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253Y1 - 자동차용 살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살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253Y1
KR200396253Y1 KR20-2005-0019041U KR20050019041U KR200396253Y1 KR 200396253 Y1 KR200396253 Y1 KR 200396253Y1 KR 20050019041 U KR20050019041 U KR 20050019041U KR 200396253 Y1 KR200396253 Y1 KR 200396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pressure
auxiliary power
shaft
water spray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경
Original Assignee
한빛테크원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빛테크원 (주) filed Critical 한빛테크원 (주)
Priority to KR20-2005-0019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2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2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0Spra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use in contaminated areas, e.g. N.B.C. intervention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005Mobile installations, particularly for upkeeping in situ road or railway furniture, for instance road barricades, traffic signs; Mobile installations particularly for upkeeping tunnel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2Mobile apparatus, e.g. watering-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과 연결되고 케이싱에 체결되어 회전되는 구동축과, 구동축과 동일 축선상에 설치되어 구동축의 동력을 자동차의 후륜으로 전달하는 종동축과, 구동축 및 종동축의 스플라인에 각각 체결되고 슬라이딩 요크에 의해 진퇴되어 동력을 전달 및 차단토록 하는 구동 및 종동기어와, 케이싱의 일측에 체결되고 구동기어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제1보조기어가 체결되면서 별도의 보조유니트와 연결되는 유압펌프를 갖춘 제1보조동력축과, 케이싱의 타측에 체결되고 종동기어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제2보조기어가 체결되면서 유압펌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를 갖춘 제2보조동력축으로 구성되는 보조동력전달장치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동력축과 동일 축선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1보조동력축에서 전달된 동력을 각 펌프에 전달하여 고압 및 저압살수라인을 작동케 하는 제3보조동력축과; 상기 제3보조동력축상에 축설되는 다수개의 풀리와; 상기 일단의 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제3보조동력축에서 전달된 동력을 받아 작동되는 고압 및 저압펌프로;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살수장치 {Sprinkler system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엔진 이외의 별도의 보조엔진을 사용하지 않고도 고압 및 저압펌프를 구동시켜 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비 절감, 매연 감소, 소음발생을 감소시키는 한편, 작업 상황에 따라 고압 및 저압펌프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물의 소모량을 최소화시키는 등 효율성을 극대화시킨 자동차용 살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은 엔진, 클러치, 변속기, 감속기 등의 주행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청소차와 같은 특수한 차량의 경우 주행은 주행장치에 의해 이루어지나 작업장치의 구동은 별도로 장착된 보조엔진에서 얻어진 동력을 이용하여 청소에 필요한 송풍기, 유압장치들을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차량은 통상적으로 5~10㎞의 작업속도로 유지하여 작업을 하게 되나, 이때 수동변속기 차량의 경우는 작업의 특성상 잦은 정지 및 출발에 따른 변속으로 인하여 작업능률이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클러치가 심하게 마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엔진이 제2의 내연기관 및 전동기이기 때문에 시스템의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소음 및 매연증가는 물론 연료의 소모량이 많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자동차의 보조동력전달장치(PTO; Power Take off)”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다.(참조 실용신안등록 제 20-0308035호)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1)의 엔진(2)에서 발생되는 동력은 클러치(3), 변속기(4), 프로펠러샤프트(5), 보조동력전달장치(A)를 거쳐 감속기(6)를 통해 후륜으로 전달됨으로써 통상에서와 같이 고속주행이 가능해 지는 것으로서, 자동차(1)의 엔진(2)과 연결되면서 케이싱(10)에 체결되어 회전되는 구동축(11)과, 상기 구동축(11)과 동일 축선상에 설치되면서 구동축(11)의 동력을 자동차(1)의 후륜으로 전달하여 주행을 이루도록 하는 종동축(12)과, 상기 구동축(11) 및 종동축(12)의 스플라인(11a)에 각각 체결되고 별도의 슬라이딩 요크(30)에 의해 진퇴되어 동력을 전달 및 차단토록 하는 구동 및 종동기어(20,21)와, 상기 케이싱(10)의 일측에 체결되고 구동기어(20)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제1보조기어(22)가 체결되면서 양측단에는 별도의 보조유니트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압펌프를 갖춘 제1보조동력축(40)과, 상기 케이싱(10)의 타측에 체결되고 종동기어(21)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제2보조기어(23)가 체결되면서 일측단에는 