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018B1 -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018B1
KR100908018B1 KR1020050099401A KR20050099401A KR100908018B1 KR 100908018 B1 KR100908018 B1 KR 100908018B1 KR 1020050099401 A KR1020050099401 A KR 1020050099401A KR 20050099401 A KR20050099401 A KR 20050099401A KR 100908018 B1 KR100908018 B1 KR 100908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ed
support
drive motor
wir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3301A (ko
Inventor
송지을
Original Assignee
송지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지을 filed Critical 송지을
Priority to KR1020050099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01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3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Abstract

본 발명은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발목걸이대가 형성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천공된 제1관통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제1관통공에 삽입 장착되며 상부 외각에 형성되는 피동기어이와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중앙에 천공된 제2관통공과 일측은 하부에 부착되고 타측은 하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도르래가 부착되는 L자 형상의 제1와이어지지부와 일측은 제1와이어지지부와 일직선상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1도르래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도르래가 부착되는 L자 형상의 제2와이어지지부를 포함하는 기어부와, 피동기어이와 교접되도록 설치되며 기어부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피동모터와, 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정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구동모터부와, 일단은 제2관통공에 삽입 설치되며 타단은 구동모터부 상부에 설치되어 몸체부를 지지하며 내부는 중공인 제1지지부와, 일단은 구동모터에 부착되고 타단은 제1지지부 내부와 제2관통공을 통과하여 발목걸이대에 부착되며 구동모터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발목걸이대에 전달하는 와이어와, 일단은 몸체부 측면에 부착되고 타단은 지면을 지지하는 제1받침대에 부착되어 몸체부를 지지하는 ㄱ자 형상의 제2지지부와, 제2지지부와 일직선상에 형성되며 일단은 몸체부 측면에 부착되고 타단은 지면을 지지하는 제2받침대에 부착되어 몸체부를 지지하는 ㄱ자 형상의 제3지지부와, 구동모터와 피동모터를 조절하는 리모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가 제공된다.
몸체부, 구동모터부, 피동모터, 제1지지부, 와이어, 리모콘

Description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Exercise apparatus for standing on one's hea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개략적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A-A'선 부분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 2 :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Y
본 발명은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서 사용자가 물구나무서기를 한 상태에서 몸체부 상부에 장착된 피동모터를 구동하여 상체 근육을 강화하고 허리와 복부 등도 단련하면서 몸 전체 부분에 운동효과를 보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구나무서기 운동은 팔을 지면에 대고 다리를 하늘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중력에 의해 지면 방향으로 치우친 장기나 척추 관절의 하중을 정반대로 함으로써, 혈액 순환 및 신체 내장의 원활한 운동에 많은 도움을 준다. 이러한 물구나무서기 운동은 종래에 사람이 직접 또는 벽면에 기대면서 물구나 무서기를 행하였지만, 상기한 물구나무서기 자세를 유지하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누구나 손쉽게 행할 수는 없었다.
