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722Y1 -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722Y1
KR200398722Y1 KR20-2005-0013755U KR20050013755U KR200398722Y1 KR 200398722 Y1 KR200398722 Y1 KR 200398722Y1 KR 20050013755 U KR20050013755 U KR 20050013755U KR 200398722 Y1 KR200398722 Y1 KR 200398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hicle
extension rod
ten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철
Original Assignee
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철 filed Critical 황철
Priority to KR20-2005-0013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7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7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5Catwalks, running boards for vehicle tops, access means for vehicle tops; Handrai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루프 상부에 일반용 텐트의 설치가 가능한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루프 상부에 설치되되 복수개의 중공 파이프로 구성된 가로 프레임(20a)과 상기 가로 프레임(20a)에 직교하여 배치되는 세로 프레임(20b)이 결합되어 격자 형태로 구성된 바닥 프레임(20)과, 상기 바닥 프레임(20)의 가로 프레임(20a)의 중공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되 바닥 프레임(20)의 양측으로 각각 인출 연장되는 연장 로드(30)와, 상기 양측으로 인출 연장되는 연장 로드(30)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장 로드(30)가 동시에 연장되도록 하는 로드 고정대(40), 및 상기 로드 고정대(40)의 양단부의 하부에는 결합되어 상기 연장 로드(30)가 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지지대(60)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FRAME STRUCTURE FOR TENT IN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용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루프 상부에 차량 전용으로 제작된 텐트 및 일반용 텐트를 설치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주 5일 근무제의 보편화에 의해 레저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의 숫자가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콘도, 호텔 등의 숙박 시설은 휴가철에는 수요보다 공급이 적어 사용하기 어려우며, 숙박 시설의 이용보다는 캠핑을 선호하는 여행자들도 있다.
이들은 자신의 차량을 이용하여 목적지에 도착한 후 텐트를 이용하여 숙박을 해결하게 되는 데, 이때 텐트를 설치하는 장소가 여의치 않은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지붕에 설치하는 차량용 텐트가 알려져 있는 데, 일반적인 차량용 텐트는 수동의 경우에는 조립 단계가 복잡하여 조립이 번거롭고, 자동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루프 부위에 설치하기 때문에 텐트의 바닥면적이 차량의 루프 부위 면적으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어 전용 텐트를 사용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루프 상부에 구조적으로 안정하면서도 차량용 텐트 설치를 위한 보다 넓은 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연장 로드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로서, 본 고안은 따른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이 차량의 루프 상부에 설치되되 복수개의 중공 파이프로 구성된 가로 프레임(20a)과 상기 가로 프레임(20a)에 직교하여 배치되는 세로 프레임(20b)이 결합되어 격자 형태로 구성된 바닥 프레임(20)과, 상기 바닥 프레임(20)의 가로 프레임(20a)의 중공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되 바닥 프레임(20)의 양측으로 각각 인출 연장되는 연장 로드(30)와, 상기 양측으로 인출 연장되는 연장 로드(30)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장 로드(30)가 동시에 연장되도록 하는 로드 고정대(40) 및 상기 로드 고정대(40)의 양단부의 하부에는 결합되어 상기 연장 로드(30)가 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지지대(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바닥 프레임(20)과 차량의 루프 상부 사이에는 상기 바닥 프레임(2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0)이 더 구비되어 차체에 일단이 고정된 고정 브라켓(15)에 의해 차량의 루프 상부에 고정지지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 로드(30)의 길이는 바닥 프레임(2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중공의 가로 프레임(20a)에 삽입된 연장 로드(3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 프레임(20)의 가로 프레임(20a)의 단부 내측 상부에는 연장 로드(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1 걸림단(2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장 로드(30)의 내측단 상부에는 제 1 걸림단(22)과 걸려 연장 로드(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2 걸림단(32)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 프레임(20)의 가로 프레임(20a)의 일측에는 제 1 고정홀(25a)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 로드(30)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고정홀(25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고정홀(25b)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고정폴(25a) 및 제 2고정홀(25b)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구(26)에 의해 상기 연장 로드(30)는 상기 가로 프레임(20a)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닥 프레임(20)의 전후단의 가로프레임(20a)의 상면에는 제 1 난간대(50a)가 고정되며, 상기 로드 고정대(40)의 상면에는 제 2 난간대(50b)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량의 루프 상부에는, 사각 파이프를 이용하여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지지 프레임(10)이 고정되어 있는 데, 이때 지지 프레임(10)은 모서리 부분에 고정 브라켓(15)의 일단부를 고정시키고 고정 브라켓(15)의 타단부는 차량의 필라 부위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나아가 고정 브라켓(15)의 일단에는 지지 프레임(10)과 바닥 프레임(20)이 함께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지지 프레임(10)과 바닥 프레임(20)간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프레임(10)이 설치된 후, 지지 프레임(10)이 상부로는 바닥 프레임(20)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지지 프레임(10)과 바닥 프레임(20)의 결합은 용접 또는 볼트 고정에 의한다.
