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240U - 벨트콘베이어의 이송물 낙하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콘베이어의 이송물 낙하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240U
KR19990006240U KR2019970019685U KR19970019685U KR19990006240U KR 19990006240 U KR19990006240 U KR 19990006240U KR 2019970019685 U KR2019970019685 U KR 2019970019685U KR 19970019685 U KR19970019685 U KR 19970019685U KR 19990006240 U KR19990006240 U KR 199900062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chute
belt
frame
inst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민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70019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6240U/ko
Publication of KR199900062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240U/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 콘베이어의 이송물 낙하 방지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을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흡착하여 제거하는 과정에서 수송물이 마그네트에 부딪히면서 외측하부로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한 벨트 콘베이어의 이송물 낙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즉, 벨트 콘베이어의 상측에 설치된 마그네트를 사이에 두고 벨트의 양측에 위치한 프레임에 각각 수직으로 대향 배치된 한쌍의 지지대를 배치하며, 이 지지대상에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그 롤러를 축으로 한 좌우측에 수평가이드를 설치하되 수평 가이드를 베이스로 하여 수평가이드 좌측에는 웨이트박스를 설치하고 우측에는 슈트를 수평으로 취부하며, 슈트의 전면 프레임에는 전기적 신호를 받는 센서를 설치하여 사각슈트에 수송물이 낙하 및 누적될 때 상기 센서가 감지하여 그 전기적 신호에 의해 벨트 콘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벨트 콘베이어의 이송물 낙하 방지장치
본 고안은 벨트 콘베이어의 이송물 낙하 방지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을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흡착하여 제거하는 과정에서 수송물이 마그네트에 부딪히면서 외측하부로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한 벨트 콘베이어의 이송물 낙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 설치된 각종 벨트 콘베이어는 철광석, 코우크스, 석회석 및 원료탄 등을 고무재의 벨트상에 탑재한 후 목적지까지 수송하는 설비로서,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의해 무한궤도형태로 순환되는 벨트를 갖추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에는 벨트의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지탱하는 다수의 공회전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동풀리측에는 수송물을 상차하기 위한 슈트가 부설되어 호퍼로부터 각종 수송물인 석탄, 석회석, 철광석, 코크스 등이 낙하하여 적재되고, 구동풀리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고무벨트가 수송물을 적재하여 사용개소로 이송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벨트 콘베이어장치에는 각종 수송물의 수송과정에서 종동풀리측의 슈트 및 그 내부에 구비된 라이너의 마모로 인한 철편이 발생되면서 수송물과 함께 이송되었고, 또한 수송물의 출발지에서 혼입된 철편이 함께 이송이 되고 있음은 물론, 설비의 노후화로 인하여 각 부분별로 수리작업 하였을 때 발생된 각종 금속 개재물이 이송됨으로써, 상기 이송과정에서 금속철편이 벨트부위로 낙하될 경우 고무재로된 벨트를 손상시킴과 아울러 설비의 트러블을 발생시켜 조업지연 및 생산된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악영향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벨트 콘베이어상(1)의 수송물에 포함된 금속편을 수거하게 벨트 콘베이어(1)가 통과하는 외측에 지지프레임(2)을 설치하여 이에 전기적 신호를 받는 마그네트(3)를 모터(4)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장착한 것이 등장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수송물에 포함된 금속물을 