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88Y1 - 전신운동 기구장치 - Google Patents

전신운동 기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88Y1
KR200300588Y1 KR20-2002-0030843U KR20020030843U KR200300588Y1 KR 200300588 Y1 KR200300588 Y1 KR 200300588Y1 KR 20020030843 U KR20020030843 U KR 20020030843U KR 200300588 Y1 KR200300588 Y1 KR 200300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belt
rod
handle
lower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범택
Original Assignee
전범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범택 filed Critical 전범택
Priority to KR20-2002-0030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substantially vertical plane, e.g. for exercising against gra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4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mountaineering, e.g. climbing-walls, grip elements for climbing-w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신운동 기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 하측의 구동모터와 웜기어의 회전력이 풀리와 체인기어를 통해 프레임 일측 표면에 근접되게 형성된 벨트 및 체인에 전달되게 하되, 상기 벨트와 체인은 가이드 레일과 블록 가이드와 일체로 형성된 상, 하부 브래킷에 수용되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상, 하 브래킷에 형성된 각각의 발판 로드와 손잡이 로드의 작용에 의해 상기 벨트 및 체인 표면에 마찰 저항을 발생시킴과 함께 운동자는 상기 발판과 손잡이에 체중을 실어 회전하는 벨트와 체인 방향과 반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종래의 수평운동에서 벗어나 수직으로 운동을 함으로 인하여 암벽등반과 같은 운동의 재미를 갖는 특징과 함께 이용자의 체중에 따라 이동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인하여 남녀노소 모두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신운동 기구장치{Sporting goods to exercise of the whole body}
본 고안은 전신운동 기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 중, 하 등의 단계별 암벽 등반에 소요되는 운동량과 동일한 운동량을 사용자가 소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등반 운동을 시작하면 현재의 등반거리, 등반시간, 등반속도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해당하는 코스별로 알맞은 운동을 할 수 있는 전신운동 기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즈음 현대인들은 육체적 활동보다는 정신적 활동을 많이 하는 관계로 각종 스트레스에 의한 정신적인 질환 및 운동 부족에 의한 비만과 함께 각종 질병에 노출되거나 아니면 체력이 점차로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주기적인 스포츠 활동과 함께 등산과 같은 취미활동을 보다 폭넓게 하여 체력을 보강하게 되었다.
그러나 , 작금의 직장인들은 운동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 극히 제한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헬스장을 찾거나, 아니면 일반 가정에 운동기구를 구비하여 운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기구로는 러닝 머시인, 역기, 하체운동기구, 상체운동기구로 분리되어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운동 기구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러닝 머시인은 컨베이어 벨트 위를 사용자가 달리게 되는 구조이므로 인하여 평지를 걷는 체력 증진의 효과가 있는 반면 신체 각부에 효과적인 운동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로 인하여 다른 기구나 장비를 통하여 운동을 다시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부 해결한 내용으로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 출원제1998-0017263호의 "등반 머시인"이 있다.
