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801Y1 -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801Y1
KR200396801Y1 KR20-2005-0018339U KR20050018339U KR200396801Y1 KR 200396801 Y1 KR200396801 Y1 KR 200396801Y1 KR 20050018339 U KR20050018339 U KR 20050018339U KR 200396801 Y1 KR200396801 Y1 KR 200396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hook
plate glass
packaging box
glass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철
임기봉
고덕곤
권혁기
Original Assignee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유리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8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8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8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로 포장된 판유리 포장상자를 운반하기 위한 리프트를 지게차(forklift)에 장착하여 판유리 포장상자를 협소한 컨테이너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한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는, 상기 지게차의 상하리프트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중앙에 좌우 방향으로 축설된 가이드봉에 결합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전방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빔; 상기 빔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빔의 전후측에 끼워져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간격이 조절되고, 판유리 포장상자의 버팀목에 걸어지도록 걸이봉이 관통 삽입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빔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A LIFT FOR TRANSPORTING PACKAGE BOX FOR PLATE GLASS}
본 고안은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로 포장된 판유리 포장상자를 운반하기 위한 리프트를 지게차(forklift)에 장착하여 판유리 포장상자를 협소한 컨테이너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한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략 30 ~ 50장의 중대형 판유리를 하나의 묶음으로 포장한 목재 판유리 포장상자를 소비처에 운반하는 방법으로는 크레인 또는 리프트를 이용하여 판유리 포장상자를 로프로 매달아서 운반하거나 또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판유리 포장상자를 들어 올려서 운반하여 차량, 항공기 및 선박 등의 적재함(컨테이너)에 적재하게 된다. 상기 크레인 또는 리프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판유리 포장상자의 적재를 위하여 적재함의 상부가 반드시 개방되어 있어야 하며, 상기 지게차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판유리 포장상자를 밀어 넣을 수 있는 출입구가 있으면 된다.
상기 지게차의 리프트를 이용하여 판유리 포장상자를 출입구만 있는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할 경우 통상 지게차의 리프트가 짧아 컨테이너의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깊이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판유리 포장상자를 컨테이너의 출입구에 내려 놓은 후 이를 인력으로 밀어 넣는 방법으로 적재를 실시한다. 그러나, 이 경우 판유리 포장상자의 자체 무게가 무거워 좁은 공간에서 인력으로 적재 위치를 조정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지게차의 리프트를 이용하여 밀어 넣어도 원하는 위치에 적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에 의하여 기출원된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191100호에 게재되어 있으며, 종래의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는, 통상의 지게차 전면에 있는 상하리프트에 부착되어 컨테이너 내부에 들어 올린 판유리 포장상자를 적재할 수 있는 리프트(102)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102)는 상기 지게차의 상하리프트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틀(121)과, 상기 고정틀(121) 중앙에 축설된 가이드봉(122)에 결합되고 실린더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되는 지지틀(124)과, 상기 지지틀(124)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빔(125)과, 상기 빔(125)의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면에 고정된 지지대(126) 및 상기 빔(125)에 끼워져 간격이 조정되고 판유리 포장상자를 들어 올릴 수 있는 걸이봉(131,131')이 끼워진 걸이부재(103,103')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걸이부재(103,103')는 상기 빔(125)에 끼워져 간격 조절이 가능하며, 그 상하부에 사각형의 걸이봉(131,131')이 끼워지는 결합공(132,132')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103,103')의 상부에는 고정볼트(133,133')가 체결되며, 상기 걸이부재(103,103')의 위치를 변경한 후 상기 고정볼트(133,133')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종래의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는 콘테이너에 판유리 포장상자를 적재 또는 하역할 때 판유리 포장상자의 과도한 하중에 의해서 상기 빔(125)이 변형될 경우 상기 걸이부재(103,103')의 전후 방향 이동이 어렵게 되고, 또한 상기 걸이부재(103,103')를 고정시켜 주는 상기 고정볼트(133,133')가 파손 또는 마모될 경우 상기 걸이부재(103,103')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빔(125)에 끼워진 상기 걸이부재(103,103')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약간의 유격이 있어야 하고, 상기 걸이부재(103,103')의 결합공(132,132')에 삽입된 상기 걸이봉(131,131')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서도 약간의 유격이 필요하지만, 상기 걸이부재(103,103') 및 상기 걸이봉(131,131')의 유격이 너무 크면 결과적으로 상기 걸이봉(131,131')이 판유리 포장상자 측면에 부착된 버팀목에 정확하게 밀착되지 않거나 불안정하게 지지되어 상기 리프트(102)를 상승, 하강 및 이동하는 과정에서 판유리 포장상자가 추락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103,103')와 상기 걸이봉(131,131')을 작업자의 손으로 각각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고정볼트(133,133')로 고정시켜 주고, 상기 걸이봉(131,131')에 판유리 포장상자의 버팀목이 정확하게 밀착 및 지지되어 있는지를 작업자가 가까이서 확인해야 하므로 상기 리프트(102)의 상승, 하강 및 이동 시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요소가 있다.