유압펌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를 갖춘 제2보조동력축(6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조동력전달장치와 연계하여 고압 및 저압살수라인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시스템은 전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엔진을 장착하지 않고 기존의 엔지에 보조동력전달장치를 연결 한 다음 상기 보조동력전달장치에 고압 및 저압살수라인을 연결시켜 살수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장착되는 장치들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세척수의 적재량을 증가 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살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 차량에 탑재된 엔진의 작동에 의해 고압 및 저압펌프를 작동함으로써 운전에 필요한 연료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살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과 연결되면서 케이싱에 체결되어 회전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동일 축선상에 설치되면서 구동축의 동력을 자동차의 후륜으로 전달하여 주행을 이루도록 하는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 및 종동축의 스플라인에 각각 체결되고 별도의 슬라이딩 요크에 의해 진퇴되어 동력을 전달 및 차단토록 하는 구동 및 종동기어와,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체결되고 구동기어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제1보조기어가 체결되면서 양측단에는 별도의 보조유니트와 연결되는 유압펌프를 갖춘 제1보조동력축과, 상기 케이싱의 타측에 체결되고 종동기어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제2보조기어가 체결되면서 일측단에는 유압펌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를 갖춘 제2보조동력축으로 구성되는 보조동력전달장치에 연결 설치되어 작동되는 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동력축과 동일 축선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1보조동력축에서 전달된 동력을 각 펌프에 전달하여 고압 및 저압살수라인을 작동케 하는 제3보조동력축과; 상기 제3보조동력축상에 축설되는 다수개의 풀리와; 상기 일단의 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제3보조동력축에서 전달된 동력을 받아 작동되는 고압 및 저압펌프로;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압펌프는, 선단에 스프레이노즐이 부착되며 운전석의 조작반에 의해 조정되고 자동차 저면의 전방으로 액체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압살수라인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압펌프는, 선단에 플레쉬노즐이 부착되며 운전석의 조작반에 의해 조종되고 자동차 저면의 전방으로 액체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저압살수라인 및 자동차 저면의 측면으로 액체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저압살수라인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보조동력축상에는, 상기 고압 및 저압펌프의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전자클러치를 설치하여, 작업 상황에 따라 상기 고압 및 저압펌프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압살수라인의 후방에는 원거리 살수가 용이하도록 롤에 권취되며 끝단이 세척건과 연결되는 고압살수릴이 연결되며, 상기 저압살수라인의 후방에는 원거리 살수가 용이하도록 롤에 권취되며 끝단이 세척건과 연결되는 저압살수릴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압 및 저압살수릴이 설치된 자동차의 후방에는 버스 승강장 지붕 안내표지판 등 세척작업이 어려운 시설물의 세척작업이 용이하도록 고소 작업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압살수라인의 일단에는 살포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액체 분사 유량을 조절하여 동절기에는 제설제 살포용으로 하절기에는 소독액 살포 등의 방역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동력전달장치와 연결된 살수장치의 전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수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레쉬노즐(화단살수노즐)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붐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살수장치는, 자동차(1)의 엔진(2)과 연결되면서 케이싱(10)에 체결되어 회전되는 구동축(11)과, 상기 구동축(11)과 동일 축선상에 설치되면서 구동축(11)의 동력을 자동차(1)의 후륜으로 전달하여 주행을 이루도록 하는 종동축(12)과, 상기 구동축(11) 및 종동축(12)의 스플라인(11a)에 각각 체결되고 별도의 슬라이딩 요크(30)에 의해 진퇴되어 동력을 전달 및 차단토록 하는 구동 및 종동기어(20,21)와, 상기 케이싱(10)의 일측에 체결되고 구동기어(20)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제1보조기어(22)가 체결되면서 양측단에는 별도의 보조유니트와 연결되는 유압펌프(50)를 갖춘 제1보조동력축(40)과, 상기 케이싱(10)의 타측에 체결되고 종동기어(21)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제2보조기어(23)가 체결되면서 일측단에는 유압펌프(50)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70)를 갖춘 제2보조동력축(60)으로 구성되는 보조동력전달장치(A)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동력축(40)과 동일 축선상에 연결 설치되는 제3보조동력축(70)과, 상기 제3보조동력축(70)과 연결 설치되는 고압 및 저압펌프(72,7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3보조동력축(70)은 제1보조동력축(40)과 동일 축선상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제3보조동력축(70)에 전달된 동력을 받아 고압 및 저압펌프(72.73)에 동력을 전달한다.
