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7259Y1 -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7259Y1
KR200397259Y1 KR20-2005-0019668U KR20050019668U KR200397259Y1 KR 200397259 Y1 KR200397259 Y1 KR 200397259Y1 KR 20050019668 U KR20050019668 U KR 20050019668U KR 200397259 Y1 KR200397259 Y1 KR 200397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lamping device
bent
construction
roun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길
Original Assignee
윤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길 filed Critical 윤종길
Priority to KR20-2005-0019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2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2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08Clamps for parallelly-arranged members
    • E04G7/10Self-tightening clamps, e.g.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ㄷ"형으로 절곡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플레이트(110)의 양측에 장방형의 관통공(112,114)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110)의 일측 끝단에 회동홈(116)이 형성되며, "┗┛"형 으로 절곡된 환봉(100)의 일측 끝단이 상기 플레이트(110)의 일측 관통공(112)에 끼움결합하여 상기 회동홈(116)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절곡한 회동부(102)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플레이트(110)의 타측 관통공(114)에 끼워져 체결너트(120)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하도록 나사부(104)가 형성된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환봉(100)에 상기 나사부(104)를 형성할 때, 상기 나사부(104)의 외연 일측 소정위치에 인접한 나사골(108)보다 깊게 나사골을 형성하여 간단한 공구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절단을 가능하게 한 절단홈(106)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Connection clamping device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사부에 절단홈을 형성하여 체결 너트에 의해 체결된 후 돌출된 나사부를 공구 등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클램핑 장치는 두 개의 프레임을 하나의 몸체를 이루도록 묶어 결합시키는 것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특히 이 장치는 토목 및 건축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안전망, 비계용 파이프, 받침대 등과 같은 부대 장치들을 조립하는데 사용된다. 상기한 분야에 사용되는 부대 장치들의 특성은 안전성의 보장과 시공의 신속성을 위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해야 하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종래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및 작업자의 작업 용이성을 위해 설치되는 받침대 등의 프레임(F) 연결에 클램핑 장치가 활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활용되고 있는 종래의 클램핑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나사부(4a,4b)가 있는 "┗┛"형 으로 절곡된 환봉(3)과, "┗┛"형 으로 절곡된 환봉(3)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장방형의 관통공(2a,2b)을 가진 플레이트(1)와, "┗┛"형으로 절곡된 환봉(3)의 양단의 나사부(4a,4b)에 체결되는 체결 너트(5a,5b)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프레임 연결장치는 두 개의 프레임(F)을 포개어 밀착시킨 상태에서 "┗┛"형 으로 절곡된 환봉(3)의 내부에 포개어진 두 개의 프레임(F)이 위치하도록 한 후 그 양단에 플레이트(1)의 양측 관통공(2a,2b)을 끼워 결합한 후 "┗┛"형 으로 절곡된 환봉(3)의 양단의 나사부(4a,4b)에 체결너트(5a,5b)를 각각 체결하여 조임으로써 두 개의 프레임(F)을 견고하게 결합시켰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클램핑 장치는 시공시 "┗┛"형 으로 절곡된 환봉(3)의 양단 나사부(4a,4b)에 플레이트(1)의 관통공(2a,2b)을 일치시켜 끼워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고, 또 양측 나사부(4a,4b)에 각각 체결너트(5a,5b)를 체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그로 인하여 조립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20-0339999호에 실시된 클램핑장치를 개발하여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클램핑 장치 및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해 고안된 실용신안 등록 20-0339999호에 개시되고 있는 클램핑 장치는 건축 시공시 안전발판, 건축용 비계 등의 프레임에 체결시 체결 너트를 나사부에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면 나사부가 일부 돌출되게 된다. 이렇게 돌출된 나사부에 의해서 작업자가 작업도중 머리 등을 다치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클램핑 장치의 나사부를 개선하여 나사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게 함으로써, 작업중 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별다른 작업공정의 추가없이 나사가 돌출된 것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하는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ㄷ"형으로 절곡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플레이트(110)의 양측에 장방형의 관통공(112,114)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110)의 일측 끝단에 회동홈(116)이 형성되며, "┗┛"형 으로 절곡된 환봉(100)의 일측 끝단이 상기 플레이트(110)의 일측 관통공(112)에 끼움결합하여 상기 회동홈(116)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절곡한 회동부(102)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플레이트(110)의 타측 관통공(114)에 끼워져 체결너트(120)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하도록 나사부(104)가 형성된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환봉(100)에 상기 나사부(104)를 형성할 때, 상기 나사부(104)의 외연 일측 소정위치에 인접한 나사골(108)보다 깊게 나사골을 형성하여 간단한 공구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절단을 가능하게 한 절단홈(106)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단홈(106)은 프레임에 상기 플레이트(110)의 타측 관통공(112,114)을 통과한 상기 나사부(104)에 체결너트(120)로 고정하여 결합한 후 돌출된 상기 나사부(104)의 일부를 절단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0)는 "ㄷ"형으로 절곡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플레이트(110) 양측에 장방형의 관통공(112,114)이 형성되고, 일측 관통공(112)과 인접한 단부에는 회동홈(116)이 형성된다.
"┗┛"형으로 절곡된 환봉(100)은 일측 끝단이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형성된 장방형의 관통공(112,114)에 끼움결합하여 플레이트(110)의 일측 관통공(112)에 인접하여 형성한 회동홈(116)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절곡한 회동부(102)를 형성한다. 한편, 타측 끝단은 플레이트(110)의 타측에 형성된 장방형의 관통공(114)에 끼움결합하여 체결너트(120)에 의해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나사부(104)를 형성한다.
여기서, 나사부(104)는 나사탭을 형성하는 공정을 통해 한 번에 형성되는데 이때 나사부(104)의 소정위치에는 인접한 나사골(108)보다 나사골을 깊게 형성한 절단홈(106)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건축용 발판의 프레임 연결 클램핑 장치의 설치방법은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20-0339999호에 상세히 기술한 바 있어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 발판의 프레임상에 "┗┛"형으로 절곡된 환봉(100)의 내부에 연결할 프레임을 포개어 삽입시키고, 회동부(102)에 연결되어 있는 플레이트(110)를 회동시켜 "┗┛"형으로 절곡된 환봉(100)의 타측단 나사부(104)에 플레이트(110)의 타측 관통공(114)이 끼워지도록 한 후, 타측 관통공(114)을 통과하여 노출된 나사부(104)에 체결너트(120)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체결너트(120)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고정된 "┗┛"형으로 절곡된 환봉(100)의 타측단의 나사부(104)의 일부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렇게 돌출된 나사부(104)는 현장에서 작업자에게 위험한 요소로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나사부(104)를 개선하여 나사부(104)의 소정 위치에 인접한 나사골(108)보다 깊게 나사골을 형성한 절단홈(106)을 형성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렌치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작은 힘으로도 손쉽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램핑 장치를 설치하게 되면 체결너트(120)에 의해 고정된 나사부의 끝단측이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렇게 돌출된 나사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절단홈에 공구 등을 이용하여 돌출된 나사부(104)의 끝단측을 가압하게 되면 작은 힘으로도 절단되기 쉽게 깊은 홈을 형성한 절단홈(106)이 절단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나사부(104)가 제거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돌출된 나사부(104)가 제거되어 건축 시공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실시 태양 중 하나의 예를 든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와 등가물, 균등물을 포함함을 밝혀 둔다.
본 고안은 클램핑 장치의 나사부의 소정위치에 주변 나사골보다 깊게 홈을 형성한 절단홈을 형성하여 클램핑 장치를 설치한 후, 돌출되는 나사부를 간단한 공구 등을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나사부에 형성된 절단홈에 의해 돌출된 나사부가 제거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의 분해 사시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의 결합 사시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6는 종래의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의 사시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관한 설명>
100 : "┗┛"형 환봉 102 : 회동부
104 : 나사부 106 : 절단홈
108 : 나사골 110 : 플레이트
112,114 : 관통공 116 : 회동홈
120 : 체결너트

