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774B1 - 원료수송 주행 슈트와 연동하는 무동력 자동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원료수송 주행 슈트와 연동하는 무동력 자동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774B1
KR100977774B1 KR1020030042491A KR20030042491A KR100977774B1 KR 100977774 B1 KR100977774 B1 KR 100977774B1 KR 1020030042491 A KR1020030042491 A KR 1020030042491A KR 20030042491 A KR20030042491 A KR 20030042491A KR 100977774 B1 KR100977774 B1 KR 100977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hute
opening
arm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2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3574A (ko
Inventor
조영암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42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774B1/ko
Publication of KR20050003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20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the hoppers or chutes being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소에서 코크스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원료탄을 운반하는 벨트 컨베이어 시설에 있어서 원료탄 수송작업시 원료탄을 사용 목적지까지 수송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수송 루트를 선택하고 수송물인 원료탄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벨트 컨베이어와 벨트 컨베이어를 연결하여 주는 주행슈트와 관련된 발명으로서, 특히 주행슈트의 이동과 연동하여 선택 슈트의 상부를 자동으로 개폐시켜 주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수송작업시 원료탄의 비산을 억제하고 또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볼 발명은 주행슈트(4) 상부에 지지대(11)를 설치하여 이에 개폐 플레이트(13)를 가진 복수의 플레이트축(13a)들과 개폐 플레이트(14)를 가진 복수의 플레이트축(14a)들을 각각 회전자재로 설치지지하고, 상기 플레이트 축(13a)(14a)들의 일측에는 서로 인접한 일군의 플레이트축(13a)들과 다른 일군의 플레이트축(14a)들을 각각 회전작동시키는 아암(17)(17a)들과 아암(16)(16a)들을 연결설치하며, 상기 주행슈트(4)의 일측에는 상기 아암(16)(17)의 롤러(22)(23)에 접동되는 플레이트개방작동용의 작동구(18)(19)와 상기 아암(16)(17)에 접동되는 플레이트폐쇄작동용의 작동구(20)(21)를 설치하여서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수송 주행슈트와 연동하는 무동력 자동 개폐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료수송 주행 슈트와 연동하는 무동력 자동 개폐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OF CHUTE IN BELT CONVEYOR SYSTEM HAVING OVER CHANGE CHUTE}
도1은 본 발명이 관련된 원료탄 수송 슈트 시설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4, 도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대차 4 : 주행슈트
8 : 레일 9, 10 : 벨트 컨베이어
11 : 지지대 12 : 베어링
13, 14 : 개폐 플레이트 13a, 14a : 플레이트축
16, 17, 16a, 17a : 아암 18, 19 : 플레이트개방작동용의 작동구
20,21 : 플레이트폐쇄작동용의 작동구 22, 23 : 롤러
본 발명은 제철소의 원료수송 주행슈트와 연동하는 무동력 자동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 사용하는 원료탄을 야적장에서 목적지까지 운송하기 위해서는 여러 벨트 컨베이어를 한 그룹으로 구성하여 운송하게 되는데, 벨트 컨베이어와 벨트 컨베이어간의 연결부에는 슈트라는 장치를 써서 운송물이 한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다른 벨트 컨베이어로 원활하게 전달이송되도록 하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이 관련된 원료수송 슈트 시설의 구성 및 사용상태를 보여 주는데, 주행슈트(4)로부터의 원료가 두 벨트 컨베이어(9)(10)중 어느 한 쪽으로 낙하운송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테일슈트(27,28)가 설치구비되어 있고, 이 테일슈트(27,28) 상부에 주행슈트(4)를 가진 대차(3)가 레일(8)을 따라 한쪽 테일슈트(27)나 다른쪽 테일슈트(28) 상부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종래의 이러한 슈트 설비에 있어서는 슈트를 통해 원료탄이 벨트 컨베이어 상으로 낙하 이송될 때 원료탄의 낙차 때문에 자체 풍압이 발생되어 낙하되는 원료탄의 일부가 비산됨으로써 주변설비와 작업환경 오염의 요인이 되고, 또한 작업자에 대한 안전 방호물이 없어 작업자가 슈트 내부로 추락할 수 있는 안전사고발생의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슈트설비를 사용한 원료탄 낙하 이송시 원료탄의 일부가 비산되어 주변설비 및 작업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것과, 열려진 슈트 상부를 통해 작업자가 슈트내로 추락하게 되는 것을 효과있게 방지할 수 있는, 원료수송 주행슈트와 연동하는 무동력 자동 개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3은 상기 개폐 장치를 설치적용한 제철소 원료이송 슈트 설비의 개략 사시도인데, 주행슈트(4) 상부에 지지대(11)가 설치되어 이에 상기 주행슈트(4)의 이동에 따라 개방위치로 회전작동되거나 폐쇄위치로 회전작동되어지는 다수의 개폐 플레이트(13)(14)들이 설치제공된다.