바닥 프레임(20)을 사각 파이프를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로 배치한 가로 프레임(20a)과 사각 파이프를 가로 프레임(20a)에 대하여 직교하여 배치되는 세로 프레임(20b)이루어진다. 세로 프레임(20b)은 바닥 프레임(20)의 양측단과 중앙 부분에 배치된다.
이때 바닥 프레임(20)의 가로 프레임(20a)은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연장 로드(3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연장 로드(30)는 바닥 프레임(20)의 양측으로 인출된다. 또한, 연장 로드(30)의 단부에는 연장 로드(30)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로드 고정대(4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로드 고정대(40)를 당김으로서 연장 로드(30)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바닥 프레임(20)의 가로 프레임(20a)의 단부 내측 상부에는 제 1 걸림단(22)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연장 로드(30)의 내측단 상부에는 제 1 걸림단(22)과 걸려 연장 로드(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2 걸림단(32)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연장 로드(30)를 바닥 프레임(20)의 양측으로 연장할 때 연장 로드(30)가 가로 프레임(20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로 프레임(20a)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연장 로드(30)는 하나의 연장 로드(30)가 왼쪽으로 연장되면 이와 밀접되어 있는 다른 연장 로드(30)는 오른쪽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바닥 프레임(20)의 양측으로 서로 번갈아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장 로드(30)의 길이는 바닥 프레임(20)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장 로드(30)가 양분되어 바닥 프레임(20)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확장 면적은 바닥 프레임(20) 면적의 2배이지만, 연장 로드(30)가 번갈아 연장되는 경우에는 연장 로드(30)의 연장에 의해 얻어지는 전체적인 확장 면적은 바닥 프레임(20) 면적의 3배가 되므로 더 많은 확장 면적을 얻기 위해 연장 로드(30)가 번갈아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 로드(30)가 바닥 프레임(20)의 양측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바닥 프레임과 연장 로드에 의해 확장된 부위는 텐트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로드 고정대(40)의 양측단 하부에는 로드 고정대(40)에서 지면까지 닿는 지지대(60)를 위치시켜 연장 로드(30)의 상부에 위치되는 다른 물체들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지지대(60)의 길이는 연장 로드(30)이 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 로드(30)이 지지대(6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 후, 바닥 프레임(20)과 연장 로드(30)의 상부에 텐트를 설치하도록 한다. 이때 설치되는 텐트는 전용이 아닌 일반 텐트이므로 텐트 설치 방법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바닥 프레임(20)과 연장 로드(30)는 사각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텐트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매트(70)를 깔아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 프레임(20)의 전후와 로드 고정대(40)의 상부에는 제 1 난간대(50a)와 제 2 난간대(50b)를 난간 고정홀(35)에 고정 설치하여 사용자가 바닥 프레임(20) 및 연장 로드(30)에서 낙하하여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텐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난간대를 해체한 후 연장 로드(30)를 가로 프레임(20a)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 후, 가로 프레임(20a)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고정홀(25a)과 연장 로드(30)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고정홀(25b)을 일치시킨 후 고정볼트 등과 같은 고정구(26)를 삽입하여 차량의 주행 중 연장 로드(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루프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이 중공의 단면을 가진 파이프가 격자 형태로 배치 결합되어 형성됨으로 구조적으로 안정하면서도 차량용 텐트 설치를 위한 보다 넓은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게 되어 전용 텐트 뿐만 아니라 일반 텐트까지 설치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연장 로드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 프레임 20 : 바닥 프레임
20a : 가로 프레임 20b : 세로 프레임
30 : 연장 로드 40 : 로드 고정대

Claims (6)

  1. 차량의 루프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중공 파이프로 구성된 가로 프레임(20a)과 상기 가로 프레임(20a)에 직교하여 배치되는 세로 프레임(20b)이 결합되어 격자 형태로 구성된 바닥 프레임(20);
    상기 바닥 프레임(20)의 가로 프레임(20a)의 중공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되 바닥 프레임(20)의 양측으로 각각 인출 연장되는 연장 로드(30);
    상기 양측으로 인출 연장되는 연장 로드(30)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장 로드(30)가 동시에 연장되도록 하는 로드 고정대(40); 및
