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441Y1 -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 - Google Patents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441Y1
KR200397441Y1 KR20-2005-0020984U KR20050020984U KR200397441Y1 KR 200397441 Y1 KR200397441 Y1 KR 200397441Y1 KR 20050020984 U KR20050020984 U KR 20050020984U KR 200397441 Y1 KR200397441 Y1 KR 2003974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upper slab
maintenance
intervals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기
Original Assignee
마스타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스타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스타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0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4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4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4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교각 사이의 거더 하부에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대차를 장착시켜 거더 및 교각의 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에 의하면,교량의 상슬래브 저부 내지 측부에 설치되어 교량을 점검하는 이동대차로서, 상기 상슬래브의 저부 내지 측부에는 상기 이동대차를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간격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대차는 회전하는 원통형의 것으로 상기 간격을 이루고 있는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이동대차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러와, 상기 롤러와 결합되어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이루고 있는 케이지로 이루어지므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TRANSFERRING VEHICLE FOR INSPECTING AND REPAIRING BRIDGE}
본 고안은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교각 사이의 거더 하부에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대차를 장착시켜 거더 및 교각의 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는 교대나, 교각 위에 있는 구조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거더(Girder), 슬래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공지의 예로서 거더나 슬래브를 점검 또는 수리하기 위해서는 교량의 하부에 점검대차를 설치한 후 이동시켜 교량의 하부를 점검하고 있다.
이것은 교량 하부에 종방향으로 주행레일을 설치하고, 점검대차가 주행레일을 따라 주행하면서 교량의 점검 및 유지 보수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시스템 장비로서 이미 많은 교량에 적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공지의 점검대차는 교각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작동되며, 여기에 작업자가 탐승한 후 교량의 점검 및 보수를 수행한다.
그러나, 공지의 점검대차는 동력에 의해서 작동되고, 교각과 교각 사이만 작동하므로 설치비용의 증대로 이어졌으며, 한번 설치되면 그 수명을 마칠 때까지 교량에 장착되어 있어야 하므로 보수의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또한, 교각과 교각 사이를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별도의 점검대차를 설치하던가 거대한 크레인으로 올려 설치해야 하므로 현장적용이 불가한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러 종류의 교각 사이에 간단히 설치되면서 다른 교각 사이를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어 교량의 상슬래브의 하부 내지 측부를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를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는,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도록 교각 사이의 상슬래브 저면에 간격을 두고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가 장착된 케이지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케이지는 간단히 조립 또는 해체할 수 있도록 체결구에 의해서 각종 지지대가 서로 체결되어 있으며, 조립 후 케이지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타이바가 용접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교량의 상슬래브 저부 내지 측부에 설치되어 교량을 점검하는 이동대차로서, 상기 상슬래브의 저부 내지 측부에는 상기 이동대차를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간격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대차는 회전하는 원통형의 것으로 상기 간격을 이루고 있는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이동대차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러와, 상기 롤러와 결합되어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이루고 있는 케이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상슬래브의 저부 내지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체결되는 결합수단과, 상기 결합수단이 수직방향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절곡부에 장착된 레일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슬래브의 저부 내지 측부에 삽입되고, 돌출된 단부가 간격을 이루며 개구되어 있되, 일 단부는 상기 상슬래브의 저부 내지 측부와 맞닿아 있고, 상기 타 단부는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 단부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상슬래브의 저부 내지 측부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지는 상기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러에 결합되어 롤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하는 종구조물과, 상기 종구조물과 조립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종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케이지의 난간을 이루는 횡구조물과, 상기 종, 횡구조물의 하부에 조립가능하게 체결되는 바닥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가 교량의 상슬래브 저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가 교량의 상슬래브 저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가 교량의 상슬래브 저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대차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는 교량 상슬래브(10)의 저부 내지 측부에 설치되어 교량을 점검하는 이동대차로서, 상기 이동대차는 상기 상슬래브(10)의 저부 내지 측부에 안내레일(20)이 간격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회전하는 원통형의 것으로서, 상기 간격을 이루고 있는 안내레일(20)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이동대차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러(30)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30)와 결합되어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이루고 있는 케이지(40)로 이루어져 있다.
교량은 크게 교각과 교대 또는 교각 사이를 이어주는 상슬래브(10) 내지 거더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슬래브(10) 또는 거더의 저부 내지 측부는 빔형태의 돌출부(12)를 가지고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외측를 향하고 있다.
