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0999A -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 - Google Patents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0999A
KR20040000999A KR1020020036046A KR20020036046A KR20040000999A KR 20040000999 A KR20040000999 A KR 20040000999A KR 1020020036046 A KR1020020036046 A KR 1020020036046A KR 20020036046 A KR20020036046 A KR 20020036046A KR 20040000999 A KR20040000999 A KR 20040000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veyor belt
fixed
cover
sid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5078B1 (ko
Inventor
최복수
김기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3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078B1/ko
Publication of KR20040000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0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2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from a mass of loose granular or fibr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61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by using gas-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를 후공정의 설비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원료를 보호하기 위하여 원료배출슈트의 이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 롤 프레임(8c)에 고정되어 컨베이어벨트(4) 내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측면고정커버(10a,10b)와; 상기 일측 측면고정커버(10b)의 상단부에 탄력 지지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개폐 게이트(11)와; 상기 개폐 게이트(11)의 중앙부에 형성된 브래킷(11a)에 회전가능하도록 롤축(22a)으로 고정되는 푸시롤러(16)와; 상기 롤축(22a)의 상단부를 가이드 결합하면서 상기 측면고정커버(10b)의 중앙 측면부에 형성된 가이드 고정부(17b)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17a)과; 상기 푸시롤러(16)에 접촉하도록 이동슈트(3a)에 고정되는 반곡형 스트라이커(20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장비의 움직임에 따라 컨베이어벨트에 설치된 각각의 커버가 자동으로 개폐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후공정 설비로 안정적이고 능률적인 원료공급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 {UPPER COVER OF CONVEYOR-BELT WITH A FUNCTION OF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본 발명은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를 후공정의 설비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벨트에 적재되어 이송되는 원료를 보호하기 위하여 원료배출슈트의 이동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드에 혼합 적치된 브렌딩광(1)과 같은 원료를 소결로와 같은 후공정설비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장비인 브랜딩 리크레머(Blending Reclaimer; 2)의 회전식 버킷(2a)이 원료를 포집하여 이동슈트(3a)로 불출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컨베이어(5)로 상기 회전식 버킷(2a)이 원료를 불출하게 되면 상기 이동슈트(3a)를 통하여 하부 컨베이어벨트(4)로 낙하여 적재되어 지는데, 이동슈트(3a)의 하부에는 슈트 가이드(3b)가 형성되어 낙하하는 원료의 비산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이동슈트(3a)의 하부 측면에 지지대(3c)에 지지되는 다수개의 캐리어 롤(6)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주행모터(9a)의 구동에 의하여 리클레이머(2)가 주행할 때 컨베이어벨트(4) 상을 이동하면서 원료를 불출하여 적재하게 되는 것이며,
