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1414A - 차량용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1414A
KR20040001414A KR1020020036607A KR20020036607A KR20040001414A KR 20040001414 A KR20040001414 A KR 20040001414A KR 1020020036607 A KR1020020036607 A KR 1020020036607A KR 20020036607 A KR20020036607 A KR 20020036607A KR 20040001414 A KR20040001414 A KR 20040001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vehicle
microcomputer
main power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6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1414A/ko
Publication of KR2004000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4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밧데리에서 공급되는 보조 전원과 주전원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자기기를 플레이시키는 차량용 전원 장치는 보조 전원의 인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보조 전원이 차단될 때 전자기기에 로딩된 매체를 언로딩시킨 후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컴과, 보조 전원이 공급될 때 온되어 상기 주전원을 마이컴에 공급하고,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오프되어 주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차량이 시동이 커진 후에 차량 내 전자기기에 로딩된 매체가 고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기기 내에 로딩된 매체의 변형에 의한 전자기기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원 장치{POWER SUPPLY UNIT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보조(Accessary) 전원 오프 시에 감지하여 차량용 전자기기(예를들면, 오디오 및 비디오 등)에 삽입된 매체를 보호하는 차량용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전원 장치는 차량의 키 삽입구에 키가 삽입되면 밧데리를 구동시켜 12V의 주전원과 12V의 보조 전원을 마이컴에 공급하여 차량 내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차량 내의 전자기기를 구동 가능 상태로 변환시키고, 사용자가 차량의 키 삽입구에서 키를 인출하여 차량의 시동을 끄면 차량 내의 전자기기(예를 들면,오디오 또는 비디오)에 삽입된 매체의 인출 없이 차량용 밧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밧데리 전원만을 차단시킨다.
그러나, 한 여름과 같이 고온 상태에서 차량의 장시간 주차 시에 차량 내의 전자기기에 삽입된 매체는 급격히 상승하는 차량의 내부 온도 때문에 변형되어 전자기기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차량이 시동되는 경우에도 매체가 인출되지 않아 전자기기를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 전원이 차단될 때 차량 내의 전자기기에 로딩된 매체를 언로딩시킨 후에 주전원을 차단시키는 차량용 전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밧데리에서 공급되는 보조 전원과 주전원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자기기를 플레이시키는 차량용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의 인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보조 전원이 차단될 때 상기 전자기기에 로딩된 매체를 언로딩시킨 후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컴과, 상기 보조 전원이 공급될 때 온되어 상기 주전원을 마이컴에 공급하고,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오프되어 상기 주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원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밧데리 105 : 키 스위칭부
110 : 보조 전원 공급부 120 : 주전원 공급부
130 : 스위칭부 140 : 다이오드
150 : 마이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이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원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로써, 그 구성은 밧데리(100), 키 스위칭부(105), 보조 전원 공급부(110), 주전원 공급부(120), 스위칭부(130), 다이오드(140), 마이컴(150), 전자기기(170)로 이루어진다.
키 스위칭부(105)는 도시 생략된 차량용 키 삽입구에 키의 삽입 여부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되어지고, 키 삽입구에 키가 삽입될 때 밧데리(100)에서 인가되는 전원 중 일부 전원을 보조 전원으로 하여 보조 전원 공급부(110)에 인가시키고, 보조 전원 공급부(110)는 밧데리(100)에서 인가된 전원을 마이컴(150)의 Acc(Accessary)입력단으로 공급한다. 이때 Acc 입력단에 입력되는 전원은 12V로써 마이컴(150)에 입력되며, 마이컴(150)은 Acc 입력단에 입력된 전원을 감지하여 스위칭부(130)를 온 시킨 후에 주전원 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는다.
마이컴(150)은 보조 전원의 공급에 따라 스위칭부(130)를 온 시켜 주전원 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주전원을 공급받으며, 주전원을 이용하여 차량 내의 전자기기를 구동시킨다.
사용자가 키 삽입구에서 키를 인출함에 따라 키 스위칭부(105)는 오프되어져 보조 전원이 마이컴(150)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키는데, 이때 마이컴(150)은 주전원 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주전원을 차단하기 전에(즉, 스위칭부(130)를 오프시키기 전에) 차량용 전자기기에 로딩된 매체들을 언로딩시킨 후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스위칭부(130)를 오프시킴으로써 주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킨다.
주전원 공급부(120)는 밧데리(100)로부터 일정 전원을 공급받아 스위칭부(130)를 통해 마이컴(150)에 12V의 전원을 공급하여 마이컴(150)을 셋팅(Setting)시키고, 마이컴(150)은 주전원 공급부(120)에서 공급된 12V의 전원을 이용하여 차량 내의 전자기기를 구동시킨다.
스위칭부(130)는 마이컴(150)에 의해서 제어되어 온 또는 오프되어지는데, 마이컴(150)은 보조 전원 공급부(110)에서 보조 전원의 인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보조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 스위칭부(130)를 온 시키고, 보조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 일정 시간 동안 스위칭부(130)를 온 시킨 후에 오프시킴으로써 차량 내의 전자기기에 로딩된 매체(예를 들면, 비디오의 비디오 테이프, 오디오에 로딩된 테이프 또는 시디 등)를 언로딩(Unloading)시킨 후에 스위칭부(130)를 오프시켜 주전원 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주전원을 차단시킨다.
스위칭부(130)는 파워 MOSFET 중의 하나이며, 그 예로써 SI4435DY, IRLI6401을 들 수 있다.