이와 같이 고압 및 저압펌프(72,73)의 동력전달을 위해 상기 제3보조동력축(70)에는 각 펌프에 형성된 풀리와 대응되는 다수개의 풀리(74)가 형성되며, 이때 각 펌프에 형성된 풀리와 제3보조동력축(70)에 형성된 풀리(74)는 벨트(75)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제3보조동력축(70)이 회전되면 회전력이 풀리(74)에 전달되고 이 회전력은 상기 풀리(74)에 연결된 벨트(75)를 따라 각 펌프 즉, 고압 및 저압펌프(72.73)의 풀리에 전달되어 각 펌프들이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보조동력축(70)상에는 각 펌프의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할 하는 전자클러치(100)가 다수 개로 설치되는데, 이 전자클러치(100)는 설치 수는 각 펌프와 대응되기 때문에 각 펌프와 동일 수로 설치된다.
이 전자클러치(100)는 작업 상황에 따라 상기 고압 및 저압펌프(72,73)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클러치(100)의 구성은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전자클러치(100) 자체에 대한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압펌프(72) 역시 제3보조동력축(70)에 전달된 동력을 받아 작동되는 것으로서 즉, 제3보조동력축(70)의 동력을 풀리(74)와 벨트(75)에 의해 전달받아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고압펌프(72)는 선단에 스프레이노즐(81)이 부착되며 운전석의 조작반에 의해 조정되는 전방에 설치된 고압살수라인(80)과 연결되어 고압을 상기 고압살수라인(80)에 전달하여 고압의 액체가 분사되게 한다.
상기 저압펌프(73) 또한 제3보조동력축(70)에 전달된 동력을 받아 작동되는 것으로서 즉, 제3보조동력축(70)의 동력을 풀리(74)와 벨트(75)에 의해 전달받아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저압펌프(73)는 선단에 플레쉬노즐(93)이 부착되며 운전석의 조작반에 의해 조정되는 전방의 제1저압살수라인(91) 및 측면(차량의 좌우 측면)의 제2저압살수라인(92)으로 이루어지는 저압살수라인(90)과 연결되어 저압을 상기 제1,2저압살수라인(91,92)에 전달하여 저압의 액체가 분사되게 한다.
상기 제1저압살수라인(91)은 저압펌프(73)와 연결되어 이 저압펌프(73)에서 발생된 저압에 의해 내부를 통과하는 액체를 저압으로 분사하는 라인으로서, 상기 제1저압살수라인(91)은 자동차의 전방으로 액체의 저압분사가 가능하도록 차제의 저면 전방을 향하도록 선단이 설치되며 선단에는 플레쉬노즐(93)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저압살수라인(91)의 선단은 고압살수라인(8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고압살수라인(80)의 선단 보다는 조금 후방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저압살수라인(92)은 저압펌프(73)와 연결되어 이 저압펌프(73)에서 발생된 저압에 의해 내부를 통과하는 액체를 저압으로 분사하는 라인으로서, 상기 제2저압살라인(92)은 자동차의 측면으로 액체의 저압분사가 가능하도록 차제의 저면 양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양측의 끝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쉬노즐(93)을 설치하여 차도 측면 중앙에 설치된 화단 살수작업과 조경수 세척작업이 가능하다.
상기 고압살수라인(80)은 고압펌프(72)와 연결되어 이 고압펌프(72)에서 발생된 고압에 의해 내부를 통과하는 액체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라인이다.
상기 고압살수라인(80)은 자동차의 전방으로 액체의 고압분사가 가능하도록 차체의 저면 전방을 향하도록 선단이 설치되며 선단에는 스프레이노즐(81)이 설치된다.
또한, 고압살수라인(80)은 소량의 물을 살수하여 딱딱하거나 점도가 높은 노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선단에는 살수바가 설치되는데 이 살수바의 길이는 1,600mm 통상 이상이며 10~15개의 고압노즐(스프레이노즐)이 설치된다.
이 고압살수라인(80)의 주용도는 도로청소, 제설제 살포 약품 및 소독제 살포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한편, 도면상에는 미도시 되어 있으나 상기 고압살수라인(80)과 제1,2저압살수라인(91,92)에는 액체의 흐름을 개폐하는 스트레이너, 버터플라이밸브, 등의 각종 밸브가 설치되는데 특히, 상기 고압살수라인(80)의 일단에는 살포유량조절밸브(82)를 설치함으로써, 액체 분사 유량을 조절하여 동절기에는 제설제 살포용으로 하절기에는 소독액 살포 등의 방역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압살수라인(80)의 후방에는 고압살수릴(801)이 연결된다.
