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0490A -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 Google Patents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0490A
KR20040000490A KR10-2003-7015193A KR20037015193A KR20040000490A KR 20040000490 A KR20040000490 A KR 20040000490A KR 20037015193 A KR20037015193 A KR 20037015193A KR 20040000490 A KR20040000490 A KR 20040000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bial pad
sheet
support sheet
labia
interla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7495B1 (ko
Inventor
미즈타니사토시
야마키고이치
노다유키
도쿠모토메구미
사카이아카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0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09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having only interlabial part, i.e. with no extralabi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13/15252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ompostable or biodegra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a reinforc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13/15211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soluble or disintegratable in liquid
    • A61F2013/15235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soluble or disintegratable in liquid by its solubility 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357Stiffness, e.g. Taber rigid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from several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02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including dispos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의 음순에 걸어 부착시켜 이용하는, 특히 생리대와 병용될 수 있는 음순간 패드 및 이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용의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포장체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피부를 넓게 더럽히는 일이 없는 청결성과 속옷에의 오물 부착이 저감되는 안도감이라는 기본적인 성능을 담보하는 것은 물론, 음순 사이로부터 신속하고 간편하게, 게다가 위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음순간 패드를 제공한다.
음순간 패드(14)에서는 투수성의 피복 시트(11)와 불투수성의 서포트 시트(12)가 경혈을 흡수하는 흡수체(13)를 내포한 형태로 접합되어 있다. 음순간 패드(14)는, 이를 음순에 걸어 부착시킨 상태에 있어서 신체 전방측을 향해 돌출된 풀업체(1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INTERLABIAL PAD AND PACKAGE THEREOF}
종래부터, 여성용 생리용품으로서 생리대나 탐폰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생리대는 의복에 접촉시켜 이용하는 것으로, 질구 부근에의 밀착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신체와의 간극으로부터 경혈이 새기 쉽고, 한편 탐폰은 그 물품의 속성에 기인하여 장착시의 이물감이나 불쾌감이 생기기 쉬워 질 속으로의 장착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리대와 탐폰의 중간에 위치하는 생리용품으로서, 최근에 음순간 패드라는 생리용품이 주목받고 있다.
이 음순간 패드는 여성의 음순 사이에 그 일부분을 끼워 음순에 접촉시켜 장착하는 것으로, 생리대에 비하여 소형이기 때문에 장착감이 우수하고 쾌적하다는 점 외에, 경혈이 신체를 더럽히는 범위가 좁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청결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생리대보다도 신체와의 밀착성이 높기 때문에 누설이 일어나기 어려우며, 질 속에 삽입하는 탐폰과 비교하여 장착시의 심리적 저항도 적다고 하는특징을 갖고 있다.
그런데, 음순간 패드와 같이 음순에 걸어 부착하여 이용하는 제품으로서 여성의 요실금을 방지하기 위한 요실금 방지 기구가 있다. 이 요실금 방지 기구에서는 착용자가 사용후의 기구를 음순 사이에서 빼내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도를 폐쇄하는 탄성 본체(26)로 이루어지고, 기구의 의복측(음순 비접촉면 측)에 링(28) 등의 돌기물을 지닌 요실금 방지 기구(24)가 개시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평6-506368호 공보).
상기 요실금 방지 기구는 착용자가 사용후의 기구를 음순 사이에서 빼낼 때에 기구의 의복측에 부착된 돌기물을 쥠으로써 그 빼내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고안이 이루어져 있는 것이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첫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물(링(28))이 기구의 의복측의 중앙부 근방에 부착되기 때문에, 기구의 장착 상태에서는 착용자가 돌기물을 알아보기가 곤란한 상태에 있다는 점이 문제였다. 즉, 기구를 빼낼 때에 그 알아보기 곤란한 돌기물을 찾아내기 위해서, 착용자는 앞으로 구부리는 불편한 자세를 어쩔 수 없이 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착용자가 돌기물을 알아보기가 곤란하게 됨으로 인해, 착용자는 돌기물을 손으로 더듬어 찾아서 대어야 한다는 점이 문제였다. 즉, 소변이나 체액이 묻어 있는 음순과 손가락을 접촉시키지 않으면 기구를 빼낼 수 없기 때문에, 손을 씻을 필요가 있어 번거롭고, 심리적으로도 비위생적인 느낌을 준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기구의 의복측으로 이면측에 돌기물로서 링 등을 부착하고자 하면, 그 형상으로 인해 기구를 관통하는 식으로 부착해야만 한다고 하는 점이 문제였다. 즉, 기구의 이면측은 흡수한 소변이나 체액이 의복측으로 스며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불투수성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링 등의 부착에 의하여 그 불투수성 재료에 구멍을 뚫게 되어, 액체가 새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기구에서는, 착용자의 피부를 넓게 더럽히는 일이 없는 청결성과 속옷에의 오물 부착이 저감되는 안도감이라는, 기본적인 양 성능을 담보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착용자의 피부를 넓게 더럽히는 일이 없는 청결성과 속옷에의 오물 부착이 저감되는 안도감이라는 기본적인 성능을 담보하는 것은 물론, 음순 사이로부터 신속하고 또 간편하게, 게다가 위생적으로 빼낼 수 있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여성의 음순에 걸어 부착시켜 이용하는, 특히 생리대와 병용될 수 있는 음순간 패드 및 이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용의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의 (a)는 상면도, 도 1의 (b)는 도 1의 (a)의 A-A'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요실금 방지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가 절곡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가 절곡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가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음순간 패드의 A-A'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에 따른 풀업체의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에 따른 풀업체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개봉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포장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에 따른 미니 시트편의 형태를 도시하는 상면도가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장착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에 따른 미니 시트편의 형태를 도시하는 상면도가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에 따른 미니 시트편의 형태를 도시하는 상면도가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가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가 절곡된 상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제거·폐기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가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34는 도 32에 도시된 음순간 패드의 A-A' 단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6은 음순간 패드의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음순간 패드를 음순에 걸어 부착시킨 상태에 있어서, 음순간 패드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풀업체(pull-up body)를 갖춘 것으로 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를 넓게 더럽히는 일이 없는 청결성과 속옷에의 오물 부착이 저감되는 안도감이라는 기본적인 성능을 담보하는 것은 물론, 음순 사이로부터 신속하고 또 간편하게, 게다가 위생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신체측에 면하는 투수성의 피복 시트와 의복측에 면하는 불투수성 서포트 시트가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내포한 형태로 접합되어 이루어지며, 음순에 걸어 부착시켜 이용하는 음순간 패드로서, 이 음순간 패드의 제거용으로 상기 음순간 패드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풀업체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에는 음순간 패드로부터 돌출되도록 풀업체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음순간 패드를 음순에 걸어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풀업체가 음순 밖으로 노출되게 된다. 더구나, 이 풀업체는 손가락으로 쥐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고 있으므로, 착용자는 이러한 풀업체를 쥐고 잡아당김으로써 음순간 패드를 용이하게 음순 사이에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음순 밖으로 풀업체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는 풀업체를 매우 용이하게 알아볼 수 있어, 풀업체를 손으로 더듬어 찾아 대어야 한다고 하는 일이 없어진다. 이 때문에, 음순간 패드를 제거할 때에 경혈이나 체액이 묻어 있는 음순과 손가락이 접촉해 버린다고 하는 사태가 방지된다. 따라서, 음순간 패드를 제거한 후에 손을 씻을 필요가 없으며, 심리적으로도 비위생적인 느낌을 주지 않는다.