상기 개폐 플레이트(13)(14)들은 각각 상기 지지대(11)에 베어링(12)을 통해 회전자재로 설치지지되는 플레이트축(13a)(14a)상에 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와 같이 설치된 개폐 플레이트(13)(14)들은 상기 주행 슈트(4)의 이동위치에 따라 예컨대 도3과 같이 주행슈트(4) 직상부에 위치하는 일군의 플레이트(13)들이 열림위치로 함께 회전 작동되면 나머지 다른 일군의 플레이트(14)들은 닫힘위치로 함께 회전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개폐 플레이트(13)(14)들이 설치되어 있는 일측에는 일군의 플레이트축(14a)들을 함께 회전작동시켜 주기 위한 아암(16)(16a)과, 다른 일군의 플레이트축(13a)들을 함께 회전작동시켜 주기 위한 아암(17)(17a) 들이 도시된 양태로 설치제공되고, 주행슈트(4) 일측에는 상기 아암(16) 일측의 롤러(22)나 아암(17) 일측의 롤러(23)에 접동되는 플레이트개방작동용의 작동구(18)(19)와, 상기 아암(16)이나 아암(17)에 접동되는 플레이트폐쇄작동용의 작동구(20)(21)가 설치제공된다. 상기 플레이트개방작동용의 작동구(18)(19)는 각각의 양측이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폐쇄작동용의 작동구(20)(21)는 그 선단부에 롤러(20a)(21a)가 부설되어 있다.
작용에 있어서, 도4와 도6의 (가)는 상기 주행슈트(4)가 예컨대 일측 벨트 컨베이어(9)(도3 참조)에 대한 원료이송 위치로 완전히 이동된 상태를 보여 주는데, 이 상태에서는 상기 주행슈트(4)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구(18)에 의해 롤러(22)가 밀려 올라가 이 롤러(22)를 설치하고 있는 아암(16)이 도시된 위치로 들려 올라간 위치에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아암(16)에 아암(16a)들을 통해 연결설치되어 있는 플레이트축(14a)들이 함께 일측으로 회전되어져서 이들 플레이트축(14a)에 설치되어 있는 플레이트(14)들이 함께 개방위치로 작동되어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주행슈트(4)로부터 벗어나 있는 다른 일군의 플레이트(13)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상태에 있게 되어 그 하방으로부터의 비산 원료를 차단하여 주고 또 관련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여 준다.
상술한 상태에서, 상기 주행슈트(4)가 다른 쪽 벨트 컨베이어(10)에 대한 원료이송 위치로 이동되어 가면 상기 개폐 플레이트(13)(14)들이 도5와 도6의 (나)와 같은 상태로 작동되어지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개방되어 있던 플레이트(14)들측의 아암(16)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22)가 상기 주행슈트(4)상의 작동구(18)를 벗어 나게 되는 동시에 동 주행슈트(4) 상의 플레이트폐쇄작용의 작동구(20)가 상기 아암(16)을 아래로 밀어 이동시켜 주게 되어서 상기 개방되어 있던 플레이트(14)들이 함께 폐쇄위치로 작동되어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주행슈트(4)상의 다른 쪽 플레이트개방작동용의 작동구(19)가 폐쇄되어 있던 플레이트(13)들측의 아암(17)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23)를 밀어 올려 상기 아암(17)의 상승작동시켜 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아암(17)에 아암(17a)들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플레이트축(13a)들이 함께 회전작동되어 이들 플레이트축(13a)상의 플레이트(13)들이 함께 개방위치로 작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주행 슈트(4)의 이동위치에 따라 상기 개폐 플레이트(13)(14)들이 도4, 도6의 (가)와 같은 상태나 도5, 도6의 (나)와 같은 상태로 개폐 작동되어지고, 이와 같은 플레이트(13)(14)들의 개폐작동이 별도의 동력을 사용할 필요없이 상기 주행슈트(4)의 이동과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잘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작용에 의해 주행슈트를 사용한 제철소 원료탄 수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원료탄 비산을 최소화하여 비산 원료탄에 의한 관련설비 및 작업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작업자의 추락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신규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주행슈트(4) 상부에 지지대(11)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11)에 개폐 플레이트(13)를 가진 복수의 플레이트축(13a)들과 개폐 플레이트(14)를 가진 복수의 플레이트축(14a)들이 각각 회전자재로 설치지지되고, 서로 인접한 일군의 플레이트 축(13a)들의 일측에는 각각 아암(17a)이 고정되고, 플레이트 축(13a)에 고정된 각각의 아암(17a)의 타측에는 아암(17)이 연결설치되며, 아암(17)에는 롤러(23)가 설치되고, 서로 인접한 다른 일군의 플레이트 축(14a)들의 일측에는 각각 아암(16a)이 고정되고, 플레이트 축(14a)에 고정된 각각의 아암(16a)의 타측에는 아암(16)이 연결설치되며, 아암(16)에는 롤러(22)가 설치되고, 상기 주행슈트(4)의 일측에는 아암(16)에 설치되는 롤러(22)에 접동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개방작동용의 작동구(18)와 플레이트폐쇄작동용의 작동구(20)가 설치되며, 상기 주행슈트(4)의 일측에는 아암(17)에 설치되는 롤러(23)에 접동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개방작동용의 작동구(19)와 플레이트폐쇄작동용의 작동구(21)가 설치되며, 롤러(22)에 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플레이트개방작동용의 작동구(18) 및 롤러(23)에 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플레이트개방작동용의 작동구(19)는 각각의 양측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롤러(22)에 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플레이트폐쇄작동용의 작동구(20) 및 롤러(23)에 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플레이트폐쇄작동용의 작동구(21)는 그 선단부에 롤러(20a)(21a)가 부설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수송 주행슈트와 연동하는 무동력 자동 개폐 장치.
