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616Y1 - 면상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면상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616Y1
KR200399616Y1 KR20-2005-0021349U KR20050021349U KR200399616Y1 KR 200399616 Y1 KR200399616 Y1 KR 200399616Y1 KR 20050021349 U KR20050021349 U KR 20050021349U KR 200399616 Y1 KR200399616 Y1 KR 200399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ar heating
connector
heating element
present
heating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철
Original Assignee
(주)애니핫
박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핫, 박성철 filed Critical (주)애니핫
Priority to KR20-2005-0021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6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05B3/08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having electric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for high tempera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mounted on insulating base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면상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면상발열체들 간의 연결과 전기적인 결선을 해결할 수 있는 면상 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면상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는 둘 이상의 면상 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홈과 커넥터 단자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구비된 절연 성형물 및 상기 면상발열체 간의 전류 흐름을 이어주기 위한 커넥터 단자로 구성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면상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plane heater}
본 고안은 면상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면상발열체들 간의 연결과 전기적인 결선을 해결할 수 있는 면상 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상 발열체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열되며 전기요, 바닥재, 순간온수기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면상 발열체는 열선 단면적이 좁아 발열면적이 협소하여 발열량이 부족하고 고르게 열이 전달되지 못하며 열선의 비용이 높은 종래 면상 발열체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또한, 면상 발열체는 크게 발열체와 절연체로 이루어져 있는데, 발열체는 +, - 극성을 전하는 2개의 전극과 전극 사이로 맞닿아 있는 발열체로 구성되어 있다. 발열체는 +, -의 양극성을 2개의 전극으로부터 받아 저항의 표면적을 통하여 발열하는 것이다. 상기 전극과 발열체를 감싸고 있는 양쪽 절연체는 누전 및 감전을 방지하는 절연성 플라스틱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면상 발열체는 유연성이 부족하고 접거나 구부리는 경우 부서지거나 크랙(Crack) 현상이 발생되어 전기 전도성에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합성수지(PVC) 접착제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면상 발열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발열체는 절연성이 우수한 절연필름(100)의 상면에 고저항체인 액상의 카본페이스트를 적당한 간격을 두고 도포하여 카본부(110)를 형성한다. 카본부(110)의 양단에 각각 열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도전성의 실버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실버부(120)를 형성하고, 실버부(120)에 구리동판(130)을 올리며, 그 후, 절연필름(100)을 다시 코팅시킨다.
그리고 구리동판(130)에 전선(140)과 온도조절기를 연결하여 카본부(110)에 저항열이 발생되도록 하고, 바이메탈 방식 등의 온도조절기에서 카본부(110)의 과열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면상발열체는 전선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구리박판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실버부에 전류가 통전되어 카본부로 전류가 흐르게 되며, 카본부에 저항열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면상발열체 간의 연결을 하기 위해 시공 현장에서 절단 납땜이나 클램프를 이용하여 결선한 후, 절연테이프로 그 부분을 2중 또는 3중으로 접착시켜 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은 연결부위의 열경화나 납땜 불량 또는 클램프를 이용할 경우에 압착 불량으로 인해 전기 과열 등의 하자를 발생시키고, 바닥난방용 마감재로 사용시 마감재 사이의 온도 차이로 인하여 누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를 사용하여 종래의 면상발열체 간의 전극부의 납땜과 클램프 및 전선을 제거함으로써, 면상발열체의 시공 공정 시간을 감소하고 면상발열체 간의 전기적 결선을 확보할 수 있는 면상 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둘 이상의 면상 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홈과 커넥터 단자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구비된 절연 성형물 및 상기 면상발열체 간의 전류 흐름을 이어주기 위한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면상 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면상발열체(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면상발열체(200)는 발열체(202)에 절연처리 작업을 하여 수축성을 확보한 절연액을 도포하여 제1 절연층(204)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절연층(204)은 습기, 산 또는 알카리에 강하고, 화학적 침해나 충격 또는 진동에 강한 신축성을 지닌 액체 또는 고체이다.
발열체(202)는 모재로 금속판 또는 비금속판을 이용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온돌 발열 마루에 사용하기 위해 일 실시예로 비금속판인 에폭시그라스 적층판과 지 백크판을 이용하였다. 상기 발열체(202)의 두께는 1.0mm 이하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두께는 0.35mm 내지 1.0mm를 사용한다.
제1 절연층(204)에 탄소 발열체(206)를 인쇄하고, 동박테입으로 구성된 전극(208)을 부착한다. 탄소 발열체(206)와 동박테입으로 구성된 전극(208) 사이에 도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실버 할로겐화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를 도포한다. 이후 제2 절연층(210)을 형성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면상발열체들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부(3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커넥터부(300)는 커넥터 단자(320), 절연 성형물(360)을 포함한다.
절연 성형물(360)은 불포화 폴리에스테프론(ABS)을 사용함으로써, 화재에 강하고 습기나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에 강한 신축성을 가진다.
절연 성형물(360)은 둘 이상의 면상발열체(200)의 연결을 견고하게 하고 커넥터의 구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절연 성형물(360)은 커넥터 단자(320)가 삽입되기 위한 홀(330)을 구비하여 면상발열체(200) 간의 전기적인 연결한다. 이를 위해 절연 성형물(360)에는 면상발열체(200)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홈(3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 단자(320)는 본 고안이 여기서 기재된 관점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황동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청동으로 구성하고, 그 두께는 면상발열체(200)의 허용 전류값 이내로 하여야 하며, 커넥터 단자(320)의 고유 저항대비 크기가 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부(300)를 통해 면상발열체(200)들 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발열체(200)의 하부 단열제(310) 상에 위치한 면상발열체(200)의 전극 노출부(350)를 커넥터부(300)와 연결하여 도 4c와 같이 완성하는 것이다.
면상발열체의 하부 단열제(310)는 절연 성형물(360)의 규격에 따라 압축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커넥터 단자는 면상발열체(200) 간의 전류 흐름을 이어주기 위해 면상발열체(200)의 전극 노출부(350)가 커넥터부(300) 내부에 삽입되어 유동 즉, 움직임을 막기 위해 홀(330)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단자의 배열은 면상발열체(200)의 전극 간격과 일치하게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수는 유동적이어야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부(400)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커넥터부(400)의 일측에 절연수축튜브(410)가 삽입형 절연 성형물(420)에 삽입되어 연결되어 있다. 이는 상기 도 4a 내지 도 4c의 실시예와는 달리 더이상 면상발열체간의 연결을 하지 않을 경우 사용한다. 절연수축튜브(410)는 황동이나 인청동으로 제작한 심선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5b의 상태에서 도 5c의 상태로 결합한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면상 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는 커넥터를 사용하여 종래의 면상발열체 간의 전극부의 납땜과 클램프 및 전선을 제거함으로써, 면상발열체 간의 작업이 간단하고 시공 기간이 단축되며 전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면상 발열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면상발열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면상발열체들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부를 통해 면상발열체들 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부(400)를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면상발열체 300 : 커넥터부
310 : 하부 단열제 320 : 커넥터 단자
330 : 홀 340 : 홈
350 : 전극 노출부 360 : 절연 성형물