아울러, 작업자가 판유리 포장상자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을 실시할 때 마다 판유리 포장상자의 밀착 및 지지 상태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전체적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리프트의 걸이부재 및 걸이봉을 유압실린더 및 전기모터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동시켜 위치 조절함으로써 걸이부재 및 걸이봉의 유격이 최소화 되고, 동시에 판유리 포장상자의 버팀목에 상기 걸이봉이 확실하게 밀착 및 고정되어 리프트를 이용한 판유리 포장상자의 적재 및 하역 작업 시 작업자가 리프트로부터 원거리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리프트의 빔 중단부에 걸이봉이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에 대하여 복수의 고정식 걸이부재를 형성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판유리 포장상자를 적재 및 하역할 수 있는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는, 통상의 지게차의 전측에 구비된 상하리프트에 부착되어 컨테이너 내부에 판유리 포장상자를 적재하기 위한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의 상하리프트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중앙에 좌우 방향으로 축설된 가이드봉에 결합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전방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빔; 상기 빔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빔의 전후측에 끼워져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간격이 조절되고, 판유리 포장상자의 버팀목에 걸어지도록 걸이봉이 관통 삽입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빔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이부재에 삽입되는 상기 걸이봉은 일측면에 랙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랙기어에는 전기모터의 축에 결합된 피니언이 맞물려지며, 상기 전기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걸이봉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니언에는 상기 걸이봉을 수동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하여 걸이봉조절핸들의 축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봉은 ㄴ자 형상 또는 사각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빔의 중단부에는 복수의 고정식 걸이부재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빔의 전단부에는 고정식 걸이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빔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이부재를 고정시켜 주기 위하여 걸이부재조절핸들의 축이 상기 걸이부재에 관통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공간에 보강부재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사각 관 또는 H형 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a는 도 1의 걸이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1의 걸이부재의 A-A선 단면도이다.
지게차(도 7의 1)는 전면에 장착된 상하리프트(11)의 포크(두개의 돌출된 강체 로드)를 이용하여 물건을 운반 및 하역하는 기계(운반차량)이며, 포크리프트(fork lift) 또는 포크리프트트럭(fork lift truck)이라고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지게차(1)는 상기 포크를 제외시키고 상하리프트(11)에 컨테이너(5) 내부로 판유리 포장상자(4)를 들어서 적재할 수 있는 운반용 리프트를 장착하게 된다.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를 사용하여 30 내지 50장의 중,대형 판유리를 하나의 묶음으로 포장하게 되고, 운반을 위하여 양측면의 중단부 이상에 버팀목(41)을 동일 높이에 형성한다.
