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634Y1 -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634Y1
KR200397634Y1 KR20-2005-0018609U KR20050018609U KR200397634Y1 KR 200397634 Y1 KR200397634 Y1 KR 200397634Y1 KR 20050018609 U KR20050018609 U KR 20050018609U KR 200397634 Y1 KR200397634 Y1 KR 2003976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club
shock absorbing
absorbing device
shaft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병훈
Original Assignee
나병훈
최정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병훈, 최정단 filed Critical 나병훈
Priority to KR20-2005-0018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6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6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6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4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means for damp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0Non-metall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2Metall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골프채로 골프공을 타격할 때의 충격을 줄이기 위하여, 손잡이, 샤프트 및 헤드로 구성된 골프채에 있어서, 샤프트 삽입홈이 형성된 소정의 두께를 갖는 관 형상의 몸체로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 삽입홈의 내경은 상기 골프채의 샤프트의 외경과 동일하고, 상기 샤프트 삽입홈에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상단을 끼움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A anti-shock apparatus for golf club}
본 고안은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채로 골프공을 타격할 때의 충격을 줄이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채는 손잡이, 골프공을 타격하는 헤드 및 손잡이와 헤드를 연결하는 샤프트(shaf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골프채 중에서, 특히 드라이빙 샷에 사용되는 드라이버는 헤드 자체의 무게가 약 200그램 정도이고, 골프공을 멀리 보내기 위하여 빠른 속도로 골프채를 휘두르기 때문에, 골프공을 쳐낼 때의 충격량이 사용자의 손잡이로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순간적인 고통을 줄 뿐만 아니라, 소위 '엘보 증상'을 야기시키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골프채의 사용에 따른 충격량의 절감을 위하여 골프채의 헤드 부분에 압축 공기 또는 연질의 수지를 충전한 충격 감소 헤드가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헤드를 첨부된 도면 도12와 도13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12는 제1종래 기술에 따른 충격 흡수 골프 헤드의 사시도이고, 도13은 제2종래 기술에 따른 충격 흡수 골프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종래기술에 따른 헤드(1)는 상측 부재(2)와 하측 부재(3)로 구성된다. 하측 부재(3)에는 노즐(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 부재(2)의 내부 빈 공간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종래기술에 따른 헤드는 본체(21)와 정면 패널(25)로 구성된다. 본체(21)에는 내부 공간(22)이 형성되고, 상부에 형성된 충전 구멍(24)을 통해 합성수지를 충전한다.
즉, 제1종래기술과 제2종래기술은 내부에 압축 공기 또는 합성수지 등을 충전하여 헤드와 골프공의 충격에 따른 충격량을 저감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에 따른 헤드는, 충격량의 저감을 위해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된 헤드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골프 헤드의 설계시에 충진재가 충진된 상태에 따른 임팩트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설계 변수가 많아지게 되어 설계가 곤란하고 시제품을 통한 실험 물량의 제조가 곤란한 문제가 상존하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기존의 골프채에 적용이 가능한 충격 흡수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한 충격 흡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는, 손잡이, 샤프트 및 헤드로 구성된 골프채에 있어서, 샤프트 삽입홈이 형성된 소정의 두께를 갖는 관 형상의 몸체로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 삽입홈의 내경은 상기 골프채의 샤프트의 외경과 동일하고, 상기 샤프트 삽입홈에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상단을 끼움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술된 샤프트 삽입홈의 내경에는 마찰대가 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샤프트 삽입홈의 내경에는 다수개의 마찰 돌기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는 전술된 몸체의 외주를 따라, 동일 간격으로 복수개의 중량부가 상기 몸체와 중량부를 연결하는 연장부에 의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몸체는, 외주를 따라, 동일 간격으로 복수개의 중량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중량부 삽입홈에 돌려 맞춤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형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중량부 삽입홈에 상기 결합형 중량부를 돌려 맞춤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는 고무, 실리콘, 연질의 합성수지, 경질 합성수지, 금속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는 골프채의 손잡이로부터 80 내지 120mm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충격 흡수 장치의 중량부는 1개 이상 6개 이하일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먼저 첨부된 도면 도1을 참조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이하에서,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간략히 '충격 흡수 장치'라 한다)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10)는 속이 빈 관형의 몸체(110)로 구성된다.
