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1259A -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 - Google Patents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1259A
KR20040001259A KR1020020036397A KR20020036397A KR20040001259A KR 20040001259 A KR20040001259 A KR 20040001259A KR 1020020036397 A KR1020020036397 A KR 1020020036397A KR 20020036397 A KR20020036397 A KR 20020036397A KR 20040001259 A KR20040001259 A KR 20040001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lower mold
mold
upper mold
trim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6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1259A/ko
Publication of KR20040001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25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ctum, e.g. proctoscopes, sigmoidoscopes, colon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61B1/05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bein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패널을 트리밍 성형한 후, 발생되는 스크랩의 취출이 용이하도록 다시 상기 스크랩을 절단하는 스크랩 커터 사이에 상기 스크랩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하형의 하형 트림스틸과 상기 상형의 상형 트림스틸의 외측으로 각각 하형과 상형에 장착되는 하형 및 상형 스크랩 커터를 포함하여 상기 하형과 쿠션패드 사이에 패딩된 소재패널의 가장자리를 절단 가공함과 동시에, 절단된 스크랩을 다시 여러 장의 스크랩으로 절단하는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에서,
상기 상형 스크랩 커터의 외부 일측에서, 상기 하형 및 상형 스크랩 커터에 의해 다시 절단되는 스크랩을 상형의 작동과 연동하여 상기 하형 스크랩 커터 사이로부터 취출하도록 래치와 아암으로 구성되는 스크랩 취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PRESS SYSTEM FOR TRIMMING}
본 발명은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을 트리밍 성형한 후, 발생되는 스크랩의 취출이 용이하도록 다시 상기 스크랩을 절단하는 스크랩 커터 사이에 상기 스크랩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까지는 2 내지 3만여개의 부품을 수차례의 조립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차체는 자동차 제조과정의 첫 단계로서, 여러 종류의 프레스 장치를 통하여 제품패널을 생산한 후, 차체공장으로 옮겨와서 제품패널의 각 부분이 조립되어 화이트 보디(B.I.W) 상태의 차체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소재패널을 제품패널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프레스 장비를 통하여 일정한 형태로 가압 성형하는 성형공정 후에, 트리밍(TRIMMING)과 피어싱(PIECING) 및 플랜징(FLANGING) 등의 프레스 공정에서 절단, 홀 가공, 절곡 등의 가공작업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프레스 공정 중에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패널(101) 등의 차체패널의 생산에서, 트리밍 성형 작업시에는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소재패널을 절단하여 후드패널(101)을 생산함과 동시에, 이때 발생되는 스크랩(103)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랩(103)도 하형(109)과 상형(111)에 각각 하형 및 상형 스크랩 커터(105, 107)를 설치하여 여러 조각으로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에 의하면,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형(109) 상에서 마주보는 스크랩 커터(105) 사이에 절단된 스크랩(103)이 끼이는 경우가 발생하며, 여러 장의 절단된 스크랩(103)이 끼이는 경우에는 스크랩 커터(105,107)의 날부가 파손되거나, 하형(109) 또는 상형(111)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을 트리밍 성형한 후, 발생되는 스크랩의 취출이 용이하도록 다시 상기 스크랩을 절단하는 스크랩 커터 사이에 상기 스크랩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의 주요구성요소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방향에서 본 발명에 따른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 선에 따른 본 발명의 제1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선에 따른 본 발명의 제2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 선에 따른 본 발명의 제3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3의 B-B 선에 따른 본 발명의 제4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3의 B-B 선에 따른 본 발명의 제5작동 상태도이다.
도 9는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에 의해 트리밍 성형되는 일반적인 차체 후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 10의 C방향에 본 종래 기술에 따른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는, 제품패널의 하부 형상을 가지며 가장자리를 따라 하형 트림스틸을 구비하는 하형과; 상기 하형의 상부에서 상하로 작동하는 슬라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하형 트림스틸에 대응하는 상형 트림스틸을 구비하는 상형과; 상기 상형의 내측으로 쿠션 스프링을 통하여 장착되어 상기 하형과 함께 패널을 패딩하는 쿠션패드와; 상기 하형의 하형 트림스틸과 상기 상형의 상형 트림스틸의 외측으로 각각 하형과 상형에 장착되는 하형 및 상형 스크랩 커터를 포함하여 상기 하형과 쿠션패드 사이에 패딩된 소재패널의 가장자리를 절단 가공함과 동시에, 절단된 스크랩을 다시 여러 장의 스크랩으로 절단하는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에서,
상기 상형 스크랩 커터의 외부 일측에서, 상기 하형 및 상형 스크랩 커터에 의해 다시 절단되는 스크랩을 상형의 작동과 연동하여 상기 하형 스크랩 커터 사이로부터 취출하도록 래치와 아암으로 구성되는 스크랩 취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크랩 취출수단은 상기 상형 스크랩 커터의 외부 일측에서, 상기 상형에 하향하여 체결되며, 하단에는 힌지부가 형성되는 가이드 아암과; 상기 가이드 아암의 힌지부에 힌지 체결되며, 상기 힌지부를 잇는 수평선상에 대하여 자유단부가 상부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래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이드 아암은 그 하부에 상기 래치의 힌지 체결되는 선단의 상단면에 대응하여 수평하게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의 주요구성요소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의 구성은 먼저, 하부에 제품패널의 하부 형상을 형성하는 하형(1)이 배치되고, 상기 하형(1)의 상부에는 상하로 작동하는 슬라이드(미도시)에 상형(3)이 장착된다.
