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951Y1 -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 - Google Patents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951Y1
KR200399951Y1 KR20-2005-0023737U KR20050023737U KR200399951Y1 KR 200399951 Y1 KR200399951 Y1 KR 200399951Y1 KR 20050023737 U KR20050023737 U KR 20050023737U KR 200399951 Y1 KR200399951 Y1 KR 200399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troller
connection line
terminal
vehicle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용
Original Assignee
장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지용 filed Critical 장지용
Priority to KR20-2005-0023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9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9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12High speed serial bus, e.g. IEEE P139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패널에 1DIN 또는 2DIN 크기로 삽입되는 콘트롤러가 형성되고, 상기 콘트롤러를 케이블로 본체에 연결하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본체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1DIN 또는 2DIN 크기로 삽입될 수 있는 케이스의 전면에 전원버튼, 리셋버튼 등이 형성된 콘트롤러와; 상기 콘트롤러에 연결된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되, 메인보드, CPU, 주기억장치 및 주변기기 등으로 형성된 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에 의하면, 차량내부의 전방패널에는 1DIN 또는 2DIN 크기의 콘트롤러만 형성시키고, 본체는 케이블에 의해서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어서 편리하고, 크기의 제한이 적어서 부품의 가격이 저렴해지는 효과가 있고, 부품의 교환이 용이하며, 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어서 컴퓨터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SEPARABLE BODY TYPE COMPUTER FOR INSTALLING INSIDE OF AUTOMOBILE}
본 고안은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패널에 1DIN 또는 2DIN 크기로 삽입되는 콘트롤러가 형성되고, 상기 콘트롤러를 케이블로 본체에 연결하되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본체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의 내부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운행시 지루함을 달래거나 업무를 돕기 위해서, 네비게이션장치, 무선인터넷장치, DVD 등 여러가지 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최근에는 소형컴퓨터가 내장되어 차량에서 업무 등을 처리하거나, 상기 종래의 장치를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차량용컴퓨터는 차량 내부의 전방패널에 삽입되어 사용되는데, 1DIN 또는 2DIN 크기에 삽입될 수 있는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전원공급장치, 메인보드, CPU, 주/보조 기억장치 ODD 등이 설치되며, 몸체의 내부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쿨링팬 등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차량용컴퓨터의 몸체는 알루미늄 등의 열전도가 좋은 것은 사용하여 각각의 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이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컴퓨터는 차량 내부의 전방패널에 1DIN 또는 2DIN 크기로 제한되기 때문에 각 부품들이 극소형으로 형성되어 제품의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각 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가 힘들어서 컴퓨터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부품을 쉽게 교환하거나 추가할 수 없어서 확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본체와 분리되어 연결케이블로 연결되는 콘트롤러가 차량의 전방패널에 형성되어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한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고, 본체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어서 본체의 부품교환을 용이하게 해서 확장성을 높인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ODD, 주/보조 기억장치, 메인보드, CPU 등의 처리장치 및 각종 연결용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어 1DIN 또는 2DIN 크기로 차량의 전방패널에 삽입될 수 있는 일반적인 차량용컴퓨터에 있어서,
1DIN 또는 2DIN 크기로 삽입될 수 있는 케이스의 전면에 전원버튼, 리셋버튼, USB단자, 1394단자, MIC단자, ODD, LED창이 형성되고, 후면에 사운드단자가 형성된 콘트롤러와;
상기 콘트롤러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는 모니터와;
상기 콘트롤러에 연결된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되, 메인보드, CPU, 주기억장치 및 주변기기 등으로 형성된 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보조 기억장치, 메인보드, CPU 등의 처리장치 및 각종 연결용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어 1DIN 또는 2DIN 크기로 전방패널에 삽입될 수 있는 일반적인 차량용컴퓨터에 있어서,
1DIN 또는 2DIN 크기로 삽입될 수 있는 케이스의 전면에 전원버튼(130), 리셋버튼(140), USB단자(160), 1394단자(170), MIC단자(180), ODD(120), LED창(150)이 형성되고, 후면에 사운드단자(미도시)가 형성된 콘트롤러(100)와;
상기 콘트롤러(100)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는 모니터(110)와;
상기 콘트롤러(100)에 연결된 케이블(300)에 의해 연결되되, 메인보드, CPU, 주기억장치 및 주변기기 등으로 형성된 본체(2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00)는 내부에 메인보드, CPU, 주기억장치 및 주변기기 등이 설치된 일반적인 컴퓨터로써 차량의 운전석 하단, 조수석 하단 또는 트렁크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콘트롤러(100)는 각각 이격되도록 모니터(110), ODD(120), 전원버튼(130), 리셋버튼(140), LED창(150), USB단자(160), 1394단자(170), MIC단자(180), 사운드단자로 형성되는데,
상기 모니터(110)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5591호, "엠프와 모니터가 내장된 차량용컴퓨터"에서 사용한 모니터로 입출력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식으로 형성되고, 상단에 삽입되어 형성되는데,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가이드의 끝단에 마운팅보드가 형성된 힌지에 의해 고정되어 작동되며, 상기 모니터(110)의 크기는 5~12inch로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ODD(120)는 일반적인 CD-ROOM이나 DVD 또는 두 기능이 합쳐진 COMBO가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버튼(130)은 본체의 전원을 ON/OFF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리셋버튼(140)은 본체의 전원을 재부팅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LED창(150)은 본체(200)의 시스템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USB단자(160)는 외부로부터의 USB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는 여러장치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1394단자(170)는 캠코더 등의 동영상 파일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MIC단자(180)는 마이크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사운드단자는 차량에 장착된 스피커와 연결시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되, 2~8채널까지 사용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케이블(300)은 본체(200)와 콘트롤러(100)를 연결하는 것으로 전원연결선, 리셋버튼연결선, 모니터연결선, 사운드단자연결선, MIC단자연결선, 1394단자연결선, USB단자연결선, ODD연결선, LED창연결선, 보조연결선이 하나의 케이블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개시하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콘트롤러(100)를 상기 실시예와 같이 형성하고, 센터페시아(400)를 이용해서 모니터(110)를 고정 장착한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는 도 4에서와 같이 차량내부의 전방패널에 1DIN 크기의 본체 분리형 콘트롤러(100)가 삽입 설치되는데, 차량의 조수석의 하단 및 운전석 하단 또는 트렁크에 설치된 본체(200)와 케이블(300)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200)를 1DIN 또는 2DIN 크기로 한정하지 않고, 크기를 차량의 장착하는 위치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어서, 부품의 교환이 용이하고, 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방출되어서 컴퓨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에 의하면, 차량내부의 전방패널에는 1DIN 또는 2DIN 크기의 콘트롤러만 형성시키고, 본체는 케이블에 의해서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어서 편리하고, 크기의 제한이 적어서 부품의 가격이 저렴한 효과가 있고, 부품의 교환이 용이하며, 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어서 컴퓨터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의 케이블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의 콘트롤러 장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 형성된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의 본체가 설치되는 개념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로 형성된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의 콘트롤러 장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트롤러 110 : 모니터
120 : ODD 130 : 전원
140 : 리셋 150 : USB단자
160 : MIC단자 170 : 사운드단자
180 : 1394단자 190 : LED창
200 : 본체 300 : 케이블