즉, 관형의 내부인 샤프트 삽입홈(102)은 골프채의 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샤프트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다.
또한, 몸체(110)는 고무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등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경질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2를 참조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200)는 제1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100)에 비해, 몸체(210)의 외주를 따라 3개의 중량부(220)가 각각 연장부(222)를 통해 동일한 간격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 3개의 연장부(220)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충격 흡수 효과가 보다 커지는 이점이 있다. 이에 관련된 설명은 이후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후술될 것이다.
(제3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3을 참조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300)는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200)에 비해, 6개의 중량부(320)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 6개의 연장부(320)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3개의 연장부를 사용하는 충격 흡수 장치보다 충격 감소 효과가 보다 커지는 이점이 있다. 이에 관련된 설명은 이후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후술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충격 흡수 장치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채의 샤프트에 결합하여 사용된다.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56), 샤프트(54) 및 손잡이(52)로 구성된 골프채의 샤프트(54)에 충격 흡수 장치(300)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제4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4를 참조로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400)는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200)에 비해, 샤프트 삽입홈(402)의 내경에 마찰대(404)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 마찰대(404)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골프채의 스윙에 따라 충격 흡수 장치(400)가 샤프트를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5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5를 참조로 본 고안의 제5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5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500)는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200)에 비해, 샤프트 삽입홈(502)의 내경에 마찰 돌기(504)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 마찰 돌기(504)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골프채의 스윙에 따라 충격 흡수 장치(500)가 샤프트를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6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6을 참조로 본 고안의 제6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6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600)는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200)에 비해, 중량부(62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본 제6실시예에서 몸체(610)의 외주면에는, 동일 간격으로 복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중량부 삽입홈(604)을 구성한다.
또한 중량부(620)는 중량부 삽입홈(604)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중량부 삽입대(624)가 형성되어 있고, 중량부 삽입홈(604)에 중량부 삽입대(624)를 돌려 맞춤하여 중량부(620)를 몸체(610)에 결합한다. 이때 중량부 삽입홈(604)과 중량부 삽입대(624)는 잦은 착탈에 의한 마모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중량부(620)를 착탈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중량부(620)의 사용 개수를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실험예1)
첨부된 도면 도8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를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시간에 따른 충격량에 대한 실험예를 설명한다.
도8은 골프공 타격시, 충격 흡수 장치를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 골프채 손잡이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시간에 따라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8에서 상부의 그래프는 충격 흡수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충격량 그래프이고, 하부의 그래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를 사용한 경우의 충격량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세로축은 충격량을 나타낸다.
도8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를 사용할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충격량의 감소가 빠를 뿐만 아니라 잔진동도 없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2)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9를 참조로, 중량부의 수에 따른 충격량을 살펴본다.
도9는 충격 흡수 장치의 형상에 따른 충격량을 도시한 것이다.
도9에서 상부의 그래프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사용한 경우, 중앙의 그래프는 제2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사용한 경우, 하부의 그래프는 제3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사용한 경우의 충격량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세로축은 충격량을 나타낸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보다는 제2실시예가, 제2실시예보다는 제3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가 충격 흡수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중량부의 수량은 6개 이내인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실험예3)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10을 참조로, 충격 흡수 장치의 부착 위치에 따른 충격량을 살펴본다.
도10은 제3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의 장착 위치에 따른 충격량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에서 상부의 그래프는 골프채의 손잡이로부터 30mm 하부에, 중앙의 그래프는 100mm 하부에, 하부의 그래프는 200mm 하부에 충격 흡수 장치를 장착한 경우의 충격량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세로축은 충격량을 나타낸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 장치는 골프채의 손잡이로부터 100mm 하부에 결합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충격 흡수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 흡수 장치의 결합 위치는 골프채의 손잡이로부터 80~120mm 범위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예4)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11을 참조로, 충격 흡수 장치의 경도에 따른 충격량을 살펴본다.
도11은 충격 흡수 장치의 재질에 따른 충격량을 도시한 것이다.
