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578Y1 - 토치용 기화기 - Google Patents

토치용 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578Y1
KR200397578Y1 KR20-2005-0020733U KR20050020733U KR200397578Y1 KR 200397578 Y1 KR200397578 Y1 KR 200397578Y1 KR 20050020733 U KR20050020733 U KR 20050020733U KR 200397578 Y1 KR200397578 Y1 KR 2003975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quefied butane
torch
butane gas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용
Original Assignee
김화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화용 filed Critical 김화용
Priority to KR20-2005-0020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5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5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8Torches, e.g. for braz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Abstract

본 고안은 초기착화시 및 사용중 화염의 불완전 연소를 예방하는 토치용 기화기에 관한 것으로, 액화부탄가스통과 연결되는 가스 공급관을 포함하며 가스 공급관의 개폐정도를 조정하는 조정밸브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가스 공급관의 공급단부와 연결되어 액화부탄가스를 기화시켜 1차 공기와 혼합시킨 다음 분출시킴에 따라 점화수단의 착화를 통해 화염을 생성하는 기화기로 구성된 토치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는, 상기 가스 공급관의 공급단부에 연결되어 액화부탄가스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수단이 포함된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액화부탄가스 배출측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둘레에 제1 분출홀이 형성된 액화부탄가스 취합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내측캡과, 상기 내측캡의 외측면과 일정하게 간격으로 두고 감싸면서 상기 연결체에 고정되어 내측에는 상기 내측캡과 사이에 기화공간이 구비되고 전면판의 중앙에는 기화가스가 분출되는 제2 분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캡과, 상기 외측캡의 둘레를 밀착되게 감싸며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화염의 열을 상기 내,외측캡으로 전도하며 분출되는 기화가스에 1차공기가 혼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1차 공기 투입홀이 형성된 화염 생성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치용 기화기{Torch overflowing of liquefied gas}
본 고안은 토치용 기화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초기착화시 및 사용중 화염의 불완전 연소를 예방하는 토치용 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치(토치램프)라 함은 고온의 가열이 필요할 경우에 사용하는 장치를 말하며 여러 배관 공사에서 관을 접속하는 경우와 관을 휠 경우에 주로 사용되며 건설현장에서 고온의 열이 필요할 경우 등 여러 용도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토치는 등유를 사용하는 것과 액화부탄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있는데 본 고안은 액화부탄가스를 사용하는 토치를 구성하는 기화기를 개량한 것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액화부탄가스를 사용하는 토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종래의 액화부탄가스를 사용하는 토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의 액화부탄가스를 사용하는 토치(이하, "토치"라 칭함)는, 액화부탄가스통의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스 공급관(101)을 포함하며 가스 공급관(101)의 개폐정도를 조정하는 조정밸브(102)를 포함하는 본체(100)와, 상기 가스 공급관(101)의 공급단과 연결되어 액화부탄가스를 기화시킨 후 기화된 부탄가스(이하, "기화가스"라 칭함)를 1차공기와 혼합시킨 다음 분출시켜 점화수단(400)의 착화를 통해 화염을 생성하는 기화기(2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화기(200)는, 상기 가스 공급관(101)의 공급단과 연결되어 액화부탄가스를 기화시켜 기화가스를 1차공기와 혼합시킨 가스(이하, "혼합가스"라 칭함)를 분출시키는 기화 분출수단(201)과, 이 기화 분출수단(201)을 전체적으로 감싸며 전방에서 화염이 생성되게 하는 화염 생성관(30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기화 분출수단(201)은, 상기 가스 공급관(101) 통해 공급되는 액화부탄가스를 기화시키는 기화부(202)와, 기화된 가스를 1차공기와 혼합시킨 후 분출시키는 혼합가스 분출부(20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화부(202)는, 상기 가스 공급관(101)으로 부터 액화부탄가스가 1차적으로 공급되는 제1 기화실(203)과 그 전방에 구획되게 구비되어 제1 노즐(205)를 포함하는 제2 기화실(204)로 구성된 공급관 연결체와, 상기 제1ㅇ기화실(203)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혼합가스 분출부(207)에서 생성되는 화염의 주위까지 연장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기화실(204)에 연결되는 기화관(206)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혼합가스 분출부(207)는 상기 제2 기화실(204)의 전방인 제1 노즐(205)의 전방에 구비되어 제1 노즐(205)을 통해 분출되는 기화가스를 1차 공기와 혼합시켜 전방으로 분출하는 제2 노즐(209)을 포함하는 혼합관(208)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혼합관(208)은 후방에 구비되어 공기 유입홀을 통해 1차공기를 유입받는 공기 혼합공간과 이 공기 혼합관(208)의 전방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직경이 큰 제2 노즐(209)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토치의 작동관계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액화부탄가스통을 본체(100)에 연결한 상태에서 조정밸브(102)를 개방하게 되면 액화부탄가스통의 액화부탄가스가 가스 공급관(101)을 통과하여 기화부(202)의 제1 기화실(203)로 유입된다.
