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467Y1 - 세절기용 원형칼날 - Google Patents

세절기용 원형칼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467Y1
KR200398467Y1 KR20-2005-0021128U KR20050021128U KR200398467Y1 KR 200398467 Y1 KR200398467 Y1 KR 200398467Y1 KR 20050021128 U KR20050021128 U KR 20050021128U KR 200398467 Y1 KR200398467 Y1 KR 200398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circular
blades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 영 박
Original Assignee
현 영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 영 박 filed Critical 현 영 박
Priority to KR20-2005-0021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4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4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절기의 칼날뭉치를 구성하는 원형칼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투입되는 세절물을 톱니와 같이 켜듯이 세절함과 동시에 그 세절물을 칼날뭉치 사이로 끌어 당기듯이 유입시켜 보다 원활한 세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세절기에서 투입되는 세절물을 세절하도록 한쌍의 칼날뭉치를 구성하는 다수의 원형칼날에 있어서, 상기 원형칼날은 그 원형몸체의 외측단에 상기 투입되는 세절물을 톱니와 같이 켜듯이 세절하는 톱니 형태의 세절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절기용 원형칼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절기용 원형칼날{circular blade for cutting device}
본 고안은 세절기의 칼날뭉치를 구성하는 원형칼날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투입되는 세절물이 면접촉에 의해 세절되는 것이 아니라 점접촉에 의해 세절됨과 동시에 그 세절물을 칼날뭉치 사이로 끌어 당기듯이 유입시켜 보다 원활한 세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세절기용 원형칼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절기는 다수의 원형칼날로 이루어진 칼날뭉치를 상,하로 교차 설치하여 세절물, 즉 육류나 각종 채소 및 파 등과 같은 세절물을 가늘게 절단하는 기계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세절기는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구동모터의 동력이 벨트로 연결되는 제1,2 풀리로 구성된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전달되어 투입되는 세절물을 세절하는 다수의 원형칼날이 장착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칼날뭉치가 상,하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세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세절기의 세절부를 첨부된 도면 도 9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세절기에 구비되는 세절부(100)는 상기어박스(110)의 직하부에 직교되는 하기어박스(120)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 기어박스(110)(120)의 전방에는 한쌍의 회전축(132)에 다수의 원형칼날(134)이 장착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칼날뭉치(130)가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132)의 전방에는 그 선단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지지부재(140)가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상,하 기어박스(110)(120)에는 상기 회전축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다수의 볼베어링으로 지지되는 한쌍의 장착축(112) 상에 상,하의 직교되는 칼날뭉치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호 맞물리는 각각의 구동 헤리컬기어(112a) 및 서로 맞물리는 전달기어(112b)와 연동기어(1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장착축(112)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축(132)의 끝단이 결합되는 각각의 결합홈(112A)이 형성되고, 그 장착축의 끝단은 상기 볼베어링에 삽입된 후 스냅링에 의해 고정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동력전달부에 의해 상,하 기어박스로 전달되고, 그 상,하 기어박스의 장착축에 장착된 구동 헤리컬기어와 전달기어 및 연동기어로 인하여 상기 장착축의 결합홈으로 삽입된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맞물려 있는 한쌍의 칼날뭉치 또한 회전됨으로써, 그 한쌍의 칼날뭉치 사이로 투입되는 세절물을 다수의 원칼날에 의해 가늘게 세절하였다.
그러나, 이같이 사용되는 세절기의 칼날뭉치를 구성하는 원형칼날(134)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몸체(134a)의 외측에 경사면 끝단으로 동일선상에 연속되는 칼날부(134b)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투입되는 세절물을 회전력에 의해 그 칼날부의 끝단이 세절물과 면접촉되어 베듯이 세절이 이루어 지므로서, 세절물 중에서도 육류의 심줄이나 껍데기 등과 같은 질긴 부분에서는 상기 칼날부에 휨이 발생하여 세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세절기의 칼날뭉치를 구성하는 원형칼날이 투입되는 세절물이 면접촉에 의해 세절되는 것이 아니라 점접촉에 의해 세절됨과 동시에 그 세절물을 칼날뭉치 사이로 끌어 당기듯이 유입시켜 보다 원활한 세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세절물을 톱니와 같이 켜듯이 세절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지속적인 점좁촉으로 세절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세절된 세절물이 원형칼날의 일면으로 부착되지 않음은 세절시 발생되는 세절액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절기에서 투입되는 세절물을 세절하도록 한쌍의 칼날뭉치를 구성하는 다수의 원형칼날에 있어서, 상기 원형칼날은 그 원형몸체의 외측단에 상기 투입되는 세절물을 연속적인 점접촉에 의해 세절하는 세절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절날부는 그 원형몸체의 일면으로부터 끝단으로 서로 다른 경사면을 갖는 세절 칼날부와 지지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절 칼날부는 톱니 형태로 끝단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켜는칼날과, 상기 켜는칼날에서 연장된 경계날 사이에 그 경계날과 다른 선상의 면을 갖는 인입된 호형태의 절단칼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절 칼날부는 끝단과 일면이 돌출된 호형태의 곡면이 연속반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절단날과, 상기 절단날 사이에 그 절단날의 일면 보다 낮은 선상의 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요부 확대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A부분의 요부 확대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절기에서 투입되는 육류나 채소 등과 같은 세절물을 가늘게 세절하도록 한쌍의 칼날뭉치를 구성하는 다수의 원형칼날(134)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투입되는 세절물을 면접촉이 아닌 점접촉에 의해 세절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그 세절물을 한쌍의 칼날뭉치 사이로 끌어 당기듯이 용이하게 유입시켜 보다 원활한 세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원형칼날(134)은 그 원형몸체(134a)의 외측단에 상기 투입되는 세절물을 칼날부분이 면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연속적인 