나아가서는, 풀업체는 종전의 링 등과는 달리, 음순간 패드를 관통시키지 않더라도(구멍을 뚫지 않더라도)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가 새는 사태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피부를 넓게 더럽히는 일이 없는 청결성과 속옷에의 오물 부착이 저감되는 안도감이라는 기본적인 성능을 담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상기 풀업체가 상기 음순간 패드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는 상기 음순간 패드의 전단부로부터의 돌출, 혹은, 상기 음순간 패드의 측연부로부터의 돌출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에 따르면, 풀업체는 음순간 패드의 전단부(장착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질핵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로부터, 혹은, 측연부(장착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대퇴부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장착시에 이러한 풀업체는 착용자의 음순에서 착용자의 신체 전방을 향해, 혹은 착용자의 음순에서 그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의복측을 향해 노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는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수성의 피복 시트(41)와 불투수성의 서포트 시트(42)가 경혈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내포한 형태로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착용시에는 피복 시트(41)를 신체측으로 대향시키고, 서포트 시트(42)를 의복측으로 대향시키는 식으로 하여 이용된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서포트 시트(42)에 풀업체(48)가 점착되어 있다. 이 풀업체(48)는 음순간 패드(44)의 긴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 끝(신체 전방측에 가까운 쪽의 가장자리 끝)에 있어서, 그 가장자리 끝의 선단에서부터 더욱 신체 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44)는 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46a)을 따라서 절곡되어(도 5 참조), 음순에 끼워 넣음으로써 음순에 걸어 부착시킨다. 이 음순에 걸어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풀업체(48)는 음순에서 신체 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풀업체(48)를 매우 용이하게 알아볼 수 있다. 따라서, 음순간 패드(44)를 빼낼 때에, 풀업체(48)를 찾아내기 위해서, 착용자가 어쩔 수 없이 앞으로 구부리는 불편한 자세를 하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풀업체는 전술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음순간 패드(44)의 긴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 끝(신체 전방측에 가까운 쪽의 가장자리 끝)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 끝의 선단으로부터 더욱 신체 전방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6이나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44)의 측연부에서부터 더욱 측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부재라도 좋다.
이러한 음순간 패드(44)는 음순에 걸어 부착시킬 때에는 도 7이나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46a)을 따라서 절곡한 상태에서 음순 사이에 끼워진다. 그리고, 풀업체(48)는 음순간 패드(44)의 음순에의 장착 상태에 따라, 신체 전방측을 향해 노출되거나, 의복 방향측을 향해 수직으로 노출되거나 하게 된다.
음순간 패드를 음순으로부터 빼내어 변기에 폐기할 때에, 서포트 시트측(의복 접촉면)을 아래쪽을 향하게 하여 폐기하면, 서포트 시트가 불투수성이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가 수면 위로 떠 버려, 여간해서 흘릴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점에서,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업체(48)가 음순간 패드(44)의 측연부에서 더욱 측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구조인 경우에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업체(48)를 손(58)으로 잡아당겨 음순간 패드(44)를 음순(57)으로부터 빼낸 후, 손을 되돌리는 식으로 하여 음순간 패드(44)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면, 자연스럽게 음순간 패드(44)의 피복 시트측(음순 내벽 접촉면)도 아래쪽으로 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음순간 패드(44)를 폐기하면, 음순간 패드(44)가 상기 피복 시트측에서 물을 흡수하여 자신의 중량에 의해 침강하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44)가 수면 위로 떠오르는 일이 없고, 조속히 흘리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6이나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에서는, 풀업체(48)의 길이(돌출 방향의 치수)는 착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길이가 되도록 적어도 10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60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풀업체(48)의 폭(돌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은 적어도 5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20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에 있어서의 풀업체는 음순간 패드를 음순에 걸어 부착시킨 상태에서 음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면 되며, 도 3 및 도 4, 도 6이나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트형으로 된 것 외에, 예컨대 탐폰의 제거 끈과 같은 것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필라멘트를 묶은 후에 꼬아서 생성되는 500∼5000 dtex의 범위로 조정된 꼰실을 이용할 수 있고, 이것을 음순간 패드가 음순에 걸어 부착되었을 때에 음순 외부로 노출되도록 부설하면 된다.