다음 제1 기화실(203)로 유입된 액화부탄가스는 기화관(206)을 통과한 후 제2 기화실(204)로 유입된 다음 제1 노즐(205)을 통해 분출되어 상기 혼합가스 분출부(207)를 구성하는 혼합관(208)의 공기 혼합공간으로 유입된다.
다음 상기 공기 혼합공간으로 유입된 액화부탄가스는 1차공기와 혼합된 다음 제2 노즐(209)을 통해 전방으로 분출되어 점화수단(400)의 착화를 통해 화염이 생성하는 것이다. 즉 화염 생성관(300)에서 화염이 생성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설명은 초기착화의 과정을 설명한 것이고, 화염이 계속적으로 생성되게 되면 화염 주변의 기화관(206)이 가열됨으로서 기화관(206)을 통과하는 액화부탄가스를 기화시켜 분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토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먼저, 토치를 초기에 사용할 경우에는 액화부탄가스가 미 기화된 상태로 분출됨으로서 불완전 연소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왜냐하면 초기착화 단계에서는 액화부탄가스는 기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1 기화실과 기화관 및 제2 기화실의 순서로 이동됨으로서, 액화부탄가스가 기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1 노즐을 통과하여 제2 노즐으로 분출됨에 따라 초기 착화시 황염, 역화, 리프팅 등의 불완전연소가 발생되는 것이다.
아울러 액화부탄가스의 특성상 액화부탄가스가 액체에서 기화되어 팽창될 경우에는 약250 ~ 280%로 확산되게 되는데, 액화부탄가스가 미 기화되어 대기중에 노출될 경우에는 액상의 가스가 순간적 급팽창됨으로서 화염이 너울거리는 현상도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너울거림 현상으로 인하여 초기 착화시 토치주위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또한, 기화관을 통해 기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기화 면적이 협소함으로 인하여 액화부탄가스가 완전하게 기화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 중 화염에서는 황염. 역화, 리프팅, 너울거림 등의 불완전연소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또, 상기 화염 생성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혼합관은 기화가스와 1차 공기의 혼합을 충분히 하여 불완전연소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필수적으로 길이를 길게 함으로서, 혼합관의 전방부에 구비된 제2 노즐이 화염 생성관의 전방측에 위치되게 된다.
그러므로 제2 노즐의 바로 전방에서 생성되는 화염이 화염 생성관 전방에 계속적으로 접촉됨으로서 화염 생성관의 전방에서는 급과열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화염 생성관의 전방이 높은 열로 인해 산화 및 균열 등의 손상을 일으키게 됨은 물론 심하게는 화염 생성관의 전방이 변형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기화관을 화염이 직접적으로 가열함에 따라서 토치를 오랜시간 사용할 경우에는 직경이 작은 기화관의 계속적인 가열로 인하여 기화관 전방부가 녹거나 클랙(틈의 발생)등의 손상이 유발됨으로서 토치를 완전히 손상시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기화부의 구성품이 많아 토치의 전체적인 단가가 올라가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초기 착화시 완전 기화된 가스를 분출하여 가스가 대기중에서 급팽창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초기착화시 황염, 역화, 리프팅, 너울거림 등의 화염의 불완전연소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토치용 기화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화면적을 최대로 확장하여 분출가스의 불완전 연소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또 화염이 직접적으로 화염 생성관의 전방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서 화염 생성관의 전방이 열로 인해 산화 또는 균열 등의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열로 인하여 화염 생성관의 전방이 변형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액화부탄가스통과 연결되는 가스 공급관을 포함하며 가스 공급관의 개폐정도를 조정하는 조정밸브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가스 공급관의 공급단부와 연결되어 액화부탄가스를 기화시켜 1차 공기와 혼합시킨 다음 분출시킴에 따라 점화수단의 착화를 통해 화염을 생성하는 기화기로 구성된 토치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는, 상기 가스 공급관의 공급단부에 연결되어 액화부탄가스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수단이 포함된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의 액화부탄가스 배출측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둘레에 제1 분출홀이 형성된 액화부탄가스 취합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내측캡과, 상기 내측캡의 외측면과 일정하게 간격으로 두고 감싸면서 상기 연결체에 고정되어 내측에는 상기 내측캡과 사이에 기화공간이 구비되고 전면판의 중앙에는 기화가스가 분출되는 제2 분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캡과, 상기 외측캡의 둘레를 밀착되게 감싸며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화염의 열을 상기 내,외측캡으로 전도하며 분출되는 기화가스에 1차공기가 혼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1차 공기 투입홀이 형성된 화염 생성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화기가 장착된 토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부 확대도이다.