종래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수동식이든 전동식이든 상관 없이, 사용자가 물구나무선 상태에서 단순히 매달려 있을 뿐 신체발달과 건강에 유익한 다른 운동은 실시할 수 없었다. 종래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프레임의 형태가 크고 작은 파이프나 각재를 이용하여 장방형 형태로 조립한 하부 구조물에 사각기둥 형태의 부재를 수직으로 용접한 형태이어서,물구나무선 상태로 몸 비틀기를 하면 양 어깨가 프레임에 부딪힐 우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는 등판부분이 단순한 사각형 형태여서 사용자가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몸을 비틀거나 할 때 양 어깨부분이 등판에 부딪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구동모터에 의하여 작동되는 와이어의 일단에 발목걸이대를 장착하고, 상기 발목걸이대에 발목을 거치한 후 리모콘으로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면 운동자가 어느 위치까지 물구나무서게 되고 이 상태에서 피동모터를 구동시켜 비틀림을 발생함과 더불어 양 어깨가 등판에 부딪히는 문제점을 해결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하부에 보조기를 설치하여 안전하고 다양하게 운동할 수 있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발목걸이대가 형성된 물구 나무서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천공된 제1관통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제1관통공에 삽입 장착되며 상부 외각에 형성되는 피동기어이와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중앙에 천공된 제2관통공과 일측은 하부에 부착되고 타측은 하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도르래가 부착되는 L자 형상의 제1와이어지지부와 일측은 제1와이어지지부와 일직선상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1도르래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도르래가 부착되는 L자 형상의 제2와이어지지부를 포함하는 기어부와, 피동기어이와 교접되도록 설치되며 기어부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피동모터와, 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정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구동모터부와, 일단은 제2관통공에 삽입 설치되며 타단은 구동모터부 상부에 설치되어 몸체부를 지지하며 내부는 중공인 제1지지부와, 일단은 구동모터에 부착되고 타단은 제1지지부 내부와 제2관통공을 통과하여 발목걸이대에 부착되며 구동모터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발목걸이대에 전달하는 와이어와, 일단은 몸체부 측면에 부착되고 타단은 지면을 지지하는 제1받침대에 부착되어 몸체부를 지지하는 ㄱ자 형상의 제2지지부와, 제2지지부와 일직선상에 형성되며 일단은 몸체부 측면에 부착되고 타단은 지면을 지지하는 제2받침대에 부착되어 몸체부를 지지하는 ㄱ자 형상의 제3지지부와, 구동모터와 피동모터를 조절하는 리모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2의 A-A'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사 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몸체부(10), 기어부(20), 피동모터(30), 구동모터부(40), 제1지지부(50), 와이어(70), 제2지지부(80), 제3지지부(90), 리모콘, 보조기(100) 등으로 구성된다.
몸체부(10)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천공된 제1관통공(11)이 형성되어 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는 사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어부(20)는 제1관통공(11)에 삽입 장착되며, 상부 외각에 형성되는 피동기어이(21)와,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중앙에 천공된 제2관통공(22)과, 일측은 하부에 부착되고 타측은 하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도르래(23a)가 부착되는 L자 형상의 제1와잉어지지부(23)와, 일측은 제1와잉어지지부(23)와 일직선상에 부착되고 타측에는 제1도르래(23a)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도르래(24a)가 부착되는 L자 형상의 제2와이어지지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와 기어부(20) 사이에는 부싱(300)이 설치되고, 제1지지부(50)와 기어부(20)사이에는 베어링(20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싱(300)은 몸체부(10)와 기어부(20)가 직접 면접촉 됨으로써 발생되는 마모와 이로 인해 교체시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피동모터(30)는 피동기어이(21)와 교접되도록 설치되어 기어부(20)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피동모터(30)는 키 홈이 형성된 피동모터 몸체(31)와, 키에 의하여 몸체에 장착되는 구동기어이와, 몸체 외부면에 장착되는 피동모터 센서부 (33)로 구성되고, 피동모터 센스부(33)는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인식하여 피동모터(30)를 작동시킨다. 피동모터(3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은 구동기어이에 의하여 구동기어이와 교접하고 있는 기어부(20)의 피동기어이(21)에 전달되어 기어부(20)를 회전시킨다.
구동모터부(40)는 몸체부(10)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정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구동모터가 장착된다. 구동모터는 키 홈이 형성된 몸체(40)와, 키에 의하여 몸체(40)에 장착되며 외주면에 홈이 형성되어 와이어(70)를 구속하는 구동풀리와, 몸체(40) 외부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 센스부로 구성되고, 구동모터 센스부는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인식하여 구동모터를 작동시킨다. 구동모터와 구동모터를 보호하는 케이스는 그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후술할 제1지지부(50)에 연결되어 몸체부(10)를 지지하는 역활을 함과 더불어 물구나무서기 운동시 운동기구의 슬립(slip)을 방지하는 받침대의 역활을 수행한다.
