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718Y1 - 자동차 마이컴의 리셋 회로 - Google Patents

자동차 마이컴의 리셋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718Y1
KR200185718Y1 KR2019970040705U KR19970040705U KR200185718Y1 KR 200185718 Y1 KR200185718 Y1 KR 200185718Y1 KR 2019970040705 U KR2019970040705 U KR 2019970040705U KR 19970040705 U KR19970040705 U KR 19970040705U KR 200185718 Y1 KR200185718 Y1 KR 200185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computer
acc
reset
mod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087U (ko
Inventor
유경종
Original Assignee
김종수
엘지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엘지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KR2019970040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718Y1/ko
Publication of KR199900280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0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7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4Reset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ources (AREA)
  • Microcomput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마이컴을 파워 다운 모드에서 리셋시키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으로, ACC 모드 감지 회로(10)는 ACC 전원의 인가 여부를 판단하여, ACC 전원의 인가시에 ACC 모드 및 리셋 제어 회로(200)로 하여금 마이컴(100)을 리셋시키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ACC 전원에 의하여 자동차용 마이컴을 리셋시키므로써, ACC 전원의 인가여부를 별도로 감지할 필요가 없어 리셋 후에 ACC 전원의 인가를 감시하는 고가의 마이컴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자동차의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마이컴의 리셋 회로
본 발명은 자동차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리셋시키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ACC 모드하에서 마이컴을 리셋시키는 자동차 마이컴의 리셋 회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 스위치 모드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자동차 키를 엔진 스위치에 삽입할 수 있으며, 키를 이탈시켰을 때에 핸들을 자동으로 잠그는 록(Lock)모드,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오디오등 일부 전기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ACC 모드, 엔진이 작동되고 모든 전기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온(On) 모드 그리고 스타트 모터를 작동시키는 스타트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자동차에서는 자동차의 제어를 위한 마이컴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마이컴들는 전류 소비를 방지하기 위한 파워 다운(Pown Down)모드가 존재한다. 즉, 자동차의 엔진이 정지하고, 자동차가 록모드등 전기 장치의 사용이 중지된 모드하에서는 마이컴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이컴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파워 다운 모드로 작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마이컴을 파워 다운 모드에서 파워 온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는 ACC 모드로의 전환을 감지하는 회로 및 마이컴을 리셋시키는 회로가 필요로 한다.
즉 종래 자동차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컴(30)을 파워 다운 모드에서 파워 온 모드로 전환시키는 ACC 모드 감지 회로(10) 및 리셋 회로(20)가 구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ACC 모드 감지 회로(1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1) 및 정전압용 제너 다이오드(ZD1), 잡음 방지용 캐패시터(C1) 그리고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이컴(30)은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의 구동에 따라 ACC 모드의 설정을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ACC 모드의 설정의 의하여 ACC 전원 입력단(11)에 하이 레벨의 전원이 인가되면,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되어 컬렉터 전위가 로우 레벨 상태로 되어 마이컴(30)은 ACC모드가 설정됨을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ACC모드가 중단되면, ACC 전원 입력단(11)은 로우 레벨 상태가되어 트랜지스터(Q1)는 턴오프되어 컬렉터 전위가 하이 레벨 상태로 되어 마이컴(30)은 ACC모드가 중단됨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제3도에는 상기 리셋 회로(20)의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ACC모드가 설정되어 전원 입력단(5/UP)에 전원이 인가되면 저항(R4)과의 시정수에 따른 소정 시간동안 캐패시터(C2)에는 전원이 충전되고, 이 시간 동안 트랜지스터(Q2)는 온되어 마이컴(30)의 리셋 단자에 하이 레벨의 신호를 인가하므로써 마이컴(30)을 리셋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회로에서는 리셋 회로(20)에 의하여 마이컴(30)은 리셋된 후에 ACC 모드 감지 회로(10)의 출력 전압 상태 즉,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 전위를 감지하여 로우 레벨이 인가될 때에 파워 온 모드를 재설정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즉,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마이컴은 파워 온 모드로 동작하기 위하여는 ACC전원이 인가되는 상태라야만 하므로 리셋 회로에 의하여 리셋된후에 ACC 전원의 인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ACC전원의 인가 여부를 ACC 모드 감지 회로(10)의 출력 전위로서 감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ACC 모드 감지 회로(10)의 출력 전위에 따라 파워 온 모드를 설정하는 마이컴은 통상 고가인 바, 자동차의 가격 상승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ACC 전원에 의하여 리셋되므로써 ACC전원 인가 여부를 별도로 감지할 필요가 없게 한 자동차 마이컴의 리셋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자동차 마이컴의 리셋 회로 블럭도.
제2도는 종래 자동차 마이컴의 리셋 회로에 구성되는 ACC 모드 감지 회로도.
제3도는 종래 자동차 마이컴의 리셋 회로에 구성되는 리셋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마이컴의 리셋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ACC 모드 감지 회로 100 : 마이컴
200 : ACC 모드 및 리셋 제어 회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CC 전원의 인가시에 턴온되는 스위칭용 제1트랜지스터에 구성된 ACC모드 감지회로가 구성되는 자동차에 있어서, 파워 다운 모드하에서 단자(P1)로 하이레벨의 로직을 출력하며, 리셋 단자로 하이레벨의 신호가 인가될 때 리셋되는 마이컴과; 마이컴의 단자(P)에 에미터가 연결되며, 베이스에는 충방전용 캐패시터가 연결되고, 컬렉터에는 마이컴의 리셋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제2트랜지스터와; 캐패시터와 ACC모드 감지 회로의 제1트랜지스터 사이에 연결되는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와; 캐패시터와 제2트랜지스터사이에 연결되는 전류 패스용 저항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에는 본 발명의 자동차 마이컴의 리셋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마이컴(100)은 파워 다운 모드시에 단자(P)로 하이레벨의 전압을 출력하게 구성되며, 리셋 단자에 하이 레벨의 신호가 인가될 때에 리셋되어 파워 온 모드로 작동하는 일반 마이컴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마이컴(100)의 단자(P)에는 ACC 모드 및 리셋 제어 회로(200)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ACC 모드 및 리셋 제어 회로(200)에는 종래 ACC 모드 감지 회로(10)가 연결되어 있다.
즉, ACC모드 및 리셋 제어 회로(200)는 마이컴(100)의 단자(P)에 에미터가 연결된 pnp 트랜지스터(Q3)가 그리고,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단에는 마이컴(100)의 리셋 단자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캐패시터(C3)와 직렬로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D3)가 연결되어 있으며, 캐패시터(C3) 및 다이오드(D3)DPSS 전류 패스용 저항(R5)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회로에서 마이컴(100)이 파워 다운 모드 상태로 동작 도중에 ACC전원이 입력되면, 상술한 ACC 모드 감지 회로(10)(제1도에 도시됨)의 트랜지스터(Q1)가 구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다이오드(D3)의 애노드측 전위가 하강하므로써 캐패시터(C1)는 점선으로 도시된 트랜지스터(Q3)의 내부 저항(R11,R12)들과의 시정수값에 따른 소정시간동안 트랜지스터(Q3)의 충전 전압이 하이 레벨에 도달하기까지 턴온되어 마이컴(100)의 리셋 단자에 하이 레벨의 신호를 인가하므로써 마이컴(100)을 리셋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저항(R5)의 역할은 트랜지스터(Q3)가 오프되도록 전압을 유지시켜주며, ACC 전원이 인가될 때에 캐패시터(C3)의 방전 전류의 통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행하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ACC 모드 감지 회로(10)에 의하여 ACC 전원의 인가 여부를 판단하고, ACC 전원의 인가시에 ACC 모드 감지 회로(10)의 제어에 의하여 ACC 모드 및 리셋 제어 회로(200)가 마이컴(100)을 리셋시키므로써 마이컴(100)은 별도로 ACC전원의 인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ACC 전원에 의하여 자동차용 마이컴을 리셋시키므로써, ACC전원의 인가여부를 별도로 감지할 필요가 없어 리셋 후에 ACC 전원의 인가를 감지하는 고가의 마이컴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자동차의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ACC 전원의 인가시에 턴온되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Q1)가 구성된 ACC 모드 감지 회로(10)가 구성되는 자동차에 있어서, 파워 다운 모드하에서 단자(P1)로 하이레벨의 로직을 출력하며, 리셋 단자로 하이 레벨의 신호가 인가될 때 리셋되는 마이컴(100)과; 상기 마이컴(100)의 단자(P)에 에미터가 연결되며, 베이스에는 충방전용 캐패시터(C3)가 연결되고, 컬렉터에는 상기 마이컴(100)의 리셋 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3)와; 상기 캐패시터(C3)와 상기 ACC 모드 감지 회로(10)의 트랜지스터(Q1)사이에 연결되는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D3)와; 상기 캐패시터(C3)와 상기 트랜지스터(Q3)사이에 연결되는 전류 패스용 저항(R5)을 구비하는 자동차 마이컴의 리셋 회로.
KR2019970040705U 1997-12-26 1997-12-26 자동차 마이컴의 리셋 회로 KR200185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705U KR200185718Y1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 마이컴의 리셋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705U KR200185718Y1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 마이컴의 리셋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087U KR19990028087U (ko) 1999-07-15
KR200185718Y1 true KR200185718Y1 (ko) 2000-07-01