KR1020030042491A 2003-06-27 2003-06-27 원료수송 주행 슈트와 연동하는 무동력 자동 개폐 장치 KR100977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491A KR100977774B1 (ko) 2003-06-27 2003-06-27 원료수송 주행 슈트와 연동하는 무동력 자동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2491A KR100977774B1 (ko) 2003-06-27 2003-06-27 원료수송 주행 슈트와 연동하는 무동력 자동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574A KR20050003574A (ko) 2005-01-12
KR100977774B1 true KR100977774B1 (ko) 2010-08-24

Family

ID=3721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2491A KR100977774B1 (ko) 2003-06-27 2003-06-27 원료수송 주행 슈트와 연동하는 무동력 자동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636B1 (ko) 2009-09-11 2013-02-20 주식회사 포스코 블랜딩빈의 상단 커버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670B1 (ko) * 2009-05-26 2012-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 개폐장치
CN102765574B (zh) * 2012-07-24 2014-12-10 湖州锐格物流科技有限公司 用于先进先出式重力滑道的托盘自动分离、手动放行装置
KR101500180B1 (ko) * 2013-10-29 2015-03-06 주식회사 포스코 사일로 시스템
KR101581543B1 (ko) * 2014-04-29 2015-12-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 커버장치
KR102659508B1 (ko) * 2022-05-27 2024-04-19 한홍 코일카 피트의 작업자 안전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157Y1 (ko) 2000-09-09 2001-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고철슈트용 커버장치
KR20010047959A (ko) * 1999-11-24 2001-06-15 이구택 원료처리용 연속식 언로더의 슈트 자동덮개장치
KR20030045870A (ko) * 2001-12-01 2003-06-12 주식회사 포스코 개방식 그리즐리 바가 장착된 트리퍼카 슈트
KR20040056283A (ko) *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식 언로더의 슈트 커버 자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959A (ko) * 1999-11-24 2001-06-15 이구택 원료처리용 연속식 언로더의 슈트 자동덮개장치
KR200213157Y1 (ko) 2000-09-09 2001-0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고철슈트용 커버장치
KR20030045870A (ko) * 2001-12-01 2003-06-12 주식회사 포스코 개방식 그리즐리 바가 장착된 트리퍼카 슈트
KR20040056283A (ko) * 2002-12-23 2004-06-30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식 언로더의 슈트 커버 자동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636B1 (ko) 2009-09-11 2013-02-20 주식회사 포스코 블랜딩빈의 상단 커버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574A (ko)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416B1 (ko) 팔레트 차 교체 장치
KR101864594B1 (ko) 자력 타입 반송 로울러를 구비하여서 되는 자력 회전식 화물 분류장치 및 분류 방법
KR100977774B1 (ko) 원료수송 주행 슈트와 연동하는 무동력 자동 개폐 장치
CN107010330A (zh) 具有分流导料功能的漏斗装置
KR101167171B1 (ko) 슈트 개폐장치
KR20110060009A (ko) 벨트컨베이어의 커버장치
CN206984807U (zh) 具有分流导料功能的漏斗装置
KR101253848B1 (ko) 컨베이어 샤틀 설비
KR20020049179A (ko) 수송 컨베이어의 2방향 슈트 댐퍼장치
KR101294916B1 (ko) 운송물 처리장치
JP5302575B2 (ja) スクラップ搬送装置及びスクラップ搬送方法
KR101159670B1 (ko) 슈트 개폐장치
KR20030034897A (ko)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CN212169752U (zh) 一种锯床用高效联合收料输送结构
KR20130013619A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20220002894U (ko) 벨트 컨베이어의 언로딩 장치의 캐리어 롤러
KR20040026171A (ko) 컨베이어 셔틀측 슈트 개공구 개폐장치
KR20020043704A (ko) 낙 코크스 자동처리장치
KR200172628Y1 (ko) 트리퍼 카 슈트의 병목현상 방지장치
JPH047895Y2 (ko)
JPH10236656A (ja) スクレーパ式バンカ荷分け装置
KR20200089051A (ko) 시료 채취장치
KR19990006240U (ko) 벨트콘베이어의 이송물 낙하방지 장치
JPS61193751A (ja) タンデイツシユ熱間補修設備
KR20020049177A (ko)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조정용 댐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