상기 상형(3)의 하부에는 상형(3)과의 사이에 쿠션 스프링(5; 도 4참조)을 통하여 쿠션패드(7; 도 4참조)가 장착되어 상기 하형(1)과 함께, 패널(10, 도 4참조)을 패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형(1)에는 그 외측을 따라 하형 트림스틸(9)이 설치되며, 상기 하형 트림스틸(9)에 대응하여 상기 상형(3)의 하부에는 상형 트림스틸(11; 도 4참조)이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미도시)의 하강 작동에 따라 상기 하형 트림스틸(9)과 함께, 하형(1)과 쿠션패드(7) 사이에 패딩된 상기 패널(10)의 가장자리를 트림 가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형 트림스틸(9)과 상기 상형 트림스틸(11)의 외측으로 각각 하형(1)과 상형(3)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하형 스크랩 커터(13) 및 상형 스크랩 커터(15)가 각각 장착되어 상기 하형(1)과 쿠션패드(7) 사이에 패딩된 패널(10)의 가장자리를 절단 가공함과 동시에, 절단된 스크랩(17)을 다시 여러 장의 스크랩으로 절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형 스크랩 커터(15)의 외부 일측에서, 상기 하형 및 상형 스크랩 커터(13,15)에 의해 다시 절단되는 스크랩(17)을 상형(3)의 작동과 연동하여 상기 하형 스크랩 커터(13) 사이로부터 취출하도록 래치와 아암으로 구성되는 스크랩 취출수단을 구성하는데, 상기 스크랩 취출수단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형 스크랩 커터(15)의 외부 일측에서, 상기 상형(3)에 하향하여 가이드 아암(21)이 체결되며, 이 가이드 아암(21)은 그 하단에 힌지부(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아암(21)의 힌지부(23)에는 래치(25)가 힌지 체결되는데, 상기 래치(25)는 상기 힌지부(23)를 잇는 수평선상(S)에 대하여 자유단부(27)가 상부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아암(21)의 그 하단 측면이 상기 래치(25)의 힌지 체결되는 선단의 상단면(29)에 대응하여 수평하게 단차진 지지면(3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면(31)은 상기 힌지부(23)를 잇는 수직선상(T)에 대하여 래치(25)의 자유단부(27)의 반대측 상단면(29)을 지지하도록 소정거리(L)만큼 편심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에 의해 패널의 가공 및 절단된 스크랩의 취출 작동을, 도 4 내지 도 8을 통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도 4에서와 같이, 하형(1)과 쿠션패드(7) 사이에 패널(10)이 투입되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상형(3)이 상부의 슬라이드(미도시)에 의해 하강 작동을 시작한다.
그리면, 상기 가이드 아암(21) 상의 래치(25)는 상기 상형(3)의 하강 작동에 따라, 그 자유단부(27)가 상기 패널(10)이 선단에 접촉하여 힌지부(23)를 중심으로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 회전하여 패널(10)과의 간섭을 피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형(3)이 하강하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상형 트림스틸(11)과 하형 트림스틸(9)의 작동에 의해 패널(10)은 그 가장자리 부분이 절단되어 스크랩(17)을 발생시키며, 동시에 상기 절단된 스크랩(17)은 다시 상기 상형(3)의 작동에 연동하는 상형 스크랩 커터(15)와, 하형 스크랩 커터(13)에 의해 여러 장의 스크랩(17)으로 잘게 절단된다.