점접촉에 의해 세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절날부(10)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세절날부(10)는 그 원형몸체(134a)의 일면으로부터 끝단으로 서로 다른 경사면을 갖는 세절 칼날부(12)와 상기 세절 칼날부에 휨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14)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절 칼날부(12)는 톱니 형태로 끝단에 돌출되어 인입되는 세절물의 세절면을 점접촉되어 톱니와 같이 켤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켜는칼날(12a)과, 상기 켜는칼날(12a)에서 연장된 경계날(12b) 사이에 그 켜는 칼날에 의해 세절된 부분을 완전히 절단함과 동시에 세절물이 부착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세절시 발생되는 세절액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그 경계날(12b)과 다른 선상의 면을 갖는 호형태의 절단칼날(12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해서, 상기 세절칼날부는 톱니와 같이 켜듯이 세절함에 따라, 즉 스테이크나 돈가스 등을 절단시 사용되는 나이프의 칼날 일부분에 톱니부가 형성되어, 최소한의 가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는 원리와 같이 원리가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고안의 원형칼날은 도 5에서와 같이 세절하고자 하는 세절물을 세절기에 투입시 한쌍의 칼날뭉치를 구성하는 상기 원형칼날에 의해 원활한 세절이 이루어진다.
다시말해서, 상기 투입된 세절물을 그 원형칼날의 원형몸체(134a) 외측단에 형성된 세절날부(10)인 톱니 형태의 세절 칼날부(12)의 켜는칼날(12a)에 의해 1차적으로 점접촉되어 톱질 하듯이 켜지게 세절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켜는칼날 사이에 형성된 절단칼날(12c)에 의해 2차적으로 세절부분을 완전하게 베듯이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아무리 질긴 육류의 심줄이나 껍데기 등도 우선적으로 세절 칼날부의 켜늘칼날에 의해 점접촉에 의한 톱질 하듯이 썰은 부분을 다시 절단칼날로 베듯이 세절시킴에 따라 그 원형칼날의 세절날부가 휨없이 용이하게 세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켜는칼날(12a)은 원형몸체(134a)의 일면과 경사진 지지부(14)에 의해 세절물을 세절시 보다 큰 지지력을 가지게 되어, 그 켜는칼날에 휨 등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세절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톱니 형태로 형성된 상기 켜는칼날은 세절물을 켜듯이 세절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그 끝단이 톱니 형태로 돌출되어 세절된 세절물을 회전에 의해 칼날뭉치 사이로 당기듯이 유입시키는 역할도 하게 되므로서, 더욱더 용이한 세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부수적인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켜는칼날(12a)에 연장되게 형성된 경계날(12b)은 그 켜는칼날(12a)과 절단칼날(12c)에 의해 세절물이 세절된 후에 그 세절 칼날부와 그 원형칼날의 일면으로 세절물이 부착되지 않게 하는 것으로, 즉 상기 경계날(12b)은 켜는칼날(12a)에서 연장되어 그 사이에 형성된 절단칼날(12c)과 동일면으로 형성되지 않고 또 다른 면 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세절 칼날부와 전체적으로 원형칼날의 일면으로 세절물이 부착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세절시 발생되는 세절액 또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조건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확대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A부분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따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세절 칼날부에 의해 세절물을 세절시 면접촉에 의해 세절되는 것이 아니라 점접촉에 의해 세절시 보다 원활한 세절은 물론 그 세절물이 원형칼날의 일면에 부착되지 않고 세절시 발생되는 세절액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세절 칼날부(12)를 끝단과 일면이 돌출된 호형태의 곡면이 연속반복되게 형성되어 투입된 세절물을 연속적인 점접촉으로 베듯이 세절이 이루질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절단날(12A)과, 상기 절단날 사이에 그 절단날의 일면 보다 낮은 선상에 세절시 발생되는 세절액이 원활하게 배출시키도록 골부(12B)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이는 호형태로 돌출 형성된 절단날이 투입된 세절물의 세절면과 지속적으로 면접촉되어 세절하는 것이 아니라 점접촉에 의한 연속적으로 베듯이 세절함에 따라 질긴 세절물일 경우에도 연속적으로 점접촉되는 절단날에 의해 원활하게 세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단날은 끝단과 일면이 돌출된 호형태로 형성되어 세절물이 일면으로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 함과 아울러 큰 지지력을 가지게 되어 휨 등이 발생되는 것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절단날 사이에 형성되는 골부는 세절시 발생되는 세절액이 원활하게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함에 따라 상기 세절액에 의해 절단날의 표면과 세절물 흡착됨으로 인한 세절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용이한 세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갖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세절기의 칼날뭉치를 구성하는 원형칼날의 세절날부를 톱니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투입되는 세절물을 점접촉에 의한 톱니와 같이 켜듯이 세절함과 동시에 그 세절물을 칼날뭉치 사이로 끌어 당기듯이 유입시켜 보다 원활하게 세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세절하고자 하는 육류의 질긴 심줄이나 껍데기 등과 같은 세절물도 원형칼날의 세절날부에 휨 등이 발생하지 않고 점접촉에 의해 원활하게 세절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절시 그 세절물을 끌어 당기듯이 칼날뭉치 사이로 인입시킴에 따라 더욱더 용이한 세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세절 칼날부에 형성된 경계날에 의해 세절된 세절물이 그 세절 칼날부를 포함한 원형칼날의 일면에 부착되지 않고 세절시 발생되는 세절액도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또, 세절 칼날부를 돌출된 호형태인 다수의 절단날에 의해 연속적인 점접촉으로 세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 절단날 사이에 골부를 형성하므로서, 질긴 세절물을 연속적인 점접촉에 의해 용이하게 세절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세절시 세절물이 원형칼날의 일면에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세절물에서 발생되는 세절액 또한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어 더욱더 원활한 세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요부 확대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A부분의 요부 확대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확대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A부분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요부 종단면도.
도 9는 일반적인 세절기의 세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세절기에 사용되는 종래 원형칼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세절날부
12 : 세절 칼날부 12A : 절단날
12B : 골부 12a : 켜는칼날
12b : 경계날 12c : 절단칼날
14 : 지지부
134 : 원형칼날
134a : 원형몸체