Claims (4)

  1. ODD, 주/보조 기억장치, 메인보드, CPU 등의 처리장치 및 각종 연결용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어 1DIN 또는 2DIN 크기로 전방패널에 삽입될 수 있는 일반적인 차량용컴퓨터에 있어서,
    1DIN 또는 2DIN 크기로 삽입될 수 있는 케이스의 전면에 전원버튼, 리셋버튼, USB단자, 1394단자, MIC단자, ODD, LED창이 형성되고, 후면에 사운드단자가 형성된 콘트롤러와;
    상기 콘트롤러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는 모니터와;
    상기 콘트롤러에 연결된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되, 메인보드, CPU, 주기억장치 및 주변기기 등으로 형성된 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전원연결선, 리셋버튼연결선, 사운드단자연결선, MIC단자연결선, 1394단자연결선, USB단자연결선, ODD연결선, LED창연결선, 보조연결선이 하나로 묶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단자는 2~8채널까지 사용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센터페시아에 장착되고, 콘트롤러가 상기 모니터의 하단에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
KR20-2005-0023737U 2005-08-17 2005-08-17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 KR200399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737U KR200399951Y1 (ko) 2005-08-17 2005-08-17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737U KR200399951Y1 (ko) 2005-08-17 2005-08-17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951Y1 true KR200399951Y1 (ko) 2005-10-31

Family

ID=43700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737U KR200399951Y1 (ko) 2005-08-17 2005-08-17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9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496A (ko) * 2017-07-07 2019-01-16 조정권 컴퓨터용 작동 조절 및 연결 설정 모듈 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5496A (ko) * 2017-07-07 2019-01-16 조정권 컴퓨터용 작동 조절 및 연결 설정 모듈 박스
KR101984385B1 (ko) 2017-07-07 2019-05-30 조정권 컴퓨터용 작동 조절 및 연결 설정 모듈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2756B2 (en) Navigation apparatus
JP3223195U (ja) Usb充電ベース
JP4444356B1 (ja) 電子機器
US20080067091A1 (en) Toolbox with a processor
JP2010058720A (ja) 車両用オーディオ装置
JP2012061948A (ja) 車載機器接続用アダプタ
KR200399951Y1 (ko) 본체 분리형 차량용컴퓨터
US7957630B2 (en) Mobile video/audio device
JP2010058719A (ja) 車両用物品収納ボックス構造
TWM582004U (zh) Manual control device
CN101377895A (zh) 等离子显示装置
JP2009241845A (ja) 保持対象物の連結構造
KR200350262Y1 (ko) 차량과 실내 설치용 컴퓨터
JP2013103594A (ja) 車載用電子機器
US6741475B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replaceable built-in external power supply module
JP2014174308A (ja) 電子機器とそれを搭載した自動車
JP5756948B2 (ja) 車載機器接続用アダプタ
CN216184840U (zh) 一种车载导航装置
JP6847470B2 (ja) 車載機器接続用アダプタ
KR100388815B1 (ko) 노트북을 이용한 자동차 실내에서의 사무화 시스템
JP6769635B2 (ja) 車載機器接続用アダプタ
JP4799688B2 (ja) 電子機器
CN205670440U (zh) 车载影音系统
JP2009192066A (ja) ネジカバー及び表示装置
JP6482010B2 (ja) 車載機器接続用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