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797Y1 - 점프 머신 - Google Patents

점프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797Y1
KR200270797Y1 KR2020020000272U KR20020000272U KR200270797Y1 KR 200270797 Y1 KR200270797 Y1 KR 200270797Y1 KR 2020020000272 U KR2020020000272 U KR 2020020000272U KR 20020000272 U KR20020000272 U KR 20020000272U KR 200270797 Y1 KR200270797 Y1 KR 200270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exerciser
crank mechanism
reducer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희
Original Assignee
이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희 filed Critical 이장희
Priority to KR2020020000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7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797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점프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터 및 감속기; 상기 전동 모터 및 감속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승강 운동하는 크랭크 기구; 상기 크랭크 기구의 승강 운동에 따라 운동자의 체중을 지지하며 상승하였다가 운동자의 신체가 자유 낙하하도록 하강하는 발판; 상기 전동 모터 및 감속기와 크랭크 기구를 내장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운동자가 신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손잡이부; 상기 전동 모터 및 감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운동자 신체의 자유 낙하를 통하여 체중과 가속도에 비례하는 만큼의 충격 에너지에 의해 장기의 근력과 복근을 단련시킴으로써 운동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와 더불어, 체중 감량 및 군살 제거의 효과가 있다.
또한, 운동자가 자신의 신체를 움직이거나 기구를 조작하여 운동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동적으로 운동이 되도록 함으로써 힘들이지 않고 운동 효과를 거둘 수 있고,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 효과도 발휘한다.