Claims (4)

  1. 세절기에서 투입되는 세절물을 세절하도록 한쌍의 칼날뭉치를 구성하는 다수의 원형칼날에 있어서,
    상기 원형칼날(134)은 그 원형몸체(134a)의 외측단에 상기 투입되는 세절물을 연속적인 점접촉에 의해 세절하는 세절날부(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절기용 원형칼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절날부(10)는 그 원형몸체(134a)의 일면으로부터 끝단으로 서로 다른 경사면을 갖는 세절 칼날부(12)와 지지부(1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절기용 원형칼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절 칼날부(12)는 톱니 형태로 끝단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켜는칼날(12a)과, 상기 켜는칼날에서 연장된 경계날(12b) 사이에 그 경계날과 다른 선상의 면을 갖는 호형태의 절단칼날(12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절기용 원형칼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절 칼날부(12)는 끝단과 일면이 돌출된 호형태의 곡면이 연속반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절단날(12A)과, 상기 절단날 사이에 그 절단날의 일면 보다 낮은 선상의 골부(12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절기용 원형칼날.
KR20-2005-0021128U 2005-07-20 2005-07-20 세절기용 원형칼날 KR200398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128U KR200398467Y1 (ko) 2005-07-20 2005-07-20 세절기용 원형칼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128U KR200398467Y1 (ko) 2005-07-20 2005-07-20 세절기용 원형칼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467Y1 true KR200398467Y1 (ko) 2005-10-13

Family

ID=4369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128U KR200398467Y1 (ko) 2005-07-20 2005-07-20 세절기용 원형칼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4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292B1 (ko) 파인애플등의 과일의 심(core)외피 및 과육을 분리 하기위한 도구
KR20010002297A (ko) 식품 슬라이서의 절단편 이탈 안내장치
US20040134326A1 (en) Molded plastic blade holder
EP1523399B1 (en) Food cutting apparatus
KR20100060298A (ko) 건초 절단기
KR200398467Y1 (ko) 세절기용 원형칼날
KR100642833B1 (ko) 세절기의 칼날 맞물림 간격의 자동 조절장치
CN104379037A (zh) 用于厨房装置的刀片工具布置
KR101010438B1 (ko) 건초 절단기
KR101965344B1 (ko) 농작물용 꼭지절단장치
CA2344087A1 (en) Apparatus for cutting and stirring curd
KR200238297Y1 (ko) 육류 절단기
KR101219116B1 (ko) 육류 세절기
KR100821057B1 (ko) 생선살 경사세절장치
CN106737897B (zh) 一种用于手持式搅拌器的料理杯
KR20080002090U (ko) 핸드믹서의 동력을 이용하는 주서기
JP5207241B2 (ja) 排稈カッター
CN212077216U (zh) 一种纤维切断机的滚刀驱动装置
KR200230318Y1 (ko) 밤의 탈피기
EP1703810B1 (en) Scraper for cleaning surfaces around revolving knives in a cutter drum for cutting/comminuting organic plant materials, particularly tobacco materials
KR200306748Y1 (ko) 탕수육용 절단기
KR200306749Y1 (ko) 골절기의 내부포장구조
KR100557470B1 (ko) 세절기용 칼날뭉치의 회전장치
KR20080002183U (ko) 핸드믹서의 동력을 이용하는 채칼
RU2005102347A (ru) Ротационный режущий аппара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