(3) 상기 피복 시트의 의복측 표면과 상기 서포트 시트의 신체측 표면이 상기 음순간 패드의 주연부에서 접합됨으로써 주연부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음순간 패드로서, 상기 주연부 접합부의 일부가 상기 풀업체로 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에서는,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업체(48)를 별도로 부설하는 것이라도 좋지만, 음순간 패드의 일부를 연장시킴으로써 풀업체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복시트(41)의 의복측 표면과 서포트 시트(42)의 신체측 표면이 음순간 패드(44)의 주연부에서 접합됨으로써 주연부 접합부(45)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연부 접합부(45)의 일부가 음순간 패드(44)의 신체 전방측의 가장자리 끝에서부터 신체 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풀업체(48)로 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이러한 형태는 별도로 풀업체를 부설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보다 간편하게 풀업체를 형성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4) 상기 음순간 패드의 주연부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의 의복측 표면과 상기 서포트 시트의 신체측 표면이 점착됨으로써 주연부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음순간 패드로서, 상기 주연부 접합부에서 상기 피복 시트가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된 피복 시트가 상기 풀업체로 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상기 (3)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와 같은 식의 구성에 있어서, 주연부 접합부 전체를 돌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피복 시트만을 돌출시켜 풀업체로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연부 접합부(45)로부터 피복 시트(41)가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한 피복 시트(41)가 음순간 패드(44)의 신체 전방측의 가장자리 끝에서부터 신체 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풀업체(48)로 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이러한 형태도, 별도로 풀업체를 부설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보다 간편하게 풀업체를 형성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5) 상기 음순간 패드의 주연부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의 의복측 표면과 상기 서포트 시트의 신체측 표면이 점착됨으로써 주연부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음순간 패드로서, 상기 주연부 접합부로부터 상기 서포트 시트가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된 서포트 시트가 상기 풀업체로 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상기 (3)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와 같은 식의 구성에 있어서, 주연 접합부 전체를 돌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서포트 시트만을 돌출시켜 풀업체로 하여도 좋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연부 접합부(45)로부터 서포트 시트(42)가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된 서포트 시트(42)가 음순간 패드(44)의 신체 전방측의 가장자리 끝으로부터 신체 전방측을 향해 돌출되는 풀업체(48)로 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이러한 형태도 상기 (3) 및 (4)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6) 상기 풀업체의 일부에 불연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는 예컨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업체(48)의 일부에 불연속부(5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연속부(50)를 형성함으로써, 음순간 패드(44)에 흡수된 경혈이 새어 나오는 것이 불연속부(50)에서 차단되기 때문에, 경혈이 풀업체(48)에까지 스며나와 음순간 패드(44)를 빼낼 때에 경혈이 손가락에 묻어 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7) 상기 불연속부가 상기 풀업체에 형성된 개구부 또는 절결부인 상기 (6)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불연속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컨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풀업체(48)에 형성한 개구부(50a) 또는 절결부를 예로 들 수 있다. 음순간 패드(44)에 흡수된 경혈이 스며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패드의 짧은 길이 방향을 향해서 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8) 상기 풀업체에 형성된 개구부 또는 절결부가 각을 지니지 않는 형상인 상기 (7)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풀업체에 형성된 개구부 또는 절결부는 도 13에 도시하는 개구부(50a)와 같이 각을 갖는 형상이어도 되지만, 예컨대, 도 14에 도시하는 개구부(50b)와 같이 각을 갖지 않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순 사이에서 음순간 패드(44)를 빼낼 때에는 풀업체(48)를 신체 전방측을 향해 잡아당기게 되는데, 도 13에 도시하는 개구부(50a)와 같은 각을 갖는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각 부분에 응력이 집중하여, 그 각 부분으로부터 풀업체가 파단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 점에서, 도 14에 도시하는 개구부(50b)와 같은 각을 갖지 않는 형상(곡율을 갖는 형상)으로 하면 응력이 분산되어, 이러한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9) 상기 풀업체와 상기 주연부 접합부의 경계 근방에, 액체가 스며 나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압축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압축 영역」이란, 풀업체와 주연부 접합부의 경계 근방에 위치하는, 적어도 피복 시트와 서포트 시트를 압축함으로써 형성되는 영역이다. 압축된 피복 시트와 서포트 시트는 고밀도로 되기 때문에 액체가 스며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풀업체에 경혈이 스며 나오는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풀업체를 잡아당겨 패드를 빼낼 때에 경혈이 손가락에 묻어 버리는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압축 영역은 예컨대, 엠보스 가공 등(바람직하게는 열 엠보스 가공)을 이용하여 적어도 피복 시트와 서포트 시트를 압축 가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압축 영역을 형성하는 엠보스의 배열은 예컨대, 선형, 도트형 등을 들 수 있지만, 음순 내에서의 유연한 장착성을 고려하면, 도트형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트형인 경우에는 예컨대 0.3∼1.0 mm2의 도트형 엠보스를, 0.5∼2 mm의 간격을 두고 배열한 패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영역의 길이(패드의 긴 길이 방향의 치수)는 착용중의 경도를 고려하여, 0.3∼2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폭(흡수체의 외연부를 따라서 압축 영역을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의 신장 치수)은 음순 내에 있어서의 유연한 장착성을 고려하여, 3∼20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10) 상기 서포트 시트의 의복측에, 상기 서포트 시트의 긴 길이 방향의 각 측부에 있어서 1곳 이상의 접합 부분과 상기 서포트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1곳 이상의 비접합 부분에 의해 접합된 미니 시트편을 갖추어, 상기 1곳 이상의 비접합 부분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미니 시트편과 상기 서포트 시트 사이에서 상기 서포트 시트의 면 방향으로 손가락 폭의 개구가 직접적으로 확보되는 손가락 삽입용 입구를 형성하는 것인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에는 예컨대, 도 15 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손가락 삽입용 입구(53)를 형성하기 위한 미니 시트편(52)을 부설할 수 있다. 도 15,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니 시트편(52)은 서포트 시트(42)의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는, 미니 시트편(52)의 양 소매부 중 적어도 한 쪽의 소매부가 서포트 시트(42)의 표면에 대하여 접합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비접합 상태에 있는 미니 시트편(52)의 한쪽의 소매부와 서포트 시트(42) 사이에 커프가 형성되어, 이러한 커프가 손가락의 삽입이 가능한 손가락 삽입용 입구(53)로 된다.
또, 서포트 시트(42)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미니 시트편(52)은 서포트 시트(42)의 좌우 측부에서만 접합되고, 내측에 대해서는 접합(점착)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미니 시트편(52)은 서포트 시트(42)의 한쪽의 측부에서 다른 쪽의 측부에 걸친 상태로 부착되게 되어, 이러한 한쪽의 측부에서 다른 측부에 걸친 부분에 있어서 관통된 혹은 비관통된 공간(손가락 삽입용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에는 손가락을 삽입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손가락 폭」이란, 손가락의 두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구체적으로는 손톱의 넓이 방향의 손가락 폭인 것을 말하며, 「손가락 폭의 개구」란,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개구를 말한다.
