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658B1 - 전원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전원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658B1
KR100468658B1 KR1019970039940A KR19970039940A KR100468658B1 KR 100468658 B1 KR100468658 B1 KR 100468658B1 KR 1019970039940 A KR1019970039940 A KR 1019970039940A KR 19970039940 A KR19970039940 A KR 19970039940A KR 100468658 B1 KR100468658 B1 KR 100468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ltage
power supply
circu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145A (ko
Inventor
정상훈
김수경
Original Assignee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39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658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characterised by reference voltage circuitry, e.g. soft start, remote shutdow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05F1/569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22Modifications for ensuring a predetermined initial state when the supply voltage has been appl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Voltage And Current In General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Abstract

래치 모드를 구비하는 전원 제어 회로에 있어서 제 1 비교기, 제 2 비교기, 및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전원 제어 회로가 개시되어 있다. 제 1 비교기는 터말 셧다운 전압을 넌인버팅 입력 단자로 입력하고, 제 1 기준 전압을 인버팅 입력단자로 입력하여, 터말 셧다운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하이 레벨이 되고 터말 셧다운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로우 레벨이 되는 신호를 출력하고, 넌인버팅 입력 단자가 제 2 비교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비교기는 피드백 전압을 넌인버팅 입력 단자로 입력하고, 제 2 기준 전압을 인버팅 입력단자로 입력하여,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하이 레벨이 되고 피드백 전압이 제 2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로우 레벨이 되는 신호를 출력하고, 넌인버팅 입력 단자가 제 1 비교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는 제 2 비교기의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 3 기준 전압에 의해서 게이팅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래치 모드를 구비하는 전원 제어 회로에 있어서 내부 회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전원을 껐다가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 다시 켜야하는 번거러움이 없이,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자동으로 리스타트 할 수 있는 동작을 가지므로, 소비자들의 불편을 해소시킬 수 있고 또한 생산 라인에서 쇼트(short)에 의한 래취로 인해 소요되는 생산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전원 제어 회로{Power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래치 모드(Latch Mode)를 가지는 전원 제어 회로(Power Supply Control Circuit)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래치 모드에서 자동 리스타트(Auto Restart) 기능을 가지는 전원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전원 제어 회로는 스위치 모드 전원(SMPS: Switch Mode Power Supply) 제어 회로이다. 스위치 모드 전원 제어 회로에서는 대부분 여러 가지 자체 보호기능들을 가지고 있으나, 자동 리스타트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과전압 보호(OVP: Over Voltage Protection), 과전류 보호(OCP: Over Current Protection), 과부하 보호(OLP: Over Load Protection), 및 터말 셧다운(Thermal Shutdown) 등의 보호 기능들이 동작하였을 경우에, 스위치 모드 전원(SMPS) 제어 회로는 래치 모드로 들어가게 되고, 스위치 모드 전원(SMPS)을 껐다가 제어 회로의 전원 전압(VCC)의 커패시터가 방전된 후에 다시 전원을 켤 때까지 래치 모드의 상태를 지속한다.
이러한 스위치 모드 전원(SMPS) 제어 회로를 탑재하고 있는 가전 제품 및 전기 기기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하여 보호 기능이 동작하였을 때 스위치 모드 전원(SMPS) 제어 회로는 래치 모드로 들어가게 되고, 이상이 해제되어도 래치 모드의 상태가 계속 지속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전원 플러그를 뽑았다가 일정 시간, 즉 스위치 모드 전원(SMPS) 제어 회로의 전원(VCC)의 커패시터가 방전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지난 다음 다시 전원 플러그를 꽂아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위치 모드 전원(SMPS) 제어 회로가 래치 모드의 상태에 있는 경우에 전원 플러그를 뽑았다가, 스위치 모드 전원(SMPS) 제어 회로의 전원(VCC)의 커패시터가 방전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되기 전에 전원 플러그를 다시 꽂는 경우에는 래치 모드의 상태가 지속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가전 제품 및 전기 기기를 사용하는 소비자는 이를 고장으로 오인하여 가전 업체 및 전기 기기 업체에 애프터서비스를 요청하므로써 쓸데없이 시간과 경비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이러한 스위치 모드 전원(SMPS) 제어 회로를 내장하고 있는 가전 제품 및 전기 기기를 생산하는 업체에 있어서, 생산 라인 상에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락(Short)에 의해 스위치 모드 전원(SMPS) 제어 회로가 래치 모드로 들어가게 되는 경우에는 전원(VCC) 전압이 완전히 떨어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생산 시간이 길어지는데서 오는 생산성 감소의 문제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원 제어 회로의 회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원 제어 회로는 비교기들(110,120), 인버터(130), 및 드라이버(140)를 구비한다.