이에 본 고안의 토치는, 액화부탄가스통(4)과 연결되는 가스 공급관(11)을 포함하며 가스 공급관(11)의 개폐정도를 조정하는 조정밸브(12)를 포함하는 본체(1)와, 상기 가스 공급관(11)의 공급단부와 연결되어 액화부탄가스를 기화시켜 1차 공기와 혼합시킨 다음 분출시킴에 따라 점화수단(3)의 착화를 통해 화염을 생성하는 기화기(2)로 구성된 토치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2)를 개량하여 초기착화시 화염의 불완전 연소를 예방하고 사용 중 미 기화가스의 분출을 예방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기화기(2)는, 상기 가스 공급관(11)의 공급단부에 연결되어 액화부탄가스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수단(22)이 포함된 연결체(21)와, 상기 연결체(21)의 액화부탄가스 배출측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둘레에 제1 분출홀(232)이 형성된 액화부탄가스 취합공간(231)이 구비되어 있는 내측캡(23)과, 상기 내측캡(23)의 외측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감싸면서 상기 연결체(21)에 고정되어 내측에는 상기 내측캡(23)과 사이에 기화공간(241)이 구비되고 전면판의 중앙에는 기화가스가 분출되는 제2 분출홀(242)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캡(24)과, 상기 외측캡(24)의 둘레를 밀착되게 감싸며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화염의 열을 상기 내,외측캡(23,24)으로 전도하며 분출되는 기화가스에 1차공기가 혼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1차 공기 투입홀(251)이 형성된 화염 생성관(25)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분출홀(232)은, 상기 내측캡(23)의 둘레 상부에 구비됨으로서 액화부탄가스 중 상부로 부상되는 기화된 가스만을 상기 기화공간(241)으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수단(22)은, 상기 가스 공급관(11)과 연통되게 연결체(21)의 내부에 형성되어 액화부탄가스를 상기 내측캡(23)의 내부인 내측캡(23)의 전면판의 내측으로 충돌되게 분출하는 분출홀(221)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출홀(221)의 전방에는 전방 돌출 노즐관(222)이 더 구비됨으로서 액화부탄가스와 내측캡(23)의 전면판과 충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화기의 초기착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기화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C-C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기화기가 장착된 토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는데, 먼저 초기착화 과정을 설명하면 토치를 구성하는 조정밸브(12;도1참조)의 개방을 통해 가스 공급관(11)으로 액화부탄가스가 통과 되도록 한다.
그러면, 가스 공급관을 통과하는 액화부탄가스는 연결체(21)에 형성되어 있는 분출홀(221)과 전방 돌출 노즐관(222)을 통과하여 내측캡(23)의 전면판의 내측으로 분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액화부탄가스가 상기 전면판과 충돌되어 분출되는 과정에서는 액화부탄가스가 전면판의 내측면과 충돌된 후 사방으로 확산되면서 일부는 기화된다.
