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868Y1 -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868Y1
KR200396868Y1 KR20-2005-0020433U KR20050020433U KR200396868Y1 KR 200396868 Y1 KR200396868 Y1 KR 200396868Y1 KR 20050020433 U KR20050020433 U KR 20050020433U KR 200396868 Y1 KR200396868 Y1 KR 200396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lastic
insert
pin connecting
injectio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오
Original Assignee
이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오 filed Critical 이종오
Priority to KR20-2005-0020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8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8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47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using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rough the inse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에 관한 것으로,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상에는 너트형 나사산(111a)이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속형성된 금속재 속핀접속부(110)와; 상기 속핀접속부(110)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형성되며, 외측단부 둘레를 따라 다수의 요철(121)이 형성된 확장걸림부(120)와;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를 주성분으로하여 원판형상으로 별도제작되며, 상기 속핀접속부(110)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시키며 상기 속핀접속부(110) 및 확장걸림부(120) 상단에 접속고정되는 차단접속부(130);를 포함되어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플라스틱 용융물 내부로의 금속파편 침투와 플라스틱 용융물의 외부유출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 끼워져 접속되는 속핀과 소정의 오차가 발생되어도 속핀끼움공 내, 외부에서 속핀 및 금형과의 접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속핀끼움공 및 나사산 형성이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원하는 치수로 정밀하고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차단접속부를 사출대상물의 성질, 제작요건 등에 맞게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로 적용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the insert for plastic injection mold}
본 고안은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속핀끼움공이 상하로 관통형성된 속핀접속부의 상단에 원판형의 차단접속부재를 별도로 제작 및 접속고정시킨 구조의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은 금속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부식이 되지 않으며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어서 전자제품의 커버재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플라스틱을 성형함에 있어서는 미세한 성형이 가능하고 자체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사출가공의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플라스틱 사출물을 성형함에 있어서 제품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결합 및 결속이 용이하도록 너트형 나사산이 형성된 금속재 인서트를 포함하여 사출가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기 인서트는 사출금형의 외측으로부터 내부로 인입설치되는 속핀에 끼워져 사출금형상에 정위치 고정설치된 채 가열용융된 소재가 사출투입되고, 이를 냉각성형시켜 취출하는 과정을 통해 플라스틱 성형물에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인서트는 미세한 크기일수록 제작 생산성을 위해 너트홀을 관통형성시키게 되는데, 상기 인서트의 너트홀과 속핀의 접속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면 플라스틱 용융물이 너트홀과 속핀사이의 틈새로 흘러나오게 되며, 상기 너트홀에 나사산이 상하단에 걸쳐 연속형성되면 상기 너트홀의 나사산과 속핀의 접속이 정밀하게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플라스틱 용융물이 나사산을 타고 외측으로 새어나오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상기 나사산은 너트홀을 관통시킨 후 상기 너트홀의 상단부에 소정의 간격을 남겨두고 연속형성시켜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미세한 크기의 너트홀에 나사산을 형성시킴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을 남겨두고서 일정한 길이로 형성시키기 어려워, 나사산의 길이에 맞추어 너트홀끼움부를 일정한 길이로 제작한 속핀이 상기 인서트의 하단면과 밀착되지 못하고 뜨게되어 상기 속핀이 금형, 인서트와의 접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그리고, 상기 너트홀이 관통형성됨에 따라 상기 속핀이 상기 너트홀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너트홀 내부에 잔재하던 미세한 금속파편들이 플라스틱 용융물 내부로 침투하게 되어 플라스틱 사출물 표면에 금속재가 노출됨에 따른 제품불량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내부에 끼워져 접속되는 속핀과의 소정의 오차를 극복가능하여 상호간의 접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라스틱 용융물 내부로의 금속파편 침투와 플라스틱 용융물의 외부유출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상에는 너트형 나사산이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속형성된 금속재 속핀접속부와; 상기 속핀접속부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형성되며, 외측단부 둘레를 따라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확장걸림부와;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를 주성분으로하여 원판형상으로 별도제작되며, 상기 속핀접속부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시키며 상기 속핀접속부 및 확장걸림부 상단에 접속고정되는 차단접속부;를 포함되어 구성되는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따라서, 플라스틱 용융물 내부로의 금속파편 침투와 플라스틱 용융물의 외부유출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부에 끼워져 접속되는 속핀과 소정의 오차가 발생되어도 속핀끼움공 내, 외부에서 속핀 및 금형과의 접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그리고, 속핀끼움공 및 나사산 형성이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원하는 치수로 정밀하고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또한, 차단접속부를 사출대상물의 성질, 제작요건 등에 맞게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로 적용시킬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의 1실시예를 적용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의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는 크게 속핀접속부(110), 확장걸림부(120), 차단접속부(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속핀접속부(110)에는 중앙에 속핀끼움공(111)이 상하로 관통형성된 원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확장걸림부(120)는 상기 속핀접속부(110)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형성되며, 상기 차단접속부(130)는 원판형상으로 별도제작되어 상기 속핀접속부(110) 및 확장걸림부(120) 상단에 접속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속핀접속부(110)는 플라스틱 사출물에 볼트접속구조를 제공하도록 너트형 나사산(111a)이 내주면에 형성된 속핀끼움공(111)을 구비한 구성요소로, 상기 속핀끼움공(111)이 상하방으로 관통형성됨에 따라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속핀끼움공(111) 내주면상에는 너트형 나사산(111a)을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속형성시킨다.