제1지지부(50)는 일단은 몸체부(10) 상부에 제2관통공(22)에 대응되어 설치되고, 타단은 구동모터부(40) 상부에 설치되어 몸체부(10)를 지지하며,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와이어(70)의 이동 통로가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50)는 7자 형상이고,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외주면 전체에 플라스틱이나 고무재질로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부(50)의 내부에는 굴곡부에서 와이어(70)와 제1지지부(50) 내면이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굴곡부에 도르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70)는 일단은 구동모터 즉 구동모터 풀리(42)에 부착되고, 타단은 제1지지부(50) 내부와 제2관통공(22)을 통과하여 발목걸이대에 부착되어 구동모터부(4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발목걸이대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70)는 물구나무서기 운동시 와이어(70)가 절단되거나 꼬여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와이어(70)를 2중으로 꼬아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몸체부(10) 하단으로부터 발목걸이대까지 외부로 돌출되는 와이어(70) 부분은 플라스틱재질이나 고무재질로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2지지부(80)는 일단은 몸체부(10) 측면에 부착되고, 타단은 지면을 지지하는 제1받침대(81)에 부착되어 몸체부(10)를 지지하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부(80)는 ㄱ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지지부(50)와 같이 외주면 전체에 플라스틱재질이나 고무재질로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3지지부(90)는 제2지지부(80)와 일직선상에 형성되며, 일단은 몸체부(10) 측면에 부착되고, 타단은 지면을 지지하는 제2받침대(91)에 부착되어 몸체부(10)를 지지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3지지부(90)는 ㄱ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리모콘은 구동모터의 몸체 외주면에 형성된 구동모터 센스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모터를 구동시킨다. 또한 리모콘의 기능중에는 갑작스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모터의 기능을 전면 해제시키는 해제버튼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기(100)는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바닥봉(101)과, 바닥봉(101)의 상부에 부착되는 손잡이부(102)와, 바닥봉(101)을 연결하는 연결봉(103)을 포함 하여 이루어진다. 보조기(100)에 의하여 물구나무서기 운동시 보조기(100)의 손잡이부(102)를 잡고 운동자의 상체를 비틀거나 기타의 운동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발목걸림대(60)는 와이어(70)의 일단에 결합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목걸이대는 두께가 얇은 사각형상이며 상부에서 하부로 천공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전단에 부착되며 중앙에 사각 구멍이 형성된 머리부와, 머리부 내부 일측에 부착되어 몸체부 결합공과 결합하는 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는 도 1의 A-A'선 부분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에서는, 피동모터(30)의 구동에 의해서 물구나무서기 운동자에게 비틀림이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운동자의 발목을 물구나무서기 운동 기구의 발목걸이대에 고정시킨다. 운동자는 리모콘을 조작하여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고 운동자는 거꾸로 매달리게 된다. 물구나무서기 운동자가 거꾸로 매달린 상태에서 리모콘을 조작하여 피동모터(30)를 구동킨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70)에 발생되는 장력은 운동자의 무게와 일치하며, 이 장력에 의하여 와이어(70)는 제1도르래(23a)와 제2도르래(24a)에 S자 형상으로 밀착접촉된다. 피동모터(30)에서 발생되는 동력은 구동기어이에 의하여 기어부(20)의 피동기어이(21)에 전달되며, 기어부(20)가 회전하게 된다. 기어부(20)가 회전할 때 와이어(70)는 도르래에 S자 형상으로 밀착접촉되어 있으므로 회전력과 비례하여 와이어(70)에 관성 모멘트가 발생하여 와이어(70)는 비틀어지게 된다. 와이어(70) 가 비틀어지므로 발목걸이대에 고정된 운동자도 비틀어지게 된다. 운동을 종료할 때에는 리모콘의 하강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천천히 와이어(70)가 하강한다. 운동자는 물구나무서기 운동시 보조기(100)의 손잡이부(102)를 손으로 잡은 후 몸을 좌우로 비틀거나 푸샵 등을 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운동함으로써 운동시 양 어깨가 등판에 부딪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상하 운동뿐만 아니라 비틀림 운동도 할 수 있으며,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하부에 보조기를 설치하여 안전하고 다양하게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발목걸이대가 형성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천공된 제1관통공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 장착되며, 상부 외각에 형성되는 피동기어이와, 상부에서 하부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중앙에 천공된 제2관통공과, 일측은 하부에 부착되고 타측은 하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도르래가 부착되는 L자 형상의 제1와이어지지부와, 일측은 제1와이어지지부와 일직선상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1도르래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2도르래가 부착되는 L자 형상의 제2와이어지지부를 포함하는 기어부;