도11에서 상부의 그래프는 60~70의 경도를 갖는 고무를, 중앙의 그래프는 40~50의 경도를 갖는 고무를, 하부의 그래프는 30~40의 경도를 갖는 고무를 사용하여 충격 흡수 장치를 형성한 경우의 충격량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세로축은 충격량을 나타낸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흡수 장치는 30~40의 경도를 갖는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고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는 필요에 따라 두 개 이상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골프채의 샤프트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기존의 골프채에도 적용 가능한 충격 흡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장, 체격 등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한 충격 흡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8은 골프공 타격시, 충격 흡수 장치를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 골프채 손잡이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시간에 따라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9는 충격 흡수 장치의 형상에 따른 충격량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충격 흡수 장치의 장착 위치에 따른 충격량을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충격 흡수 장치의 재질에 따른 충격량을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제1종래 기술에 따른 충격 흡수 골프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13은 제2종래 기술에 따른 충격 흡수 골프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골프 헤드 2: 상측 부재
3: 하측 부재 3a: 노즐
21: 본체 22: 내부 공간
24: 충전 구멍 25: 정면 패널
50: 골프채 52: 손잡이
54: 샤프트 56: 헤드
100,200,300,400,500,600: 충격 흡수 장치
102,202,302,402,502,602: 샤프트 삽입홈
110,210,310,410,510,610: 몸체 220,320,420,520,620: 중량부
222,322,422,522: 연장부 404: 마찰대
504: 마찰 돌기 604: 중량부 삽입홈
624: 중량부 삽입대

Claims (6)

  1. 손잡이, 샤프트 및 헤드로 구성된 골프채에 있어서,
    샤프트 삽입홈이 형성된 소정의 두께를 갖는 관 형상의 몸체로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 삽입홈의 내경은 상기 골프채의 샤프트의 외경과 동일하고,
    상기 샤프트 삽입홈에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상단을 끼움 결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주를 따라, 동일 간격으로 복수개의 중량부가 상기 몸체와 중량부를 연결하는 연장부에 의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삽입홈의 내경에는 마찰대가 띄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다수 개의 마찰돌기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외주를 따라, 동일 간격으로 복수개의 중량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중량부 삽입홈에 돌려 맞춤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형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중량부 삽입홈에 상기 결합형 중량부를 돌려 맞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는 고무, 실리콘, 연질의 합성수지, 경질 합성수지, 금속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는 골프채의 손잡이로부터 80 내지 120mm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충격 흡수 장치의 중량부는 1개 이상 6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
KR20-2005-0018609U 2005-06-28 2005-06-28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 KR2003976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609U KR200397634Y1 (ko) 2005-06-28 2005-06-28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609U KR200397634Y1 (ko) 2005-06-28 2005-06-28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634Y1 true KR200397634Y1 (ko) 2005-10-06

Family

ID=4369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609U KR200397634Y1 (ko) 2005-06-28 2005-06-28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6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7034A1 (en) Putter-type golf club
US10729950B2 (en) Iron golf club with badge
US5203561A (en) Vibration dampening handle having metal particles and a viscus fluid
US5219164A (en) Shock absorbing baseball bat
US20060063618A1 (en) Grip end bottom weight and grip end bottom weighting structure
JP4564889B2 (ja)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ゴルフクラブ
US20080004129A1 (en) Golf club head
US20040121850A1 (en) Putter grip with improved vibration transmission to hands
AU720480B2 (en) Vibration dampening insert for golf clubs
JP2008137151A (ja) 重量可変グリップ
US5964672A (en) Vibration damper
US20180056146A1 (en) Iron golf club with badge
US20050215345A1 (en) Golf club
US5092594A (en) Shock absorbing structures of a game racket handle
KR200397634Y1 (ko) 골프채의 충격 흡수 장치
US5098098A (en) Shock and vibration absorbant sports racket
US20090124408A1 (en) Vibration Reduction Grip for Golf Clubs
US7189168B2 (en) Golf club grip
JP2853926B2 (ja) 衝撃振動吸収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スポーツ用具のグリップエンド、工具のグリップエンドならびに二輪車のグリップエンド
JP2014207972A (ja) ゴルフクラブの重り付きグリップ
US11253759B2 (en) Golf club
KR101418681B1 (ko) 충격 흡수용 골프 링
WO1993005849A1 (en) Head
JP6845563B2 (ja) ゴルフクラブのバランス調整錘の固定構造、並びに、ゴルフクラブのバランス調整錘
JPH07289673A (ja) バ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