원료를 불출받은 상기 컨베이어벨트(4)는 하부 캐리어 롤(8a)에 의하여 지지되어 원료를 이송하게 되며, 이송된 원료를 후공정 설비로 불출완료한 컨베이어벨트(4)는 하부 롤 프레임(8c)에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하부 지지롤(8b)에 지지되어 회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나, 상기한 컨베이어벨트(4)가 원료를 적재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악천후로 인하여, 즉 비가 온다든가 강풍이 불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죽광(1a)과 같이 되어 벨트(4)의 하부로 낙하하여 주위환경을 오염시키고, 원료의 손실을 초래하고 있으며, 또한 강풍이 불어오는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4) 상에 적재된 원료가 분광(1b)과 같이 되어 주위환경 및 대기오염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4)에 지지대를 세우고, 이에 원료보호용 천막(4a)을 설치하여 악천후로부터 이송되는 원료를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방법은 리클레이머(2)의 이동슈트(3a)가 근접하면, 컨베이어벨트(4)로부터 보호용 천막(4a)을 수작업으로 미리 걷어내어 이동슈트(3a)가 지나갈 수 있는 공간만 마련한 다음, 이동슈트(3a)가 지나가면 다시 수작업으로 보호용 천막(4a)을 설치함으로써 작업의 능율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또한 악천후 발생, 즉 강풍이 발생되면 보호용 천막(4a) 날아가 버리기 때문에 이송되는 원료가 비산되어 손실되거나 주위환경 및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크레이머의 이동슈트가 근접하는 거리에 따라 컨베이어벨트에 설치되는 보호용 상부커버의 자동적으로 개방됨으로써 이동슈트가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이동슈트가 지나감에 따라 다시 보호용 상부커버가 자동적으로 폐쇄되어 컨베이어벨트 상의 적재 이송물을 보호할 수 있는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하는 브렌딩 리크레이머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브렌딩 리크레이머의 배출슈트와 연결된 컨베이어벨트의 연결 구성도;
도 3은 원료 불출장비인 컨베이어벨트의 문제발생 상황도;
도 4는 컨베이어벨트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의 작동관계를 도시하기 위한 작용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리클레이머 8c:롤 프레임 4:컨베이어벨트 10a,10b:측면고정커버
11:개폐 게이트 22a:롤축 16:푸시롤러 17b:가이드 고정부
17a:가이드 레일 20a:반곡형 스트라이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의 양측 롤 프레임에 고정되어 컨베이어벨트 내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측면고정커버와, 상기 일측 측면고정커버의 상단부에 탄력 지지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개폐 게이트와, 상기 개폐 게이트의 중앙부에 형성된 브래킷에 회전가능하도록 롤축으로 고정되는 푸시롤러와, 상기 롤축의 상단부를 가이드 결합하면서 상기 측면고정커버의 중앙 측면부에 형성된 가이드 고정부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푸시롤러에 접촉하도록 이동슈트에 고정되는 반곡형 스트라이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폐 게이트가 상기 일측 측면고정커버의 양측에 형성된 홀더를 관통하는 한 쌍의 게이트바와 함께, 상기 개폐 게이트의 중앙부에 형성된 브래킷에 유동가능하도록 가이드의 일측이 상호 교차하여 결합하면서 상기 홀더의 상부면에 유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시저스 바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개폐 게이트가 상기 브래킷에서 상호 교차하는 상기 시저스 바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측면고정커버의 중앙부에 형성된 가이드 고정부에 스프링을 삽입하여 유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스프링 샤프트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4)의 롤 프레임(8c) 양측으로 측면고정커버(10a,10b)를 수직 설치하고, 도면상에서 좌측측면고정커버(10a)의 상단높이와 각은 우측보다 높게 유지하고, 중간에 고정 스토퍼(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측 측면고정커버(10b), 즉 도면상에서는 우측 측면고정커버(10b)는 상단 경사면 단부 모서리부분의 양측으로 한 쌍의 홀더(13b)가 취부되고,
상기 홀더(13b)에 한 쌍의 게이트 바(13a)가 통과되어 상단부가 게이트 고정홀(11b)에 연결되며, 하단부는 홀더(13b)에 고정너트(13d)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양측 홀더(13b) 중앙에 가이드레일(17a)이 측면고정커버(10b) 경사면과 같은 각으로 유지되어, 가이드고정부(17b)에 취부되고, 상기 고정부(17b)의 사각홈내측으로 한 쌍의 가이드롤(18)이 장착되며, 이러한 전체 구성은 일측 측면고정커버(10b)의 경사면 끝 모서리부분에 설치가 된다.
또한, 중앙부에 일자형 가이드(15c,15d)가 형성된 한 쌍의 시저스 바(15a,15b)의 하단부분은 상기 설치된 한 쌍의 홀더(13b)에 부착되는 고정부(13c)에 볼트(15e) 고정되며,
상기 시저스 바(15a,15b)의 상단부는 좌, 우측과 교차된 상태에서 상단부에는 와셔(23), 스프링 샤프트(21)의 체결부(21b), 푸시롤러(16)각 각각 일자형태로 위치하여 롤축(22a)이 각 사이를 통과하여 맨 하단에는 게이트(11)에 부착된 브래킷(11a)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고정너트(22b)에 의해 전체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 샤프트(21)에는 스프링(19)이 삽입 장착되고, 샤프트(21)의 단부는 가이드고정부(17b)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한 쌍의 가이드롤(18) 사이를 통과하여 와셔와 함께 고정너트(21a)에 의해 고정되어진다.
