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420Y1 -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420Y1
KR200396420Y1 KR20-2005-0019942U KR20050019942U KR200396420Y1 KR 200396420 Y1 KR200396420 Y1 KR 200396420Y1 KR 20050019942 U KR20050019942 U KR 20050019942U KR 200396420 Y1 KR200396420 Y1 KR 200396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valve
input
output connector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정종
Original Assignee
(주)신일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일에이스 filed Critical (주)신일에이스
Priority to KR20-2005-0019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4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 관로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를 제어하기 위해 관로상에 체결되는 플랜지형 밸브의 양측에 구비된 입/출력커넥터에 단순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는 플랜지를 구비함으로써, 나사조절을 통한 볼트구멍의 위치조절이 용이하여 외부 관로에 형성된 플랜지와 쉽게 결합할 수 있는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내부가 중공인 유로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유체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수단과, 상기 몸체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체결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입/출력커넥터 및 상기 입/출력커넥터의 각 단부에 구비되어 있되, 외측에 다수개의 볼트구멍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플랜지가 구비된 플랜지형 밸브에 있어서,
상기 입력커넥터와 출력커넥터는 그 단부에 플랜지가 각각 나사결합된다.

Description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Flange type valve of flang coupling structure}
본 고안은 플랜지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관로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를 제어하기 위해 관로상에 체결되는 플랜지형 밸브의 양측에 구비된 입/출력커넥터에 단순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는 플랜지를 구비함으로써, 나사조절을 통한 볼트구멍의 위치조절이 용이하여 외부 관로에 형성된 플랜지와 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제조방법이 단순하여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유체(流體)를 이송하기 위한 일예로서 파이프로 구성된 관로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유체는 경우에 따라 그 공급을 차단하거나 또는 유량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관로의 소정위치에는 그 내부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거나 또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는 관로와의 긴밀한 체결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플랜지에 의해 결합한다.
즉, 밸브의 양 측면과 관로의 단부에 각각 볼트구멍을 갖는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각 플랜지에 형성한 볼트구멍을 서로 일치시킨 후, 볼트체결하여 연결부위를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이동중인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플랜지 연결구조는 밸브에 형성된 플랜지의 볼트구멍과 관로에 형성된 플랜지의 볼트구멍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관로에 밸브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밸브의 설치위치에 해당하는 관로를 소정길이 절개한 후, 절개된 단부에 플랜지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게 되는데, 이때, 접합단계에서 처음 설정해 놓았던 볼트구멍의 위치가 쉽게 변경되기 때문이다.
상기 관로에 형성된 플랜지의 볼트구멍과 밸브의 위치가 불일치되는 모순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밸브에 플랜지를 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하여, 밸브와 관로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플랜지 회전식 밸브에 대해 실용신안등록 제 312581호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와 같은 선등록실용신안 플랜지 회전식 밸브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 제 0312581호에 개시된 플랜지 회전식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내부가 중공인 유로가 형성된 몸체(1)의 양측에는 입력커넥터(2)와 출력커넥터(3)의 일단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입/출력커넥터(2, 3)의 타단에는 각각 돌출부(4)가 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4)의 인접한 일측에는 멈춤링(5)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입력커넥터(2)와 출력커넥터(3)의 외주연에는 플랜지(6)가 회동가능하도록 삽입/연결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6)는 원판형태로 측면 가장자리에 방사상으로 볼트구멍(H)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단차 형상의 걸림턱(7)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6)는 그 걸림턱(7)이 입/출력커넥터(2, 3)에 형성된 돌출부(4)에 의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멈춤링(5)은 플랜지(6)를 돌출부(4)측으로 밀착시킴으로써, 플랜지(6)가 돌출부(4)와 멈춤링(5)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플랜지 회전식 밸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플랜지 회전식 밸브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과정에서 정밀도를 필요하여 높은 제작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플랜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멈춤링의 체결위치가 돌출부이 폭보다 좁은 폭을 갖게될 경우, 플랜지의 체결이 불가능하며, 넓은 폭을 갖게될 경우 상기 플랜지가 멈춤링과 돌출부 사이에서 유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정밀가공을 필요로 한다.
또한, 밸브와 플랜지의 조립 및 해체과정이 여러단계로 이루어져 번거롭기 때문에 제조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플랜지 회전식 밸브를 관로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플랜지에 의한 결합 외에는 별도의 체결방법을 구현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사용이 제한적으로 운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 플랜지 회전식 밸브에 대한 사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관로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를 제어하기 위해 관로상에 체결되는 플랜지형 밸브의 양측에 구비된 입/출력커넥터에 단순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는 플랜지를 구비함으로써, 나사조절을 통한 볼트구멍의 위치조절이 용이하여 외부 관로에 형성된 플랜지와 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제조방법이 단순하여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체결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입/출력커넥터에 나사결합된 플랜지를 탈거한 후 관이나 관형 이음쇠에 직접 체결함으로써, 플랜지를 이용한 결합 외에도 다양한 체결관계를 이룰 수 있는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체결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가 중공인 유로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유체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수단과, 상기 몸체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체결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입/출력커넥터 및 상기 입/출력커넥터의 각 단부에 구비되어 있되, 외측에 다수개의 볼트구멍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플랜지가 구비된 플랜지형 밸브에 있어서,