이는 등반 머시인의 이용시 경사와 체중을 이용하므로 별도의 동력이 필요 없이 가정 및 헬스클럽 등의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부재의 받침판에 크고 작은 돌출부를 밟고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아무런 장력 없이 단순히 수평으로 움직이는 구성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가 효과적인 운동을 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적합하지 못한 단점과 함께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풀리와 체인기어에 연결된 벨트 및 체인이 상, 중, 하의 속력으로 단계적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사용자는 발판 로드와 손잡이 로드를 사용하여 상기 벨트 및 체인에 마찰을 유도하면서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와 프레임에 연결된 벨트는 가이드 레일과 블록 가이드와 일체로 결합된 상, 하부 브래킷에 수용되어 발판 로드와 손잡이 로드의 작용에 의해 사용자가 임의대로 상체와 하체의 움직임을 제어함과 함께 속도 조절 스위치로 벨트의 회전을 변화시킬 수 있어 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전신운동 기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신운동 기구장치를 나타낸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의 (a)(b)(c)(d)(e)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취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
도 5의 (a)(b)(c)(d)(e)는 본 고안의 요부가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가 작용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7의 (a)(b)(c)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의 (a)(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프레임
12. 가이드 레일 13. 블록 가이드
14. 상부 브래킷 15. 하부 브래킷
16. 발판 로드 17. 발판
18. 손잡이 로드 19. 손잡이
20. 속도 조절 스위치 22. 회전핀
23. 벨트 24. 텐션풀리
25. 웜기어 26. 모터
27. 풀리 29. 와이어
30. 스프링 31. 회전롤러
32. 제어부 33. 체인
34. 마찰패드 35. 체인기어
36. 랙 기어 37. 피니언 기어
38. 고정핀
본 고안은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된 전면 프레임(11) 일측에 모터(26)의 회전에 의해 회동하는 풀리(27)에 연결된 벨트(23)가 가이드 레일(12)과 블록 가이드(13) 상에 일체로 체결된 상, 하부 브래킷(14,15)에 수용되어 발판 로드(16)와 손잡이 로드(18)에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신운동 기구장치를 나타낸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의 (a)(b)(c)(d)(e)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취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의 (a)(b)(c)(d)(e)는 본 고안의 요부가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낸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가 작용하는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7의 (a)(b)(c)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의 (a)(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2와 같이 본체(10) 일측에는 가이드 레일(12)이 좌우측으로 형성된 각각의 프레임(11)에 결착됨과 함께 상기 가이드 레일(12) 상, 하측에는 블록 가이드(13)가 결합되게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1)은 랙 기어(36)와 피니언 기어(37)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갖으면서 좌우측으로 회동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 가이드(13) 전면에는 상부 브래킷(14)과 하부 브래킷(15)이 별도의 작업에 의해 융착되거나,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상부 브래킷(14)에는 손잡이 로드(18)가 결합됨과 아울러 하부 브래킷(15)에도 발판 로드(16)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손잡이 로드(18)와 발판 로드(16)는 회전핀(22)에 의해 상, 하부 브래킷(14,15)에 고정되어 지지되므로 인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 전면에 형성된 좌, 우측의 프레임(11) 상하측에는 벨트(23)를 회동시키는 풀리(27)가 수용되는데, 상기 벨트(23)는 텐션풀리(24)와 연결된 모터(26)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상기의 상황에서 벨트(23)의 회전 방향은 도 5의 (a)(c)와 같이 발판 로드(16)와 손잡이 로드(18)의 작용방향과 반대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로드(16)(18)의 작용에 위해 벨트(23) 표면에 마찰 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함과 함께 로드(16)(18)에 큰 부하를 걸리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 하부 브래킷(14,15)에 수용된 벨트(23)는 발판 로드(16)와 손잡이 로드(18)의 작용에 의해 마찰저항이 발생되면서 일시적으로 운동을 정지함과 함께 벨트(23)는 계속적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계속적으로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벨트(23)는 구동모터(26)와 연결된 컨트롤박스(미도시됨)와 사용자의 조정에 의해 벨트(23)의 회전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어부(32)와 연결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등반거리, 등반시간, 등반속도 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손잡이 로드(18) 일측에 속도 조절 스위치(20)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본체(10) 전면에 형성된 제어부(32)도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다음, 도 5의 (e)는 블록 가이드(13)에 일체로 고정된 상, 하부 브래킷(13,14)에 각각의 와이어(29)와 스프링(30)을 형성하여 상기 브래킷(13,14)의 상승작용을 부가시킴과 함께 손발 구조물의 정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도 4의 (e)와 같이 프레임(11) 일측에 손발 로드(16)(18)를 고정시키는 상, 하부 브래킷(14)(15)을 결합시킬 수 도 있다.
이때, 상, 하부 브래킷(14)(15)에 수용된 벨트(23)는 발판 로드(16)와 손잡이 로드(18)의 작용에 의해 많은 부하를 받게 되지만 프레임(11) 표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2)과 블록 가이드(13)가 상, 하부 브래킷(14)(15)을 안전하게 지지하므로 인하여 발판 로드(16)와 손잡이 로드(18)의 작용은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게 된다.
