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992Y1 -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 - Google Patents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992Y1
KR200396992Y1 KR20-2005-0019955U KR20050019955U KR200396992Y1 KR 200396992 Y1 KR200396992 Y1 KR 200396992Y1 KR 20050019955 U KR20050019955 U KR 20050019955U KR 200396992 Y1 KR200396992 Y1 KR 200396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rame
inclined portion
escalator device
esca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9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훈
김희관
Original Assignee
김병훈
김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훈, 김희관 filed Critical 김병훈
Priority to KR20-2005-00199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9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0Multi-station exercising machines
    • A63B2225/105Multi-station exercising machines each station having its own resisting device, e.g. for training multiple users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텝머신의 프레임에 바벨세트 및 철봉을 설치하여 계단오르기와 벤치프레스싱 및 턱걸이 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에 관한 것으로,
본체(2), 상기 본체(2)에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장치(3), 상기 에스컬레이터장치(3)를 사용할 때 에스컬레이터장치(3)의 발판을 노출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때 그 발판을 폐쇄하는 덮개(4), 상기 본체(2)에 세움설치되는 프레임(5), 상기 프레임(5)에 고정되는 손잡이(6), 상기 손잡이(6)에 설치되고 에스컬레이터장치(3)를 제어하는 콘트롤러(7), 상기 콘트롤러(7)의 내부로 형성되는 산소발생기(9), 및 상기 프레임(5)에 거치되는 바벨세트(8), 상기 본체(2)의 측면에 형성되는 참숫저장부(10), 상기 본체(2)의 전방에 형성되는 철봉(1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healht machine for both stepping and bench pressing}
본 고안은 헬스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텝머신의 프레임에 바벨세트 및 철봉을 설치하여 계단오르기와 벤치프레스싱 및 턱걸이 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에 관한 것이다.
웰빙문화가 유행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은 운동으로 건강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운동기구 또는 헬스기구가 많이 제작되고 있는데, 그 중 스텝머신은 한정된 장소, 즉 가정이나 헬스클럽에서 연속적으로 계단을 오르는 운동을 하여 등산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벤치스레스(역기)는 바벨을 들어올려 근육을 긴장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무산소 운동의 대표적인 헬스기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는 각각 별도로 제조되기 때문에 이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구입해야 하므로 제조 및 구입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설치장소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 기구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땀냄새 및 실내의 공기가 탁해짐으로 인하여 실내운동의 효과는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는 한명의 사용자만 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여 사용자가 쉽게 권태를 느껴 운동을 멈추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헬스기구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스텝머신의 프레임에 바벨세트 및 철봉을 설치하여 계단오르기와 벤치프레스싱 및 턱걸이 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종래에 단순하게 그텝머신만을 이용하여 유산소 운동을 함에 더하여 산소 발생기를 그텝머신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운동시 산소발생기에서 분사되는 피톤치드(phytoncide)등의 물질을 운동중에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시 좋은공기를 마실 수 있게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헬스기구의 일측에 참숫을 수용하는 참숫저장부를 구비하여 공기정화 및 습도조절등을 겸할 수 있는 헬스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헬스기구의 철봉부분은 일정간격 이격시켜 형성함으로써 2인의 사용자가 동시에 운동을 즐길 수 있는 헬스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의 구성은, 저면에 바퀴가 설치되고, 상부 소정위치에 경사부를 가지며, 선단부에는 머리받이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며 한쪽에 내부로 참숫이 수용되고 슬라이딩 식으로 이 탈착되는 참숫저장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경사부 내측 길이방향 양측에 구동스프래킷이 및 종동스프래킷이 설치되어 무한궤도 형상을 갖는 체인에 감기고, 이 체인에는 복수개의 발판이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스프래킷이 회전할 때 상기 발판들은 경사부를 이동하면서 계단을 형성하는 에스컬레이터장치; 상기 본체의 경사부 일측에 설치되어 에스컬레이터장치를 사용할 때 경사부를 개방하여 발판을 노출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때 발판을 폐쇄하는 덮개; 상기 에스컬레이터장치와 상기 본체의 돌출부 사이의 본체 양측에 각각 세움설치되고, 그 전방 하부에 거치대가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에스컬레이터장치 하부의 본체 양측에 각각 세움설치되고 그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손잡이; 상기 어느 일측 손잡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장치를 제어하며 일측으로 산소발생기가 내장되는 콘트롤러;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세로바와 가로바로 구성되는 통상의 철봉; 샤프트 양측에 바벨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샤프트가 프레임의 거치대에 설치되는 바벨세트;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헬스기구를 보인 사시도로서, 덮개가 경사부를 폐쇄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헬스기구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헬스기구를 보인 사시도로서, 덮개가 경사부를 개방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1)는, 본체(2), 상기 본체(2)에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장치(3), 상기 에스컬레이터장치(3)를 사용할 때 에스컬레이터장치(3)의 발판을 노출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때 그 발판을 폐쇄하는 덮개(4), 상기 본체(2)에 세움설치되는 프레임(5), 상기 프레임(5)에 고정되는 손잡이(6), 상기 손잡이(6)에 설치되고 에스컬레이터장치(3)를 제어하며 내부로 산소발생기(9)가 형성된 콘트롤러(7), 및 상기 프레임(5)에 거치되는 바벨세트(8), 상기 본체(2)의 일측에 형성되는 참숫저장부(10), 상기 본체(2)의 전방에 형성되는 철봉(1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장치(3)가 설치되는 장소 및 사용자가 누워 바벨세트(8)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장소로 사용된다.
