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190Y1 - 전동 점핑머신 - Google Patents

전동 점핑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190Y1
KR200250190Y1 KR2020010019463U KR20010019463U KR200250190Y1 KR 200250190 Y1 KR200250190 Y1 KR 200250190Y1 KR 2020010019463 U KR2020010019463 U KR 2020010019463U KR 20010019463 U KR20010019463 U KR 20010019463U KR 200250190 Y1 KR200250190 Y1 KR 200250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hole
shaft
bottom plat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이석
Original Assignee
장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이석 filed Critical 장이석
Priority to KR2020010019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1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190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 점핑머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정지된 자세에서 뜀뛰기를 하는 듯 한 운동효과를 취할 수 있도록 한 점핑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소형의 기구로서 전기로 간단히 승강 작동되는 운동기구를 제안한 것으로, 실내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약간의 시간만을 투자함으로써 남녀노소를 불구하고 간편하게 뜀뛰기 운동 효과를 취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선 자세를 취할 수 없는 장애인까지도 뜀뛰기 운동 효과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 점핑머신{electromotive jumping machine}
본 고안은 전동 점핑머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정지된 자세에서 뜀뛰기를 하는 듯 한 운동효과를 취할 수 있도록 한 점핑머신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신진대사에 필요한 열량을 필요로 하게되고 이는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충족시키게 되는데, 대부분 공급열량과 소모열량의 불균형 즉, 공급열량의 과잉으로 인해 지방이 과잉 축적되고 있음이 작금의 실정이다.
그리하여, 소모열량을 늘리기 위한 방안으로 인간은 여러 가지 운동을 시행하고 있으며, 그 방안으로서 기구를 전혀 사용치 않는 제자리 뛰기에서부터 기구를 사용한 줄넘기, 점핑(스프링)보드 운동등 유산소 운동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유산소 운동은 대부분 실외에서만 가능한 운동이어서, 유휴공간이 부족한 현대사회의 주거환경이나 긴박한 일정에 얽매어 생활하는 현대인의 생활여건이 운동을 실시하기에 어려운 요인으로 작용하여 사실상 실효를 거두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의 경우 정상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모열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실외에서의 운동은 거의 불가능한 상태이어서 건강 유지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현 실정을 감안하여 소형의 기구로서 전기로 간단히작동되는 운동기구를 제안한 것으로, 전원의 공급에 따른 모우터의 구동으로 승강보드가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승강보드에 올라 서거나 앉아서 정지된 자세를 유지하기만 하면 근육에 떨림 작용이 가해지게 되어 뜀뛰기 운동효과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부를 분리한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작용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작용도.
도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작용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진구 2 : 바닥프레임 3, 13 : 완충구
4 : 완충프레임 5 : 지지프레임 6 : 통공
7 : 바닥판 8 : 커버 9, 16 : 축수
10 : 중심축 11 : 로드 12 : 로울러
14 : 승강보드 15, 35 : 결합공 17 : 링크
18, 18' : 승강안내구 19, 36 : 스프링 20 : 전원
21 : 모우터 22 : 감속기 23 : 회동축
24 : 타격구 25 : 만곡면 26, 26' : 측면프레임
27 : 연결프레임 28 : 정면손잡이 29, 29' : 측면손잡이
30 : 콘트롤박스 31 : 스위치 32 : 의자
33 : 축봉 34 : 완충보드
도1은 본 고안의 일부를 분리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작용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작용도인바, 도1 내지 도3은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장방형의 틀 형태를 갖는 바닥프레임(2)이 방진구(1)로 받혀지도록 설치되고, 바닥프레임(2)의 상부에는 우레탄고무 등으로 되는 고무재 완충구(3)가 개재되어 장방형의 틀 형태로 되는 완충프레임(4)이 설치되며, 완충프레임(4)의 상부 후방에 지지프레임(5)이 설치되어 완충프레임(4)과 지지프레임(5)을 감싸서 커버(8)가 설치되고, 지지프레임(5)의 저부에 바닥판(7)이 설치되며 상부에는 통공(6)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7)의 상부에 설치되는 축수(9)의 중심축(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로드(11)가 설치되어 로드(11)의 전방에 로울러(12)가 설치되고 후방에 링크(17)로 연결되는 축수(16)상에 결합공(15)을 갖는 승강보드(14)가 통공(6)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며, 로드(11)의 후방 저부에 완충구(13)가 설치된다.