상기 입력커넥터와 출력커넥터는 그 단부에 플랜지가 각각 나사결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체결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를 체크밸브에 적용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중 다른 연결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는 플랜지형 밸브의 몸체(10)에 체결되는 입/출력커넥터(120,130)와 한쌍의 플랜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커넥터(120)와 출력커넥터(130)는 그 양측 외주연에 각각 나사부(121a,121b)(131a,131b)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121a)와 나사부(121b) 사이에는 육각부(1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육각부(123)에 의해 상기 입/출력커넥터(120,130)를 상기 몸체(10)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플랜지(150)는 그 내주연에 암나사부(151)가 각각 형성되고, 그 외측에는 다수개의 볼트구멍(H)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구성을 갖는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체결구조의 결합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몸체(10)의 양측에는 입력커넥터(120)와 출력커넥터(130)의 일측 나사부(121a)(131a)가 각각 체결되고, 타측 나사부(121b)(131b)에는 상기 플랜지(150)의 암나사부(151)가 각각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입/출력커넥터(120,130)와 플랜지(150)가 견고한 결합관계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결합관계를 갖는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고안이 적용된 체크밸브(Check valves)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체크밸브는 몸체(10), 입/출력커넥터(120,130), 개폐수단(40) 및 플랜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원통형상으로 내부가 관통되고, 그 내주면의 양단에 암나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입/출력커넥터(120,130)는 그 외주연에 나사부(121a,121b), 육각부(123)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40)은 상기 출력커넥터(130)의 일측면의 중심에는 가이드핀(41)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핀(41)에는 입력커넥터(120)를 개폐하기 위한 디스크(4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디스크(43)와 가이드핀(41)사이에는 스프링(S)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유체가 유입될 경우에는 유체의 유압이 디스크(43)를 밀어냄으로써 출력커넥터(130)를 개방시키며, 유체가 유입되지 않으면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디스크(43)가 출력커넥터(130)를 폐쇄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150)는 그 내주면에 암나사부(151)가 형성되고, 그 외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볼트구멍(H)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입/출력커넥터(120,130)에 나사결합되어 회동하는 플랜지(150)를 통해 관로(P)에 형성된 플랜지(50)의 볼트구멍(H)과 플랜지(150)에 형성된 볼트구멍(H)이 서로 동심을 갖지 않더라도 플랜지(150)를 회전시켜 각각의 관로(P)상에 형성된 플랜지(50)의 볼트구멍(H)에 중심을 동일하게 위치시키므로 용이한 체결이 가능하며,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품생산시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50)를 제거한 입력커텍터(120) 및 출력커넥터(130)에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구비된 관로(P')을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를 볼밸브(Ball valves)에 적용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볼밸브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볼밸브는 몸체(10), 개폐수단(70), 입/출력커넥터(120,130) 및 플랜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0), 입/출력커넥터(120,130) 및 플랜지(150)의 구성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관계를 구현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개폐수단(70)은 몸체(10)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어 있되,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볼(71)의 상면에는 밸브축(73)이 장착되고, 상기 밸브축(73)의 상부에는 양단이 부분절개된 나선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축(73)의 하단에는 몸체(10) 내부에 위치됨과 아울러 커버플레이트(75)를 볼트로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밸브축(73)의 상단에는 핸들(79)이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핸들(79)을 이용하여 볼(71)을 회전시켜 상기 볼(71)의 관통공을 관로(P)와 동일한 일직선방향으로 위치시키면, 볼밸브가 개방되어 유체가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핸들(79)을 이용하여 볼(71)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볼(71)의 관통공이 관로(P)와 직교되어 볼밸브가 폐쇄됨으로써, 유체가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외부관로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를 제어하기 위해 관로상에 체결되는 플랜지형 밸브의 양측에 구비된 입/출력커넥터에 단순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되는 플랜지를 구비함으로써, 나사조절을 통한 볼트구멍의 위치조절이 용이하여 외부관로에 형성된 플랜지와 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제조방법이 단순하여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커넥터에 나사결합된 플랜지를 탈거한 후 관이나 관형 이음쇠에 직접 체결함으로써, 플랜지를 이용한 결합 외에도 다양한 체결관계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 제 0312581호에 개시된 플랜지 회전식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를 체크밸브에 적용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중 다른 연결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를 볼밸브에 적용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입력커넥터 121a,121b,131a,131b : 나사부
123 : 육각부 130 : 출력커넥터
150 : 플랜지 151 : 암나사부
H : 볼트구멍 P : 관로
S : 스프링