또, 서포트 시트의 면 방향으로 손가락 폭의 개구가 「직접적으로 확보된다」란, 패드 장착을 위해 손가락을 패드에 자연스러운 형태로 삽입한 경우에(손가락의 배 부분이 서포트 시트의 의복측 표면을 향하도록 하여 그대로 삽입한 경우에), 패드 자체가 일차적으로 손가락 삽입에 알맞은 형태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착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한 후에 손가락을 회전시킴으로써 면방향으로 손가락 폭의 개구를 확보할 수 있는, 이차적으로 서포트 시트의 면 방향으로 손가락 폭의 개구가 형성되는 경우는 제외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미니 시트편을 갖춘 패드에 있어서는, 상기 손가락 삽입용 입구에 손가락을 삽임함으로써, 손가락 끝에 패드를 일시적으로 고정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손가락 삽입용 입구는 착용자의 손가락 폭의 개구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편평한 형상인 손가락 끝이 서포트 시트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되는 일없이, 자연스럽게 서포트 시트의 면에 접하도록 삽입되게 된다. 즉, 손가락 삽입용 입구가 착용자의 손가락 끝 형상을 따라 서포트 시트의 면 방향으로 폭이 넓은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손가락 삽입 방향이 결정되어, 손가락 끝의 배 부분으로 장착 포인트를 탐지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눈으로 확인하기 곤란한 음순 사이로의 장착이라도, 정확한 장착 포인트를 적확하게 파악하면서, 적절한 위치에 패드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서포트 시트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부」에는 패드의 주연부뿐만 아니라, 미니 시트편의 접합 가능한 주연부 근방도 포함된다.
(11) 상기 미니 시트편의 일부가 풀업체로 되어 있는 상기 (10)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이미 전술과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풀업체는 주연 접합부 전체를 돌출시키거나, 혹은 피복 시트나 서포트 시트만을 돌출시킴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지만, 상기 미니 시트편의 일부를 연장시킴으로써 풀업체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도 32 내지 도 34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는 띠 모양의 미니 시트편(52)의 측연부를 더욱 패드의 측방으로 연장시킴으로써, 풀업체(48)를 형성한 것이다. 이 형태에서는, 미니 시트편(52)의 중앙부가 서포트 시트(42)의 사이에서 손가락 삽입용 공간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단부가 풀업체(48)를 형성하게 된다(도 34 참조). 이러한 형태도 다른 풀업체를 부설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보다 간편하게 풀업체를 형성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12) 생리대와 병용되는 생리대 병용용 음순간 패드인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생리대(이하, 단순히 「냅킨」이라고도 함) 이용자 중에는 경혈량이 많을 때는 몇 장이나 겹쳐 사용하는 사람도 있는데, 뻣뻣하거나 하여 장착감이 나쁘고, 의복의 외부에서 패드의 존재를 눈치채기 쉽다(눈에 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질 근방 이외의 겹침 사용으로 불필요한 부분에까지 생리대가 겹쳐져 버리기 때문에, 짓무름이나 무더움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패드와 생리대를 병용함으로써, 질 부근에만 생리용품이 겹치게 되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생리대를 교환하지 않고 패드만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는 눈에 띄기 쉬운 크기의 생리대를 갖고 다니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여기서 생리대란 경혈 흡수용으로서 판매되고 있는 생리대뿐만 아니라, 질분비물 흡수용 시트도 포함하더라도 좋다.
(13) 상기 음순간 패드는 요실금용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요실금용 흡수 패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경혈을 배출하는 질구와 소변을 배출하는 요도구는 모두 음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를 음순 사이에 끼워 사용한 경우에는 소변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변을 음순 사이, 특히 요도구 부근에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요실금, 특히 가벼운 정도의 요실금에 대하여 유효한 흡수 패드를 얻을 수 있다.
(14) 상기 음순간 패드는 질분비물 흡수용의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에 의하면, 음순간 패드를 질분비물 흡수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음순 사이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므로, 질구로부터의 경혈 이외의 분비물(질분비물)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그를 위한 용도(질분비물 흡수용)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질분비물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불쾌감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생리 기간 이외의 착용자에게 있어서도 유효하다.
(15)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용의 포장 용기 안에 내포되어 있는 포장체.
음순간 패드를 개별 포장하면, 패드를 하나씩(개별 포장마다) 가지고 다니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형태는 복수의 패드를 하나의 포장 용기 내에 내포시킨경우와 비교하여, 패드를 청결하게 유지하면서 휴대가 용이하여, 간편한 취급에 도움이 된다.
(16) 상기 (9)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봉구를 갖는 개별 포장용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포장체로서, 상기 음순간 패드의 상기 손가락 삽입용 입구가 상기 개봉구를 향하여 개구되도록 음순간 패드가 상기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포장체.
「손가락 삽입용 입구가 개봉구를 향하여 개구되도록」이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체(54)를 개봉하면 그 개봉구에 미니 시트편(52), 나아가서는 그것에 의해 형성되는 손가락 삽입용 입구(53)가 표출되어, 즉시 손가락 삽입용 입구(53)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게 내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도 17에 도시하는 포장체(54)는 포장 용기(56)의 상면측에 부설된 탭테이프(55)를, 도면의 우측을 향해 잡아당김으로써 개봉할 수 있으며, 그 개봉구에 손가락 삽입용 입구(53)가 표출되어 개봉구를 향해 개구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즉시 손가락 삽입용 입구(53)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다.
(17) 상기 미니 시트편이 상기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의복측 방향을 향해서 산 형상으로 접힌 모양으로 되도록, 상기 음순간 패드가 상기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상기 (16)에 기재한 포장체.
「의복측 방향으로 산 형상으로 접힌 모양이 되도록」이란, 의복측을 볼록하게 하여 완전히 절곡되어 있는 경우 외에,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복측을 볼록하게 하여 만곡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음순간패드(44)를 포장 용기(66) 내에 내포시킴으로써, 포장 용기(66)의 개봉시에 접어 포개어진 손가락 삽입용 입구(53)가 자연스럽게 열리기 때문에, 착용자는 손가락을 삽입하는 곳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음순간 패드의 장착을 한층 더 신속하고 간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형태에서는, 미니 시트편이 「산 형상으로 접힌 모양」으로 되어 있으면 되며, 음순간 패드 전체가 「산 형상으로 접힌 모양」으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따라서, 예컨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44) 전체를 「산 형상으로 접힌 모양」으로 접어 포개어 포장 용기(66) 내에 내포한 포장체(64) 이외에,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니 시트편(52)만을 「산 형상으로 접힌 모양」으로 하는 한편, 음순간 패드(44)의 본체 부분에 대해서는 의복측을 향해 계곡 형상으로 접힌 모양으로 접어 포개어 포장 용기(66) 내에 내포한 포장체(74)라도 좋다.