다이오드(140)는 주전원 공급부(120)에서 스위칭부(130)를 통해 마이컴(150)으로 주전원을 공급될 때 스위칭부(130)의 다른 단을 통해 마이컴(150)으로 역전압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전원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사용자가 차량의 키 삽입구에 키를 삽입함으로써 키 스위칭부(105)는온 되어 밧데리(100)에서 12V의 전압을 보조 전원 공급부(110)에 인가시키고, 보조 전원 공급부(110)는 밧데리(100)에서 전달된 12V의 전압을 마이컴(150)에 전달하는데, 마이컴(150)은 보조 전원 공급부(110)에서 전달된 전압에 따라 온 되어지며 이에 따라 스위칭부(130)를 온 시킨다.
스위칭부(130)의 온에 따라 마이컴(150)은 주전원 공급부(120)에서 소정의 12V의 전압을 인가받아 차량 내의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자기기를 플레이시킨다.
이후, 마이컴(150)은 계속해서 보조 전원의 차단 여부를 판단하는데, 보조 전원이 차단될 때(사용자가 키 삽입구에서 키를 인출한 경우) 스위칭부(130)를 오프시켜 바로 차량 내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 동안 스위칭부(130)를 온 상태를 유지시켜 차량내 전자기기에 로딩된 매체들을 언로딩시킨 후에 스위칭부(130)를 오프시키고, 이후 주전원 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주전원을 차단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조 전원의 인가 여부를 판단하여 보조 전원이 차단(사용자가 키 삽입구에서 키를 인출할 때)될 때 차량 내 전자기기에 로딩된 매체를 언로딩시킨 후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스위칭부를 오프시켜 주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킴으로써, 차량이 시동이 커진 후에 차량 내 전자기기에 로딩된 매체가 고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기기 내에 로딩된 매체의 변형에 의한 전자기기의 고장을 미연에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밧데리에서 공급되는 보조 전원과 주전원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자기기를 플레이시키는 차량용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의 인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보조 전원이 차단될 때 상기 전자기기에 로딩된 매체를 언로딩시킨 후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컴과,
    상기 보조 전원이 공급될 때 온되어 상기 주전원을 마이컴에 공급하고,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에 따라 오프되어 상기 주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 장치.
KR1020020036607A 2002-06-28 2002-06-28 차량용 전원 장치 KR20040001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607A KR20040001414A (ko) 2002-06-28 2002-06-28 차량용 전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607A KR20040001414A (ko) 2002-06-28 2002-06-28 차량용 전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414A true KR20040001414A (ko) 2004-01-07

Family

ID=3731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607A KR20040001414A (ko) 2002-06-28 2002-06-28 차량용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14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337B1 (ko) * 2006-10-23 2008-04-08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투차량의 보조전원 급전장치 및 그의 급전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086A (ko) * 1995-10-31 1997-05-30 배순훈 자동차의 악세사리 스위치 오프시 카 오디오의 테이프 이젝트방법
KR19990030703U (ko) * 1997-12-30 1999-07-26 김영환 카-오디오를 이용한 백업전류 방전방지장치
KR20000013210U (ko) * 1998-12-24 2000-07-15 전주범 카 브이시알의 카세트 자동배출회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3086A (ko) * 1995-10-31 1997-05-30 배순훈 자동차의 악세사리 스위치 오프시 카 오디오의 테이프 이젝트방법
KR19990030703U (ko) * 1997-12-30 1999-07-26 김영환 카-오디오를 이용한 백업전류 방전방지장치
KR20000013210U (ko) * 1998-12-24 2000-07-15 전주범 카 브이시알의 카세트 자동배출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337B1 (ko) * 2006-10-23 2008-04-08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투차량의 보조전원 급전장치 및 그의 급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72266A1 (en) Voltage controller for use in electronic appliance using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and method thereof
KR20010060239A (ko) 입출력 포트의 보전성을 유지하면서 전원이 차단되는 코어로직을 갖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KR101029941B1 (ko) 차량의 대기 전류 관리 장치
KR20040001414A (ko) 차량용 전원 장치
US74186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ing on after verifying proper operation of a charge pump and voltage regulator
KR100789975B1 (ko) 차량의 전자제어유닛용 전원 공급회로
JP2003235155A (ja) 電源制御装置
KR100559248B1 (ko) 차량 이씨유의 전원 입력회로
US5659524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ape-ejection in an automobile-installed video cassette recorder
KR910004687Y1 (ko) Vtr의 절전형 전원회로
JPH08322144A (ja) 電源回路
KR20050082354A (ko) 암전류 방지를 위한 카오디오 장치
KR920001061Y1 (ko) 자동차에 록킹된 카세트 데크를 분리하는 전자식 추출회로
KR100196842B1 (ko) 전자 기기의 전원 공급 방법
JP2002233078A (ja) サブバッテリ制御回路
KR100215294B1 (ko) 차량 축전지의 방전 방지 방법
KR20040003436A (ko) 차량의 자동 전원차단장치
KR100393052B1 (ko) 공급전원의잔량을이용한저장매체이젝트방법및그장치
JPH08205400A (ja) 電子機器類の電源供給回路
KR100493466B1 (ko) 차량의 전원 제어장치
JP2002095173A (ja) バッテリ制御装置
KR930008573B1 (ko) 카스테레오의 스텐드바이 장치 및 방법
KR970005035Y1 (ko) 전원제어회로
KR200185718Y1 (ko) 자동차 마이컴의 리셋 회로
JP2001061117A (ja) 映像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