비교기(110)는 넌인버팅 입력 단자로 터말 셧다운(Thermal Shutdown) 전압(TSD)을 입력하고, 인버팅 입력 단자로 기준 전압(VA)을 입력하여, 터말 셧다운(Thermal Shutdown) 전압(TSD)이 기준 전압(VA)보다 큰 경우에는 하이('H') 레벨이 되고, 터말 셧다운(Thermal Shutdown) 전압(TSD)이 기준 전압(VA)보다 작은 경우에는 로우('L') 레벨이 되는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비교기(1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하이('H') 레벨은 전원 전압(VCC)의 값을 가지며 로우('L') 레벨은 접지 전압(GND) 값을 가진다.
비교기(120)는 넌인버팅 입력 단자로 피드백(Feedback) 전압(VFB)을 입력하고, 인버팅 입력 단자로 기준 전압(VB)을 입력하여, 피드백(Feedback) 전압(VFB)이 기준 전압(VB)보다 큰 경우에는 하이('H') 레벨이 되고, 피드백(Feedback) 전압(VFB)이 기준 전압(VB)보다 작은 경우에는 로우('L') 레벨이 되는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비교기(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하이('H') 레벨은 전원 전압(VCC)의 값을 가지며 로우('L') 레벨은 접지 전압(GND) 값을 가진다.
비교기(110)의 출력 단자는 비교기(120)의 넌인버팅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비교기(120)의 출력 단자(125)는 비교기(110)의 넌인버팅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터말 셧다운(Thermal Shutdown) 전압(TSD)이 기준 전압(VA)보다 크거나 또는 피드백 전압(VFB)이 기준 전압(VB)보다 크거나 둘 중에 하나의 전압이 비교되는 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비교기(120)의 출력 단자(12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하이('H') 레벨로서 래치 되어 진다.
인버터(130)는 비교기(120)의 출력 단자(12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이를 인버팅 하여 출력한다.
드라이버(140)는 인버터(1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하여 구동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원 제어 회로는 2차측이 단락(Short)이 되었다든지, 피드백 루프(Feedback Loop)가 오픈(Open)되었을 때 그리고 칩 회로가 고온 동작 시에 칩 회로의 기능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를 터말 셧다운(Thermal Shutdown) 전압(TSD)과 피드백 전압(VFB)을 통하여 감지하고 래치 모드(Latch Mode)로 동작시킨다. 즉, 터말 셧다운(Thermal Shutdown) 전압(TSD)이 기준 전압(VA)보다 크거나 또는 피드백 전압(VFB)이 기준 전압(VB)보다 크거나 둘 중에 하나의 전압이 비교되는 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비교기(120)의 출력 단자(1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하이('H') 레벨로 래치 시키고 인버터(130) 및 드라이버(140)를 통하여 로우('L') 레벨의 래치 모드 신호의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 제어 회로를 리셋(Reset)시키기 위해서는 비교기들(110,120)의 전원 전압(VCC)이 일정한 레벨 이하로, 예컨대 인버터(130)가 로우('L') 레벨로서 감지할 수 있는 값 이하로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 때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거나 일정 이하로 떨어지지 않을 때에는, 전원 제어 회로의 래치 모드에서 자동적으로 일정기간 후 동작되도록 요구되는 응용회로에 곧바로 적용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최소의 소자로써 원하는 일정시간 후 또는 전원 전압(VCC) 레벨에 따른 자동 리스타트 기능을 주기 위해서는 요구되는 순간에 리셋 시킬 수 있는 래치 모드를 가지는 전원 제어 회로가 요구되어 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래치 모드를 구비하는 전원 제어 회로에 있어서, 래치 모드에서 전원을 끄지 않아도 전원 전압이 자동으로 떨어져 다시 기동 저항을 통해 전류를 공급 받아 스타트 업(Start-Up)하는 자동 리스타트(Auto Restart) 기능을 가지는 전원 제어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 모드를 구비하는 전원 제어 회로는, 피드백 루프가 오픈 되는 경우, 칩 회로가 고온 동작하는 경우, 등 칩 회로에 이상이 있는 경우를 감지하여 회로 보호 신호를 액티브 시켜 출력하는 보호 기능 감지 회로; 상기 보호 기능 감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회로 보호 신호와 리셋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리셋 신호가 넌액티브되어 있고 상기 회로 보호 신호가 액티브 되어 있는 경우에만 래치 신호를 액티브 시켜 출력하는 래치 수단; 및 필요에 따라 상기 전원 제어 회로를 리셋 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리셋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 모드를 구비하는 전원 제어 회로는, 터말 셧다운 전압을 넌인버팅 입력 단자로 입력하고, 제 1 기준 전압을 인버팅 입력단자로 입력하여, 상기 터말 셧다운 전압이 상기 제 1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하이 레벨이 되고 상기 터말 셧다운 전압이 상기 제 1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로우 레벨이 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넌인버팅 입력 단자가 제 2 비교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비교기; 피드백 전압을 넌인버팅 입력 단자로 입력하고, 제 2 기준 전압을 인버팅 입력단자로 입력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하이 레벨이 되고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로우 레벨이 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넌인버팅 입력 단자가 상기 제 1 비교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비교기; 및 상기 제 2 비교기의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 3 기준 전압에 의해서 게이팅 되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회로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도 2의 상세한 회로도이다.
