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670B1 - 슈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슈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670B1
KR101159670B1 KR1020090046179A KR20090046179A KR101159670B1 KR 101159670 B1 KR101159670 B1 KR 101159670B1 KR 1020090046179 A KR1020090046179 A KR 1020090046179A KR 20090046179 A KR20090046179 A KR 20090046179A KR 101159670 B1 KR101159670 B1 KR 101159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shuttle
opening
cov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7649A (ko
Inventor
황기복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6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67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4Chutes extensible,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6Charging or discharging machines on travelling carri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0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 F27D2003/105Charging directly from hoppers or shoots using sh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utes (AREA)

Abstract

슈트 개폐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슈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틀; 및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셔틀의 이동에 연동되어 슈트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셔틀의 이동에 연동되어 슈트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구비하여 슈트의 상부에 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슈트의 통과홀을 통한 작업자와 정비도구 등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46179
이송, 슈트, 셔틀

Description

슈트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HUTE}
본 발명은 슈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설비에 설치되는 슈트에 형성된 통과홀을 개폐하는 슈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고로 조업시 사용되는 원료, 연료 등의 광석과 석탄 및 기타 수송물들은 컨베이어 설비들을 통하여 이송되는데, 이와 같은 컨베이어 설비에서는 수송물의 이송경로를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 슈트 및 컨베이어 셔틀을 통해 수송물의 연계수송을 수행한다.
이러한 컨베이어 설비에 따르면, 상측의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송되는 수송물은 상측 컨베이어의 낙하지점에 설치된 슈트를 통하여 하측의 컨베이어에 낙하되어 이송경로가 변경된다. 이러한 슈트는 하측의 컨베이어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측의 컨베이어에는 셔틀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셔틀은 슈트의 일측으로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이 셔틀에는 수송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되므로, 셔틀이 이동하면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수송물의 낙하위치가 가변된다.
한편, 셔틀의 이동에 따라 수송물이 낙하되는 각각의 슈트에는 통과홀이 형성되어 상측의 컨베이어에서 낙하되는 수송물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이송장치에 따르면, 이송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슈트에 형성되는 통과홀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안전상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즉, 작업자 등이 설비점검 등을 이유로 이송장치 주위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 작업자 또는 정비도구 등이 개방된 통과홀을 통해 떨어짐으로써 작업자가 부상을 당하거나 장치가 파손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슈트의 통과홀을 통한 작업자와 정비도구 등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슈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슈트 개폐장치는: 슈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틀; 및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셔틀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슈트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셔틀에 연결되며, 상기 슈트를 덮도록 상기 레일에 설치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커버가 절첩되도록 상기 커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셔틀에 간섭되어 절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슈트 개폐장치에 따르면, 셔틀의 이동에 연동되어 슈트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구비하여 슈트의 상부에 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슈트의 통과홀을 통한 작업자와 정비도구 등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슈트 개폐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개폐장치(100)는 셔틀(110)과 개폐부(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슈트 개폐장치(10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슈트(10)가 구비된다. 이 슈트(10)는 본 실시예의 슈트 개폐장치(100)에 구비되는 셔틀(110)에 의해 이송되는 수송물의 낙하지점에 설치되는 것으로, 셔틀(110)로부터 슈트(10)를 통해 낙하되는 수송물은 하측의 컨베이어(20)에 낙하된다. 이러한 슈트(10)에는 셔틀(110)로부터 낙하되는 수송물이 슈트(10)를 통과하여 낙하될 수 있도록 통과홀(부호생략)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컨베이어(20)는 슈트(10)와 대응되도록 셔틀(110)의 하부에 복수 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컨베이어(20)는 슈트 개폐장치(100)로부터 이송된 수송물을 각각 슈트(10)를 통해 중계받아 이송한다. 셔틀(110)로부터 하측의 컨베이어(20)로 이송된 수송물은 컨베이어(20)에 의해 이송경로가 변경되어 최종 목적지 또는 다른 컨베이어로 이송된다.
아울러, 슈트(10)의 상부에는 한 쌍의 레일(30)이 구비된다. 이러한 한 쌍의 레일(30)은 복수 개의 슈트(10)의 배치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각각의 레일(30)은 슈트(10)의 상부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레일(30)은 일측이 복수 개의 슈트(10)가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좀 더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셔틀(110)은 이처럼 슈트(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레일(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셔틀(110)은 수송물을 이송하는 벨트(부호생략) 및 벨트를 무한궤도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롤러(부호생략)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개폐부(120)는 레일(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셔틀(110)의 이동에 연 동되어 슈트(10)를 개폐한다. 이러한 개폐부(120)는 커버부(121)와 지지부(125)를 포함한다.
커버부(121)는 셔틀(110)에 연결되며, 슈트(10)를 덮도록 레일(30)에 설치된다. 이러한 커버부(121)는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커버(122)를 구비한다.
각각의 커버(122)는 레일(30)의 상부에 설치되며, 레일(30)의 간격과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커버(122)는 레일(30)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휠(123)을 구비하여 레일(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커버(122)는 힌지부(124)를 매개로 인접한 커버(122)와 힌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커버(122)는 서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25)는 커버(122)가 절첩되도록 커버부(121)를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125)는 한 쌍의 레일(30)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되, 복수 개의 슈트(10)가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좀 더 연장된 레일(30)의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커버부(121)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커버(122) 중, 레일(30)의 일측에 가장 인접되게 배치되는 커버(122), 즉 지지부(125)와 가장 인접되게 배치되는 커버(122)는 지지부(125)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125)와 가장 인접된 커버(122)는 힌지부(124)를 매개로 지지부(125)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슈트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 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슈트 개폐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셔틀(110)이 복수 개의 슈트(10) 중 지지부(125)와 가장 멀리 떨어진 슈트(10)의 상부에 위치될 경우에는, 커버부(121)는 복수 개의 커버(122)가 레일(30) 상에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125)와 가장 멀리 떨어진 슈트(10)를 제외한 복수 개의 슈트(10)는 커버부(121)에 의해 덮혀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셔틀(110)은 그 하부에 위치된 슈트(10)를 통해 하측의 컨베이어(20)에 수송물을 낙하시킬 수 있으며, 수송물이 낙하되는 슈트(10)를 제외한 다른 슈트(10)의 상부에는 커버부(121)에 의해 통로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틀(110)이 지지부(125)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다른 슈트(10)의 상부에 위치될 경우에는, 커버부(121)는 복수 개의 커버(122) 중 일부분 또는 복수 개의 커버(122) 전체가 레일(30) 상에서 절첩된 상태가 된다.
즉, 셔틀(110)이 지지부(125)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면, 복수 개의 커버(122)는 셔틀(110)에 가장 인접된 커버(122)부터 셔틀(110)에 간섭되고, 이처럼 셔틀(110)에 간섭된 커버(122)에 인접한 다른 커버(122)들은 셔틀(110)에 간섭된 커버(122)에 간섭된다. 이때 커버부(121)는 지지부(125)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이므로, 복수 개의 커버(122) 중 일부분 또는 복수 개의 커버(122) 전체가 레일(30) 상에서 절첩된다.
이에 따라, 셔틀(110)은 개폐부(12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레일(30) 상을 자유롭게 이동되면서, 복수 개의 슈트(10) 및 컨베이어(20) 중 어느 슈트(10) 및 컨베이어(20)에라도 수송물을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슈트 개폐장치(110)는 셔틀(110)의 이동에 연동되어 슈트(10)를 개폐하는 개폐부(120)를 구비하여 슈트(10)의 상부에 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슈트(10)의 통과홀을 통한 작업자와 정비도구 등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 개폐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슈트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슈트 개폐장치 110 : 셔틀
120 : 개폐부 121 : 커버부
122 : 커버 125 : 지지부