상기 바닥판(7)과 승강보드(14)의 사이 전후방에 실린더형 승강안내구(18)(18')가 설치되고, 바닥판(7)과 결합공(15)의 사이에는 스프링(19)이 탄력 설치된다.
상기 완충프레임(4)의 전방에는 전원(20)으로 구동되는 모우터(21)와 연결되어 감속기(22)가 설치되고, 감속기(22)의 회동축(23)에 회전방향으로 만곡면(25)을 갖는 바람개비 형태의 타격구(24)가 로울러(12) 상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바닥프레임(2)의 전방 측면에는 연결프레임(27)으로 측면프레임(26)(26')이 연결 설치되고, 연결프레임(27)의 상면과 후방에는 각각 스위치(31)로 조작되는 콘트롤박스(30)와 정면손잡이(28)가 설치되며, 측면프레임(26)(26')의 상단에는 측면손잡이(29)(29')가 설치된다.
한편, 승강보드(14)의 결합공(15)에는 별도로 구비되는 의자(32)가 축봉(33)으로 착탈된다.
또한, 도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작용도로서, 도4에서와 같이 승강보드(14)의 상면에는 결합공(15)과 동일 중심의 결합공(35)을 갖는 완충보드(34)를 스프링(36)으로 탄력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 부호 37은 지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도2 및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콘트롤박스(30)의 스위치(31)를 조작하여 전원(20)을 통전 시킴과 동시에 속도를 조절하게 되면, 타격구(24)가 회전하면서 만곡면(25)이 로울러(12)를 하방으로 밀어주어 로드(11)가 이점쇄선 도시와 같이 중심축(10)을 지점으로 회전하면서 승강보드(14)를 상방으로 밀어 올려주게 되고, 타격구(24)의 끝단이 로울러(12)를 벗어나게 되면 자중에 의해 승강보드(14)가 하강하면서 로드(11)가 실선 도시와 같이회전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측면손잡이(29)(29')나 정면손잡이(28)중 하나를 선택하여 잡은 채로 도2에서와 같이 승강보드(14)상에 선 자세로 올라서거나, 도3에서와 같이 결합공(15)에 의자(32)를 결합한 상태에서 올라앉게 되면 승강보드(14)의 상승시에는 인체가 떠받들어졌다가 하강시에는 순간적으로 급강하하게 됨으로써 전신의 근육에 떨림 작용이 발생하여 근육의 사이에 불필요하게 축적된 지방을 분해시키는 효과를 취하게 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적 여건에 따라 비교적 건강한 사람은 도2에서와 같은 선 자세를 취하면 되는 것이고,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이 비교적 체력이 약하거나 설 수 없는 사람은 도3에서와 같이 의자(32)를 이용한 앉은 자세를 취하면 되는 것이어서 남녀노소를 불구하고 실내에서 간편히 뜀뛰기의 운동효과를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적어도 수십 킬로그램을 육박하는 인체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구성 각부가 받는 충격이 엄청날 것이나, 이는 1차로 스프링(19)과 완충구(13)가 충격을 완화시킨 다음, 2차로 완충프레임(4)을 받치고 있는 완충구(3)가 충격을 완화시키고, 3차로 방진구(1)가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서 지면(37)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거의 소진시켜 충격으로부터 구성 각부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진동음의 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인체에도 불필요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보드(14)의 상면에 완충보드(34)를 추가로 부설함으로써 스프링(36)에 의한 완충 효과를 더 부가토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승강보드(14)의 상면에 우레탄고무 등으로 되는완충성이 우수한 패드를 두껍게 적층하여 완충 효과를 더 부가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원(20)은 그 연결 도선들이 커버(8)의 내부 및 측면프레임(26)(26')의 내부로 배선됨으로써 외관상으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외관이 미려함을 표출케 되는 것이고, 콘트롤박스(30) 내에는 가변저항을 이용한 통상의 콘트롤러 등을 내장함으로써 타격구(24)의 회전 속도를 조절토록 하여 운동 강도를 달리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실내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남녀노소를 불구하고 간편하게 뜀뛰기 운동 효과를 취할 수 있음은 물론, 선 자세를 취할 수 없는 장애인까지도 뜀뛰기 운동 효과를 취할 수 있는 등의 지대한 효과를 제공케 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점핑 머신에 있어서,