도 2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회로는 보호 기능 감지 회로(210), 리셋 수단(220), 및 래치 수단(230)을 구비한다.
보호 기능 감지 회로(210)는 피드백(Feedback) 루프가 오픈 되는 경우, 칩 회로가 고온 동작하는 경우, 등 칩 회로에 이상이 있는 경우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회로 보호 신호(PCH)를 액티브 시켜 출력한다.
보호 기능 감지 회로(210)는 비교기(202), 터말 셧다운 감지 회로(204), 및 OR 게이트(206)로써 구성되어 있다.
비교기(202)는 피드백 루프가 오픈 되어 있는 경우를 감지하기 위하여, 피드백 전압(VFB)을 넌인버팅 입력 단자로 입력하고 기준 전압(VC)을 인버팅 입력 단자로 입력하여 이들을 비교하여 이에 따라 피드백 감지 신호(PFB)를 액티브 시켜 출력한다. 즉 비교기(202)는 피드백 전압(VFB)이 기준 전압(VC)보다 큰 경우에는 하이('H') 레벨로 액티브 되고 피드백 전압(VFB)이 기준 전압(VC)보다 작은 경우에는 로우('L') 레벨로 넌액티브되는 신호를 피드백 감지 신호(PFB)로서 출력한다.
터말 셧다운 감지 회로(204)는 칩회로가 고온에서 동작하는 경우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터말 셧다운 감지 신호(PTSD)를 액티브 시켜 출력한다. 터말 셧다운 감지 회로(204)는 칩회로가 고온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하이('H') 레벨로 액티브 되는 신호를 터말 셧다운 감지 신호(PTSD)로서 출력한다.
OR 게이트(206)는 비교기(202)로부터 출력되는 피드백 감지 신호(PFB)와 터말 셧다운 감지 회로(204)로부터 출력되는 터말 셧다운 감지 신호(PTSD)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 합하여 회로 보호 신호(PCH)로서 출력한다. OR 게이트(206)는 피드백 감지 신호(PFB)와 터말 셧다운 감지 신호(PTSD)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하이('H') 레벨인 경우에 하이('H') 레벨이 되는 신호를 회로 보호 신호(PCH)로서 출력한다.
래치 수단(230)은 보호 기능 감지 회로(210)로부터 출력되는 회로 보호 신호(PCH)와 리셋 신호(PRS)를 입력하여 리셋 신호(PRS)가 넌액티브되어 있고 회로 보호 신호(PCH)가 액티브 되어 있는 경우에만 래치 신호(PLCH)를 액티브 시켜 출력한다.
래치 수단(230)은 셋(Set) 입력 단자와 리셋(Reset) 입력 단자를 구비하고, 셋 입력 단자와 리셋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들이 모두 넌액티브되어 있는 경우에는 래치 신호(PLCH)의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리셋 입력 단자의 신호가 액티브 되고 셋 입력 단자의 신호가 넌액티브되어 있는 경우에는 래치 신호(PLCH)의 상태를 액티브 시켜 출력하며, 셋 입력 단자의 신호가 액티브 되어 있는 경우에는 래치 신호(PLCH)의 상태를 넌액티브시켜 출력한다. 즉, 래치 수단(230)은 RS 플립 플롭(Flip-Flop)의 특성을 가진다.