한편, 돌출부(12)가 마련되지 않은 거더의 저부 내지 측부에는 "I" 형상의 빔을 설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안내레일(20)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돌출부(12)에 안내레일(20)이 체결된다. 안내레일(20)은 전술한 돌출부(12)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체결되는 결합수단(22)과, 상기 연속하여 체결된 결합수단(22)의 수직방향 하측에 장착된 레일안내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결합수단(22)은 후술하는 케이지(40)와 여기에 탑승한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로서, 상기 상슬래브(10)의 저부 내지 측부에 돌출된 돌출부(12)가 삽입되고, 돌출된 단부가 간격을 이루며 개구되어 있되, 일 단부는 돌출부(12)의 일면에 맞닿아 있고, 타 단부는 돌출부(12)가 삽입된 형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고정부(22a)와, 상기 고정부(22a)의 일측을 관통하여 돌출부(12)와 수직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구(22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수직방향 하측으로 연장된 후 절곡된 절곡부(22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E" 자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결합수단(22)은 이동되는 케이지(40)와 탑승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도록 돌출부(12)를 따라 간격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렇게 간격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결합수단(20)의 절곡부(22c)로는 레일안내부(24)가 얻혀지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레일안내부(24)는 궤도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케이지(40)를 일정한 장소로 안전하게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동대차를 일부를 이루며, 전술한 레일안내부(24)를 따라 회전하는 롤러(30)가 장착되어 있다.
롤러(30)는 이동대차를 운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특히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이루고 있는 케이지(40)와 결합되어 있다.
케이지(40)는 롤러(30)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하는 종구조물(42)과, 이러한 종구조물(42)과 조립가능하게 체결되어 종구조물(42)의 변형을 방지하고, 케이지(40) 본체의 난간을 이루는 횡구조물(44)과, 종, 횡구조물(42,44)의 하부에 조립가능하게 체결되는 바닥구조물(46)을 포함한다.
종구조물(42)은 종방향 즉,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루어진 구조물로서, 여기에 롤러(30)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종구조물(42)에는 총 4개의 롤러(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들의 견고한 결합을 위한 결합바(42a) 등에 의해서 상하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바(42a)는 용접 등과 같은 영구적인 결합방법에 의해서 결합되어 종구조물(42)의 뒤틀림을 방지하고, 이를 레일안내부(24)에 조립하는 경우 그 조립의 신속함을 위함이다.
이러한 종구조물(42)은, 상슬래브(10)의 하부 또는 측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안내레일(20)에 안착된다.
횡구조물(44)은 전술한 종구조물(42)을 지지하면서 내부공간을 형성시켜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을 이루도록 한다.
또한, 케이지(40)의 난간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결합바(42a)가 종구조물(42)에 체결되어 있다. 이렇게 체결시키는 이유는 이동대차의 조립과 분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그 편리함을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간단히 이동대차를 조립 내지 분해할 수가 있는 것이다.
종, 횡구조물(42,44)이 조립되면 바닥구조물(46)을 안착시켜 탑승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의 설치 및 작동과정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슬라브(10)의 하부 내지 측부에 마련된 돌출부(12)에 결합수단(22)을 체결, 고정시켜 안내레일(20)을 설치한다. 이때, 안내레일(20)은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며 다수개로 설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안내레일(20)의 하측으로 레일안내부(24)를 설치하여 궤도를 형성시키고, 이러한 궤도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롤러(30)를 상기 레일안내부(24)에 안착시키면, 레일(30)과 미리 조립되어 있는 종구조물(42)이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종구조물(42) 사이에 횡구조물(44)을 체결하여 내부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키고, 바닥구조물(46)을 안착시켜 작업자가 탑승한다.
작업자는 이러한 이동대차를 인력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바닥구조물(46)을 다양하게 변경시켜 상슬래브(10)의 측부 뿐만 아니라 상슬래브(10)의 하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조립으로 교각과 교각 사이에 재설치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경제적이다.
