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616Y1 - 차량용 보호패드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호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616Y1
KR200396616Y1 KR20-2005-0019183U KR20050019183U KR200396616Y1 KR 200396616 Y1 KR200396616 Y1 KR 200396616Y1 KR 20050019183 U KR20050019183 U KR 20050019183U KR 200396616 Y1 KR200396616 Y1 KR 200396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using
protective pad
receiving groov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호
Original Assignee
박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호 filed Critical 박명호
Priority to KR20-2005-0019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6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4Bumper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5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lights or registration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외측면이나 전후면에 부착되어 타차량이나 시설물과의 접촉에 의해 차체에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보호패드에 관한 것이며, 자동차 외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접착수단이 구비되며, 판형상을 이루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중심부에 수용홈이 갖추어진 하우징과;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자유로운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보다 돌출되는 구름체;로 구성되어 상기 구름체가 자유롭게 모든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접촉에 의한 차체의 긁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보호패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보호패드{protecting pad for cars}
본 고안은 차체에 부착시켜 차량이 벽면에 부딪히거나 다른 차량과 접촉되는 경우에 차체에 직접적인 긁힘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보호패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자유롭게 모든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름체를 돌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자동차는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운전자들은 접촉사고 등으로 인한 차체손상에 상당히 민감하다. 특히 초보운전자인 경우 주차시에는 벽면에 차체가 부딪혀 차량을 손상시키기도하며, 주행시에는 타차량과 가벼운 접촉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사고로 인한 차체보호를 위한 보호수단들이 많이 판매되고 있으며, 가장 일반적인 것이 범퍼에 부착되는 범퍼가드가 있다. 이러한 범퍼가드는 종류도 다양하고 형태도 각양각색이다.
특히 본 고안과 관련되는 종래기술로는 특허출원번호 10-1996-0030612호의 "차량의 긁힘방지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첨부되는 도1은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긁힘방지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이것의 구성으로는 프론트 범퍼와 리어 범퍼의 모서리에 ECU에 연결된 거리감지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모서리내에 출입홈이 형성된 반원형 공간의 로울러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울러 안착부의 하단중앙에 정역회전 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정역회전 모터의 회동부에 리턴스프링으로 지지되는 러버재질의 로울러가 장착되어 정역회전 모터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회동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한 정역회전 모터의 정회전시에는 회동된 로울러가 리턴 스프링의 미는 힘에 의해 출입홈으로 돌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긁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긁힘방지장치에서는 로울러가 고정된 축에 의해 지지된 채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다양하고 비정상적인 접촉조건에서는 제대로 그 기능이 발휘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름체가 어떠한 조건의 접촉에서도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접촉에 의한 차체손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보호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 외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접착수단이 구비되며, 판형상을 이루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설치되며 중심부에 수용홈이 갖추어진 하우징과;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자유로운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보다 돌출되는 구름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패드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보호패드는, 베이스판과 하우징 사이에 탄성을 가지는 완충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패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다수개의 수용홈이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보호패드는 차량의 좌우측면이나 앞뒤쪽 범퍼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체가 뜻하지않게 벽이나 인접한 차량과 접촉되는 경우에 차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시된 것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본 고안의 요지인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는 형태의 변경등도 본 고안에 속하는 것이다.
먼저,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호패드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3은 상기 차량용 보호패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보호패드는 차체의 측면이나 범퍼의 모서리부위에 설치하며, 그 주요한 구성요소로는 베이스판(100), 하우징(200) 그리고 구름체(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100)은 판형상을 이루며 차체에 부착되는 면에는 고정을 위한 접착수단(110)이 형성된다. 상기 접착수단으로서는 일반적인 양면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은 편평한 평판일수도 있고, 굴곡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굽은 형태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면에는 하우징(20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200)은 그 중심부에 함몰된 수용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210)에는 구름체(300)가 삽입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은 볼록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정점부에 수용홈(210)이 갖추어진다.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하우징은 합성수지나 금속재질로서 제작한다.
상기 수용홈(210)에 구름체(300)가 강제압입되며 일단 수용홈(210)에 삽입된 구름체는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일반적인 볼펜의 볼이 설치되는 것과 흡사한 구조이다.
수용홈(210)에 삽입된 구름체(300)는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어져 있으며 이 돌출부위가 타물체와 접촉되면 구름체는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구름체는 회전축이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자유롭게 모든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해 도4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제2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보여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판(100)과 하우징(200) 사이에 완충부재(400)가 더 설치되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것이며 이로 인해 구름체가 타물체와 접촉되는 경우 하우징이 미소하게 베이스판 측으로 이동하며, 따라서 지나친 힘이 구름체에 작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완충부재의 재질로는 폴리우레탄이나 고무와 같은 것을 사용하면 적합하다.
이어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대해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는 차량용 보호패드의 평면도에 해당되며, 이것은 하우징(200)에 다수개의 수용홈(210)이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수용홈에는 하나씩의 구름체가 설치된다.
이런 형태는 차체의 측면에 길게 차량용 보호패드를 설치하는 경우에 일정간격으로 여러개의 구름체를 갖추도록 하는 경우에 적합한 구조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며, 도6은 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200)에 형성되는 수용홈(210)에 구름체(300)의 하부를 감싸 받쳐주는 쿠션부재(215)가 더 설치되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쿠션부재의 존재로 인해 구름체가 타물체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구름체로 전해지는 충격이 쿠션부재로 어느정도 흡수될 수 있고, 구름체는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7은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호패드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보여준다.
본 예에서는 하우징(200)에 형성되는 수용홈(210)의 저부에 함몰부(220)를 두며 상기 함몰부에 LED(230)를 두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용홈에 설치되는 구름체는 투명하도록 함으로서 LED 불빛이 구름체를 투과하여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에 의하면, 부주의한 운전으로 인해 차량이 벽면이나 타 차량과 접촉되는 경우 차체가 직접적으로 벽등에 닿아 차체에 긁힘자국이 형성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보호패드는 구름체가 자유롭게 모든 방향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므로 어떠한 접촉조건에서도 구름체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하우징에 LED를 둠으로서 특히 야간에는 시인성이 좋게되어 사고예방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긁힘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호패드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3 - 차량용 보호패드의 단면도.
도 4 -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5 -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호패드의 평면도.
도 6 - 제4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7 - 제5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보호패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베이스판
200 : 하우징 210 : 수용홈
300 : 구름체
400 : 완충부재