이러한 본체(2)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장치(3)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2a)이 형성되고, 그 저면에는 운반용 바퀴(2b)가 설치되며, 상부 소정위치에는 상기 에스컬레어터장치(3)의 발판이 노출될 수 있도록 경사부(2c)가 형성되고, 상부 선단부에는 벤치프레싱하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침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부(2d)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d)의 하부에 내부로 참숫이 수용되는 참숫저장부(10)와, 본체(2)의 전방에는 철봉(11)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2c)는 에스컬레이터(3)가 구동하지 않을 때는 상기 덮개(4)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상기 본체(2)는 부피가 클 경우에는 상기 경사부(2c)에 쉽게 탑승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경사부(2c) 하부를 단턱지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돌출부(2d)는 머리 뒷부분을 밀접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곡면형상으로 처리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그 상부에 부드러운 재질을 갖는 완충부재(2e)가 착탈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완충부재(2e)는 양면테이프, 벨크로테이프 등으로 상기 돌출부(2d)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이와 같이 양면테이프, 벨크로테이프에 의한 착탈구조는 공지의 기술이기에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참숫저장부(10)는 몸체(2)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2f)에 의하여 내 외부로 서랍식으로 슬라이딩되며 일면에 여러 개의 구멍(10a)과 손잡이(10b)가 형성되며 내부에 참숫이 수용되는 수용부(10c)를 갖는다.
상기 에스컬레이터장치(3)는 스텝머신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소로서, 공지의 기술이다. 상기 에스컬레이터장치(3)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2)의 경사부(2c) 내부 길이방향 양측에 구동스프래킷(3a)이 및 종동스프래킷(3b)이 설치되어 무한궤도 형상을 갖는 체인(3c)에 감기고, 이 체인(3c)에는 복수개의 발판(3d)이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며, 모터(3e)에 의해 구동스프래킷(3a)이 회전할 때 상기 발판(3d)들은 경사부(2c)를 이동하면서 계단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에스컬레이터장치(3)는 상기 구동스프래킷(3a)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e)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체인(3c)이 구동스프래킷(3a)과 종동스프래킷(3b)를 연결하는 동력전달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모터(3e)가 구동하게 되면 구동스프래킷(3a)이 회전하고, 상기 구동스프래킷(3a)의 동력을 체인(3c)이 종동스프래킷(3b)에 전달하게 되므로, 체인(3c)은 무한궤도식으로 회전하여 그에 조립되는 발판(3d)을 계단식으로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발판(3d) 연속적으로 밟으면 등산을 하는 효과를 발생하여 다리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4)는 에스컬레이터장치(3)를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자가 본체(2)에 누워서 바벨세트(8)를 들어올림과 내림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동작, 즉 벤치프레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덮개(4)는 복수 개의 단위블록(4a)이 회전가능하게 서로 연결되며 그 일단부에 핸들(4b)이 설치되는데, 핸들(4b)과 대향되는 타단부가 본체(2) 내부로 출입하여 경사부를 개폐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덮개(4)는 단위블록(4a)들이 롤형태로 감길 수도 있고, 또한 본체(2) 내부에 홈을 형성하여 그 홈 내부로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덮개(4)와 이 덮개(4)를 내부에 수용하는 기술은 공지의 기술이다.