즉, 전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듯이, 이 고안은 이동대차 바람직하게는 인력에 의해서 간단히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이동대차를 제공하여 교량의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 내의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에 의하면, 여러 종류의 교각 사이에 간단히 설치되면서 다른 교각 사이를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어 교량의 상슬래브의 하부 내지 측부를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으며, 동시에 조립, 해제가 간편하여 그 생산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가 교량의 상슬래브 저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가 교량의 상슬래브 저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가 교량의 상슬래브 저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대차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상슬래브 12: 돌출부
20: 안내레일 22a: 고정부
22b: 체결구 22c: 절곡부
30: 롤러 40: 케이지

Claims (4)

  1. 교량의 상슬래브 저부 내지 측부에 설치되어 교량을 점검하는 이동대차로서, 상기 상슬래브의 저부 내지 측부에는 상기 이동대차를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간격을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대차는 회전하는 원통형의 것으로 상기 간격을 이루고 있는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이동대차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러와, 상기 롤러와 결합되어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이루고 있는 케이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상슬래브의 저부 내지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체결되는 결합수단과, 상기 결합수단이 수직방향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절곡부에 장착된 레일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상슬래브의 저부 내지 측부에 삽입되고, 돌출된 단부가 간격을 이루며 개구되어 있되, 일 단부는 상기 상슬래브의 저부 내지 측부와 맞닿아 있고, 상기 타 단부는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 단부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상슬래브의 저부 내지 측부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는 상기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러에 결합되어 롤러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하는 종구조물과, 상기 종구조물과 조립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종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케이지의 난간을 이루는 횡구조물과, 상기 종, 횡구조물의 하부에 조립가능하게 체결되는 바닥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
KR20-2005-0020984U 2005-07-19 2005-07-19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 KR2003974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984U KR200397441Y1 (ko) 2005-07-19 2005-07-19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984U KR200397441Y1 (ko) 2005-07-19 2005-07-19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187A Division KR20070010522A (ko) 2005-07-19 2005-07-19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441Y1 true KR200397441Y1 (ko) 2005-10-04

Family

ID=4369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984U KR200397441Y1 (ko) 2005-07-19 2005-07-19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4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229B1 (ko) 2008-12-09 2011-04-22 한국도로공사 이동식점검대차를 이용한 교량점검시스템
KR102580297B1 (ko) * 2023-06-29 2023-09-20 명보산공 주식회사 작업자의 탑승이 가능하고 교축방향의 주행이 가능한교량 시공작업용 주행 대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229B1 (ko) 2008-12-09 2011-04-22 한국도로공사 이동식점검대차를 이용한 교량점검시스템
KR102580297B1 (ko) * 2023-06-29 2023-09-20 명보산공 주식회사 작업자의 탑승이 가능하고 교축방향의 주행이 가능한교량 시공작업용 주행 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3734B1 (ko) 자기부상열차용 궤도 구조물
US6684793B2 (en) Viaduct for a railway line or the like
KR101023310B1 (ko) 자기부상열차용 궤도 구조물에서의 가이드레일 위치 조절장치
KR20070010522A (ko)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
RU2492131C2 (ru) Порт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монтажа или обслуживания тяжелых частей движущегося устройства
CN105829235A (zh) 移动步道
JP2015078561A (ja) 鋼構造物の建方工法
KR20180028216A (ko) 절곡빔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JP2006077521A (ja) 橋梁構築装置
KR200397441Y1 (ko) 교량유지관리용 이동대차
JP6498075B2 (ja) 鉄骨構造物の張出通路
KR20160109081A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JP5284590B2 (ja) 建築物耐震用の乗客コンベア装置
JP2009263868A (ja) 架設桁を反力体としたプレストレス合成桁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3991067B1 (ja) 鉄道ホーム間仮設橋
JP7430071B2 (ja) 移動足場、移動足場システム、及び移動足場システムの設置方法
KR200167497Y1 (ko) 교량 점검로
JP2007182728A (ja) 橋梁の施工方法および橋梁の側床版取付装置
JP2010047901A (ja) 吊り込み装置一体式吊り足場
KR101003403B1 (ko) 이동식 교량 점검차
JP4407306B2 (ja) 吊り足場の組立方法
JP4424744B2 (ja) 橋梁架替工法
JP2020179977A (ja) 乗客コンベアの作業用ステップおよびその作業用ステップを用いた作業方法
JP6368628B2 (ja) 移動式足場および該移動式足場を用いた点検補修方法
JP6271801B1 (ja) 道路橋点検デッキ及び道路橋点検デッキ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