Description

점프 머신{Jump Machine}
본 고안은 점프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동자의 신체를 소정의 속도로 수직 승강시키는 작용을 반복함으로써 운동자의 체중과 가속도에 비례하는 낙하 충격에 의해 신체의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는 점프 머신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실내의 한정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인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고, 특히 편리성을 추구하는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운동 부족과 체력 저하 등 신체적인 열화가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과거로부터 조깅이나 수영과 같은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행하는 운동을 비롯하여 줄넘기 또는 각종 기구를 이용한 운동이 개인의 취향에 따라 행하여져 왔고, 최근에는 실내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러닝 머신, 슬라이더, 그리고 다기능 헬스 기구들이 유행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각종 헬스 기구들은 신체 외형의 특정 부위에 대한 단련이나 심폐 운동만을 위하여 고안된 것들이거나, 수평적 운동에 그치는 것들이어서 소화기 내 근력 발달 등 신체 내장 부위의 운동 효과는 극히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운동 기구들은 운동자 스스로가 직접 운동 기구를 힘들여 작동시키거나 조작하여 운동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는 기구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운동자의 운동 의지를 약화시킴으로써 지속적인 운동을 유발하는 동기 부여 효과가 적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목적은 신체 내장 부위의 운동에 주안점을 두어 소화기 내 근력 발달을 향상시키는 점프 머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동자가 자신의 신체를 움직이거나 기구를 조작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동적으로 운동이 되도록 함으로써 힘들이지 않고 운동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는 점프 머신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점프 머신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점프 머신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점프 머신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판 10a : 브래킷 10b : 요철부
20 : 손잡이부 30 : 케이싱 30a : 수직 패널부
30b : 방진구 40 : 전동 모터-감속기 41,51 : 벨트 풀리
42 : 타이밍 벨트 50 : 크랭크 기구 52 : 크랭크 축
53 : 크랭크 판 54 : 크랭크 암 60 : 레일
61 : 직선운동 베어링 70 :제어부 80 : 콘트롤 패널-모니터
위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점프 머신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터 및 감속기; 상기 전동 모터 및 감속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승강 운동하는 크랭크 기구; 상기 크랭크 기구의 승강 운동에 따라 운동자의 체중을 지지하며 상승하였다가 운동자의 신체가 자유 낙하하도록 하강하는 발판; 상기 전동 모터 및 감속기와 크랭크 기구를 내장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운동자가 신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손잡이부; 상기 전동 모터 및 감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판의 상부면에는 운동자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하하고 지압작용을 할 수 있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발판이 승강하는 방향을 따라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발판에는 상기 동력 전달부의 승강시 상기 발판의 불규칙한 유동을 방지하고 원활한 상하 직선 운동을 유도하도록 상기 레일을 활주하게 되는 직선운동 베어링이 설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발판의 상기 레일과 대향하는 부위가 "ㄱ"자형 또는 역"ㄱ"자형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저면부에는 상기 전동 모터 및 감속기와 크랭크 기구의 작동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고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방진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단 접철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는 운동자의 운동량 설정과 상기 제어부의 작동 상황을 운동자가 제어 및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콘트롤 패널 및 모니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점프 머신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운동자가 올라서게 되는 발판(10)과, 이 발판(10)위에 선 운동자가 몸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20), 그리고 상기 발판(10)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동력장치(미도시)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각각 내장된 케이싱(30)이 나타나 있다.
본 고안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분해 사시도와 도 3의 단면도를 통하여 알 수가 있는데, 이는 전동 모터-감속기(40)로 이루어진 동력 발생부와 크랭크 기구(50)로 이루어진 동력 전달부를 구비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견고한 골조로 이루어진 케이싱(30)의 내부에 동력 발생부인 전동 모터-감속기(40)와 동력 전달부인 크랭크 기구(50)가 설치되며, 전동 모터-감속기(40)와 크랭크 기구(50)에는 각각 벨트 풀리(41,51)가 구비되어 있어 서로 타이밍 벨트(42)로 연결된다. 타이밍 벨트(42) 대신 V벨트 또는 체인을 적용할 수도 있으나, 소음과 진동의 최소화를 위하여 타이밍 벨트(4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크랭크 기구(50)는, 상기 타이밍 벨트(42)가 결합되는 풀리(51)가 구비된 크랭크 축(52)과, 전동 모터-감속기(40)가 구동됨에 따라 타이밍 벨트(42)와 크랭크 축(52)으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을 하는 크랭크 판(53)과, 이 크랭크 판(53)에 베이링을 매개로 결합되어 크랭크 판(53)이 회전 운동함에 따라 상하 왕복 운동을 하는 크랭크 암(5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크랭크 암(54)의 상단에는 브래킷(10a)을 매개로 크랭크 암(54)과 연동하는 발판(10)이 결합되는데, 이 발판(10)은 운동자의 체중과 운동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운동자의 발바닥이 접촉하게 되는 발판(10)의 상부면에는 승강 운동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지압 작용을 할 수 있는 다수의 돌기 또는 굴곡과 같은 요철부(10b)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발판(10)의 후측으로 케이싱(30)의 수직 패널부(30a)에 한쌍의 평행한 레일(60)이 상하로 설치되고, 발판(10)에는 상기 크랭크 암(54)의 승강시 발판(10)이 불규칙하게 전후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원활하게 상하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직선운동 베어링(61)이 설치됨으로써 레일(60)에서 활주하게 된다. 특히, 상기 레일(60)과 대향하는 발판(10)의 직선운동 베어링(61) 설치부위는 발판(10)의 균형 유지를 위해 "ㄱ"자 형태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역"ㄱ"자 형태로 해도 무난하다.
상기 전동 모터-감속기(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가 케이싱(3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이 제어부(70)는 전압 위상 변환 회로와, 전압 및 주파수를 제어하는 인버터 회로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전원의 온/오프 등 과부하 방지 기능도 아울러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어부(70)는 발판(10)이 운동자의 체중을 지탱하면서 상승하였다가 순간적으로 하강함으로써 운동자의 신체가 자유 낙하할 수 있도록 전동 모터-감속기(4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동 모터-감속기(40) 및 크랭크 기구(50)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고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30)의 저면부에 우레탄이나 러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 방진구(30b)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고안의 점프 머신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20)를 2단이나 3단 등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접철식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20)의 상단 중앙 부위에는 운동자가 자신의 체중과 같은 신체 조건 및 체력 조건에 맞는 운동량(속도, 시간 등)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70)의 작동 상황 등을 제어하거나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콘트롤 패널-모니터(8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운동자가 발판(10) 위에 올라선 상태에서 손잡이부(20)를 잡고서 몸의 균형을 잡은 뒤, 손잡이부(20)에 구비된 콘트롤 패널-모니터(80)를 조작하여 자신의 신체 및 체력 조건에 맞는 운동량을 설정한다.
콘트롤 패널-모니터(80)에 의해 설정된 운동량에 의거하여 제어부(70)가 동력 발생부, 즉 전동 모터-감속기(40)를 작동시키면 전동 모터-감속기(40)는 설정된 운동량에 비례하는 회전 속도와 회전량으로 구동되고, 전동 모터-감속기(40)와 타이밍 벨트(42)로 연결된 크랭크 기구(50)가 연동되어 크랭크 암(54)이 상하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아울러, 크랭크 암(54)의 상단에 체결된 발판(10)이 크랭크 암(54)과 더불어 상하로 승강하게 되는데, 이때 발판(10)의 후방부에 설치된 직선운동 베어링(61)이 케이싱(30)의 수직 패널부(30a)에 설치된 레일(60)에서 활주하면서 발판(10)의 전후 좌우 유동을 방지하며 정상적인 직선 운동으로 상하 승강시키게 된다.
이러한 발판(10)의 승강 운동시, 운동자는 발판(10)의 상승과 함께 몸이 상승하게 되지만, 하강시에는 운동자의 신체보다 발판(10)이 먼저 순간적으로 하강함으로써, 운동자는 자신의 체중에 비례하는 하중과 가속도로 발판(10)위에 자유 낙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동자의 발바닥이 발판(10)에 닿는 순간, 운동자의 신체는 낙하 충격을 받음으로써 통상적인 줄넘기 운동시 보다 몇 배의 운동 효과를 보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운동을 지속하게 되면 장기의 근력과 복근이 발달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이와 더불어 발판(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요철부(10b)가 운동자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함과 동시에 지압 작용을 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더욱 배가시키게 된다.
특히, 운동자는 본 고안의 점프 머신을 콘트롤 패널-모니터(80)를 통하여 작동을 제어하기만 하면 되므로 별도로 힘을 들여 운동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점프 머신은, 운동자 신체의 자유 낙하를 통하여 체중과 가속도에 비례하는 만큼의 충격 에너지에 의해 장기의 근력과 복근을 단련시킴으로써 운동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와 더불어, 체중 감량 및 군살 제거의 효과가 있다.
또한, 운동자가 자신의 신체를 움직이거나 기구를 조작하여 운동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동적으로 운동이 되도록 함으로써 힘들이지 않고 운동 효과를 거둘 수 있고,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 효과도 발휘한다.