또한, 이동되는 이동슈트(3a) 외측으로는 스트라이커 지지대(20b)에 의해 양측이 라운드 형상을 유지하는 반곡형스트라이커(20a)가 벨트 길이방향 좌, 우로 누워있는 형태로 설치가 되며, 누워있는 각은 우측커버(10b) 상단 경사면 각과 동일하게 유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의 작동관계를 도시하기 위한 작용 평면도이다.
상기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한 각각의 도면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용은 리클레이머(2)와 같은 이동설비의 이동슈트(3a)가 근접해 오면 슈트(3a)보다 더 돌출된 반곡형 스트라이커(20a)의 라운드 끝 부분이 미리 푸시롤러(16)에 접촉하여 상기 푸시롤러(16)를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상기 푸시롤러(16)가 하향 경사지도록 밀리면, 상기 한 쌍의 시저스 바(15a,15b)가 서로 교차하면서 더욱 깊게 겹쳐지게 되고,
이러한 상기 시저스 바(15a,15b)가 작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19)의 힘에 의해 개폐 게이트(11)를 경사 상단면으로 밀고 있던 스프링 샤프트(21)가 하부로 후퇴하면서 상기 개폐게이트(11)를 끌고 내려와 게이트(11)가 개방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슈트(3a)가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이 생긴다.
이 때, 상기 푸시롤러(16)가 뒤로 밀리면서 상기 스프링 샤프트(21)가 경사면으로 하강할 때, 상기 가이드 롤(18) 사이로 통과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뒤틀림없이 상기 게이트(11)가 개방되어지며, 이와 동시에 상기 게이트 바(13a)도 스프링 샤프트(21)와 마찬가지로 홀더(13b) 사이를 통과하면서 뒤로 밀리게 된다.
상기 스프링 샤프트(21)이 뒤로 밀리는 과정에서 상기 푸시롤러(16) 상단부가 가이드레일(17a)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내려옴으로 샤프트(21)나 개폐 게이트(11)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래서 이동슈트(3a)에 장착된 반곡형 스트라이커(20a)의 범위 내에 있는 개폐게이트(11)는 전부 후퇴하여 개방위치로 되어있고, 상기 반곡형 스트라이커(20a)가 상기 푸시롤러(16)를 벗어나면 스프링(19)의 복귀동작으로 푸시롤러(16)가 경사 상단측으로 개폐 게이트(11)를 밀고 올라가서 좌측 측면고정커버(10a) 상단의 고정스토퍼(12)에 끼이면서 폐쇄되어진다.
이러한 상기 고정 스토퍼(12) 밑으로 상기 개폐 게이트(11)가 들어가면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강풍시 커버(10a, 10b) 또는 개폐게이트(11)가 유동되거나 이탈현상을 막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장비의 움직임에 따라 컨베이어벨트에 설치된 각각의 커버가 자동으로 개폐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집중 폭우시 우수침투를 방지하고 돌풍발생시 원료비산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개선할 뿐 아니라 원료손실을 예방할 수 있으며, 후공정 설비로 안정적인 원료공급을 실현하여 조업안정화를 기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능률저하를 방지하고,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양측 롤 프레임(8c)에 고정되어 컨베이어벨트(4) 내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측면고정커버(10a,10b)와;
    상기 일측 측면고정커버(10b)의 상단부에 탄력 지지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개폐 게이트(11)와;
    상기 개폐 게이트(11)의 중앙부에 형성된 브래킷(11a)에 회전가능하도록 롤축(22a)으로 고정되는 푸시롤러(16)와;
    상기 롤축(22a)의 상단부를 가이드 결합하면서 상기 측면고정커버(10b)의 중앙 측면부에 형성된 가이드 고정부(17b)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17a)과;
    상기 푸시롤러(16)에 접촉하도록 이동슈트(3a)에 고정되는 반곡형 스트라이커(20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고정커버(10a,10b)중 일측 측면고정커버(10a)는 상기 개폐 게이트(11)의 폐쇄시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단 중앙부에 고정 스토퍼(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게이트(11)는 상기 일측 측면고정커버(10b)의 양측에 형성된홀더(13b)를 관통하는 한 쌍의 게이트바(13a)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게이트(11)는 이의 중앙부에 형성된 브래킷(11a)에 유동가능하도록 가이드(15c,15d)의 일측이 상호 교차하여 결합하면서 상기 홀더(13b)의 상부면에 유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시저스 바(15a,15b)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
  5. 제1항 또는 제4에 있어서,
    상기 개폐 게이트(11)는 상기 브래킷(11a)에서 상호 교차하는 상기 시저스 바(15a,15b)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측면고정커버(10b)의 중앙부에 형성된 가이드 고정부(17b)에 스프링(19)을 삽입하여 유동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스프링 샤프트(21)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샤프트(21)는 상기 측면고정커버(10b)의 중앙부에 형성된 가이드 고정부(17b)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롤(18)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