상기 덮개(4)는 사용자의 체중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요구되며, 가볍고 녹슬지 않는 비철금속이나, 또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가 좋다.
상기 프레임(5)은 상기 손잡이(6) 및 바벨세트(8)를 거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5)은 에스컬레이터장치(3)와 상기 본체(2)의 돌출부(2d) 사이의 본체(2) 양측에 각각 세움설치되어 그 상부는 연결부재(5a)로 연결되고고, 그 전방 하부에 거치대(5b)가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프레임(5)이 체결방식에 의해 본체(2)에 고정됨을 보이고 있다.
상기 거치대(5b)는 바벨세트(8)의 샤프트를 수직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몸체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는 폐쇄되어 바벨세트(8)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거치대(5b)의 형상은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폐쇄된 슬롯(S)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슬롯(S)의 길이는 바벨세트(8)가 승하강하는 길이보다 더 길어야 한다. 이는 벤치프레싱 중 바벨세트(8)가 승강할 때 슬롯(S)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벤치프레싱 중 지친상태에서 무리하게 바벨세트(8)를 들어올린 후 팔이 흔들려 바벨세트(8)를 놓치게 되면, 바벨세트(8)는 누워있는 사용자의 얼굴 주변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바벨세트(8)는 거치대(5b)의 슬롯(S) 내부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거치대(5b)에 거치되어 사용자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6)는 사용자가 에스컬레이터장치(3)의 발판(3d)을 연속적으로 밟을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손잡이(6)는 상기 에스컬레이터장치(3) 하부의 본체(2) 양측에 각각 세움설치되고 그 단부가 상기 프레임(5)에 고정된다.
상기 콘트롤러(7)는 내부로 피톤지드등과 같은 물질을 발생시킬 수 있는 산소발생기(9)를 내장하며, 모터(3e)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에 맞게 에스컬레이터(3)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창에 에스컬레티어(3)의 속도, 구동거리 등을 디지털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상기 바벨세트(8)는 사용자가 본체(2)에 누워서 들어올려 벤치프레싱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샤프트(8a) 양측에 바벨(8b)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샤프트(8a)가 프레임(5)의 거치대(5b)에 거치된다. 상기 바벨세트(8)는 공지의 기술로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본체(2)의 일측에 복수개의 세로바(11a)와 가로바(11b)로 형성되는 철봉(11)이 형성된다.
상기 철봉(10)은 공지의 기술로서 더이상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트롤러를 조작하여 에스컬레이터장치를 구동시켜 계단형태로 구성된 발판을 연속적으로 오를 수 있고, 또한 에스컬레이터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본체와 덮개에 누운 상태에서 바벨세트를 들어올림과 내림을 반복하여 벤치프레싱을 겸용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텝머신과 벤치프레스기구를 각각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및 구입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설치장소를 많이 차지 하지 않기 때문에 좁은 장소에 설치가 가능하며, 또한, 콘트롤러의 일측으로 형성된 산소발생기에서 발생되는 피톤치드등의 물질로 인하여 사용자의 스트레스 해소 및 장과 심폐기능이 강화되는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참숫에 의하여 참숫의 알려진 기능인 음이온발생, 공기정화, 습도조절등의 효과를 얻음으로써 사용자는 항상 쾌적한 환경에서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참숫은 참숫저장부가 숫을 교체 가능하게 형성되여 항상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철봉은 상기 헬스기구와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설치함으로써 2인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권태감 없이 운동을 즐길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헬스기구를 보인 사시도로서, 덮개가 경사부를 폐쇄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헬스기구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헬스기구를 보인 사시도로서, 덮개가 경사부를 개방한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헬스기구 2 : 본체
3 : 에스컬레이터장치 4 : 덮개
5 : 프레임 6 : 손잡이
7 : 콘트롤러 8 : 바벨세트
9 : 산소발생기 10 : 참숫저장부
11 : 철봉

Claims (3)

  1. 저면에 바퀴가 설치되고, 상부 소정위치에 경사부를 가지며, 선단부에는 머리받이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며 한쪽에 내부로 참숫이 수용되고 슬라이딩 식으로 이 탈착되는 참숫저장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경사부 내측 길이방향 양측에 구동스프래킷이 및 종동스프래킷이 설치되어 무한궤도 형상을 갖는 체인에 감기고, 이 체인에는 복수개의 발판이 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스프래킷이 회전할 때 상기 발판들은 경사부를 이동하면서 계단을 형성하는 에스컬레이터장치;
    상기 본체의 경사부 일측에 설치되어 에스컬레이터장치를 사용할 때 경사부를 개방하여 발판을 노출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때 발판을 폐쇄하는 덮개;
