 (ko
Inventor
팽상원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7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494B1/ko
Publication of KR2004000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4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라인 블록간의 휘도차를 방지할 수 있는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 표시를 위한 표시용 신호배선들이 형성되고 화소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액정패널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실장되며, 표시용 신호배선들과 접속되어 화소셀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구동집적회로들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부착되어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서포트 메인과, 서포트 메인 상에 형성되어 구동집적회로들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배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ALY APPARATUS OF LINE ON GLASS TYP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평라인 블록간의 휘도차를 방지할 수 있는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액정표시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액정패널과 이 액정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액정패널에는 게이트라인들과 데이터라인들이 교차하게 배열되고 그 게이트라인들과 데이터라인들의 교차로 마련되는 영역에 액정셀들이 위치하게 된다. 이 액정패널에는 액정셀들 각각에 전계를 인가하기 위한 화소전극들과 공통전극이 마련된다. 화소전극들 각각은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의 소스 및 드레인 단자들을 경유하여 데이터라인들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다.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자는 화소전압신호가 1라인분씩의 화소전극들에게 인가되게 하는 게이트라인들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다.
구동회로는 게이트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와, 데이터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와, 액정표시장치에서 사용되는 여러가지의 구동전압들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한다. 타이밍 제어부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함과 아울러 데이터 드라이버에 화소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전원공급부는 입력 전원을 이용하여 액정표시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공통전압(VCOM), 게이트 하이전압(VGH), 게이트 로우전압(VGL) 등과 같은 구동전압들을 생성한다. 게이트 드라이버는 스캐닝신호를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액정패널 상의 액정셀들을 1라인분씩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데이터 드라이버는 게이트라인들 중 어느 하나에 스캐닝신호가 공급될 때마다 데이터라인들 각각에 화소전압신호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셀별로 화소전압신호에 따라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의해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이들 중 액정패널과 직접 접속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는 다수개의 IC(Integrated Circuit)들로 집적화된다. 집적화된 데이터 드라이브 IC와 게이트 드라이브 IC 각각은 TCP(Tape Carrier Package) 상에 실장되어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으로 액정패널에 접속되거나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액정패널 상에 실장된다.
여기서 TCP를 통해 TAB 방식으로 액정패널에 접속되는 드라이브 IC들은 TCP에 접속되어진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되어진 신호라인들을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들 및 직류전압들을 공급받음과 아울러 상호 접속된다. 상세히 하면, 데이터 드라이브 IC들은 데이터 PCB에 실장된 신호라인들을 통해 직렬로 접속됨과 아울러 타이밍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들 및 화소 데이터 신호와 전원공급부로부터의 구동전압들을 공통적으로 공급받게 된다.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은 게이트 PCB에 실장된 신호라인들을 통해 직렬로 접속됨과 아울러 타이밍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들과 전원공급부로부터의 구동전압들을 공통적으로 공급받게 된다.
COG 방식으로 액정패널에 실장되는 드라이브 IC들은 신호라인들이 액정패널, 즉 하부 글래스 상에 실장되는 라인 온 글래스(Line On Glass; 이하 LOG라 함) 방식으로 상호 접속됨과 아울러 타이밍 제어부 및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제어신호들 및구동전압들을 공급받게 된다.
최근에는 드라이브 IC들이 TAB 방식으로 액정패널에 접속되는 경우에도 LOG방식을 채택하여 PCB를 제거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가 더욱 박형화될 수 있게 하고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적은 신호라인들을 필요로 하는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에 접속되는 신호라인들을 LOG 방식으로 액정패널 상에 형성함으로서 게이트 PCB를 제거하고 있다. 다시 말하여 TAB 방식의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은 액정패널의 하부 글래스 상에 실장되는 신호라인들을 통해 직렬로 접속됨과 아울러 제어신호들 및 구동전압신호들(이하, 게이트 구동신호들이라 함)을 공통적으로 공급받게 된다.
실제로, LOG형 신호라인들을 이용하여 게이트 PCB를 제거한 액정표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패널(1)과, 액정패널(1)과 데이터 PCB(12) 사이에 접속되어진 다수개의 데이터 TCP들(8)과, 액정패널(1)의 다른 측에 접속되어진 다수개의 게이트 TCP들(14)과, 데이터 TCP들(8) 각각에 실장되어진 데이터 드라이브 IC(10)들과, 게이트 TCP들(14) 각각에 실장되어진 게이트 드라이브 IC들(16)을 구비한다.