또, 포장 용기의 개봉 형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도 18이나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단측을 발췌하여 개봉하는 포장 용기(66) 외에,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에서 좌우 양측으로(소위 2엽식 힌지 도어식으로) 개봉하는 포장 용기(86)와 같은 것이라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음순간 패드의 「폭」이라고 할 때는 음순간 패드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의 치수를 의미하여, 음순간 패드의 「길이」라고 할 때는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으로의 치수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14)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의 (a)는 상면도, 도 1의 (b)는 도 1의 (a)의 A-A' 단면도이다.
[(A) 기본적인 음순간 패드의 구성]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음순간 패드(14)는 투수성의 피복 시트(11)와 불투수성의 서포트 시트(12)가 경혈을 흡수하는 흡수체(13)를 내포한 형태로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피복 시트(11)와 서포트 시트(12)는 패드의 주연부에서 접합되어, 주연부 접합부(15)를 형성하고 있다. 착용시에는 피복 시트(11)를 신체측에 대향시키고, 서포트 시트(12)를 의복측에 대향시키는 식으로 하여 이용된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서포트 시트(12)에 풀업체(18)가 점착되어 있다.
풀업체는 피복 시트와 서포트 시트의 주연부 접합부를 연장시켜 풀업체로 하더라도 좋고, 피복 시트나 서포트 시트만을 연장시켜 풀업체로 하여도 좋지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업체(18)를 별도로 부설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특별히 재질은 한정되지 않지만, 피복 시트나 서포트 시트와 같은 재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풀업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풀업체를 쥐고 음순간 패드를 잡아 뺄 때에 음순 내벽에 손가락이 접촉하지 않고, 패드를 착용했을 때에 풀업체가 음열보다도 전방으로 돌출되어 착용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하여 알아볼 수 있는 형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풀업체(18)를, 음순간 패드(14)의 긴 길이 방향의 가장자리 끝(신체 전방측에 가까운 쪽의 가장자리 끝)에 있어서, 그 가장자리 끝의 선단으로부터 더욱 신체 전방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한 경우에는, 그 길이는 적어도 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8∼30 mm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 미만이면, 착용자가 풀업체를 알아볼 수 없기 때문에, 음순 내벽 및 음순 주변에 손가락이 접촉하여 버리게 된다. 이 범위를 넘으면, 착용 중에 풀업체의 형태가 망가져, 제거할 때에 풀업체를 쥐기 어렵게 될 가능성이 있다. 폭으로는 제거할 때 쥐기 쉽다는 것을 고려하면, 적어도 5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순간 패드(14)의 전체 형상으로서는 음순에 걸어 부착하는 데에 적합한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타원형, 알형, 호리병형, 물방울형 등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음순간 패드(14)의 사이즈는 음순 사이에 삽입하기 쉽고, 음순 자체로 유지할 수 있으며, 음순과 음순간 패드 사이에 공극을 생기지 않게 하는 점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길이는 80∼150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90∼120 mm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넘으면 음순간 패드의 음순 사이에 끼워지지 않는 부분이 생리대나 쇼츠에 접촉함으로써, 음순간패드가 음순 사이에서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 범위 미만이면, 음순 내벽과 음순간 패드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짐으로써 음순간 패드와 음순 사이에 공극이 생기기 쉽게 되어, 체압이나 착용자의 동작 등의 충격에 의해 음순간 패드가 음순 사이에서 떨어질 위험성이 생긴다. 또, 음순간 패드의 짧은 길이 방향의 외관상의 길이 치수는 10∼60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 치수가 60 mm보다 긴 경우에는, 음순 사이에 개재되지 않는 영역이 착용자의 대퇴부 등에 스치게 되어, 이에 따라 생긴 마찰이 양 음순에 의한 협지력을 웃돌아, 음순간 패드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 치수가 10 mm보다 짧은 경우에는 음순 사이에 개재할 수 있는 영역이 적어지기 때문에 음순 내면과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음순간 패드가 떨어질 위험성이 생기기 쉽게 된다. 한편, 상기한 「외관」이란, 길이 치수가 최단인 2점 사이 거리(도 36의 V에 해당)를 의미한다. 이것은, 제조 공정과의 관계에서, 요철 형상을 찾아간 2점 사이의 길이, 즉, 요철 형상을 전개한 편평한 상태에서의 2점 사이 거리를 실제의 길이(도 36의 W에 해당)로서 취급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점을 감안하여 정의한 것이다. 두께는, 쾌적한 착용감을 고려하여, 2∼10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6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피복 시트(11) 및/또는 서포트 시트(12)에 내포되는 흡수체(13)의 사이즈는 피복 시트(11) 및/또는 서포트 시트(12)에 내포했을 때에 그 주연부가 딱딱하게 되어 장착감을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피복 시트(11) 및/또는 서포트시트(12)의 바깥 윤곽에서부터 2∼10 mm 정도 작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순간 패드의 전체적인 형태로서는 예컨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복 시트(11)와 서포트 시트(12) 사이에 흡수체(13)를 내포시켜, 음순간 패드의 주연부에 있어서 피복 시트(11)와 서포트 시트(12)를 접합하여, 주연부 접합부(15)를 형성한 접합 타입의 것을 들 수 있다. 이런 형태에서는, 피복 시트(11)와 흡수체(13) 사이에 다시 투수성 재료가 개재하고 있더라도 좋다. 이 밖에의 형태로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흡수체의 하면측에 서포트 시트를 배치한 후, 양 부재를 일체적으로 피복 시트로 덮어 싸서 이루어지는 봉입 타입의 것 등이 있다.