이 때, 절단된 스크랩(17)은 상기 하형 스크랩 커터(13)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어서, 도 7에서와 같이, 상형(3)이 상승 복귀 작동을 진행하게 되면, 상기래치(25)는 상기 하형 스크랩 커터(13) 사이에 끼여있는 절단된 스크랩(17)의 일측을 걸어 상형(3)의 상승 작동과 연동하여 계속 상승하면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스크랩(17)을 하형 스크랩 커터(13) 사이로부터 완전히 취출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에 의하면, 패널을 트리밍 성형한 후, 발생되는 스크랩의 취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스크랩을 절단하는 스크랩 커터 사이에 래치를 이용하여 취출함으로서, 상기 스크랩이 하형 스크랩 커터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크랩 커터의 날부 파손 및 금형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제품패널의 하부 형상을 가지며 가장자리를 따라 하형 트림스틸을 구비하는 하형과; 상기 하형의 상부에서 상하로 작동하는 슬라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하형 트림스틸에 대응하는 상형 트림스틸을 구비하는 상형과; 상기 상형의 내측으로 쿠션 스프링을 통하여 장착되어 상기 하형과 함께 패널을 패딩하는 쿠션패드와; 상기 하형의 하형 트림스틸과 상기 상형의 상형 트림스틸의 외측으로 각각 하형과 상형에 장착되는 하형 및 상형 스크랩 커터를 포함하여 상기 하형과 쿠션패드 사이에 패딩된 소재패널의 가장자리를 절단 가공함과 동시에, 절단된 스크랩을 다시 여러 장의 스크랩으로 절단하는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형 스크랩 커터의 외부 일측에서, 상기 하형 및 상형 스크랩 커터에 의해 다시 절단되는 스크랩을 상형의 작동과 연동하여 상기 하형 스크랩 커터 사이로부터 취출하도록 래치와 아암으로 구성되는 스크랩 취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취출수단은
    상기 상형 스크랩 커터의 외부 일측에서, 상기 상형에 하향하여 체결되며, 하단에는 힌지부가 형성되는 가이드 아암과;
    상기 가이드 아암의 힌지부에 힌지 체결되며, 상기 힌지부를 잇는 수평선상에 대하여 자유단부가 상부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래치로 이루어지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아암은
    그 하부에 상기 래치의 힌지 체결되는 선단의 상단면에 대응하여 수평하게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
KR1020020036397A 2002-06-27 2002-06-27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 KR20040001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397A KR20040001259A (ko) 2002-06-27 2002-06-27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397A KR20040001259A (ko) 2002-06-27 2002-06-27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259A true KR20040001259A (ko) 2004-01-07

Family

ID=37313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397A KR20040001259A (ko) 2002-06-27 2002-06-27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12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8930A (zh) * 2012-05-21 2012-09-26 上海捷众汽车冲压件有限公司 一种新颖便捷的托料卸料二合一装置
KR102112245B1 (ko) * 2018-11-21 2020-05-18 하순원 트리밍 금형
CN116237407A (zh) * 2023-02-14 2023-06-09 东莞市声德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水壶发热盘减料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7721A (ja) * 1990-10-09 1992-05-21 Nissan Motor Co Ltd トリミングプレス型
KR980006865U (ko) * 1996-07-27 1998-04-30 양재신 프란자핀이 장착된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커터
KR19990025340A (ko) * 1997-09-12 1999-04-06 양재신 금형의 스크랩 취출기
KR20000021644A (ko) * 1998-09-30 2000-04-25 김태구 프레스 금형용 스크랩 취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7721A (ja) * 1990-10-09 1992-05-21 Nissan Motor Co Ltd トリミングプレス型
KR980006865U (ko) * 1996-07-27 1998-04-30 양재신 프란자핀이 장착된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커터
KR19990025340A (ko) * 1997-09-12 1999-04-06 양재신 금형의 스크랩 취출기
KR20000021644A (ko) * 1998-09-30 2000-04-25 김태구 프레스 금형용 스크랩 취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8930A (zh) * 2012-05-21 2012-09-26 上海捷众汽车冲压件有限公司 一种新颖便捷的托料卸料二合一装置
KR102112245B1 (ko) * 2018-11-21 2020-05-18 하순원 트리밍 금형
CN116237407A (zh) * 2023-02-14 2023-06-09 东莞市声德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水壶发热盘减料设备
CN116237407B (zh) * 2023-02-14 2024-02-13 东莞市声德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水壶发热盘减料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01259A (ko) 트리밍용 프레스 장치
KR100394628B1 (ko) 스크랩 취출장치
KR101382349B1 (ko) 프레스용 스크랩 취출장치
JPH11197893A (ja) 多段プレス設備
KR20090015503A (ko) 트리밍 및 플랜징 작업용 프레스 금형
JP2807952B2 (ja) ワークのプレス装置
CN216729088U (zh) 一种边撑管加工模具
CN215318941U (zh) 一种毡零件的成型模结构
JPS61182842A (ja) 金属パイプの塑性加工装置
KR100551304B1 (ko) 프레스용 패널 검출장치
KR20000021644A (ko) 프레스 금형용 스크랩 취출장치
CN220426485U (zh) 一种气动去披锋机
JPH105890A (ja) 抜き加工装置
KR100774331B1 (ko) 펀치 프레스
JPH04167933A (ja) パネルの切断成形機
CN212703891U (zh) 一种刺破结构及其模具
CN218018902U (zh) 一种汽车密封条用自动分切裁条装置
CN215657367U (zh) 废料防跳出结构以及模具
CN213288319U (zh) 一种后背门冲孔工装
CN210523530U (zh) 一种汽车板件二次剪边结构
KR20160052065A (ko) 스크랩 자동취출을 위한 프레스 금형
KR200306076Y1 (ko) 반도체패키지의댐바절단장치
KR100461674B1 (ko) 프레스 금형
KR100507472B1 (ko) 복합 플랜지 성형용 프레스 장치
JPS5924541A (ja) 車輛用サツシユの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