액정패널(1)은 각종 신호라인들과 함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된 하부기판(2)과, 칼라필터 어레이가 형성된 상부기판(4)과, 하부기판(2)과 상부기판(4) 사이에 주입된 액정을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액정패널(1)에는 게이트라인들(20)과 데이터라인들(18)의 교차영역마다 마련되는 액정셀들로 구성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영역(21)이 마련된다. 화상표시영역(21)의 외곽부에 위치하는 하부기판(2) 외곽영역에는 데이터라인(18)으로부터 신장되어진 데이터 패드들과, 게이트라인(20)로부터 신장되어진 게이트 패드들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하부기판(2)의 외곽영역에는 게이트 드라이브 IC(16)에 공급되는 게이트 구동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LOG형 신호라인군(26)이 위치하게 된다.
데이터 TCP(8)에는 데이터 드라이브 IC(10)가 실장되고, 그 데이터 드라이브 IC(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입력패드들(24) 및 출력패드들(25)이 형성된다. 데이터 TCP(8)의 입력패드들(24)은 이방성도전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 이하 "ACF"라 함)을 경유하여 데이터 PCB(12)의 출력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출력패드들(25)은 ACF를 경유하여 하부기판(2) 상의 데이터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특히 첫번째 데이터 TCP(8)는 하부기판(2) 상의 LOG형 신호라인군(2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게이트 구동신호 전송군(22)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이 게이트 구동신호 전송군(22)은 데이터 PCB(12)를 경유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및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구동신호들을 LOG형 신호라인군(26)에 공급하게 된다.
데이터 드라이브 IC들(10)은 디지털 신호인 화소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인 화소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액정패널 상의 데이터라인들(18)에 공급한다.
게이트 TCP(14)에는 게이트 드라이브 IC(16)가 실장되고, 그 게이트 드라이브 IC(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게이트 구동신호 전송라인군(28) 및 출력패드들(30)이 형성된다. 게이트 구동신호 전송라인군(28)은 ACF를 경유하여 하부기판(2) 상의 LOG 신호라인군(2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출력패드들(30)은 ACF를 경유하여 하부기판(2) 상의 게이트패드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게이트 드라이브 IC들(16)은 입력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스캐닝신호, 즉 게이트 하이전압 신호(VGH)를 게이트라인들(20)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브 IC(16)들은 게이트 하이전압 신호(VGH)가 공급되는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에는 게이트 로우전압 신호(VGL)를 게이트라인들에 공급한다.
LOG형 신호라인군(26)은 통상 게이트 하이전압 신호(VGH), 게이트 로우전압 신호(VGL), 공통전압 신호(VCOM), 그라운드 전압신호(GND), 전원 전압신호(VCC)와 같이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신호들과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신호(GSC), 게이트 이네이블 신호(GOE)와 같이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신호들 각각을 공급하는 신호라인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LOG형 신호라인군(26)은 화상표시부(21)의 외곽영역에 위치하는 패드부와 같이 매우 한정된 좁은 공간에서 미세패턴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LOG형 신호라인군(26)은 게이트라인들(20)과 동일하게 게이트 금속층으로 구성된다. 게이트 금속으로는 통상 AlNd 등과 같이 비교적 큰 비저항값(0.046)을 갖는 금속이 이용된다. 이렇게 LOG형 신호라인군(26)이 제한된 영역내에서 미세패턴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비교적 큰 비저항값을 갖는 게이트금속으로 구성됨에 따라 기존의 게이트 PCB에 동박으로 형성된 신호라인들과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라인저항성분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LOG형 신호라인군(26)의 저항값은 라인길이에 비례함에 따라 데이터 PCB(12)로부터 멀어질수록 저항값이 증가하여 게이트 구동신호가 감쇄하게 된다. 이 결과, 게이트 구동신호들이 그의 저항값에 의해 왜곡됨으로써 화상표시부(21)에 표시되는 화상의 품질이 저하되게 된다.
특히 LOG형 신호라인군(26)을 통해 공급되는 게이트 구동신호들 중 게이트 로우전압(VGL)의 왜곡이 화상표시부(21)의 화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게이트 로우전압(VGL)이 게이트 하이전압(VGH) 구간에서 액정셀에 충전된 화소전압을 다음 화소전압이 충전되기 전까지 유지되게 하는 것으로 그 게이트 로우전압(VGL)이 왜곡되는 경우 충전된 화소전압이 가변되기 때문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게이트 로우전압(VGL)을 공급하는 LOG형 게이트 로우전압 전송라인(VGLL)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 TCP(8)와 제1 내지 제4 게이트 TCP들(14A 내지 14D) 사이 각각에 접속되는 제1 내지 제4 LOG형 게이트 로우전압 전송라인들(VGLL1 내지 VGLL4)로 구성된다. 제1 내지 제4 LOG형 게이트 로우전압 전송라인들(VGLL1 내지 VGLL4)은 그 라인길이에 비례하는 라인저항값(a, b, c, d)을 갖고 제1 내지 제4 게이트 TCP(14A 내지 14D)를 경유하여 직렬로 연결된다.