KR1020020036046A 2002-06-26 2002-06-26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 KR100895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046A KR100895078B1 (ko) 2002-06-26 2002-06-26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6046A KR100895078B1 (ko) 2002-06-26 2002-06-26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999A true KR20040000999A (ko) 2004-01-07
KR100895078B1 KR100895078B1 (ko) 2009-04-28

Family

ID=3731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6046A KR100895078B1 (ko) 2002-06-26 2002-06-26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0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452B1 (ko) * 2012-11-28 2014-08-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송부 개폐장치
KR101463348B1 (ko) * 2013-07-29 2014-11-19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용 우수 차단장치
KR20190029295A (ko) * 2017-09-12 2019-03-20 문양식 화물 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731B1 (ko) * 2018-08-22 2020-03-19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이동형 중첩식 저장물 밀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2235U (ja) * 1983-03-15 1984-09-2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の防塵装置
JPH05147718A (ja) * 1991-11-27 1993-06-15 Mitsui Miike Mach Co Ltd ベルトコンベアーによる運搬方法及びその装置
JP3049541B2 (ja) * 1995-12-22 2000-06-05 開発電気株式会社 包み込み型ベルトコンベヤ
KR200188201Y1 (ko) * 2000-01-17 2000-07-15 손종호 원료 투입 콘베어 벨트 라인 보호 커버 자동 개폐 장치
JP2001247212A (ja) * 2000-03-07 2001-09-11 Murata Giken:Kk 開閉可能なカバーを有するチェーンコンベヤ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452B1 (ko) * 2012-11-28 2014-08-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송부 개폐장치
KR101463348B1 (ko) * 2013-07-29 2014-11-19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용 우수 차단장치
KR20190029295A (ko) * 2017-09-12 2019-03-20 문양식 화물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5078B1 (ko) 200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1470B2 (en) Safety gate for loading dock lift
KR20060001881A (ko) 원료이송벨트컨베이어용 무빙커버
KR100895078B1 (ko) 자동개폐식 컨베이어벨트 상부커버
KR100796036B1 (ko)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KR100796035B1 (ko) 하역장비의 연료 및 원료 수송용 컨베이어 커버장치
KR20120047091A (ko) 벨트 컨베이어 상부 커버링 장치
CN114476490B (zh) 一种胶暗箱生产设备的上料结构
CN101348189A (zh) 沉降抛物式多点卸料带式输送机
KR101087130B1 (ko) 컨베이어 벨트용 차단장치
KR101463348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우수 차단장치
KR200410441Y1 (ko) 원료이송벨트컨베이어용 무빙커버
KR100879846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
KR100323060B1 (ko) 컨베어 벨트의 사행방지 안내장치
US7537103B2 (en) Portal-type scraper reclaimer with bent reclaimer boom
KR100977774B1 (ko) 원료수송 주행 슈트와 연동하는 무동력 자동 개폐 장치
KR101980235B1 (ko) 화물 이송 장치
KR200225917Y1 (ko)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방호장치
CN215313983U (zh) 移动分拣系统
KR101188735B1 (ko) 상?하부지붕이 동시에 구동되는 아케이드 및 상?하부지붕의 구동방법
KR200177693Y1 (ko) 벨트 커버를 개폐하는 수불기 콘베어
CN206374739U (zh) 一种适用于复杂路况长距离索道运输的卸料箱
KR200251277Y1 (ko) 원료탄 이송벨트용 벨트카바 개폐장치
CN220060261U (zh) 一种矿山机械用耐磨专用阀
KR200339550Y1 (ko) 언로더 양방향 벨트의 스커트 자동 개폐장치
KR0123711Y1 (ko) 슬라이딩 게이트 커팅댐퍼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