    상기 피동기어이와 교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어부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피동모터;
    상기 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정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내부에는 구동모터가 장착되는 구동모터부;
    일단은 상기 제2관통공에 삽입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구동모터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며, 내부는 중공인 제1지지부;
    일단은 상기 구동모터에 부착되고, 타단은 상기 제1지지부 내부와 상기 제2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발목걸이대에 부착되며, 상기 구동모터부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발목걸이대에 전달하는 와이어;
    일단은 상기 몸체부 측면에 부착되고, 타단은 지면을 지지하는 제1받침대에 부착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ㄱ자 형상의 제2지지부;
    상기 제2지지부와 일직선상에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몸체부 측면에 부착되고, 타단은 지면을 지지하는 제2받침대에 부착되어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ㄱ자 형상의 제3지지부; 및
    상기 구동모터와 피동모터를 조절하는 리모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기어부 사이에 설치되는 부싱과, 상기 기어부와 상기 제1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는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바닥봉과, 상기 바닥봉의 상부에 부착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바닥봉을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는 보조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20050099401A 2005-10-20 2005-10-20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0908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401A KR100908018B1 (ko) 2005-10-20 2005-10-20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401A KR100908018B1 (ko) 2005-10-20 2005-10-20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301A KR20070043301A (ko) 2007-04-25
KR100908018B1 true KR100908018B1 (ko) 2009-07-15

Family

ID=3817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401A KR100908018B1 (ko) 2005-10-20 2005-10-20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895B1 (ko) 2011-09-05 2013-05-07 성열규 꺼꾸리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5377A (zh) * 2016-08-21 2016-12-14 王世涛 一种用于瑜伽学员身体柔韧性训练的设备
KR101932902B1 (ko) * 2017-10-17 2019-04-0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골반 교정 운동 기구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8678A (ja) 1981-11-04 1983-05-12 市川 征二 釣回転体操健康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8678A (ja) 1981-11-04 1983-05-12 市川 征二 釣回転体操健康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895B1 (ko) 2011-09-05 2013-05-07 성열규 꺼꾸리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301A (ko)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9212B2 (en) Multi-exercise rotary device
US4305579A (en) Exercising device
JP2010504802A (ja) 多目的運動器具
KR101487135B1 (ko) 승마용 운동기구
JP2012526600A (ja) 足蹴り運動器具
US9855478B2 (en) Training apparatus, in particular for climbing
US9943725B2 (en) Exercise balance trainer
KR100908018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US4218056A (en) Restraint particularly suited for use as an aquatic training aid
ES2706912T3 (es) Columpio de ejercicios
US8210958B2 (en) Golf swing trainer
BRPI1006253B1 (pt) Aparelho de exercícios
US20040224826A1 (en) Motorized punching bag apparatus and a system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0965846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US6612972B1 (en) Adjustable tension exercise device
KR101470373B1 (ko) 모관운동유닛이 구비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KR102216146B1 (ko) 줄타기 운동기구
JPH09173499A (ja) トレーニング装置
CN208260152U (zh) 一种用于游泳训练的臂力训练装置
WO2007014490A1 (fr) Dispositif d’exercice pour la boxe
JP4314227B2 (ja) トレーニング装置
KR100646049B1 (ko) 비만 방지 및 체지방 분해 운동기기
US6726604B2 (en) Sport jump apparatus
KR200411249Y1 (ko) 성장판 자극형 발육 촉진 운동구
KR200436590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