    상기 에스컬레이터장치와 상기 본체의 돌출부 사이의 본체 양측에 각각 세움설치되고, 그 전방 하부에 거치대가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에스컬레이터장치 하부의 본체 양측에 각각 세움설치되고 그 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손잡이;
    상기 어느 일측 손잡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장치를 제어하며 일측으로 산소발생기가 내장되는 콘트롤러;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세로바와 가로바로 구성되는 통상의 철봉;
    샤프트 양측에 바벨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샤프트가 프레임의 거치대에 설치되는 바벨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거치대는 상기 벤치프레스의 샤프트를 수직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몸체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가 폐쇄된 슬롯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참숫저장부는 내부로 참숫수용부가 형성되며 일면에 여러 개의 구멍과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가이드와 밀착되어 슬라이딩식으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
KR20-2005-0019955U 2005-05-10 2005-07-08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 KR200396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955U KR200396992Y1 (ko) 2005-05-10 2005-07-08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092 2005-05-10
KR20-2005-0019955U KR200396992Y1 (ko) 2005-05-10 2005-07-08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992Y1 true KR200396992Y1 (ko) 2005-09-28

Family

ID=4369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955U KR200396992Y1 (ko) 2005-05-10 2005-07-08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99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819B1 (ko) * 2009-05-28 2011-12-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체근력 및 고관절 강화용 운동기
WO2018170298A1 (en) * 2017-03-15 2018-09-20 True Fitness Technology, Inc. Conveyor chain for a stepmill
US11338188B2 (en) 2018-01-18 2022-05-24 True Fitness Technology, Inc. Braking mechanism for a self-powered treadmill
KR102479150B1 (ko) * 2021-12-09 2022-12-21 김병훈 스텝운동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819B1 (ko) * 2009-05-28 2011-12-1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체근력 및 고관절 강화용 운동기
WO2018170298A1 (en) * 2017-03-15 2018-09-20 True Fitness Technology, Inc. Conveyor chain for a stepmill
US10556148B2 (en) 2017-03-15 2020-02-11 True Fitness Technology, Inc. Conveyor chain for a stepmill
US11141623B2 (en) 2017-03-15 2021-10-12 True Fitness Technology, Inc. Conveyor chain for a stepmill
US11338188B2 (en) 2018-01-18 2022-05-24 True Fitness Technology, Inc. Braking mechanism for a self-powered treadmill
KR102479150B1 (ko) * 2021-12-09 2022-12-21 김병훈 스텝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75130B1 (en) Sporting apparatus for simulating horse riding
US5885197A (en) Exercise equipment
US4589656A (en) Aerobic exercise device for increased user comfort
US8864627B2 (en) Power generating manually operated treadmill
WO1998039067A1 (en) Multiple use exercise machine
KR200396992Y1 (ko)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
TWI618559B (zh) Climbing climber
US20220395735A1 (en) Climbing Machine
KR200438271Y1 (ko)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
KR20100128469A (ko) 하체근력 및 고관절 강화용 운동기
US5242341A (en) Electric climbing training device
JP2013039150A (ja) リハビリ用水中歩行装置
KR20080021744A (ko) 계단식 운동기구
JP2007319118A (ja) 動物用運動装置
KR200396991Y1 (ko) 런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
KR200458097Y1 (ko) 크롤 머신
KR20100008082A (ko) 발전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운동기구
KR100493355B1 (ko) 전신운동 기구장치
KR20120017170A (ko) 자가구동식 스케이트보드
CN212369524U (zh) 攀爬机
KR200421999Y1 (ko) 이용자의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JP3133420U (ja) 人・犬が共有する機能を有する脚力強化室内運動具
KR200300588Y1 (ko) 전신운동 기구장치
KR20200117469A (ko) 등산연습 겸용 계단오르기용 스텝 운동기구
KR100916372B1 (ko)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