리셋 수단(220)은 필요에 따라 전원 제어 회로를 리셋 시키기 위하여 리셋 신호(PRS)를 액티브 시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회로는 필요에 따라 전원 제어 회로를 리셋 시킬 수 있는 리셋 수단(220)을 구비한다. 따라서 칩회로 내부에 이상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고 래치 신호(PLCH)를 하이('H') 레벨의 상태로 액티브 시켜 래치 하여, 칩회로 내부에 이상 현상이 발생되었다는 것을 알린 다음 필요에 따라 리셋 수단(220)으로부터 출력되는 리셋 신호(PRS)에 의해서 전원 제어 회로를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회로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회로는 비교기들(410,420), 및 트랜지스터(Q1)를 구비한다.
비교기(410)는 넌인버팅 입력 단자로 터말 셧다운(Thermal Shutdown) 전압(TSD)을 입력하고, 인버팅 입력 단자로 기준 전압(VA)을 입력하여, 터말 셧다운(Thermal Shutdown) 전압(TSD)이 기준 전압(VA)보다 큰 경우에는 하이('H') 레벨이 되고, 터말 셧다운(Thermal Shutdown) 전압(TSD)이 기준 전압(VA)보다 작은 경우에는 로우('L') 레벨이 되는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비교기(4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하이('H') 레벨은 전원 전압(VCC)의 값을 가지며 로우('L') 레벨은 접지 전압(GND) 값을 가진다.
비교기(420)는 넌인버팅 입력 단자로 피드백(Feedback) 전압(VFB)을 입력하고, 인버팅 입력 단자로 기준 전압(VB)을 입력하여, 피드백(Feedback) 전압(VFB)이 기준 전압(VB)보다 큰 경우에는 하이('H') 레벨이 되고, 피드백(Feedback) 전압(VFB)이 기준 전압(VB)보다 작은 경우에는 로우('L') 레벨이 되는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비교기(4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하이('H') 레벨은 전원 전압(VCC)의 값을 가지며 로우('L') 레벨은 접지 전압(GND) 값을 가진다.
비교기(410)의 출력 단자는 비교기(420)의 넌인버팅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비교기(420)의 출력 단자는 비교기(410)의 넌인버팅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터말 셧다운(Thermal Shutdown) 전압(TSD)이 기준 전압(VA)보다 크거나 또는 피드백 전압(VFB)이 기준 전압(VB)보다 크거나 둘 중에 하나의 전압이 비교되는 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비교기(420)의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하이('H') 레벨로서 래치 되어 진다.
트랜지스터(Q1)는 비교기(420)의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기준 전압(VREF)에 의해서 게이팅되어 있는 N 형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기준전압(VREF)과 전원 전압(VCC)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그래프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510은 전원 전압(VCC)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520은 기준 전압(VREF)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준 전압(VREF)은 전원 제어 회로가 언더 볼테지 락 아웃(Under Voltage Lock Out) 동작에 따라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진다. 즉, 기준 전압(VREF)은 전원 전압(VCC)이 하이('H') 레벨 문턱 전압(VTHH)으로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값 이상에서 발생되고, 전원 전압(VCC)이 로우('L') 레벨 문턱 전압(VTHL)으로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값 이하에서 오프(Off)된다. 이 때 기준전압(VREF)은 온(On)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정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와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회로에 있어서, 전원 전압(VCC)이 제로(Zero) 값부터 증가하여 하이('H') 레벨 문턱 전압(VTHH) 값 이하일 때까지는 강제로 비교기(420)의 출력 단자의 전압값을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에미터 사이의 전압(Vbe(Q1))값 이하로 유지시켜 출력을 로우('L') 레벨로 한다. 또한 전원 전압(VCC)이 하이('H') 레벨 문턱 전압(VTHH) 값 이상일 때는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에미터 사이의 바이어스가 역방향으로 되므로 실제 전원 제어 회로의 동작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이 때 터말 셧다운 전압(TSD)이 기준 전압(VA)보자 크거나, 피드백 전압(VFB)이 기준 전압(VB)보다 크거나 둘 중에 어느 하나인 경우에 전원 제어 회로가 동작하게 되어 하이('H') 레벨의 래치 신호(PLCH)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전원 전압(VCC)이 정상 동작 전압에서 제로(Zero)를 향해서 떨어질 때 로우('L') 레벨 문턱 전압(VTHL) 이상일 경우에는 래치 모드로 동작한다. 그러나 전원 전압(VCC)이 로우('L') 레벨 문턱 전압(VTHL) 이하일 경우에는 기준 전압(VREF)은 제로(Zero)의 값으로 되고 이 때 트랜지스터(Q1)를 턴 온(Turn On) 시켜서 비교기(420)의 출력 단자 전압을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에미터 사이의 전압(Vbe(Q1))값 이하로 만들어 전원 제어 회로는 리셋 되어 자동 리스타트(Auto Restart)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회로는 자동 리스타트(Auto Restart) 기능을 가지므로, 내부 회로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보호 기능이 동작하여 래치 모드로 되면 전원을 껐다가 켜는 불편함이 없이 자동적으로 리셋 된다. 