    방진구(1)로 받혀지도록 설치되는 바닥프레임(2)의 상부에 완충구(3)가 개재되어 완충프레임(4)이 설치되며, 완충프레임(4)의 상부 후방에 지지프레임(5)이 설치되어 완충프레임(4)과 지지프레임(5)을 감싸서 커버(8)가 설치되고, 지지프레임(5)의 상하로 통공(6)과 바닥판(7)이 형성되며, 바닥판(7)의 상부에 설치되는 축수(9)의 중심축(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로드(11)가 설치되어 로드(11)의 전방에 로울러(12)가 설치되고, 후방에 링크(17)로 연결되는 축수(16)상에 결합공(15)을 갖는 승강보드(14)가 통공(6)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며, 로드(11)의 후방 저부에 완충구(13)가 설치되고, 바닥판(7)과 승강보드(14)의 사이 전후방에는 실린더형 승강안내구(18)(18')가 설치되며, 바닥판(7)과 결합공(15)의 사이에는 스프링(19)이 탄력 설치되고, 완충프레임(4)의 전방에는 전원(20)으로 구동되는 모우터(21)와 연결되어 감속기(22)가 설치되며, 감속기(22)의 회동축(23)에 회전방향으로 만곡면(25)을 갖는 바람개비 형태의 타격구(24)가 설치되고, 바닥프레임(2)의 전방 측면에는 연결프레임(27)으로 측면프레임(26)(26')이 연결 설치되며, 연결프레임(27)의 상면과 후방에는 각각 스위치(31)로 조작되는 콘트롤박스(30)와 정면손잡이(28)가 설치되며, 측면프레임(26)(26')의 상단에는 측면손잡이(29)(29')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점핑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승강보드(14)의 결합공(15)에 별도로 구비되는 의자(32)가 축봉(33)으로 착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점핑머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승강보드(14)의 상면에 결합공(15)과 동일 중심의 결합공(35)을 갖는 완충보드(34)를 스프링(36)으로 탄력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점핑머신.
KR2020010019463U 2001-06-28 2001-06-28 전동 점핑머신 KR200250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463U KR200250190Y1 (ko) 2001-06-28 2001-06-28 전동 점핑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463U KR200250190Y1 (ko) 2001-06-28 2001-06-28 전동 점핑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190Y1 true KR200250190Y1 (ko) 2001-11-16

Family

ID=73104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463U KR200250190Y1 (ko) 2001-06-28 2001-06-28 전동 점핑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1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5561A1 (en) * 2002-01-04 2003-07-10 Jang Hee Lee Jump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5561A1 (en) * 2002-01-04 2003-07-10 Jang Hee Lee Jump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9589B2 (en) Treadmill with electromechanical brake
US6045490A (en) Motorized exercise treadmill
US5704881A (en) Apparatus for counterbalancing rehabilitating patients
US7563235B2 (en) Body vibration apparatus
KR101487135B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20050094368A (ko) 진동운동기구
CN109011338B (zh) 一种上肢及腿部多种锻炼装置
GB2483621A (en) Vibratory training device
KR200250190Y1 (ko) 전동 점핑머신
KR200396992Y1 (ko)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
CN107661602B (zh) 一种足底按摩跑板机构及应用其的走、跑步机
KR200419741Y1 (ko) 전동식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0394568B1 (ko) 진동 시소운동기구
JP2009195591A (ja) 振動マシン
KR100908018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TW202239445A (zh) 彈跳跑步機
KR200451101Y1 (ko) 하체 운동기구
KR100493355B1 (ko) 전신운동 기구장치
KR200396991Y1 (ko) 런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
KR200270797Y1 (ko) 점프 머신
KR20030060686A (ko) 비만 치료기구
CN216366480U (zh) 一种迷你椭圆踏步器
CN215822270U (zh) 一种体育锻炼用拉背装置
KR20030059732A (ko) 점프 머신
CN210114787U (zh) 一种坐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