즉, 상기 고압살수릴(801)은 원거리 살수가 용이하도록 권취 롤(102)에 권취되며 끝단이 세척건(101)과 연결되어 시설물과 건물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압살수라인(90)의 후방에는 저압살수릴(901)이 연결된다.
즉, 상기 저압살수릴(901)은 원거리 살수가 용이하도록 권취 롤(102)에 귄취되며 끝단이 세척건(101)과 연결되어 화단 및 가로수 세척과 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붐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로서, 상기 고압 및 저압살수릴(801,901)이 설치된 자동차(1)의 후방에는 버스 승강장 투명지붕 청소, 안내 표지판 청소 및 관리, 터널 청소, 신호등 관리, 건물 청소, 가로수 세척 등 세척작업이 어려운 시설물에 세척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고소 작업붐(103)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고소 작업붐(103)은 기복, 신축, 굽힘에 따라서 작업 반경을 바꾸는 기둥 모양의 구조물 즉, 붐(boom)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는 일반적인 구조물로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살수장치는 엔진(2)과 연결되는 보조동력전달장치(A)에 살수장치를 연결하여 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살수장치는 일반주행시와 살수작업시에는 보조동력전단장치(A)가 다음과 같이 구분되어 작동이 이루어진다.
먼저, 일반주행시에는 종래와 같이, 엔진(2)에서 발생되는 동력은 클러치(3), 변속기(4), 프로펠러샤프트(5), 보조동력전달장치(A)를 거쳐 감속기(6)를 통해 후륜으로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이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20) 및 종동기어(21)는 각각 보조동력전달수단의 각 기어들과 분리됨으로써 동력이 차단되어 자동차의 이동에 따른 일반주행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이와 반대로 살수작업시에는, 변속기(4)로 전달되는 엔진(2)의 동력을 클러치(3)로서 단절시킨 후 슬라이딩 요크(30)를 살수작업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이와 연계되는 구동기어(20) 및 종동기어(21)가 구동축(11) 방향으로 전진 됨으로써 구동기어(20)는 제1보조기어(22)와 맞물림 됨과 동시에 종동기어(21)는 제2보조기어(23)와 맞물림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클러치(3)를 이용하여 엔진(2)의 동력을 변속기(4)로 연결시키고 엔진(2)의 회전수를 적정한 회전수로 조정시킨다.
따라서, 엔진(2)의 동력은 클러치(3), 변속기(4), 프로펠러샤프트(5)를 거쳐 구동축(11)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구동축(11)의 회전동력은 스플라인(11a)으로 연결되는 구동기어(20)를 거쳐 맞물림 되는 제1보조기어(22)로 전달되어 제1보조동력축(4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조동력축(40)에 전달된 동력은 상기 제3보조동력축(70)상에 설치된 풀리(74)와 벨트(75)를 거쳐 고압 및 저압펌프(72,73)에 전달된다.
즉, 상기와 같이 제3보조동력축(70)의 동력을 전달받아 각 펌프들이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이 가능한 것은 제3보조동력장치(A)에 설치된 전자클러치(100)가 각 펌프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작동을 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고압 및 저압펌프(72,73)가 작동되면 각 살수라인을 통해 고압 및 저압의 액체가 분사가 이루어진다.
먼저, 고압펌프(72)가 작동되면 고압살수라인(80)을 통해 차체 저면의 전방으로 액체가 분사 된다.
그리고 저압펌프(73)가 작동되면 제1저압살수라인(91)을 통해 차체 저면의 전방으로 액체의 분사가 이루어지고, 동시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저압살수라인(92)을 통해서는 자체 저면의 측면으로 액체의 분사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압살수라인(80)과 제1,2저압살수라인(91,92)의 선단에는 스프레이노즐(81)과 플레쉬노즐(9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퍼진 형태로 액체의 분사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노즐(81)과 플레쉬노즐(93)은 운전석의 조작반에 의해 조정이 가능하므로 조작이 매우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고압살수라인(80)의 후방은 귄취 롤(102)에 귄취된 고압살수릴(801)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종 시설물과 건물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상기 저압살수라인(90)의 후방은 권취 롤(102)에 저압살수릴(901)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화단 및 가로수 세척과 살수는 물론 원거리 살수가 용이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저압살라인(92)의 양측의 끝단에는 플레쉬노즐(93)이 설치되어 있어 차도 측면 중앙에 설치된 화단 살수작업과 조경수 세척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압 및 저압살수릴(801,901)이 설치된 자동차(1) 후방에는 기복, 신축, 굽힘에 따라서 작업 반경을 바꾸는 기둥 모양의 구조물인 고소 작업붐(103)이 설치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여 버스 승강장 투명지붕 청소, 안내표지판 청소 및 관리, 터널 청소, 신호등 관리, 건물 청소, 가로수 세척 등 세척작업이 어려운 고소(高所)의 시설물의 세척 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엔진 이외의 별도의 보조엔진을 사용하지 않고도 고압 및 저압펌프을 구동시켜 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비 절감, 매연 감소, 소음발생을 감소시키는 한편, 작업 상황에 따라 고압 및 저압펌프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물의 소모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를 채택한 장비의 생산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환경 규제가 심한 도심 작업용 장비의 수요가 많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보조동력전달장치의 대략적인 설치상태도.