또 다른 형태로서는, 예컨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13)의 일부를 신체측을 향해 볼록형으로 융기시킨 입체적인 구조를 갖는 것,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이 다른 상부 흡수체(13a)와 하부 흡수체(13b)를 적층하여, 그 전후 부분 내지 접촉 부분을 서로 접합시킨 입체적인 구조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입체적 구조를 갖는 것은 음순 형상에 대한 적합성이 높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피복 시트]
피복 시트는 음순 내벽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멜트블로운, 스펀본드, 스루에어, 포인트본드, 니들펀치, 스펀레이스 등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생성되는 부직포 재료를 단독으로 또는 적절하게 복합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온, 아세테이트, 천연 코튼, 펄프, 또는 합성 수지(단독 섬유, 혹은 심초구조의 복합 섬유)를 단독으로 혹은 적절하게 혼합하여 시트화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 중, 음순 내면으로부터의 액체 이동성이나 활성제에 의한 화학적 자극 및 음순 내벽과의 밀접성을 고려하면, 신체면 측에는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7∼51 mm로 이루어지는 레이온을 합계 단위 중량에 대하여 40∼80%로 적층하고, 그 의복면 측에는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7∼51 mm로 이루어지고 합계 단위 중량에 대하여 14∼42%의 레이온과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7∼51 mm로 이루어지고 합계 단위 중량에 대하여 6∼18%의 PET를 혼합 적층하여, 2층의 합계 단위 중량이 20∼60 g/m2가 되도록 적층한 후, 수류 체결에 의해 섬유끼리를 서로 얽히게 하여 건조시켜, 두께를 0.13∼0.50 mm의 범위에서 조정한 스펀레이스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이 때, 의복면 측에 PET를 혼입시킴으로써, 투수성 시트가 축축한 상태가 되더라도 부피를 유지하기 쉽기 때문에 음순 내벽과의 밀접성을 유지할 수 있다.
[흡수체]
흡수체는 부피가 크며, 형태 붕괴가 비교적 적은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분쇄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천연 코튼, 케미컬본드 처리된 에어레이드 펄프, 고흡수성 폴리머, 섬유형 고흡수성 폴리머, 합성 섬유 등을 적절하게 혼합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미 전술한 피복 시트를 음순간 패드 내부에 충전함으로써, 흡수체로 하여도 좋다.
흡수체는 액체(체액)의 흡수 유지가 가능하면 되지만, 부피가 크고, 형태 붕괴가 어렵고, 화학적 자극이 적은 것으로서, 나아가서는 음순에의 적합도가 높은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의복면 측에는 섬유 길이 1∼10 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펄프를 50∼150 g/m2적층하고, 그 신체면 측에는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20∼51 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레이온을 60∼90%, 천연 코튼을 40∼10%의 혼합비로 150∼250 g/m2적층하여 도트형의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화시킨, 부피 2∼10 mm, 바람직하게는 3∼5 mm로 조정한 부직포 시트를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체면 측에서 의복면 측으로 액체를 이행시키기 쉬워 흡수 유지력이 높아진다. 나아가서는, 상기 펄프층의 신체면 측에는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25∼51 mm로 이루어지는 레이온을 단위 중량 15∼40 g/m2로 조정한 메쉬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깔아 부설함으로써, 신체면 측에서 이행하여 온 액체를 메쉬 스펀레이스에 의해 확산시켜 펄프층의 거의 전역으로 액체를 유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보다 많은 액체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포트 시트]
서포트 시트에 사용하는 재료는 흡수체에 유지된 경혈이 음순간 패드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불투수성 소재를 이용한다. 더욱이, 투습성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장착시의 무더움을 저감시킬 수 있어, 장착시의 불쾌감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서포트 시트에 이용하는 불투수성 소재로서는 예컨대, 합성 수지를 박막화한 시트형 불투수성 필름, 통기성 필름, 부직포의 이면에 필름을 라미네이트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복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불투수성 소재를 채용하는 경우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예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한, 밀도 0.900∼0.925 g/cm3, 단위 중량 15∼30 g/m2의 범위에서 얻을 수 있는 필름을 들 수 있다. 착용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유연성을 고려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음순 사이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불투수성 시트끼리 또는 병용하는 패드, 속옷 등에 접촉했을 때에, 마찰이 높아 음순간 패드가 음순에서 떨어져 나갈 위험성을 저하시키기 위해서, 상기 필름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여 볼록형의 융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접촉율을 저하시켜 마찰 저항치를 적게 해 놓더라도 좋다.
[미니 시트편]
미니 시트편에 사용하는 재료는 손가락을 삽입했을 때에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트형 부직포, 탄성 신축성 부직포, 필름, 폼 필름, 엘라스틱 필름, 발포 시트, 박엽지 등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라미네이트 가공한 것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미니 시트편의 형태로서는 예컨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44)를 구성하는 서포트 시트(42)의 의복측 표면을 따라서, 음순간 패드(44)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 띠 모양의 미니 시트편(52)을 횡단적으로 배치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형태에서는, 미니 시트편(52)은 음순간 패드(44)의 양측단에서 고정되며, 음순간 패드(44)의 긴 길이 방향을 향해 개구부, 즉 손가락 삽입용 입구(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형태에서는, 손가락(91)의 배 부분을 서포트 시트(42)에 접촉시키면서 손가락 삽입용 입구(53)에 손가락(91)을 삽입하면,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44)의 긴 길이 방향과 음렬(92)의 방향이 동일 방향을 향한다. 그리고, 손가락(91)의 배 부분으로 음순간 패드(44)를 음순 내부로 눌러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44)를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 미니 시트편은 예컨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44)의 긴 길이 방향의 중앙부 근방에서 그 긴 길이 방향의 한쪽의 가장자리 끝(93)까지, 음순간 패드(44)를 구성하는 서포트 시트(42)가 완전히 피복되도록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형태는 손가락(91)의 선단이 미니 시트편(52)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혈과 손가락(91)이 비접촉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위생적인 취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예컨대,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 모양의 미니 시트편(52)을 간격을 두고 여러 개 형성한 음순간 패드(44)도, 손가락(91)의 선단이 미니 시트편(52)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도 26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44)와 마찬가지로 위생적인 취급이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음순간 패드에 미니 시트편을 깔아 부설할 때에는 예컨대,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44) 전체를 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신체측을 향해 산 형상으로 접히는 모양으로 절곡하여, 그 입체적 형상을 유지하도록 미니 시트편(52)을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음순간 패드를 음순 형상에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니 시트편(52)의 측단부를 더욱 음순간 패드(44)의 측방으로 연장하여 풀업체(48)로 한 것은 별도로 풀업체를 부설하는 형태와 비교하여, 보다 간편히 풀업체를 형성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접합 방법]
상기한 각 부재는 히트 엠보스 가공, 초음파 시일, 혹은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또는 병용함으로써 접합되어 있다.
[포장 용기]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를 포장하는 포장 용기는 종래 공지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PE(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나 두께 15∼60 μm 정도의 필름, 종이, 혹은 이들을 라미네이트 가공한 라미네이트재 등을 들 수 있다.