상기 리프트(2)는 상기 지게차(1)의 상하리프트(11)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1); 상기 고정프레임(21) 중앙에 좌우 방향으로 축설된 가이드봉(22)에 결합되어 유압실린더(23)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프레임(24); 상기 지지프레임(24)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전방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빔(25,25a,25a'); 상기 빔(25,25a,25a')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26); 및 상기 빔(25,25a,25a')에 끼워져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간격이 조절되고, 판유리 포장상자(4)의 버팀목(41)에 걸어지도록 걸이봉(31,31')이 관통 삽입되는 걸이부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1)과 상기 지지프레임(24)은 구조용 강을 사용하여 프레임을 제작하되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와 내구성을 갖도록 제작된다.
상기 지지대(26)는 상기 빔(25,25a,25a')에 끼워진 걸이부재(3,3')에 의하여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가 들어졌을 때 상기 빔(25,25a,25a')의 처짐 및 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빔(25,25a,25a')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수단이며, 상기 빔(25,25a,25a')의 하부면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H형 강을 이용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러스 구조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6)는 판유리 포장상자(4)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빔(25,25a,25a')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H형 강의 측면 공간에 보강부재(27)가 부가되어 있으며,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 강(27) 또는 사각 관(27a)을 상기 지지대(26)의 공간에 끼워 넣어 접합하는 방법으로 상기 지지대(26)를 보강한다.
상기 빔(beam)(25,25a,25a')은 판유리 포장상자(4)의 무게를 지지하는 긴 봉재(棒材)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H형 강(25a,25a')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단부는 사각봉(25) 또는 사각 관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빔(25,25a,25a')의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전 구간을 H형 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걸이부재(3,3')는 상기 빔(25a,25a')의 전후측으로 각각 끼워져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의 폭에 맞게 간격이 조절되어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의 버팀목(41)의 하부면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걸이부재(3,3')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걸이봉(31,31')이 삽입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공(32,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부재(3,3')는 상기 빔(25a,25a')의 전후측에 각각 설치된 유압실린더(36,36')에 연결되어 자동으로 상기 걸이부재(3,3')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36,36')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 강으로 형성된 빔(25a,25a')의 오목한 공간에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36,36')의 가동단은 상기 걸이부재(3,3')의 후측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5,35')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실린더(36,36')의 작동 시 상기 걸이부재(3,3')를 밀거나 당겨주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이부재(3,3')의 결합공(32,32')에 삽입된 상기 걸이봉(31,31')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리프트(2)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판유리 포장상자(4)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의하면, 상기 걸이부재(3,3')는 상기 빔(25a,25a')에 끼워지도록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빔(25a,25a')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걸이봉(31,31')이 삽입되도록 상기 걸이부재(3,3')의 측면에 결합공(32,3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공(32,32')은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의 버팀목(41) 높이에 따라 상기 걸이봉(31,31')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걸이부재(3,3')의 측면 상부 또는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부재(3,3')의 결합공(32,32')에 삽입되는 상기 걸이봉(31,31')의 유격을 최소화 하면서 자동으로 상기 걸이봉(31,31')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고, 상기 걸이봉(31,31')의 이동 상태를 유지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걸이봉(31,31')의 일측면에는 랙기어(38,3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랙기어(38,38')에 맞물려지는 피니언(37,37')에는 전기모터(39,39')의 축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이봉(31,31')은 상기 전기모터(39,39')의 구동에 의한 피니언(37,37')과 랙기어(38,38')의 작용으로 상기 걸이부재(3,3')의 결합공(32,32')을 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걸이부재(3,3')에 삽입된 상기 걸이봉(31,31')은 랙기어(38,38')가 형성된 측면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의 버팀목(41)에는 평평한 걸이봉(31,31')의 타측면이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빔(25a,25a')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끼워진 상기 걸이부재(3,3')에는 걸이부재조절핸들(33,33'), 걸이봉조절핸들(34,34') 및 걸이봉(31,31')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설치된다.