제거하는 마그네트가 인력으로 조작되는 스위치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면서 수거된 금속물을 벨트의 측면으로 이동시킨 후 낙하시켜 처리하게 되었으므로, 그의 처리 이전에 대형 금속물이 마그네트에 수거된 상태에서 고무벨트상의 수송물과 접촉될 때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수송물을 강제로 낙하시키는 작용을 하게되어 이송효율을 저하시키게 됨은 물론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마그네트에 더욱더 많은 량의 금속물이 수거됨에 비례하여 수송물에 더 많이 접촉되면서 저항을 유발하게 되어 수송물의 낙하량이 증가되었고, 이에 따라 낙하물 많큼 이송물의 손실은 물론 그 처리로 인하여 이중의 손실을 초래하였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기술은 수송물의 원활한 이송을 방해하기 때문에 실제로 벨트 컨베이어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송물에 포함된 금속물을 효과적으로 수거하고 수송물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벨트 콘베이어의 이송물 낙하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벨트의 손상과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하고 주변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 콘베이어의 수송물 낙하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벨트 콘베이어의 상측에 설치된 마그네트를 사이에 두고 벨트의 양측에 위치한 프레임에 각각 수직으로 대향 배치된 한쌍의 지지대를 배치하며, 이 지지대상에 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그 롤러를 축으로 한 좌우측에 수평가이드를 설치하되 수평 가이드를 베이스로 하여 수평가이드 좌측에는 웨이트박스를 설치하고 우측에는 슈트를 수평으로 취부하며, 슈트의 전면 프레임에는 전기적 신호를 받는 센서를 설치하여 사각슈트에 수송물이 낙하 및 누적될 때 상기 센서가 감지하여 그 전기적 신호에 의해 벨트 콘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벨트 콘베이어에 설치된 철편 분리기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벨트 콘베이어에 장착된 이송물 낙하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이송물 낙하 방지장치의 측면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벨트 콘베이어 11 : 프레임
20 : 슈트 21 : 지지대
22 : 회전축 30 : 수평가이드
40 : 중량추 50 : 센서
60 : 콘트롤판넬
이하, 본 고안의 벨트 콘베이어의 이송물 낙하 방지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벨트 콘베이어에 장착된 이송물 낙하 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이송물 낙하 방지장치의 측면구성도로서, 벨트 콘베이어(10)가 통과하는 통행로의 양측에 프레임(11)이 설치되고, 각 프레임(11)에는 벨트 콘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물이 임의로 낙하될 때 낙하물을 수용하게 사각형의 슈트(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슈트(20)는 프레임(11)에 고정된 지지대(21)의 회전축(22)을 기점으로 요동되는 수평가이드(30)의 일단에 장착되고, 이 수평가이드(30)의 타측단에는 상기 슈트(20)에 누적되는 낙하물의 중량에 상응하여 하중을 가하는 중량추(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슈트(20)의 일측부위에는 회전축(22)을 기점으로 프레임(11)상에서 상하로 작동되는 슈트(20)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50)가 설치되고, 이 센서(50)에는 슈트(20)에 낙하물의 수거가 완료되어 하강되었을 때 벨트 콘베이어(10)의 동작을 제어하게 신호를 보내는 콘트롤판넬(60)이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11)에 고정된 지지대(21)의 회전축(22)을 기점으로 수평가이드(30)에 의해 요동되게 설치된 슈트(20)는 벨트 콘베이어(10)로부터 낙하물이 채워지지 않은 초기상태에는 수평가이드(30)의 반대측에 장착된 중량추(40)의 무게에 의해 프레임(11)으로부터 상승되는 반면, 중량추(40)는 프레임(11)에 접촉되게 하강되어 있다.
상기 슈트(20)가 상향된 상태에서는 그 일측에 설치된 센서(50)가 아무런 대상물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어 콘트롤판넬(60)에 감지신호를 보내지 않게되어 벨트 콘베이어(10)는 연속적으로 구동되면서 광석이나 원료 등을 이송시키게 된다.
연속적으로 이송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 등의 금속이 마그네트(M)의 자력에 의해 수거되면서 수거된 대형금속물이 이송물에 부딪힐 경우 벨트면으로부터 이송물이 낙하되며, 이때 낙하되는 이송물은 그 하부측에 설치된 슈트(20)에 점진적으로 누적된다.