한편, 상황에 따라서는 프레임(11) 상측과 연결된 랙 기어(36)는 피이언 기어(37)의 작동에 의해 상기 프레임(11)의 좌우측 기울기를 변화시키게 되는데, 이때 프레임(11) 하측에 결합된 고정핀(38)에 의해 상기 프레임(11)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a)와 같이 상황에 따라 벨트(23) 대신 체인(33)을 연결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상, 하 브래킷(14)(15) 내부 표면과 손, 발 로드(16)(18) 일측 외부에 마찰 패드(34)를 코팅하거나, 부착하여 이동하는 체인(33)과 마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7의 (b)(c)와 같이 손, 발 로드(16)(18)에 운동자의 모든 체중을 실은 상태에서 손, 발 로드(16)(18)를 체인(33)에 반복적으로 마찰시키게 되면 체인에는 마찰 장력이 발생됨과 함께 큰 부하가 걸리게 되면서 체인(33)은 일시적으로 정지하게 되므로 인하여 운동자는 체력을 주기적으로 단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체인(33)에 텐션을 조절하는 별도의 텐션조절장치는 필요 없게 된다.
그리고, 도 8의 (a)(b)와 같이 한 개의 프레임(11) 일측 표면에 가이드 레일(12)을 좌우측에 각각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운동장치를 설치하는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발판 로드(16)와 손잡이 로드(18)의 작동방법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와 같이 프레임(11) 양측 표면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12)에는 각각의 상, 하부 브래킷(14)(15)과 일체로 형성된 블록 가이드(13)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브래킷(14)에는 손잡이 로드(18)가 조립됨과 아울러 하부 브래킷(15)에는 발판 로드(16)가 형성되므로 운동자는 양손을 상기 손잡이 로드(18)에 형성된 손잡이(19)를 각각 잡은 상태에서 양발을 발판(17)에 수용시켜 체중을 싣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운동자가 손잡이(19)에 형성된 속도 조절 스위치(20)를 온(ON) 상태로 위치시키면 모터(26)는 서서히 회동함과 동시에 벨트(23) 및 체인(33)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벨트(23) 및 체인(33)은 상, 하부 브래킷(14)(15)에 삽입된 상태로 위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운동자는 최초 손과 발을 도 5의 (c)와 (a)의 형태를 취하게 된 상태에서 바로 도 5의 (d)와 (b)의 형태로 변화를 주게 된다.
상기의 상황에서 손잡이 로드(18)와 발판 로드(16)에 수용된 손과 발은 암벽 등반과 같이 번갈아 움직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 로드(18)와 발판 로드(16)는 바로 회전하는 벨트(23) 및 체인(33)을 순간적으로 잡아주게 되므로 인하여 많은 부하와 함께 저항력이 발생되면서 신체 근육을 지속적으로 단련시킬 수 있다.
이때, 운동자가 벨트의 회전속도 보다 빠르게 운동하면 몸이 상승되면서 보다 느리게 운동하면 몸이 하강하여 운동공간이 변화되어 운동시의 지루함을 제거할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운동자는 손잡이 로드(18)와 발판 로드(16)를 계속적으로 움직여 벨트(23) 및 체인(33)을 타고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거나, 벨트(23) 및 체인(33)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높여 운동량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되며, 또한 랙 기어(36)와 피니언 기어(37)의 맞물림 작용으로 프레임(11)은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인하여 운동의 재미를 한층 더 느낄 수 있다.