본 고안의 포장상자(4)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3,3')의 결합공(32,32')에 삽입되는 상기 걸이봉(31,31')은 일측면에 랙기어(38,38')가 형성된 사각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의 측면에 형성된 버팀목(41)의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버팀목(41)에 대응되도록 걸이봉(31a,31a')을 ㄴ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일측면에 랙기어(38,38')를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전기모터(39,39')는 상기 걸이부재(3,3')의 내부 공간부의 전측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기모터(39,39')의 축은 상기 걸이부재(3,3')의 상부면으로 관통되어 피니언(37,37')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피니언(37,37')의 기어가 상기 걸이봉(31,31')의 랙기어(38,38')와 맞물리도록 상기 피니언(37,37')의 기어 부분이 상기 결합공(32,32')의 내측으로 들여지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걸이봉(31,31')을 수동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피니언(37,37')의 상부면에는 걸이봉조절핸들(34,34')의 축이 결합 또는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3,3')의 후측(상기 걸이봉조절핸들(34,34')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 상부면에는 상기 걸이부재(3,3')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이를 고정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 걸이부재조절핸들(33,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부재조절핸들(33,33')의 축은 상기 걸이부재(3,3')의 후측 상부면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걸이부재조절핸들(33,33')의 축의 하단부는 H형 강으로 이루어진 상기 빔(25a,25a')의 전단부와 후단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29)에 삽입되어 상기 걸이부재(3,3')를 위치 고정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걸이부재조절핸들(33,33')의 축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이부재조절핸들(33,33')의 축과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걸이부재(3,3')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돌기(35,35')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부재(3,3')에 형성된 피니언(37,37'), 전기모터(39,39'), 걸이봉조절핸들(34,34') 등의 걸이봉 이동수단과 상기 걸이부재조절핸들(33,33')은 하부에도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걸이봉(31,31')을 상기 걸이부재(3,3')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32,32')에 삽입하여 판유리 포장상자(4)를 들어 올릴 때에도 상기 걸이봉(31,31')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리프트를 이용하여 판유리 포장상자(4)를 컨테이너(5) 내부에 적재할 경우 상기 걸이부재(3)의 길이만큼 컨테이터 내부로 충분히 들어가지 못하게 되어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를 인력으로 밀어 넣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리프트(2)의 빔(25a) 전단부에는 고정식걸이부재(28a)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식걸이부재(28a)의 상하부 측면에는 상기 걸이봉(31)이 삽입되도록 결합공(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빔(25a)의 전단부에 형성된 고정식걸이부재(28a)에 걸이봉(31)을 삽입하여 판유리 포장상자(4)를 들어 올려서 상기 컨테이너(5) 내부에 적재할 경우 상기 고정식걸이부재(28a)가 상기 컨테이너(5) 내부로 충분하게 들어가기 때문에 인력에 의한 정렬 작업이 불필요게 되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판유리 포장상자(4)의 크기가 매우 작거나 상기 빔(25a,25a')에 끼워진 걸이부재(3,3')가 이동 한계지점에 도달되어 더 이상 이동이 불가능하여 판유리 포장상자(4)를 들어 올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리프트(2)의 빔(25) 중단부에는 상하부에 대하여 복수의 고정식걸이부재(28)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식걸이부재(28)에는 상기 걸이봉(31)이 삽입되도록 결합공(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빔(25)의 중단부에 형성된 고정식걸이부재(28)를 이용하여 판유리 포장상자(4)를 들어 올리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의 크기가 매우 작은 경우에는,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의 측면에 리프트(2)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의 폭에 맞도록 상기 빔(25)의 중단부에 형성된 고정식걸이부재(28)에 걸이봉(31,31')을 각각 삽입한 후 상기 리프트(2)를 상승시켜 상기 걸이봉(31,31')이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의 버팀목(41) 하부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며, 상기 리프트(2)를 계속 상승시켜 주면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가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된다.