그러므로 일부 기화된 액화부탄가스는 내측캡(23)의 내부에 형성된 취합공간(231)의 상부로 상승되고 비중이 큰 액체상태의 액화부탄가스는 하부로 가라앉아 액체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취합공간(231)의 상부로 상승된 액화부탄가스는 내측캡(23)의 둘레 상부에 형성된 제1 분출홀(232)을 통과한 다음 내측캡(23)의 외측면과 외측캡(24)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기화공간(241)으로 확산된 다음 외측캡(24)의 전면판 중앙에 형성된 제2 분출홀(242)을 통해 분출된다.
그리고, 제2 분출홀(242)에서 분출되는 기화된 액화부탄가스(이하, "기화가스"라 칭함)는 화염 생성관(25)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분출되면서 화염 생성관(25)에 형성된 1차 공기 투입홀(251)로 유입되는 1차공기와 혼합되면서 분출되고 이와 같이 1차공기와 혼합된 기화가스(이하, "혼합가스"라 칭함)는 화염 생성관(25)의 전방으로 분출됨과 동시에 별도의 점화수단을 통해 착화되어 화염을 생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과정은 초기착화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초기 착화시에 기화된 가스를 분출함으로서 초기 착화시 불완전연소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연결체(21)에서 분사되는 액화부탄가스를 내측캡(23)의 전면판과 충돌되게 함으로서 충돌에 따른 순간적인 확산 및 비산으로 인하여 액화부탄가스의 일부가 기화되도록 한다. 따라서 일부 기화된 액화부탄가스를 기화공간(241)으로 유입되게 한 후 이를 제2 분출홀(242)을 통해 전방으로 분출시킴으로서 초기착화시 황염, 역화, 리프팅 등의 불완전연소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액화상태의 혼합가스의 분출로 인하여 발생되는 화염의 너울거림 현상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기화기의 초기착화 후 화염이 생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화염이 생성되는 과정에서는 1차공기와 혼합된 혼합가스가 화염 생성관(25)의 전방으로 분출되면서 화염을 생성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화염열이 화염 생성관(25)으로 전도되고 이와 같이 화염 생성관(25)으로 전도되는 전도열은, 화염 생성관과 밀착되게 구비된 외측캡(24)으로 전도되고 외측캡(24)에 전도된 열은 기화공간에 발산 되면서 내측캡(23)으로 전도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캡(24)과 내측캡(23)의 열의 발산으로 인하여 외측캡(24)과 내측캡(23)의 사이 공간에 형성된 기화공간(241)의 온도가 상승됨으로서, 이 기화공간(241)을 통과하는 액화부탄가스가 완전하게 기화되면서 제2 분출홀(242)을 통해 분출되는 것이다.
즉 상기 기화공간은 내측캡(23)의 외측면과 외측캡(24)의 내측면 사이에 전체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것으로 기화면적이 확장됨으로서, 기화효율이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화면적을 최대로 확장시킴에 따라 토치의 사용중 미 기화 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서, 가스의 불완전 연소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화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기화기에서 분출되는 화염이 화염 생성관(25)의 전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왜냐하면 제2 분출관을 통해 분출되는 기화가스는 초기에 확산되어 화염 생성관(25)의 내측면에 접촉되면서 1차공기와 혼합된 다음 긴 형상으로 화염 생성관(25)의 전방으로 분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염은 화염 생성관(25)의 전방과 접촉되지 않으면서 생성되게 된다. 그러므로 화염이 화염 생성관(25)의 전방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않음에 따라서 화염 생성관(25)의 전방이 열로 인해 산화 또는 균열 및 변형되는 등의 손상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출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배출수단(22)은, 상기 가스 공급관(11)과 연통되게 연결체(2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캡(23)의 내부인 취합공간(231)으로 액화부탄가스를 분출하며 중간에는 벤츄리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축소유로(224)가 구비된 분출홀(22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분출홀(223)에 축소유로(224)가 형성되게 되면, 액화부탄가스의 통과시 벤츄리 효과가 생기게 됨으로서 분출홀(223)을 통과하는 액화부탄가스의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분출홀(223)에서 분출되는 액화부탄가스의 속도가 빨라지게 됨으로서 내측캡(23)을 구성하는 전면판과의 충돌 속도가 빨하지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전면판의 충돌 속도가 빨라지게 되면 액화부탄가스의 확산 및 비산효과가 극대화됨으로서, 액화부탄가스의 초기 기화량을 늘릴 수 있음에 따라서 초기착화시 혼합가스의 미 기화 현상을 예방하여 불완전연소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출홀(223)의 전방에는 내측캡(23)을 구성하는 