상기 확장걸림부(120)는 플라스틱 사출물과의 견고한 결속을 위해 플라스틱 사출물 내측에 걸림턱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속핀접속부(110)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형성되며, 외측단부에는 속핀(400) 내지 볼트 조립 시 플라스틱 사출물에 결속된 채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다수의 요철(121)을 형성시킨다.
상기 차단접속부(130)는 상기 속핀끼움공(111) 내부와 상기 속핀접속부(110) 상측외부를 차단시켜 상기 속핀끼움공(111)을 통해 플라스틱 용융물 내부로 금속파편이 침투되는 것과 플라스틱 용융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의 주요한 구성요소로, 납작한 원판형상으로 상기 속핀접속부 및 속핀끼움상기 속핀접속부 속핀끼움공(111)의 상부개방구를 차단시키며 상기 속핀접속부(110) 및 확장걸림부(120) 상단에 접속고정된다.
상기 속핀접속부(110) 및 확장걸림부(120)는 금속재를 주성분으로 하여 일체로 제작형성되며, 상기 차단접속부(130)는 플라스틱 용융물의 도입을 차단시킬 수 있을 정도의 소재이면 충분하므로 사출대상물의 성질, 제작요건 등을 고려하여 금속재로 구성하거나, 상기 플라스틱 용융물과의 접속이 보다 강력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재를 주성분으로하거나, 흔하고 저렴한 종이재를 사용하는 등 얇은 원판형상으로 제작시킬 수 있는 소재로 별도제작된다.
상기 차단접속부(130)를 상기 속핀접속부(110) 및 확장걸림부(120)에 접속고정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속핀접속부(110) 및 확장걸림부(120)의 상단에 융융납을 묻히고 상측에 상기 차단접속부(130)를 접속, 냉각하여 견고하게 납땜시키거나, 사출성형중에는 상기 차단접속부(130) 이탈시키는 방향으로의 가압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금형에의 설치전까지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접착력을 부여하기에 충분한 접착성능을 가지는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또는 상기 차단접속부(130)를 스티커와 같이 접착력이 미리 부여된 상태로 제작하여 간단하게 접속고정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는 상기 차단접속부(130)에 의해 상기 속핀끼움공(111) 내부와 상부외측과의 연통경로를 완전히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속핀끼움공(111)과 상기 속핀끼움공(111) 내부에 삽입되는 속핀(400)의 끼움접속부간에 틈새가 형성되어도 사출용융물이 유출되지 않고, 이물질이 상기 속핀끼움공(111)을 통해 사출용융물에 투입될 우려가 없어, 상기 속핀(400)의 끼움접속부의 사이즈를 상기 속핀끼움공(111)보다 작게만 형성하면 소정의 오차를 극복하면서 상기 속핀 끼움접속부 하측의 확장단부가 상기 속핀접속부(110) 하단 및 금형에 밀접하게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속핀접속부(110)와 확장걸림부(120)에 해당되는 T형태의 원주형 구조체를 일체로 제작시킨 후, 중앙에 상기 속핀끼움공(111)을 상하로 관통형성시키고 상기 속핀끼움공(111) 내주면 전체에 상기 나사산(111a)을 형성시키며, 별도로 제작한 차단접속부(130)를 상단에 접속고정시키는 간단하고 명확한 제작방법에 의해, 미세한 크기라도 원하는 치수로 일정하고 정밀하게 대량생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플라스틱 용융물 내부로의 금속파편 침투와 플라스틱 용융물의 외부유출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에 끼워져 접속되는 속핀과 소정의 오차가 발생되어도 속핀끼움공 내, 외부에서 속핀 및 금형과의 접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속핀끼움공 및 나사산 형성이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원하는 치수로 정밀하고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접속부를 사출대상물의 성질, 제작요건 등에 맞게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의 1실시예를 적용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의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 도 2의 분해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인서트 110 : 속핀접속부
111 : 속핀끼움공 111a : 나사산
120 : 확장걸림부 121 : 요철
130 : 차단접속부 200 : 사출물
300 : 금형 400 : 속핀

Claims (1)

  1.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상에는 너트형 나사산(111a)이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속형성된 금속재 속핀접속부(110)와;
    상기 속핀접속부(110)의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확장형성되며, 외측단부 둘레를 따라 다수의 요철(121)이 형성된 확장걸림부(120)와;
    납작한 원판형상으로 별도제작되며, 상기 속핀접속부(110)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시키며 상기 속핀접속부(110) 및 확장걸림부(120) 상단에 접속고정되는 차단접속부(130);를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100).