[(B)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을 부여한 음순간 패드의 구성]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는 생분해성 소재 및/또는 수분산성 소재 및/또는 수용성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음순간 패드는 사용후 그대로 화장실에 떨어뜨려 흘릴 수 있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파기를 간편하고 또 청결하게 행할 수 있어, 화장실 내의 쓰레기 저감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생분해성」이란, 방선균을 비롯한 세균, 그 밖의 미생물의 존재하에, 자연계의 프로세스에 따라서, 혐기성 또는 호기성 조건하에서 물질이 이산화탄소 또는 메탄 등의 가스, 물 및 생물 자원으로 분해되는 것을 말하며, 그 물질의 생분해능(생분해 속도, 생분해도 등)이 낙엽 등의 자연스럽게 생기는 재료, 혹은 동일 환경하에서 생분해성으로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합성 폴리머에 필적하는 것을 말한다. 「수분산성」이란, 수해성과 동일한 의미로서, 사용시의 한정된양의 수분(경혈)에서는 영향이 없지만, 다량의 물 또는 수류 속에서는 섬유끼리가, 적어도 일반 화장실 배관을 막히게 하는 일이 없을 정도의 작은 단편으로 용이하게 분산되는 성질의 것을 말한다. 「수용성」이란, 사용시의 한정된 양의 수분(경혈)에서는 영향이 없지만, 다량의 물 또는 수류 중에서는 용해되는 성질의 것을 말한다.
[피복 시트]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을 부여하기 위한 피복 시트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섬유 길이를 1∼1.5 mm의 범위로 한 습식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들 수 있다. 또, 폴리젖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의 생분해성 수지, 아세테이트 또는 레이온, 합성 섬유 등의 단독 또는 연속 섬유인 토우를 50∼300 g/m2의 범위로 조정하여 해섬시킨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흡수체]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을 부여하기 위한 흡수체 소재로서는, 상기 피복 시트와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1.1∼6.6 dtex 범위에서 선택되는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를 60∼90%, 섬유형 고분자 흡수체를 10∼40%의 혼합비로 적층한 섬유를 니들링에 의해 얽히게 하여 시트화한 단위 중량 50∼250 g/m2, 2∼5 mm의 높이를 갖는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상기 부직포 시트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섬유로 구성하면,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이 향상된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서포트 시트]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불투수성인 서포트 시트의 소재로서는 PVA(폴리비닐알콜) 필름, PVA 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실리콘 수지 등에 의해 발수 처리를 실시한 시트, 실리콘 수지를 혼합한 PVA 필름, 전분 필름, 폴리젖산 또는 폴리부틸렌숙시네이드 등의 생분해성 수지를 원료로 한 필름 및 이들과 티슈 등과의 라미네이트재 등을 들 수 있다.
[미니 시트편]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을 부여하기 위한 미니 시트편의 소재로서는, 폴리젖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PVA 수지 등의 생분해성 또는 수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형으로 된 것을 들 수 있다.
[풀업체]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을 부여하기 위한 풀업체의 소재로서는, 이미 전술한 피복 시트나 서포트 시트와 같은 재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니 시트편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더라도 좋다.
[접합 방법]
또,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을 부여하기 위한 접합 방법으로서는, 열가소성 PVA 수지를 주체로 하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혹은 전분풀, 아크릴산을 주체로 하고, 가교제, 가소제 또는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겔에 의한 접착 등을 들 수 있다.
[포장 용기]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포장 용기를, 수용성 섬유를 사용한 섬유 시트, 생분해성 또는 수용성 수지를 사용한 필름, 혹은 상기 섬유 시트와 상기 필름의 라미네이트재, 상기 필름과 티슈와의 라미네이트재 등으로 구성하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음순간 패드를 음순에 걸어 부착시킨 상태에 있어서, 신체 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풀업체를 갖춘 것으로 했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를 넓게 더럽히는 일이 없는 청결성과 속옷에의 오물 부착이 저감되는 안도감이라는 기본적인 성능을 담보하는 것은 물론, 음순 사이로부터 신속하고 간편하게, 게다가 위생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7)

  1. 신체측에 면하는 투수성의 피복 시트와 의복측에 면하는 불투수성의 서포트 시트가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내포한 형태로 접합되어 이루어지고, 음순에 걸어 부착시켜 이용하는 음순간 패드로서,
    상기 음순간 패드 제거용으로 그 음순간 패드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풀업체(pull-up body)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체가 상기 음순간 패드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는 음순간 패드의 전단부로부터의 돌출, 혹은 상기 음순간 패드의 측연부로부터의 돌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의 의복측 표면과 상기 서포트 시트의 신체측 표면이 음순간 패드의 주연부에서 접합됨으로써 주연부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연부 접합부의 일부가 풀업체가 되는 것인 음순간 패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의 의복측 표면과 상기 서포트 시트의 신체측 표면이 음순간 패드의 주연부에서 점착됨으로써 주연부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연부 접합부로부터 상기 피복 시트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출된 피복 시트가 풀업체가 되는 것인 음순간 패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시트의 의복측 표면과 상기 서포트 시트의 신체측 표면이 음순간 패드의 주연부에서 점착됨으로써 주연부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주연부 접합부로부터 상기 서포트 시트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출된 서포트 시트가 풀업체가 되는 것인 음순간 패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체의 일부에 불연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음순간 패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부가 상기 풀업체에 형성된 개구부 또는 절결부인 것인 음순간 패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체에 형성된 개구부 또는 절결부가 각을 갖지 않는 형상인 것인 음순간 패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풀업체와 상기 주연부 접합부의 경계 근방에 액체가 스며나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압축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음순간 패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시트의 의복측에,이 서포트 시트의 긴 길이 방향의 각 측부에 있어서 1곳 이상의 접합 부분과 이 서포트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1곳 이상의 비접합 부분에 의해 접합된 미니 시트편을 구비하고, 상기 1곳 이상의 비접합 부분의 적어도 하나가, 미니 시트편과 서포트 시트 사이에서, 서포트 시트의 면 방향으로 손가락 폭의 개구가 직접적으로 확보되는 손가락 삽입용 입구를 형성하는 것인 음순간 패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니 시트편의 일부가 풀업체가 되는 것인 음순간 패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리대와 병용되는 생리대 병용용 음순간 패드인 것인 음순간 패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요실금용의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질분비물 흡수용의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용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포장체.