Family

ID=1951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705U KR200185718Y1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 마이컴의 리셋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7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087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1225B2 (en) Apparatus for driving a switch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02503440A (ja) 過電圧を低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5723914A (en) Device for preventing an electrical equipment from re-powering after recovery of service interruption
KR200185718Y1 (ko) 자동차 마이컴의 리셋 회로
US20050127983A1 (en) Voltage booster device having voltage-suppressing circuit
US6611111B2 (en) Load drive circuit
WO2019239876A1 (ja) 車両用制御装置
KR0181318B1 (ko)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폭주 방지 회로
JPH0898419A (ja) 電源回路
JP2002078239A (ja) 車両用電源装置
US4266212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directional lamps
KR940008247A (ko) 노이즈에 의한 세트의 오프시 자동파워 온 방법
JP4412141B2 (ja) 電源起動停止制御回路
KR100468658B1 (ko) 전원제어회로
KR960013950B1 (ko) 충전지의 정전류 방전장치
KR200210037Y1 (ko) 시동시 자동전원 제어장치
US6690269B2 (en) Control uni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230018B1 (ko) 자동차 배터리 저전압 체크 회로
KR200195825Y1 (ko) 후미동 자동 소등 시스템
JPH0767396A (ja) 自動車用発電電圧調整装置
KR200155922Y1 (ko) 일렉트로닉 컨트롤 유니트
KR980001451A (ko) 자동차의 배터리방전 차단장치
KR980002809A (ko) 자동차의 배터리방전시 자동시동 제어장치
JP3329600B2 (ja) 電圧制御回路およびこの電圧制御回路を含むdc/dcコンバータおよびこのdc/dcコンバータ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148335Y1 (ko) 자동차용 집적회로의 공급전원 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