Claims (7)

  1. 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모터 및 감속기;
    상기 전동 모터 및 감속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승강 운동하는 크랭크 기구;
    상기 크랭크 기구의 승강 운동에 따라 운동자의 체중을 지지하며 상승하였다가 운동자의 신체가 자유 낙하하도록 하강하는 발판;
    상기 전동 모터 및 감속기와 크랭크 기구를 내장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어 운동자가 신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손잡이부;
    상기 전동 모터 및 감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점프 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상부면에는 운동자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하하고 지압작용을 할 수 있는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 머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발판이 승강하는 방향을 따라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발판에는 상기 크랭크 기구의 승강시 상기 발판의 불규칙한 유동을 방지하고 원활한 상하 직선 운동을 유도하도록 상기 레일을 활주하게 되는 직선운동 베어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 머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상기 레일과 대향하는 부위가 "ㄱ"자형 또는 역"ㄱ"자형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 머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의 저면부에는 상기 전동 모터 및 감속기와 크랭크 기구의 작동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고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방진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 머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단 접철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 머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운동자의 운동량 설정과 상기 제어부의 작동 상황을 운동자가 제어 및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콘트롤 패널 및 모니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 머신.
KR2020020000272U 2002-01-04 2002-01-04 점프 머신 KR200270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272U KR200270797Y1 (ko) 2002-01-04 2002-01-04 점프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272U KR200270797Y1 (ko) 2002-01-04 2002-01-04 점프 머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479A Division KR20030059732A (ko) 2002-01-04 2002-01-04 점프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797Y1 true KR200270797Y1 (ko) 2002-04-06

Family

ID=7311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272U KR200270797Y1 (ko) 2002-01-04 2002-01-04 점프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7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9589B2 (en) Treadmill with electromechanical brake
US9968823B2 (en) Treadmill with suspended tread belt
US7563235B2 (en) Body vibration apparatus
US20180154208A1 (en) Offsetting Treadmill Deck Weight During Operation
US5407403A (en) Forced repetition assist device
US6926646B1 (en) Exercise apparatus
EP0401206B1 (en) Stair climbing exercise apparatus
JP4153996B2 (ja) 運動器官の筋肉を刺激する装置
US9327164B2 (en) Vertical movement vibrating exercise and wellness platform
US20020198083A1 (en) Deep stride exercise machine
US20110294635A1 (en) Vertical movement vibrating exercise and wellness platform
US11033767B2 (en) Guided movement exercise machine
CN212817881U (zh) 一种健身用腿部韧带训练装置
KR20080021744A (ko) 계단식 운동기구
KR200270797Y1 (ko) 점프 머신
KR20030059732A (ko) 점프 머신
KR200396992Y1 (ko) 스텝머신 및 벤치프레스기구 겸용 헬스기구
US20150111703A1 (en) Exercise apparatus with a vibration system
KR100493355B1 (ko) 전신운동 기구장치
KR20040062513A (ko) 진동운동기구
CN210251026U (zh) 一种多用途水下跑步机
KR200250190Y1 (ko) 전동 점핑머신
KR200341500Y1 (ko) 복합 운동 처방기
KR200300588Y1 (ko) 전신운동 기구장치
KR200368300Y1 (ko) 진동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