  16.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봉구를 갖는 개별 포장용의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포장체로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상기 손가락 삽입용 입구가 개봉구를 향하여 열리도록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포장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상기 미니 시트편이 음순간 패드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의복측 방향을 향해서 산 형상으로 접힌 모양으로 되도록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것인 포장체.
KR1020037015193A 2001-05-22 2002-05-21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KR100797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52403 2001-05-22
JP2001152403 2001-05-22
JP2001319915 2001-10-17
JPJP-P-2001-00319915 2001-10-17
PCT/JP2002/004885 WO2002094149A1 (fr) 2001-05-22 2002-05-21 Element interlabial et assemblage de celui-c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490A true KR20040000490A (ko) 2004-01-03
KR100797495B1 KR100797495B1 (ko) 2008-01-24

Family

ID=2661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193A KR100797495B1 (ko) 2001-05-22 2002-05-21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040158223A1 (ko)
EP (1) EP1407738B1 (ko)
JP (1) JP4178038B2 (ko)
KR (1) KR100797495B1 (ko)
CN (1) CN1275582C (ko)
AT (1) ATE524150T1 (ko)
AU (1) AU2002308834B2 (ko)
BR (1) BR0210040B1 (ko)
CA (1) CA2446008C (ko)
HK (1) HK1068053A1 (ko)
TW (1) TWM256152U (ko)
WO (1) WO2002094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893B1 (ko) * 2001-05-22 2008-03-03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US8246593B2 (en) 2003-07-03 2012-08-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for dynamic body fit
TWI358284B (en) * 2003-12-09 2012-02-21 Uni Charm Corp Interlabial pad
JP4705369B2 (ja) 2004-12-28 2011-06-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JP4787587B2 (ja) * 2005-09-30 2011-10-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JP5430280B2 (ja) 2009-08-06 2014-02-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個包装製品
JP5582760B2 (ja) 2009-11-04 2014-09-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第1の個包装体と、第2の個包装体と、固定部とを具備する個包装製品
WO2012005621A1 (ru) * 2010-07-09 2012-01-12 Kulichkov Vyacheslav Leonidovich Гигиен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RU184096U1 (ru) * 2017-10-05 2018-10-15 Руслан Рашатович Фаррахов Гигиеническая впитывающая полоска
TWI808139B (zh) * 2018-03-16 2023-07-11 日商日絆股份有限公司 創傷被覆材料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8795A (en) * 1940-06-19 1943-09-07 Frances W Finks Catamenial device
US2682875A (en) 1952-06-27 1954-07-06 Ethel C Brown Catamenial tampon
US2727515A (en) * 1953-05-25 1955-12-20 Adam F Hoff Surgical wiping pads
US3726277A (en) * 1970-08-31 1973-04-10 S Hirschman Feminine hygienic pad
FR2604621B1 (fr) * 1986-10-06 1991-09-27 Beghin Say Sa Dispositif formant serviette periodique ou similaire comportant des ailes ou volets lateraux soudes ensemble ameliorant l'etancheite laterale, de preference pourvus de plis
US5057096A (en) * 1990-06-21 1991-10-15 Faglione Frances M Genital-vulva pad sanitary napkin construction
US5336208A (en) * 1991-01-10 1994-08-09 Advanced Surgical Intervention, Inc. Urinary incontinence pad
US5658270A (en) * 1995-04-24 1997-08-19 Mcneil-Ppc, Inc. Body adhering sanitary protection products
US5885265A (en) * 1995-11-22 1999-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 dispersible and flushable interlabial absorbent structure
US5738212A (en) * 1996-10-04 1998-04-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pad and a dispensing package therefor
US6183456B1 (en) * 1997-06-16 2001-0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system and kit using an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EP0888764A1 (en) * 1997-07-01 1999-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e of a handling aid for a body appli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EP0888762A1 (en) * 1997-07-01 1999-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ndling aid for a body appli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6010001A (en) * 1997-11-21 2000-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dividual packaging for hygienic wiping
US6475199B1 (en) * 1998-04-27 2002-1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ndividually packaging a three dimensionally-shaped absorbent article
US6493898B1 (en) * 1998-12-09 2002-12-17 M. J. Woods, Inc. Laminated pads and methods of manufacture employing mechanically folded handles
US6131736A (en) 1999-06-28 2000-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ing device for an interlabial absorbent article
DE20002982U1 (de) * 2000-02-18 2000-04-20 Matzkow Frank Hygieneartikel
US20020026167A1 (en) * 2000-08-22 2002-02-28 Pompa Paula Sue Feminine protective pad
US6554813B2 (en) * 2000-11-24 2003-04-29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intralabial sanitary protection device
US6461341B1 (en) * 2000-12-23 2002-10-08 Joseph H. Bennett Absorption of light bodily dischar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24150T1 (de) 2011-09-15
EP1407738A1 (en) 2004-04-14
BR0210040A (pt) 2004-05-04
JPWO2002094149A1 (ja) 2004-09-02
KR100797495B1 (ko) 2008-01-24
BR0210040B1 (pt) 2013-05-28
TWM256152U (en) 2005-02-01
HK1068053A1 (en) 2005-04-22
JP4178038B2 (ja) 2008-11-12
EP1407738B1 (en) 2011-09-14
US20040158223A1 (en) 2004-08-12
CN1275582C (zh) 2006-09-20
CN1512866A (zh) 2004-07-14
CA2446008A1 (en) 2002-11-28
AU2002308834B2 (en) 2008-04-17
WO2002094149A1 (fr) 2002-11-28
EP1407738A4 (en) 2004-11-10
CA2446008C (en) 200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27668B (en) Flap-equipped interlabial pad
JP4224304B2 (ja) 指確保のための形態を備える陰唇間製品及び個別包装体
RU2294186C2 (ru) Интерлабиальная прокладка, содержащая язычок (варианты)
JP4178037B2 (ja) 陰唇間パッド
WO2002094145A1 (fr) Tampon interlabial
KR100736642B1 (ko) 음순간 패드
JP4178040B2 (ja) 陰唇間パッド
JP4178043B2 (ja) 陰唇間パッド
KR100797495B1 (ko)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WO2002094155A1 (fr) Serviette interlabiale
JP4178044B2 (ja) 陰唇間パッド及びその包装体
TW570777B (en) Inter-labial pad
JP4178042B2 (ja) 陰唇間パッド
CA2329696C (en) A sanitary napkin
JP2007068642A (ja) 男性用尿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