전면판과의 충돌 효과를 좀더 높일 수 있도록 전방 돌출 노즐관(225)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출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배출수단(22)은, 상기 가스 공급관(11)과 연통되게 연결체(2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캡(23)의 내부인 취합공간(231)으로 액화부탄가스를 분출하며 중간에는 벤츄리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축소유로(224)가 구비된 분출홀(223)을 포함하며, 상기 분출홀(223)의 전방에 구비되며 액화부탄가스를 내측캡(23)의 전면판 내측에 강한 압력으로 충돌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가스의 정체공간(227)과 그 전방에 형성되어 빠른 속도로 액화부탄가스를 분출하는 분출홀(228)로 구성된 전방 돌출 노즐관(226)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액화부탄가스가 상기 분출홀(223)을 통과할 경우에는 중간에 형성된 축소유로(224)를 통과하면서 벤츄리 효과를 통해 액화부탄가스의 유속이 빨라지고, 더불어 분출홀(223)에서 분출되는 액화부탄가스가 상기 정체공간(227)에 정체되었다가 직경이 작은 분출홀(228)을 통해 분출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액화부탄가스의 속도가 빨라지게 됨으로서 내측캡(23)을 구성하는 전면판과의 충돌 속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전면판의 충돌 속도를 높일 경우에는 액화부탄가스의 확산 및 비산효과가 극대화됨으로서, 액화부탄가스의 초기 기화량을 늘릴 수 있음에 따라서 초기 착화시 혼합가스의 미 기화 현상을 예방하여 불완전 연소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초기 착화시 황염, 역화, 리프팅, 너울거림 등의 화염의 불완전연소를 예방함으로서, 초기착화시 불완전 연소로 인하여 토치 주위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화면적을 최대로 확장하여 분출가스의 불완전 연소를 사전에 예방함으로서, 토치의 사용 중 불완전 연소로 인하여 가열부가 불균일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 화염이 화염 생성관의 전방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예방하여 화염 생성관의 전방이 열로 인해 산화 또는 균열 등의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열로 인하여 화염 생성관의 전방이 변형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서, 토치를 장기간 동안 손상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화기가 장착된 토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기화기의 초기착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기화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기화기의 초기착화 후 화염이 생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출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배출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액화부탄가스를 사용하는 토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1 : 가스 공급관
12 : 조정밸브
2 : 기화기
21 : 연결체
22 : 배출수단
221 : 분출홀, 222 : 전방 돌출 노즐관, 223 : 분출홀,
224 : 축소유로, 225 : 전방 돌출 노즐관,
226 : 전방 돌출 노즐관, 227 : 정체공간, 228 : 분출홀
23 : 내측캡
231 : 취합공간, 232 : 제1 분출홀
24 : 외측캡
241 : 기화공간, 242 : 제2 분출홀
25 : 화염 생성관
251 : 1차 공기 투입홀
3 : 점화수단
4 : 액화부탄가스통

Claims (7)

  1. 액화부탄가스통(4)과 연결되는 가스 공급관(11)을 포함하며 가스 공급관(11)의 개폐정도를 조정하는 조정밸브(12)를 포함하는 본체(1)와, 상기 가스 공급관(11)의 공급단부와 연결되어 액화부탄가스를 기화시켜 1차 공기와 혼합시킨 다음 분출시킴에 따라 점화수단(3)의 착화를 통해 화염을 생성하는 기화기(2)로 구성된 토치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2)는,
    상기 가스 공급관(11)의 공급단부에 연결되어 액화부탄가스를 전방으로 배출하는 배출수단(22)이 포함된 연결체(21)와,
    상기 연결체(21)의 액화부탄가스 배출측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둘레에 제1 분출홀(232)이 형성된 액화부탄가스 취합공간(231)이 구비되어 있는 내측캡(23)과,
    상기 내측캡(23)의 외측면과 일정하게 간격으로 두고 감싸면서 상기 연결체(21)에 고정되어 내측에는 상기 내측캡(23)과 사이에 기화공간(241)이 구비되고 전면판의 중앙에는 기화가스가 분출되는 제2 분출홀(242)이 형성되어 있는 외측캡(24)과,
    상기 외측캡(24)의 둘레를 밀착되게 감싸며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화염의 열을 상기 내,외측캡(23,24)으로 전도하며 분출되는 기화가스에 1차공기가 혼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1차 공기 투입홀(251)이 형성된 화염 생성관(25),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치용 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출홀(232)은,