그러므로 슈트(20)에 누적된 이송물의 무게가 그 반대측의 중량추(40)의 무게보다 클 경우에는 지지대(21)의 회전축(22)을 기점으로 슈트(20)가 하강되고, 이의 하강동작을 그 일측에 설치된 센서(50)가 감지하여 콘트롤판넬(60)에 전기적 신호를 부내주게 되어 이의 제어동작에 의해 벨트 콘베이어(10)의 구동을 정지시켜 수송물의 이송을 멈추도록 하며, 이러한 제반동작은 운전실 모니터(70)에 나타나게 되어 슈트(20)에 누적된 이송물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벨트 콘베이어(10)의 구동로울러에 철편이 투입됨으로 인한 고무벨트의 조기손상을 미연에 방지함을 물론 수송물의 낙하로 인한 손실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벨트 콘베이어의 이송물 낙하 방지장치는 이송물의 이송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철편 또는 금속물을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으며, 대형철편의 수거에 따른 이송물이 낙하시 벨트 콘베이어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수송물의 낙하와 벨트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벨트 콘베이어의 수송효율을 증대시키고, 이송설비 주변의 환경오염과 벨트의 조기 손상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벨트 콘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물에 포함된 철편 등의 금속물을 제거하게 그 상측부에 마그네트(M)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벨트 콘베이어(10)의 통행로의 양측에 형성된 프레임(11)에 설치되어 벨트 콘베이어(10)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물이 임의로 낙하될 때 그 낙하물을 수용하는 슈트(20)와, 상기 프레임(11)에 고정된 지지대(21)의 회전축(22)을 기점으로 요동되게 설치되고 일단에 슈트(20)가 고정된 수평가이드(30)와, 상기 수평가이드(30)의 타측단에 고정되어 슈트(20)에 누적되는 낙하물의 중량에 상응하여 하중을 가하는 중량추(40)와, 상기 슈트(20)의 일측부위에 설치되어 회전축(22)을 기점으로 프레임(11)상에서 상하로 작동되는 슈트(20)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50)와, 상기 슈트(20)에 낙하물이 수거되어 하강할 때 이를 감지한 센서(50)의 신호가 입력되어 벨트 콘베이어(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판넬(60)을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이송물 낙하 방지장치.
KR2019970019685U 1997-07-25 1997-07-25 벨트콘베이어의 이송물 낙하방지 장치 KR199900062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685U KR19990006240U (ko) 1997-07-25 1997-07-25 벨트콘베이어의 이송물 낙하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685U KR19990006240U (ko) 1997-07-25 1997-07-25 벨트콘베이어의 이송물 낙하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240U true KR19990006240U (ko) 1999-02-18

Family

ID=6968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685U KR19990006240U (ko) 1997-07-25 1997-07-25 벨트콘베이어의 이송물 낙하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624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8187A1 (en) * 2012-07-27 2014-01-30 Datalogic AD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items over transition gap between conveyor sections of automated checkout system
CN116327716A (zh) * 2023-03-23 2023-06-27 东莞市金美济药业有限公司 一种非诺贝特分散片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8187A1 (en) * 2012-07-27 2014-01-30 Datalogic AD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items over transition gap between conveyor sections of automated checkout system
CN116327716A (zh) * 2023-03-23 2023-06-27 东莞市金美济药业有限公司 一种非诺贝特分散片及其制备方法
CN116327716B (zh) * 2023-03-23 2023-12-01 东莞市金美济药业有限公司 一种非诺贝特分散片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734B1 (ko) 회전형 슈트 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
KR19990006240U (ko) 벨트콘베이어의 이송물 낙하방지 장치
CN218924918U (zh) 一种圆锥破碎机喂料装置
KR100647244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 장치
KR10208914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KR100758429B1 (ko) 리크레이머 밸트의 운송물 편적 교정장치
KR102213981B1 (ko) 벨트컨베이어 스커트 이물질 제거장치
KR100775318B1 (ko) 언로더의 붐 낙광 제거용 스크래퍼 장치
KR101294916B1 (ko) 운송물 처리장치
KR200462268Y1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20000004090U (ko) 원료 슈트 수송물 낙하 유도 장치
KR101402749B1 (ko) 트리퍼의 슈트 막힘 방지장치
KR10238380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 제거장치
KR20020049179A (ko) 수송 컨베이어의 2방향 슈트 댐퍼장치
KR200337038Y1 (ko) 고로원료 수송라인의 철편 제거장치
KR100725339B1 (ko) 켄베이어라인에서의 광석역수송감지장치
KR20040023171A (ko) 컨베이어 벨트의 절손 방지 및 검출 장치
KR0126969Y1 (ko) 벨트콘베어의 수송물 편적방지장치
KR101245312B1 (ko) 원료탄 장입 장치
KR20130046035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277582B1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KR20020075023A (ko)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KR101223111B1 (ko) 벨트콘베이어의 운송물 낙하 방지 장치
KR101422553B1 (ko) 고로 원료수송설비의 철편제거장치
KR0123910Y1 (ko)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위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