Claims (2)

  1. "ㄷ"형으로 절곡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플레이트(110)의 양측에 장방형의 관통공(112,114)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110)의 일측 끝단에 회동홈(116)이 형성되며, "┗┛"형 으로 절곡된 환봉(100)의 일측 끝단이 상기 플레이트(110)의 일측 관통공(112)에 끼움결합하여 상기 회동홈(116)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절곡한 회동부(102)가 형성되고, 타측 끝단이 상기 플레이트(110)의 타측 관통공(114)에 끼워져 체결너트(120)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하도록 나사부(104)가 형성된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봉(100)에 상기 나사부(104)를 형성할 때, 상기 나사부(104)의 외연 일측 소정위치에 인접한 나사골(108)보다 깊게 나사골을 형성하여 간단한 공구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절단을 가능하게 한 절단홈(106)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홈(106)은 프레임에 상기 플레이트(110)의 타측 관통공(112,114)을 통과한 상기 나사부(104)에 체결너트(120)로 고정하여 결합한 후 돌출된 상기 나사부(104)의 일부를 절단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
KR20-2005-0019668U 2005-07-06 2005-07-06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 KR2003972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668U KR200397259Y1 (ko) 2005-07-06 2005-07-06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668U KR200397259Y1 (ko) 2005-07-06 2005-07-06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259Y1 true KR200397259Y1 (ko) 2005-09-29

Family

ID=4369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668U KR200397259Y1 (ko) 2005-07-06 2005-07-06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2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7259Y1 (ko) 건축용 연결 클램핑 장치
JP2006336676A (ja) ボルトに結合されたナットが離脱しないようにしたクランプ
JP2010077692A (ja) 折板屋根用取付具
KR200381417Y1 (ko) 볼트에 결합된 너트가 이탈되지 않는 크램프
KR20070000522U (ko) 펜스가설용 가변클램프
KR20210000526U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200339999Y1 (ko) 프레임 연결장치
KR200194821Y1 (ko) 연결관 조임구
JP2006316986A (ja) 螺締具用、突起付き円柱形座金と溝付きボルト
CN210732305U (zh) 一种螺母扭矩工具
CN109013974A (zh) 一种建筑工具
KR20050107367A (ko) 안전 클램프
JP4955741B2 (ja) 押えボルトのゆるみ止め装置
JP2630751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間隔保持金具の切断工具
KR200423420Y1 (ko) 망치의 구조
KR20120013716A (ko)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연결장치
KR200213667Y1 (ko) 파이프 클램프.
KR100582032B1 (ko) 거푸집지지용 동바리의 높이조절 너트 회동장치
KR200352465Y1 (ko) 거푸집지지용 동바리의 높이조절 너트 회동장치
JP4051154B2 (ja) 太陽電池の固定装置
KR100665920B1 (ko) 자동차 흡차음재 체결용 볼트플러그
KR200327167Y1 (ko) 클램프의 회전링
KR200420432Y1 (ko) 안전 클램프
KR20090003249U (ko) 천정용 롱-볼트 체결 렌치
KR200374481Y1 (ko) 회전방지 구조를 가지는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