    상기 내측캡(23)의 둘레 상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치용 기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22)은,
    상기 가스 공급관(11)과 연통되게 연결체(21)의 내부에 형성되어 액화부탄가스를 내측캡(23)의 전면판과 충돌되게 취합공간(231)로 분출하는 분출홀(22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치용 기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홀(221)의 전방에는,
    상기 내측캡(23) 전면판과의 충돌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돌출 노즐관(222)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치용 기화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22)은,
    상기 가스 공급관(11)과 연통되게 연결체(21)의 내부에 형성되어 액화부탄가스를 내측캡(23)의 전면판과 충돌되게 취합공간(231)로 분출하며 중간에는 벤츄리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축소유로(224)가 구비된 분출홀(22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치용 기화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홀(223)의 전방에는,
    내측캡(23) 전면판과의 충돌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전방 돌출 노즐관(225)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치용 기화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홀(223)의 전방에는, 액화부탄가스를 내측캡(23)의 전면판 내측에 강한 압력으로 충돌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가스의 정체공간(227)과 전방에 형성되어 빠른 속도로 액화부탄가스를 분출하는 분출홀(228)로 구성된 전방 돌출 노즐관(226)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토치용 기화기.
KR20-2005-0020733U 2005-07-15 2005-07-15 토치용 기화기 KR2003975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733U KR200397578Y1 (ko) 2005-07-15 2005-07-15 토치용 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733U KR200397578Y1 (ko) 2005-07-15 2005-07-15 토치용 기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482A Division KR20070009324A (ko) 2005-07-15 2005-07-15 토치용 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578Y1 true KR200397578Y1 (ko) 2005-10-05

Family

ID=43698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733U KR200397578Y1 (ko) 2005-07-15 2005-07-15 토치용 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5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719B1 (ko) * 2015-09-15 2015-11-06 (주)지엠팩 하방 작업 시의 연소상태를 개선한 가스 토치
KR101797064B1 (ko) * 2016-03-07 2017-11-13 최태일 안전 성화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719B1 (ko) * 2015-09-15 2015-11-06 (주)지엠팩 하방 작업 시의 연소상태를 개선한 가스 토치
KR101797064B1 (ko) * 2016-03-07 2017-11-13 최태일 안전 성화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3522B2 (ja) 低NOxプレミックスバーナー装置および方法
KR101063103B1 (ko) 가스연소기의 기화촉진장치
JP2010261714A (ja) 液体燃料式hvof溶射ガンとバーナーデザイン
KR200397578Y1 (ko) 토치용 기화기
JP4353619B2 (ja) 炉加熱用バーナ
KR100669221B1 (ko) 가스연소 장치
JP2008520950A (ja) 改良型燃料供給部、改良型遮熱板および改良型バッフルプレートを備えたヒータ用バーナ
KR20070009324A (ko) 토치용 기화기
KR20070086042A (ko) 개선된 배플 플레이트를 가진 히터용 연소기
JP3625175B2 (ja) 燃焼装置
KR200417953Y1 (ko) 연소장치
KR100751048B1 (ko) 고화력 기화기가 구비된 토치
KR101174362B1 (ko) 토치램프 가스분출구의 구조
US20080289618A1 (en) Ignition device for a gas stove
KR200408940Y1 (ko) 고화력 기화기가 구비된 토치
JP4156766B2 (ja) 石油燃焼器
JPH08583Y2 (ja) 燃焼器
JP4043162B2 (ja) 加熱炉用のバーナ
KR200159474Y1 (ko) 석유 연소기용 기화기
RU2201319C1 (ru) Горелка для резки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KR200262108Y1 (ko) 토치램프
KR100599381B1 (ko) 순산소/공기 연소 겸용버너
JP5080320B2 (ja) 燃料改質用バーナ
JPS60162112A (ja) ガンタイフ青炎オイルバ−ナ
JPH05256417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