상기 빔(25a,25')에 끼워진 걸이부재(3,3')가 이동 한계점에 도달된 경우에는,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의 측면에 리프트(2)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빔(25a,25a')에 끼워진 걸이부재(3,3') 중 하나를 이동시킨 후 걸이봉(31,31')을 삽입하여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의 버팀목(41) 하부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걸이부재(3,3')에 의하여 접촉되지 않은 판유리 포장상자(4)의 다른 측면에는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의 폭에 맞도록 상기 고정식걸이부재(28)에 상기 걸이봉(31,31')을 삽입한다. 그 다음, 상기 리프트(2)를 상승시켜 각각의 상기 걸이봉(31,31')이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의 버팀목(41) 하부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며, 상기 리프트(2)를 계속 상승시켜 주면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가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빔(25)의 중단부에 형성된 고정식걸이부재(28)를 이용할 경우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의 크기와 상관 없이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의 폭에 맞게 걸이봉(31,31')을 삽입하여 판유리 포장상자(4)를 들어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걸이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효율적인 장치의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의한 포장상자의 리프트 및 걸이부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는 본 고안에 의한 포장상자가 지게차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은 컨테이너 내부에 판유리 포장상자를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도 6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포장상자(4)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2)의 좌측에 위치된 판유리 포장상자(4)를 들어 올려서 컨테이너(5)의 적재함에 적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에는 본 고안에 의한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의 운전 초기 상태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빔(25,25a,25a')이 고정 설치된 상기 지지프레임(24)은 상기 고정프레임(21)의 중앙에 좌우 방향으로 축설된 가이드봉(22)에 결합되어 유압실린더(23)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빔(25a,25a')에는 걸이부재(3,3')가 끼워져 유압실린더(36,36')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걸이부재(3,3')에는 피니언(37,37')에 맞물려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걸이봉(31,31')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2)의 좌측에 위치된 판유리 포장상자(4)를 들어 올리기 위해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21)에 설치된 상기 유압실린더(23)가 수축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24)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판유리 포장상자(4)의 후면에 위치되고, 상기 빔(25a,25a')에 끼워진 상기 걸이부재(3,3')가 유압실린더(36,36')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판유리 포장상자(4)의 폭에 맞게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걸이부재(3,3')의 간격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걸이부재(3,3')의 걸이부재조절핸들(33,33')을 회전시켜 상기 걸이부재조절핸들(33,33')의 축이 상기 빔(25a,25a')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29)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걸이부재(3,3')를 위치 고정시켜 준다.
그 다음, 상기 걸이부재(3,3')의 내부에 설치된 전기모터(39,39')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37,37')이 회전되고, 상기 피니언(37,37')에 맞물려진 상기 걸이봉(31,31')이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판유리 포장상자(4)의 측면에 형성된 버팀목(41)의 하부 측면에 접촉된다.
그 다음, 지게차(1)의 상하리프트(11)를 상승시키면 상기 걸이봉(31,31')이 상기 버팀목(41)의 하부면에 접촉되고, 상기 상하리프트(11)를 계속 상승시켜 주면 판유리 포장상자(4)가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전측의 걸이부재(3) 또는 후측의 걸이부재(3') 중 어느 하나만을 고정시키거나 모두 고정시키지 않고 걸이봉(31,31')을 좌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지게차(1)를 이용하여 리프트(2)의 빔(25,25a,25a')을 판유리 포장상자(4)의 후면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키고, 고정되어 있지 않은 걸이부재(3,3')를 전후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걸이봉(31,31')이 판유리 포장상자(4)의 양측면에 접하도록 조절하며, 상기 걸이부재(3,3')의 걸이부재조절핸들(33,33')을 회전시켜 상기 걸이부재(3,3')를 위치 고정시켜 준다.
그 다음, 지게차(1)의 상하리프트(11)를 상승시키면 상기 걸이봉(31,31')이 상기 버팀목(41)의 하부면에 접촉되고, 상기 상하리프트(11)를 계속 상승시켜 주면 판유리 포장상자(4)가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게 된다.