    상기 로드 고정대(40)의 양단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장 로드(30)가 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지지하는 지지대(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20)과 차량의 루프 상부 사이에는 상기 바닥 프레임(2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0)이 더 구비되어, 차체에 일단이 고정된 고정 브라켓(15)에 의해 차량의 루프 상부에 고정지지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로드(30)의 길이는 바닥 프레임(2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서로 인접한 중공의 가로 프레임(20a)에 삽입된 연장 로드(3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20)의 가로 프레임(20a)의 단부 내측 상부에는 연장 로드(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1 걸림단(2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장 로드(30)의 내측단 상부에는 제 1 걸림단(22)과 걸려 연장 로드(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2 걸림단(32)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20)의 가로 프레임(20a)의 일측에는 제 1 고정홀(25a)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 로드(30)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고정홀(25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고정홀(25b)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고정홀(25a) 및 제 2고정홀(25b)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구(26)에 의해 상기 연장 로드(30)는 상기 가로 프레임(20a)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프레임(20)의 전후단의 가로프레임(20a)의 상면에는 제 1 난간대(50a)가 고정되며, 상기 로드 고정대(40)의 상면에는 제 2 난간대(50b)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
KR20-2005-0013755U 2005-05-16 2005-05-16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 KR200398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755U KR200398722Y1 (ko) 2005-05-16 2005-05-16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755U KR200398722Y1 (ko) 2005-05-16 2005-05-16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722Y1 true KR200398722Y1 (ko) 2005-10-17

Family

ID=4369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755U KR200398722Y1 (ko) 2005-05-16 2005-05-16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7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507B1 (ko) * 2008-06-05 2011-01-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휴식공간 탑재한 차량
CN112339645A (zh) * 2020-11-26 2021-02-09 呼伦贝尔市火星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多功能车顶平台
KR102489122B1 (ko) * 2022-10-04 2023-01-18 주식회사 디자인오공일 차량용 루프 데크구조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507B1 (ko) * 2008-06-05 2011-01-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휴식공간 탑재한 차량
CN112339645A (zh) * 2020-11-26 2021-02-09 呼伦贝尔市火星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多功能车顶平台
CN112339645B (zh) * 2020-11-26 2023-12-15 呼伦贝尔市火星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多功能车顶平台
KR102489122B1 (ko) * 2022-10-04 2023-01-18 주식회사 디자인오공일 차량용 루프 데크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0175A (en) Portable protective structure
ES2279943T3 (es) Equipo y conjunto de paneles prefabricados.
KR101490163B1 (ko) 차량용 텐트
US20130031851A1 (en) Modular Dwellings
US20090056779A1 (en) Auxiliary section for a canopy
KR200398722Y1 (ko) 차량용 텐트 설치용 프레임
KR101403575B1 (ko) 캠핑 텐트
US4566729A (en) Quick erection tent for pickup trucks
US20050178418A1 (en) Ring and pole connector assembly for a tent corner
KR200373213Y1 (ko) 차량용 텐트
US10752152B2 (en) Trailer house
CN212063310U (zh) 一种结构稳定的大跨距电缆桥架
KR102032301B1 (ko) 루프탑 텐트용 고정대
KR101465731B1 (ko) 카텐트 및 카텐트 설치방법
RU64153U1 (ru) Прицеп для легкового автомобиля
JP3756276B2 (ja) 合成樹脂製竹垣
KR101715121B1 (ko) 측면막이 결합된 캠핑용 조립식 텐트
CN216110035U (zh) 一种军用车辆车载帐篷
CN215978737U (zh) 一种帐篷安装结构
KR200167440Y1 (ko) 에어텐트
KR102636951B1 (ko) 캠핑을 위한 차량 연계 텐트
JP3516768B2 (ja) 建物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15369057U (zh) 一种演出帐篷
KR200234887Y1 (ko) 행사용 대형천막의 천막고정프레임
KR102221677B1 (ko) 화물차량용 스포일러 겸용 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