Claims (2)

  1. 내부가 중공인 유로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유체를 제어하기 위한 개폐수단과, 상기 몸체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체결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입/출력커넥터 및 상기 입/출력커넥터의 각 단부에 구비되어 있되, 외측에 다수개의 볼트구멍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플랜지가 구비된 플랜지형 밸브에 있어서,
    상기 입력커넥터(120)와 출력커넥터(130)는 그 단부에 플랜지(150)가 각각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커넥터(120,130)의 외주연 중간부에는 육각부(123)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
KR20-2005-0019942U 2005-07-08 2005-07-08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 KR200396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942U KR200396420Y1 (ko) 2005-07-08 2005-07-08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942U KR200396420Y1 (ko) 2005-07-08 2005-07-08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420Y1 true KR200396420Y1 (ko) 2005-09-21

Family

ID=4369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942U KR200396420Y1 (ko) 2005-07-08 2005-07-08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42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635B1 (ko) 2018-04-01 2018-07-04 박재갑 회전형 플랜지 밸브의 디스크 조절구조체
CN108709029A (zh) * 2018-08-06 2018-10-26 常州奥特斯丹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法兰结构
KR101914427B1 (ko) 2018-04-01 2018-11-01 박재갑 회전형 플랜지 밸브의 연결어셈블리
KR20190030079A (ko) * 2017-09-13 2019-03-21 이병호 배기활성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0079A (ko) * 2017-09-13 2019-03-21 이병호 배기활성장치
KR102131156B1 (ko) * 2017-09-13 2020-07-07 이병호 배기활성장치
KR101874635B1 (ko) 2018-04-01 2018-07-04 박재갑 회전형 플랜지 밸브의 디스크 조절구조체
KR101914427B1 (ko) 2018-04-01 2018-11-01 박재갑 회전형 플랜지 밸브의 연결어셈블리
CN108709029A (zh) * 2018-08-06 2018-10-26 常州奥特斯丹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法兰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80214A1 (en) Isolation valve with rotatable flange
US8348235B2 (en) Butterfly valve with removable valve disc element
US8286655B2 (en) Line stop adapter
KR200396420Y1 (ko) 플랜지형 밸브의 플랜지 체결구조
KR200387580Y1 (ko) 디스크 기구를 사용한 게이트 밸브
CN203892305U (zh) 阻尼塞以及具有该阻尼塞的液压元件
US20040226617A1 (en) Isolation valve with rotatable flange
KR101914426B1 (ko) 회전형 플랜지 밸브
US11415258B2 (en) Pipeline plug
CN209925662U (zh) 一种防松动笼套式节流阀
KR200312581Y1 (ko) 플랜지 회전식 밸브
US1536869A (en) Flanged union check valve
KR20140100607A (ko) 온수분배기의 밸브구조
RU61828U1 (ru) Полукорпус шиберной задвижки и шиберная задвижка
US20150369416A1 (en) Line Stop Adapter For Mechanical Joint Outlet
US20090290951A1 (en) Sleeve For a T-Bolt and a Sleeve and T-Bolt Combination to Prevent T-Bolt Rotation
JP5275824B2 (ja) 継手
KR101914428B1 (ko) 회전형 플랜지 밸브의 체결구조체
JP3559925B2 (ja) 仮止めバルブ
KR101914427B1 (ko) 회전형 플랜지 밸브의 연결어셈블리
KR200393811Y1 (ko) 분배밸브 및 이를 이용한 헤더 구조
JPH10325491A (ja) 配管接続部品
CA2662049C (en) Line stop adapter
KR100873844B1 (ko) 새들 분수전의 결합구조
KR200152194Y1 (ko) 밸브의 관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