도 7에 의하면, 지게차(1)가 이동하여 컨테이너(5) 내부에 판유리 포장상자(4)를 넣은 후 고정프레임(21)에 설치된 유압실린더(23)를 작동시켜 지지프레임(24) 및 빔(25,25a,25a')을 이동시켜 컨테이너(5)의 측벽으로 판유리 포장상자(4)를 밀착시키면서 하강시키면 적재가 완료된다.
상기 판유리 포장상자(4)의 적재가 완료되면, 지게차(1)의 상하리프트(11)를 하강시킨 후 걸이부재(3,3')에 끼워있던 걸이봉(31,31')을 타측으로 이동시켜 판유리 포장상자(4)의 버팀목(41)으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지게차(1)를 후진하여 컨테이너(5)로부터 리프트(2)를 빼내거나 또는 지게차(1)의 상하리프트(11)를 하강시킨 후 고정프레임(21)에 설치된 유압실린더(23)를 복귀시켜 판유리 포장상자(4)의 버팀목(41)으로부터 걸이봉(31,31')을 이탈시킨 다음 지게차(1)를 후진하여 컨테이너(5)로부터 리프트(2)를 빼낸다.
상기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3,3') 및 상기 걸이봉(31,31')의 이동은 유압실린더(36,36') 및 전기모터(39,39')의 구동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지만, 상기 걸이부재(3,3')를 인력으로 이동시켜 간격을 조절하거나 걸이봉조절핸들(34,34')을 회전시켜 상기 걸이봉(31,31')을 이동시켜 주는 방법으로 수동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방법을 이용하여 판유리 포장상자(4)를 컨테이너(5)의 좌측에 소정의 수량을 적재한 다음 우측에 다른 판유리 포장상자(4)를 적재하기 위해서는 걸이부재(3,3')에 삽입된 걸이봉(31,31')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리프트(2)의 빔(25,25a,25a')을 판유리 포장상자(4)의 전면으로 향하도록 이동 및 조절하여 판유리 포장상자(4)를 운반 및 적재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5)의 내부 좌우측에 판유리 포장상자(4)가 모두 적재되면 리프트(2)의 빔(25,25a,25a')이 삽입되었던 공간이 남게되므로 좌우측의 판유리 포장상자(4)가 넘어지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보조버팀목(6)을 사용하여 고정하면 적재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는, 리프트의 걸이부재 및 걸이봉을 유압실린더 및 전기모터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동시켜 위치 조절함으로써 걸이부재 및 걸이봉의 유격이 최소화 되고, 판유리 포장상자의 버팀목에 상기 걸이봉이 확실하게 밀착 및 고정되어 리프트를 이용한 판유리 포장상자의 적재 및 하역 작업 시 작업자가 리프트로부터 원거리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프트의 빔 중단부에 걸이봉이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에 대하여 복수의 고정식걸이부재를 형성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판유리 포장상자를 적재 및 하역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리프트의 빔 전단부에 설치된 고정식걸이부재가 컨테이너의 내부에 충분하게 들어가기 때문에 판유리 포장상자의 적재 후 인력에 의한 정렬 작업이 불필요게 되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아울러, 리프트의 빔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측면 공간에 보강부재를 부가함으로써 판유리 포장상자의 과도한 하중에 의하여 상기 빔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측면도,
도 2b는 도 1의 평면도,
도 3a는 도 1의 걸이부재의 사시도,
도 3b는 도 1의 걸이부재의 A-A선 단면도,
도 4a는 도 1의 지지대의 B-B선 단면도,
도 4b는 도 1의 지지대의 변형예에 의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걸이봉의 변형예에 의한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의한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의 리프트 및 걸이부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는 본 고안에 의한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가 지게차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컨테이너 내부에 판유리 포장상자를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종래의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지게차 2: 리프트
3,3': 걸이부재 4: 판유리 포장상자
5: 컨테이너 6: 보조버팀목
11: 상하리프트 21: 고정프레임
22: 가이드봉 23,36,36': 유압실린더
24: 지지프레임 25,25a,25a': 빔
26: 지지대 27,27a: 보강부재
28,28a: 고정식걸이부재 29: 홈
31,31',31a,31a': 걸이봉 32,32': 결합공
33,33': 걸이부재조절핸들 34,34': 걸이봉조절핸들
35,35': 가이드돌기 37,37': 피니언
38,38': 랙기어 39,39': 전기모터
41: 버팀목

Claims (9)

  1. 통상의 지게차의 전측에 구비된 상하리프트에 부착되어 컨테이너 내부에 판유리 포장상자를 적재하기 위한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지게차의 상하리프트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중앙에 좌우 방향으로 축설된 가이드봉에 결합되어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전방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빔;