이러한 LOG형 게이트 로우전압 전송라인(VGLL1 내지 VGLL4)의 라인저항값(a, b, c, d)에 의해 게이트 드라이브 IC(16)마다 공급되는 게이트 로우전압(VGL)이 달라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게이트 TCP(14A)에 실장된 게이트 드라이브 IC(16)에는 제1 LOG 게이트 로우전압 전송라인(VGLL1)의 제1 라인저항값(a)에 비례하여 전압강하된 제1 게이트 로우전압(VGL1)이 공급된다. 제1 게이트 로우전압(VGL1)은 제1 게이트 드라이브 IC(16)를 통해 제1 수평라인 블록(A)의 게이트라인들에 공급된다.
제2 게이트 TCP(14B)에 실장된 게이트 드라이브 IC(16)에는 직렬접속된 제1LOG 게이트 로우전압 전송라인(VGLL1) 및 제2 LOG 게이트 로우전압 전송라인(VGLL2)의 제2 라인저항값(a+b)에 비례하여 전압강하된 제2 게이트 로우전압(VGL2)이 공급된다. 제2 게이트 로우전압(VGL2)은 제2 게이트 드라이브 IC(16)를 통해 제2 수평라인 블록(B)의 게이트라인들에 공급된다.
제3 게이트 TCP(14C)에 실장된 게이트 드라이브 IC(16)에는 직렬접속된 제1 LOG 게이트 로우전압 전송라인 내지 제3 LOG 게이트 로우전압 전송라인(VGLL1 내지 VGLL3)의 제3 라인저항값(a+b+c)에 비례하여 전압강하된 제3 게이트 로우전압(VGL3)이 공급된다. 제3 게이트 로우전압(VGL3)은 제3 게이트 드라이브 IC(16)를 통해 제3 수평라인 블록(C)의 게이트라인들에 공급된다.
제4 게이트 TCP(14D)에 실장된 게이트 드라이브 IC(16)에는 직렬접속된 제1 LOG 게이트 로우전압 전송라인 내지 제4 LOG 게이트 로우전압 전송라인(VGLL1 내지 VGLL4)의 제4 라인저항값(a+b+c+d)에 비례하여 전압강하된 제4 게이트 로우전압(VGL4)이 공급된다. 제4 게이트 로우전압(VGL4)은 제4 게이트 드라이브 IC(16)를 통해 제4 수평라인 블록(D)의 게이트라인들에 공급된다.
이렇게 게이트 드라이브 IC(16) 별로 게이트라인들에 공급하는 게이트 로우전압(VGL1 내지 VGL4)에 차이가 발생한다. 즉, 제1 게이트 드라이브 IC(16)에서 제4 게이트 드라이브 IC(16) 쪽으로 진행할수록 LOG형 게이트 로우전압 전송라인(VGLL)의 라인저항 값(a, b, c, d)이 가산됨에 따라 수평라인 블록(A 내지 D)에 공급되는 제1 내지 제4 게이트 로우전압(VGL1 내지 VGL4)은 VGL1>VGL2>VGL3>VGL4와 같은 관계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게이트 드라이브 IC(16)에 접속되는 수평라인 블록(A 내지 D) 간에 휘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 수평라인 블록(A 내지 D)의 휘도차는 가로선(32) 현상으로 나타나게 되어 화면이 분할되어 보이게 함으로써 화질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라인 블록간의 휘도차를 방지할 수 있는 LOG형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라인 온 글래스형 신호라인군의 라인저항에 의한 수평라인 블록간의 분리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게이트 TCP와 서포트메인의 접촉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접착된 게이트 TCP와 서포트메인을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서포트메인의 공통라인과 홈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서포트메인의 공통라인과 홈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51 : 액정패널 2, 52 : 하부기판
4, 54 : 상부기판 8, 58 : 데이터 TCP
10, 40 : 데이터 드라이브 IC 12, 62 : 데이터 PCB
14, 14A 내지 14D, 64 : 게이트 TCP
16, 16A 내지 16D, 66 : 게이트 드라이브 IC
18, 68 : 데이터라인 20, 70 : 게이트라인
21, 71 : 화상표시부 22, 72 : 게이트 구동신호 전송군
24,74 : 데이터 TCP 입력패드 25, 75 : 데이터 TCP 출력패드
26, 76 : LOG형 신호라인군 30, 80 : 게이트 TCP 출력패드
50 : 접촉부 82 : 공통라인
90 : 서포트메인 92 : 프레임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LOG형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 표시를 위한 표시용 신호배선들이 형성되고 화소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액정패널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실장되며, 표시용 신호배선들과 접속되어 화소셀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구동집적회로들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부착되어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서포트 