Claims (6)

  1. 둘 이상의 면상 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홈과 커넥터 단자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구비된 절연 성형물; 및
    상기 면상발열체 간의 전류 흐름을 이어주기 위한 커넥터 단자
    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구비한 면상 발열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성형물의 일측에 위치하는 삽입형 절연 성형물을 더 포함하는 면상 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형 절연 성형물은 절연수축튜브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수축튜브는 황동 또는 인청동 심선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단자는 황동 또는 인청동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단자는 면상발열체의 전극 간격과 일치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상 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KR20-2005-0021349U 2005-07-22 2005-07-22 면상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KR200399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349U KR200399616Y1 (ko) 2005-07-22 2005-07-22 면상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349U KR200399616Y1 (ko) 2005-07-22 2005-07-22 면상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616Y1 true KR200399616Y1 (ko) 2005-10-27

Family

ID=4370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349U KR200399616Y1 (ko) 2005-07-22 2005-07-22 면상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6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33227A (en) A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s
JP2019200981A (ja) はんだレス電気コネクタを有する窓組立体
JP2006190639A (ja) 自己調整型ヒータ・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340700A (ja) 圧電センサ
TWI375360B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399616Y1 (ko) 면상발열체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JP2013112122A (ja) ウインドガラス構造
JPH05283146A (ja) 厚膜抵抗発熱体
US9686823B2 (en) Electric heater
KR200350487Y1 (ko) 면상 발열체
JP2004079527A (ja) 面状ヒータ用電源供給端子及び該面状ヒータ用電源供給端子を備えた面状ヒータ
TW202119886A (zh) 具有加熱功能的轉接板以及電子裝置
KR20080000500U (ko) 면상발열체
JP2002015792A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端子構造及び接続端子の接合方法
KR100495130B1 (ko) 열융착을 이용한 인쇄회로기판용 표면실장형 전기장치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표면실장형 전기장치
EP3073801A1 (en) Integrally formed heater
CN107277949B (zh) 电热膜接线方法和电热膜
CN211240112U (zh) 一种空调ptc加热总成
CN212062721U (zh) 一种柔性导线阵列及其应用的led灯带
CN209897283U (zh) 一种柔性耐水洗电热膜的接线终端以及柔性耐水洗电热膜
CN218772515U (zh) 电极组件及等离子体设备
JP2019022321A (ja) モータ用端子及びモータ
EP3675291B1 (en) Low voltage electrification track system
CN212573000U (zh) 一种全绝缘的云母片电发热板
CN208094910U (zh) 电路板及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