KR20-2005-0020433U 2005-07-13 2005-07-13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 KR200396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433U KR200396868Y1 (ko) 2005-07-13 2005-07-13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433U KR200396868Y1 (ko) 2005-07-13 2005-07-13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868Y1 true KR200396868Y1 (ko) 2005-09-27

Family

ID=4369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433U KR200396868Y1 (ko) 2005-07-13 2005-07-13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8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639B1 (ko) * 2007-11-26 2009-12-31 주식회사 신양엔지니어링 체결너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KR101284428B1 (ko) 2006-12-05 2013-07-0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중장비의 플라스틱 판넬용 인서트
WO2013177298A1 (en) * 2012-05-22 2013-11-28 Continental Structural Plastics, Inc. Compression molding faste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428B1 (ko) 2006-12-05 2013-07-0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중장비의 플라스틱 판넬용 인서트
KR100934639B1 (ko) * 2007-11-26 2009-12-31 주식회사 신양엔지니어링 체결너트가 인서트 몰딩된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의 사출금형장치
WO2013177298A1 (en) * 2012-05-22 2013-11-28 Continental Structural Plastics, Inc. Compression molding faste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7216B2 (en) Plastic threaded insert
KR200396868Y1 (ko)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
US20180187401A1 (en) Apron sink
DE102013202583B3 (de) Reibschweißelement, Gehäuse und Verbindungsverfahren für das Reibschweißelement mit einem Gehäuse
US20100104803A1 (en) Glass with moldin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1432158A (zh) 车窗玻璃保持器和利用其制造车窗组件的方法
DE112010000954T5 (de) Keildichtung fOr eine Spritzgießdüse
US20090226703A1 (en) Adhesive bonding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398309Y1 (ko) 플라스틱 사출 금형용 인서트
DE102011009334A1 (de) Beschlagsystem für Leichtbauplatten insbesondere für den Möbelbau
EP2305015B1 (de) Abdichtrahmen sowie verfahren zum abdecken eines bauteils
CA3009260C (en) Monolithic remote control
JP2006273039A (ja) 機器取付インサートおよびその取付方法
CN108724607A (zh) 嵌件螺母总成和应用该嵌件螺母总成的塑料产品及该塑料产品的制造方法
JP2012192604A (ja) 射出成形方法
DE102009034226A1 (de)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 Lampe
KR200385621Y1 (ko) 사출금형의 성형틀
KR20180074604A (ko) 지지부에 피팅되도록 구성된 인서트 및 하나의 그러한 인서트를 포함하는 고정 조립체
KR200479422Y1 (ko) 인서트 사출용 인서트너트
WO2015185250A1 (de) GEHÄUS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EHÄUSES UND SPRITZGIEß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GEHÄUSES
WO2009112768A4 (fr) Procede de fabrication d&#39;une piece structurelle de vehicule automobile et une telle piece
EP2674670A1 (de) Leuch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2006093722A (ja) 電子機器
KR101562023B1 (ko) 인서트 너트 제조장치, 인서트 너트 제조방법
JP2732142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部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取付構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