메인과, 서포트 메인 상에 형성되어 구동집적회로들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배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OG형 액정표시장치는 다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입력단자는 공통배선들과 접촉하며, 출력단자는 표시용 신호배선들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통배선은 홈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서포트메인에는 돌기와 대응되는 영역에 홈형상의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를 통해 공통배선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와 공통배선은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프레임부는 서포트메인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통배선은 돌기형상으로 형성되며, 공통배선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접촉하는 영역에는 돌기형상의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LOG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LOG형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51)과, 액정패널(51)과 데이터 PCB(62) 사이에 접속되어진 다수개의 데이터 TCP들(58)과, 액정패널(51)의 다른 측에 접속되어진 다수개의 게이트 TCP들(64)과, 데이터 TCP들(58) 각각에 실장되어진 데이터 드라이브 IC(60)들과, 게이트 TCP들(64) 각각에 실장되어진 게이트 드라이브 IC들(66)을 구비한다.
액정패널(51)은 각종 신호라인들과 함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된 하부기판(52)과, 칼라필터 어레이가 형성된 상부기판(54)과, 하부기판(52)과 상부기판(54) 사이에 주입된 액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액정패널(51)은 게이트라인(70)들과 데이터라인(68)들의 교차영역마다 형성된 액정셀들에 의해 화상표시영역(71)에 화상을 표시한다. 화상표시영역(71)의 외곽부에 위치하는 하부기판(52) 외곽영역에는 데이터라인(68)으로부터 신장되어진 데이터 패드들과, 게이트라인(70)으로부터 신장되어진 게이트 패드들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하부기판(52)의 외곽영역에는 게이트 드라이브 IC(66)에 공급되는 게이트 구동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LOG형 신호라인군(76)이 위치하게 된다.
데이터 TCP(58)에는 데이터 드라이브 IC(60)가 실장되고, 그 데이터 TCP(58)는 데이터 드라이브 IC(60)와 접속되는 입출력 패드들을 통해 데이터 PCB(62)의 출력패드들 및 하부기판(52)의 데이터패드들과 접속된다. 특히 첫번째 데이터 TCP(58)는 하부기판(52) 상의 LOG형 신호라인군(76)에 접속되는 게이트 구동신호 전송라인군(72)을 더 구비한다. 이 게이트 구동신호 전송라인군(72)은 데이터 PCB(62)를 경유하여 타이밍 컨트롤러 및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구동신호들을 LOG형 신호라인군(76)에 공급하게 된다.
데이터 드라이브 IC들(60)은 디지털 신호인 화소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인 화소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액정패널(51) 상의 데이터라인(68)들에 공급한다.
게이트 TCP(64)에는 게이트 드라이브 IC(66)가 실장되고, 그 게이트 드라이브 IC(66)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게이트 구동신호 전송라인군(78) 및 출력패드들(80)이 형성된다. 이 게이트 TCP(64)는 게이트 드라이브 IC(66)와 접속되는 출력 패드들(80)을 통해 하부기판(52)의 게이트패드들과 접속된다. 또한 게이트 TCP(64)는 하부기판(52)의 LOG형 신호라인군(76)과 게이트 드라이브 IC(66) 사이에 접속되는 게이트 구동신호 전송라인군(78)을 더 구비한다.
게이트 드라이브 IC들(66)은 입력 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스캐닝신호, 즉 게이트 하이전압 신호(VGH)를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게이트 드라이브 IC들(66)은 게이트 하이전압 신호(VGH)가 공급되는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에는 게이트 로우전압 신호(VGL)를 게이트라인(70)들에 공급한다.