다음, 운동자가 운동을 멈추고자 할 때는 손과 발을 도 5의 (c), (a)와 같이 손잡이 로드(18)와 발판 로드(16)를 벨트(23) 및 체인(33)에서 이격시키는 자세를 취하게 되면 운동자의 체중에 의해 브래킷(14)(15)과 일체로 형성된 블록 가이드(13)는 가이드 레일(12)을 타고 서서히 하강하면 센서(미도시됨)가 감지함과 동시에 모터(26)의 회전은 정지하면서 도 6과 같이 발판 로드(16)는 회전 롤러(31)에 원위치를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운동자는 손과 발을 동시에 사용하여 암벽 등반과 같은 재미를 느낌과 아울러 남녀노소 누구나 체력단력 운동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신운동 기구장치에 따르면종래의 수평운동에서 벗어나 수직으로 운동을 함으로 인하여 암벽등반과 같은 운동의 재미를 갖는 특징과 함께 이용자의 체중에 따라 이동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인하여 남녀노소 모두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기구장치의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 아니라, 대량적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경제적으로 보다 많은 이익을 발생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6)

  1. 전신운동 기구장치에 있어서,
    본체 하측의 구동모터와 웜기어의 회전력이 풀리와 체인기어를 통해 프레임 일측 표면에 근접되게 형성된 벨트 및 체인에 전달되게 하되, 상기 벨트와 체인은 가이드 레일과 블록 가이드와 일체로 형성된 상, 하부 브래킷에 수용되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상, 하 브래킷에 형성된 각각의 발판 로드와 손잡이 로드의 작용에 의해 상기 벨트 및 체인 표면에 마찰 저항을 발생시킴과 함께 운동자는 상기 발판과 손잡이에 체중을 실어 회전하는 벨트와 체인 방향과 반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전신운동 기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전면의 손잡이 로드와 발판 로드는 회전핀에 의해 상, 하부 브래킷에 고정되어 지지됨으로 인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전신운동 기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로드 일측에 속도 조절 스위치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벨트 및 체인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전신운동 기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로드와 발판 로드 일측에 마찰 패드를 형성하여 이동하는 체인에 마찰시킴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체인 표면에 부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운동 기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블록 가이드에 스프링과 연결된 와이어를 형성하여 손, 발 발판의 정하중을 제거함과 함께 상기 블록 가이드는 센서에 의해 감지됨과 아울러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 인하여 발판 로드가 회전롤러에 원위치 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전신운동 기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한 개의 일측 표면 좌우측으로 가이드 레일을 일체로 형성시킴과 함께 상기 각 레일에 손잡이 로드와 발판 로드를 결착한 상, 하부 브래킷과 블록 가이드를 각각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전신운동 기구장치
KR20-2002-0030843U 2002-10-16 2002-10-16 전신운동 기구장치 KR2003005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43U KR200300588Y1 (ko) 2002-10-16 2002-10-16 전신운동 기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43U KR200300588Y1 (ko) 2002-10-16 2002-10-16 전신운동 기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105A Division KR100493355B1 (ko) 2002-10-16 2002-10-16 전신운동 기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8Y1 true KR200300588Y1 (ko) 2003-01-14

Family

ID=4939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843U KR200300588Y1 (ko) 2002-10-16 2002-10-16 전신운동 기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1251A (zh) * 2016-11-15 2017-05-10 刘嘉安 模拟攀岩运动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1251A (zh) * 2016-11-15 2017-05-10 刘嘉安 模拟攀岩运动器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8823B2 (en) Treadmill with suspended tread belt
US7780577B2 (en) Pendulous exercise device
US7691034B2 (en) Total body elliptical exercise device with independent upper and lower body motion
US4986261A (en) Apparatus for performing coordinated walking motions with the spine in an unloaded state
US6926646B1 (en) Exercise apparatus
US7662070B1 (en) Recumbent bicycle for disabled users
US4659075A (en) Device for simulation of climbing
EP2818209B1 (en) Exercise assisting device
EP1747803A1 (en) Exercise device having a movable platform
JP2006218287A (ja) 収容可能なアームを備えたエリプティカルエクササイズ機器
WO2005061056A3 (en) An apparatus for physical exercise, and a crank device and foot supporting platforms for use with such apparatus
WO2021164384A1 (zh) 攀爬机
CN103736247B (zh) 多角度攀爬训练机
US5145472A (en) Physical fitness exercise machine
KR100493355B1 (ko) 전신운동 기구장치
KR102216146B1 (ko) 줄타기 운동기구
KR200300588Y1 (ko) 전신운동 기구장치
CN206777697U (zh) 一种椭圆机
KR200396992Y1 (ko)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
KR200405273Y1 (ko) 다기능 운동기구
CN214679869U (zh) 一种新型户外脚踏侧旋圆周运动机构
KR20200117469A (ko) 등산연습 겸용 계단오르기용 스텝 운동기구
CN204864687U (zh) 一种电动式攀爬运动机
JP2004154511A (ja) 歩行等足腰運動用器具
CN213219080U (zh) 一种具有足底按摩功能的脚腿关节锻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