    상기 빔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빔의 전후측에 끼워져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간격이 조절되고, 판유리 포장상자의 버팀목에 걸어지도록 걸이봉이 관통 삽입되는 걸이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빔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에 삽입되는 상기 걸이봉은 일측면에 랙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랙기어에는 전기모터의 축에 결합된 피니언이 맞물려지며, 상기 전기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걸이봉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에는 상기 걸이봉을 수동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하여 걸이봉조절핸들의 축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봉은 ㄴ자 형상 또는 사각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의 중단부에는 복수의 고정식 걸이부재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의 전단부에는 고정식 걸이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이부재를 고정시켜 주기 위하여 걸이부재조절핸들의 축이 상기 걸이부재에 관통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공간에 보강부재가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사각 관 또는 H형 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KR20-2005-0018339U 2005-06-24 2005-06-24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KR200396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339U KR200396801Y1 (ko) 2005-06-24 2005-06-24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339U KR200396801Y1 (ko) 2005-06-24 2005-06-24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801Y1 true KR200396801Y1 (ko) 2005-09-27

Family

ID=4369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339U KR200396801Y1 (ko) 2005-06-24 2005-06-24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8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345A (ko) * 2020-01-21 2021-07-29 김형일 지게차의 붐을 이용한 리프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4345A (ko) * 2020-01-21 2021-07-29 김형일 지게차의 붐을 이용한 리프트장치
KR102333663B1 (ko) * 2020-01-21 2021-11-30 김형일 지게차의 붐을 이용한 리프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405692B2 (en) Conveyance system for object to be conveyed and conveyance method
JP3881369B2 (ja) 貨物用ラック
US3387729A (en) Container lifting frame for use with forklift truck
TWI656078B (zh) 自動裝貨設備及貨物的裝貨方法
KR200396801Y1 (ko)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ITPD20000119A1 (it) Magazzino a telai inclinati estraibili per lo stoccaggio e la movimentazione di prodotti lastriformi.
EP2042369A1 (en) Transport apparatus
JP5606170B2 (ja) フォークリフト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荷扱い方法
EP2534088B1 (en) A load truck and a method of offloading a load unit
KR100790321B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CN113696808B (zh) 一种具有装卸功能的家具运输装置
KR20110045887A (ko) 수레
JPH0348083B2 (ko)
JP2002274250A (ja) 重量物搬送台車及びそれを備えた重量物搬送装置
KR20190136505A (ko) 받침수단이 구비된 유리판재 적재물용 클램핑 리프트
KR200322579Y1 (ko) 크레인 리프트 트럭
CN214494979U (zh) 裸包玻璃装卸货柜液压传动装置
KR200191100Y1 (ko) 판유리 포장상자 운반용 리프트
CN219792352U (zh) 一种升降平台
CN114890347B (zh) 货叉及瓦楞纸箱运输装置
KR960000115Y1 (ko) 지게차(Fork Lift)
CN220925249U (zh) 一种仓储用钢结构平台
CN215097198U (zh) 一种自装卸建材运输车
CN220723398U (zh) 一种汽车零部件仓储转运机具
JP2003095407A (ja) テーブル上の台車により物品を搬入搬出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