LOG형 신호라인군(76)은 통상 게이트 하이전압 신호(VGH), 게이트 로우전압 신호(VGL), 공통전압 신호(VCOM), 그라운드 전압신호(GND), 전원 전압신호(VCC)와 같은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신호들과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신호(GSC), 게이트 이네이블 신호(GOE)와 같이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신호들 각각을 공급하는 신호라인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LOG형 신호라인군(76)은 게이트라인(70)들과 동일하게 게이트 금속으로 형성된다. LOG형 신호라인군(76)은 소정의 라인저항성분을 포함하게 된다. 이 저항성분들은 라인길이에 비례함에 따라 데이터 PCB(62)로부터 멀어질수록 저항값이 증가하여 게이트 구동신호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LOG형 신호라인군(76)의 라인저항에 의해 게이트 드라이브 IC(66) 단위로 공급되는 게이트 구동신호의 전압차를 보상하기 위해 게이트 구동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브 IC(66)에 공급하는 공통라인(82)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메인(90)에 형성한다. 이 공통라인(82)은 게이트 TCP(64)에 형성된 제2 접촉부(84)와 서포트메인(90)에 형성된 제1 접촉부(86)로 이루어진 접촉부(50)에 의해 인접한 게이트 드라이브 IC(66)에 라인저항없이 게이트구동신호가 공급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게이트 TCP(64)에는 일면의 일측에 제2 접촉부(84)가 형성되고, 다른 일면에는 게이트 드라이브 IC(66)가 실장된다. 또한, 게이트 TCP(64)의 돌출부(84)는 서포트메인(90)의 제1 접촉부(86)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서포트메인(90)은 플라스틱 재질로써 그 내부의 측벽면이 계단형 단턱면으로 성형된다. 이 서포트메인(90)의 내부 최저층에는 도시하지 않은 반사판이 위치하고, 그 위에 도광판과 광학시트들(94)이 적층된다. 광학시트들(94) 위에는 상부 및 하부 편광판(96a,96b)이 각각 부착된 액정패널(51)이 장착된다. 이러한 서포트 메인(90)에는 게이트 TCP(64)와 접촉되는 영역들에 각각 홈형상의 제1 접촉부(86)가 형성된다. 이 홈형상의 제1 접촉부(86)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홈형상의 공통라인(82)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접촉부(86)와 공통라인(8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92)에 별도로 형성하여 서포트메인(90)의 삽입부(100)에 삽입된다. 프레임부(92)에 형성되는 제1 접촉부(86)와 공통라인(82)은 게이트 TCP(64)의 제2 접촉부(84)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동박 등의 재질로 도금(88)공정을 하게 된다. 또는 프레임부(92)를 FPC 커넥터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하여 서포트메인(90)에 도금공정없이도 제1 접촉부(86), 공통라인(82), 제2 접촉부(84)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이외에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메인(90)에 직접 제1 접촉부(86)와 공통라인(82)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LOG형 액정표시장치는 제어부와전원공급부에서 생성된 게이트구동신호들이 게이트 TCP(64)의 제2 접촉부(84), 서포트메인(90)의 제1 접촉부(86) 및 공통라인(82)을 통해 게이트 드라이브 IC(66)에 공급된다. 여기서, 게이트구동신호는 게이트로우전압(VGL), 전원전압신호(VCC), 게이트쉬프트클럭신호(GSC) 등이다.
제1 게이트 드라이브 IC는 도 3에 도시된 LOG형 신호라인군(76)통해 게이트구동신호가 인가된다. 이 게이트 구동신호는 접촉부(50)인 게이트 PCB(64)의 제2 접촉부(84)와 서포트메인(90)의 제1 접촉부(86)를 통해 공통라인(82)에 공급된다. 공통라인(82)에 공급된 게이트구동신호는 서포트메인(90)의 제1 접촉부(86)와 게이트 TCP(64)의 제2 접촉부(84)를 통해 제2 게이트 드라이브 IC에 공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n 번째 게이트 드라이브 IC에 공급되는 게이트 구동신호는 공통라인(82)과 연결된 서포트메인(90)의 제1 접촉부(86)와 게이트 TCP(64)의 제2 접촉부(84)를 통해 공급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게이트 구동신호가 공급되는 각 게이트 드라이브 IC(66)를 경유하여 각 수평라인 블럭의 게이트라인들에 동일한 게이트구동신호들이 공급됨에 따라 그 수평라인 블럭간의 휘도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LOG형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LOG형 액정표시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와 비교하여 게이트 TCP(64)와 서포트메인(90)을 이방성도전필름(56)을 이용하여 접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서포트 메인(90)은 게이트 TCP(64)와 접촉되는 영역들에 각각 돌기형상의제1 접촉부(86)를 형성한다. 이 돌기형상의 제1 접촉부(86)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돌기형상의 공통라인(82)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접촉부(86)와 공통라인(82)은 동박 등의 재질로 형성한다.