Claims (5)

  1. 슈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셔틀; 및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셔틀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슈트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셔틀에 연결되며, 상기 슈트를 덮도록 상기 레일에 설치되고,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커버를 구비하는 커버부; 및
    상기 레일의 일측에 상기 레일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기 커버가 절첩되도록 상기 커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휠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와 가장 인접된 상기 커버는 상기 지지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셔틀이 복수의 상기 슈트 중 상기 지지부와 가장 멀리 떨어진 상기 슈트의 상부에 위치될 경우에는 상기 레일상에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되며,
    상기 셔틀이 상기 지지부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다른 상기 슈트의 상부에 위치될 경우에는, 상기 셔틀에 간섭되어, 복수의 상기 커버 중 일부분 또는 복수의 상기 커버 전체가 상기 레일상에서 접철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46179A 2009-05-26 2009-05-26 슈트 개폐장치 KR101159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179A KR101159670B1 (ko) 2009-05-26 2009-05-26 슈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179A KR101159670B1 (ko) 2009-05-26 2009-05-26 슈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649A KR20100127649A (ko) 2010-12-06
KR101159670B1 true KR101159670B1 (ko) 2012-06-26

Family

ID=4350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179A KR101159670B1 (ko) 2009-05-26 2009-05-26 슈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6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536B1 (ko) * 2014-03-27 2015-12-31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 커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574A (ko) * 2003-06-27 2005-01-12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수송 주행 슈트와 연동하는 무동력 자동 개폐 장치
KR20080053259A (ko) * 2008-05-15 2008-06-12 (주)거산토탈시스템 폴딩, 틸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창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574A (ko) * 2003-06-27 2005-01-12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수송 주행 슈트와 연동하는 무동력 자동 개폐 장치
KR20080053259A (ko) * 2008-05-15 2008-06-12 (주)거산토탈시스템 폴딩, 틸트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649A (ko) 2010-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236145B1 (pl) Urządzenie zaworowe do przełączania przepływu masowego artykułów prętopodobnych w kanałach transportowych przemysłu tytoniowego
KR101298750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1159670B1 (ko) 슈트 개폐장치
KR101167171B1 (ko) 슈트 개폐장치
KR101277891B1 (ko) 운송물 처리장치
KR101355517B1 (ko) 트리퍼 장치
RU2668144C2 (ru) Тележка для перегрузки материалов
US3542215A (en) Article sorting installation with an endless conveyor discharge mechanism
JP7139871B2 (ja) アンローダ
KR20110047038A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20130046567A (ko) 트리퍼용 집진장치
KR100977774B1 (ko) 원료수송 주행 슈트와 연동하는 무동력 자동 개폐 장치
US6964330B2 (en) Elevated grade station drive system
KR20160139795A (ko) 물품분류기용 슈트
IE87071B1 (en) Movable chute for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KR101542108B1 (ko) 석탄 운반용 선박의 석탄 이송장치
KR101193835B1 (ko) 슈트 개폐장치
KR102116812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지퍼형 커버장치
KR101253848B1 (ko) 컨베이어 샤틀 설비
CN106458227B (zh) 散装材料装载货车
KR20110060004A (ko) 벨트컨베이어의 슬립 방지장치
US730539A (en) Conveyer.
NZ248938A (en) Vibratory conveyor, two or more conveyors reciprocate relative to one another
KR101291548B1 (ko) 벨트 컨베이어
US20210333143A1 (en) A Weig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