또한 내부 회로에 이상이 계속되더라도 전원 제어 회로는 래치 모드와 자동 리스타트 동작을 반복하게 되고 이상이 해제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래치 모드를 구비하는 전원 제어 회로에 있어서 내부 회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전원을 껐다가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 다시 켜지 않고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자동으로 리스타트 할 수 있는 동작을 가지므로, 소비자들의 불편을 해소시킬 수 있고 또한 생산 라인에서 쇼트에 의한 래취로 인해 소요되는 생산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전원 제어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세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되는 기준 전압과 전원 전압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부호에 대한 자세한 설명
VCC: 전원 전압, GND: 접지 전압,
VA,VB.VC,VREF: 기준 전압들, LOUT: MOSFET 게이트 구동 신호,
PRS: 리셋 신호, PCH: 회로 보호 신호,
PLCH: 래치 신호, PFB: 피드백 전압 감지 신호,
PTSD: 터말 셧다운 감지 신호, Q1: 트랜지스터.

Claims (8)

  1. 래치 모드를 구비하는 전원 제어 회로에 있어서,
    피드백 루프가 오픈 되는 경우, 칩회로가 고온 동작하는 경우, 등 칩회로에 이상이 있는 경우를 감지하여 회로 보호 신호를 액티브 시켜 출력하는 보호 기능 감지 회로;
    상기 보호 기능 감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회로 보호 신호와 리셋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리셋 신호가 넌액티브되어 있고 상기 회로 보호 신호가 액티브 되어 있는 경우에만 래치 신호를 액티브 시켜 출력하는 래치 수단; 및
    필요에 따라 상기 전원 제어 회로를 리셋 시키기 위하여 상기 리셋 신호를 액티브 시켜 출력하는 리셋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은 셋 입력 단자와 리셋 입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셋 입력 단자와 상기 리셋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들이 모두 넌액티브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래치 신호의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리셋 입력 단자의 신호가 액티브 되고 상기 셋 입력 단자의 신호가 넌액티브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래치 신호의 상태를 액티브 시켜 출력하며, 상기 셋 입력 단자의 신호가 액티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래치 신호의 상태를 넌액티브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수단은 RS 플립 플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기능 감지 회로는,
    피드백 루프가 오픈 되어 있는 경우를 감지하기 위한 피드백 전압을 넌인버팅 입력 단자로 입력하고 기준 전압을 인버팅 입력 단자로 입력하여 이들을 비교하여 이에 따라 피드백 감지 신호를 액티브 시켜 출력하는 비교기;
    칩회로가 고온에서 동작하는 경우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액티브 되는 터말 셧다운 감지 신호를 액티브 시켜 출력하는 터말 셧다운 감지 회로; 및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피드백 감지 신호와 상기 터말 셧다운 감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터말 셧다운 감지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을 논리 합하여 이를 상기 회로 보호 신호로서 출력하는 OR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회로.
  5. 래치 모드를 구비하는 전원 제어 회로에 있어서,
    터말 셧다운 전압을 넌인버팅 입력 단자로 입력하고, 제 1 기준 전압을 인버팅 입력단자로 입력하여, 상기 터말 셧다운 전압이 상기 제 1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하이 레벨이 되고 상기 터말 셧다운 전압이 상기 제 1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로우 레벨이 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넌인버팅 입력 단자가 제 2 비교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비교기;
    피드백 전압을 넌인버팅 입력 단자로 입력하고, 제 2 기준 전압을 인버팅 입력단자로 입력하여,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하이 레벨이 되고 상기 피드백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로우 레벨이 되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넌인버팅 입력 단자가 상기 제 1 비교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비교기; 및
    상기 제 2 비교기의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 3 기준 전압에 의해서 게이팅되어 있는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는 N 형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회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회로는 상기 제 3 기준 전압을 출력하는 기준 전압 발생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압 발생기는 전원 전압이 소정의 하이 레벨 문턱 전압값 이상인 경우에 소정의 값을 가지는 상기 제 3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며 상기 전원 전압이 소정의 로우 레벨 문턱 전압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 3 기준 전압을
    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제어 회로.