Claims (5)

  1. 자동차 외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접착수단(110)이 구비되며, 판형상을 이루는 베이스판(100)과;
    상기 베이스판(100)의 상면에 설치되며 중심부에 수용홈(210)이 갖추어진 하우징(200)과;
    상기 수용홈(210)에 삽입되어 자유로운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보다 돌출되는 구름체(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보호패드는,
    베이스판(100)과 하우징(200) 사이에 탄성을 가지는 완충부재(400)가 더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패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은,
    다수개의 수용홈(210)이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패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은,
    수용홈에 구름체를 받쳐주는 쿠션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패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210)은,
    그 저부가 함몰되고 여기에 LED(230)가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호패드.
KR20-2005-0019183U 2005-07-01 2005-07-01 차량용 보호패드 KR200396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183U KR200396616Y1 (ko) 2005-07-01 2005-07-01 차량용 보호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183U KR200396616Y1 (ko) 2005-07-01 2005-07-01 차량용 보호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616Y1 true KR200396616Y1 (ko) 2005-09-23

Family

ID=4369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183U KR200396616Y1 (ko) 2005-07-01 2005-07-01 차량용 보호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6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6616Y1 (ko) 차량용 보호패드
KR101080543B1 (ko) 발광 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도어 가드
JPWO2005070724A1 (ja) 部分曲面状車載バックミラー
KR200440290Y1 (ko) 차량의 사이드미러 보호커버
CN211869296U (zh) 一种防盗汽车车身防撞块
KR102235077B1 (ko)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
KR200414018Y1 (ko) 자동차 긁힘방지용 패드
EP1273483A3 (de) Stossfängerabstützung für verbesserten Fussgängerschutz bei Kraftfahrzeugen
KR200193310Y1 (ko) 완충효과를 갖춘 번호판 장착판
CN218293003U (zh) 一种停车场用防撞装置
EP3581422B1 (en) Instrument panel assembly
KR200166545Y1 (ko) 접촉상태가 감지되는 자동차 범퍼 커버
KR100904863B1 (ko) 차량용 범퍼 보호대
CN219931789U (zh) 一种具有防刮功能的立体车库
KR200290311Y1 (ko) 자동차용 범퍼 보호구
KR200144143Y1 (ko) 자동차의 범퍼 보호용 보호패드 취부구조
CN219916081U (zh) 一种用于汽车抬头显示的保护装置
KR200275872Y1 (ko) 센터 범퍼가드
KR200313747Y1 (ko) 차량범퍼용 몰딩
JP2009161908A (ja) 車止めブロック
KR200251493Y1 (ko) 범퍼가드
KR200406023Y1 (ko) 차량용 범퍼 부재
KR200413949Y1 (ko) 차량용 범퍼가드
KR200368646Y1 (ko) 자동차용 데쉬보드 커버
KR100666539B1 (ko) 자동차 베이스 아웃사이드 미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