이러한 서포트메인(90)의 제1 접촉부(86)와 게이트 TCP(64) 사이에는 도전성 입자들이 도포되어 있는 이방성도전필름(56)이 형성된다. 이방성 도전필름(56)이 형성된 후 소정온도에서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서포트메인(90)과 게이트 TCP(64)를 합착한다. 합착 후 이방성 도전필름(56)에 도포된 도전성 입자들은 서포트메인(90)의 제1 접촉부(86)와 게이트 TCP(64) 사이에 전류패스를 형성하게 된다.
서포트메인(90)의 제1 접촉부(86)와 공통라인(82)을 통해 제어부와 전원공급부에서 생성된 게이트 구동신호들이 게이트 드라이브 IC(66)에 공급된다. 여기서, 게이트구동신호는 게이트로우전압(VGL), 전원전압신호(VCC), 게이트쉬프트클럭신호(GSC) 등이다.
제1 게이트 드라이브 IC에는 LOG형 신호라인군(76)통해 게이트구동신호가 인가된다. 이 게이트 구동신호는 서포트메인(90)의 접촉부(50)를 통해 공통라인(82)에 공급된다. 공통라인(82)에 공급된 게이트구동신호는 서포트메인(90)과 게이트 TCP(64)의 접촉부(50)를 통해 제2 게이트 드라이브 IC에 공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n 번째 게이트 드라이브 IC에 공급되는 게이트 구동신호는 공통라인(82)과 연결된 서포트메인(90)과 게이트TCP(64)의 접촉부(50)를 통해 공급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게이트 구동신호가 공급되는 각 게이트 드라이브 IC(66)를 경유하여 각 수평라인 블럭의 게이트라인들에 동일한 게이트구동신호들이 공급됨에 따라 그 수평라인 블럭간의 휘도차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OG형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게이트구동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브 IC에 공급하기 위한 신호라인을 서포트메인에 형성한다. 이 신호라인을 통해 각 게이트구동신호들이 게이트 드라이브 IC에 인가되므로 게이트 드라이브 IC들 간의 저항차를 줄일 수 있어 수평라인 블럭간의 휘도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7)

  1. 데이터 표시를 위한 표시용 신호배선들이 형성되고 화소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액정패널과,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실장되며, 상기 표시용 신호배선들과 접속되어 상기 화소셀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구동집적회로들과,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부착되어 상기 액정패널을 지지하는 서포트 메인과,
    상기 서포트 메인 상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집적회로들에 상기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배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입력단자는 상기 공통배선들과 접촉하며, 출력단자는 상기 표시용 신호배선들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배선은 홈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메인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영역에 홈형상의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공통배선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공통배선은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서포트메인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배선은 돌기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통배선과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가 접촉하는 영역에는 돌기형상의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20020037744A 2002-06-29 2002-06-29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0855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744A KR100855494B1 (ko) 2002-06-29 2002-06-29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744A KR100855494B1 (ko) 2002-06-29 2002-06-29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292A true KR20040002292A (ko) 2004-01-07
KR100855494B1 KR100855494B1 (ko) 2008-09-01

Family

ID=3731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744A KR100855494B1 (ko) 2002-06-29 2002-06-29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4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09090C (zh) * 2004-06-30 2008-08-06 乐金显示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其驱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4651A (ja) * 1996-09-27 1998-04-24 Toshiba Corp 表示装置
KR19990059989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
KR100666317B1 (ko) * 1999-12-15 200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 신호 인가시점 결정모듈,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패널어셈블리 및 액정표시패널 어셈블리의 구동 방법
KR100729765B1 (ko) * 2000-12-01 200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09090C (zh) * 2004-06-30 2008-08-06 乐金显示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其驱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494B1 (ko) 2008-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637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099563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977218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770582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of line-on-glass type
KR100847812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패널
KR101016290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100831300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847817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099031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146459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0864981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0865331B1 (ko) 티.에프.티. 표시장치
KR100855494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107324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91269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861273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0855486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20050091290A (ko) 액정표시장치
KR100855493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59223B1 (ko) 엘씨디모듈
KR101060772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0999010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20070075804A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20050001063A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55833A (ko) 듀얼 라인 온 글래스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