KR1019970039940A 1997-08-21 1997-08-21 전원제어회로 KR100468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940A KR100468658B1 (ko) 1997-08-21 1997-08-21 전원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940A KR100468658B1 (ko) 1997-08-21 1997-08-21 전원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145A KR19990017145A (ko) 1999-03-15
KR100468658B1 true KR100468658B1 (ko) 2005-03-16

Family

ID=37224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940A KR100468658B1 (ko) 1997-08-21 1997-08-21 전원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6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958B1 (ko) * 1998-12-30 200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감지장치 및 방법
KR100907454B1 (ko) 2006-12-13 2009-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정된 내부 파워를 형성할 수 있는 내부 전압 제어기 및그것을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4138A (ja) * 1989-02-27 1990-09-06 Nec Corp 情報処理装置の再開方式
US5019751A (en) * 1989-09-15 1991-05-28 Hubbell Incorporated End-of-life lamp starter disabling circuit
KR950024422A (ko) * 1994-01-13 1995-08-21 더글라스 지. 맥나이트 독립적으로 전압레벨이 조절되는 이중비교기 트리거회로
JPH08126299A (ja) * 1994-10-20 1996-05-17 Matsushita Electron Corp パワーデバイスの保護回路
JPH08307221A (ja) * 1995-04-11 1996-11-22 Internatl Rectifier Corp 電力用mosゲート型回路のための制御回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4138A (ja) * 1989-02-27 1990-09-06 Nec Corp 情報処理装置の再開方式
US5019751A (en) * 1989-09-15 1991-05-28 Hubbell Incorporated End-of-life lamp starter disabling circuit
KR950024422A (ko) * 1994-01-13 1995-08-21 더글라스 지. 맥나이트 독립적으로 전압레벨이 조절되는 이중비교기 트리거회로
JPH08126299A (ja) * 1994-10-20 1996-05-17 Matsushita Electron Corp パワーデバイスの保護回路
JPH08307221A (ja) * 1995-04-11 1996-11-22 Internatl Rectifier Corp 電力用mosゲート型回路のための制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145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0597B2 (ja) 給電回路の異常検出装置
US6301133B1 (en) Power supply system with ORing element and control circuit
KR100723240B1 (ko) 전압 부족 경보 방법, 전압 부족 경보 회로 및 스위칭 전원장치
JP4050292B2 (ja) 電子制御装置
KR101106813B1 (ko) 과전류 보호 회로
KR20000023209A (ko) 프로그램식 전력 공급기 및 프로그램식 브라운아웃감지기를 구비하는 개선된 마이크로프로세서 전력 공급시스템
US5978195A (en) Circuit protection arrangement
JP3581610B2 (ja) ラッチ回路
US6370042B2 (en) Self-recovering disabling system for converter
US6449180B1 (en) World wide power supply apparatus that includes a relay switch voltage doubling circuit
KR100468658B1 (ko) 전원제어회로
JP2004505359A (ja) モード切替え電源制御
US5986442A (en) Load drive device having short-circuit protection function
TW526440B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hases of a backup capacitor
US55683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amplifier circuit
TW417321B (en)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circuit and charging type power supply device
JP2000058756A (ja) 双方向電子スイッチ
CN114793060A (zh) 线性稳压器和电源管理芯片
US6084961A (en) Circuit for monitoring battery voltages of telephone terminal facility, using power detector temporarily activated by ringing or off-hook signal
JP3171383B2 (ja) 保護回路
JP2007193458A (ja) 電源回路
KR19990072223A (ko) 강하하는 전원에서 적절한 리셋을 보장하는리셋 회로
JPH0130845Y2 (ko)
KR930004365Y1 (ko) 시스템 보호펄스 발생장치
KR20000051487A (ko) 인버터 세탁기의 직류링크단 전압감지를 통한 회생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