도 2는 종래의 보조동력전달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동력전달장치와 연결된 살수장치의 전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살수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레쉬노즐(화단살수노즐)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 작업붐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보조동력전달장치 1:자동차 2:엔진
3:클러치 4:변속기 5:프로펠러샤프트
6:감속기 10:케이싱 11:구동축
11a:스플라인 12:종동축 20:구동기어
21:종동기어 22:제1보조기어 23:제2보조기어
30:슬라이딩 요크 40:제1보조동력축 60:제2보조동력축
70:제3보조동력축 72:고압펌프 73:저압펌프
74:풀리 75:벨트 80:고압살수라인
81:스프레이노즐 82:살포유량조절밸브 90:저압살수라인
91:제1저압살수라인 92:제2저압살수라인 93:플레쉬노즐
100:전자클러치 101:세척건 102:롤
103:고소 작업붐 801:고압살수릴 901:저압살수릴

Claims (7)

  1. 자동차의 엔진과 연결되면서 케이싱에 체결되어 회전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동일 축선상에 설치되면서 구동축의 동력을 자동차의 후륜으로 전달하여 주행을 이루도록 하는 종동축과, 상기 구동축 및 종동축의 스플라인에 각각 체결되고 별도의 슬라이딩 요크에 의해 진퇴되어 동력을 전달 및 차단토록 하는 구동 및 종동기어와,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체결되고 구동기어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제1보조기어가 체결되면서 양측단에는 별도의 보조유니트와 연결되는 유압펌프를 갖춘 제1보조동력축과, 상기 케이싱의 타측에 체결되고 종동기어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제2보조기어가 체결되면서 일측단에는 유압펌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를 갖춘 제2보조동력축으로 구성되는 보조동력전달장치에 연결 설치되어 작동되는 살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동력축과 동일 축선상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1보조동력축에서 전달된 동력을 각 펌프에 전달하여 고압 및 저압살수라인을 작동케 하는 제3보조동력축과; 상기 제3보조동력축상에 축설되는 다수개의 풀리와; 상기 일단의 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제3보조동력축에서 전달된 동력을 받아 작동되는 고압 및 저압펌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살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펌프는, 선단에 스프레이노즐이 부착되며 운전석의 조작반에 의해 조정되고 자동차 저면의 전방으로 액체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압살수라인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살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펌프는, 선단에 플레쉬노즐이 부착되며 운전석의 조작반에 의해 조종되고 자동차 저면의 전방으로 액체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저압살수라인 및 자동차 저면의 측면으로 액체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저압살수라인과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살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보조동력축상에는, 상기 고압 및 저압펌프의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전자클러치를 설치하여, 작업 상황에 따라 상기 고압 및 저압펌프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살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살수라인의 후방에는 원거리 살수가 용이하도록 롤에 권취되며 끝단이 세척건과 연결되는 고압살수릴이 연결되며, 상기 저압살수라인의 후방에는 원거리 살수가 용이하도록 롤에 권취되며 끝단이 세척건과 연결되는 저압살수릴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살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및 저압살수릴이 설치된 자동차의 후방에는 버스 승강장 지붕 안내표지판 등 세척작업이 어려운 시설물의 세척작업이 용이하도록 고소 작업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살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살수라인의 일단에는 살포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액체분사 유량을 조절하여 동절기에는 제설제 살포용으로 하절기에는 소독액 살포 등의 방역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살수장치.
KR20-2005-0019041U 2005-06-30 2005-06-30 자동차용 살수장치 KR200396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041U KR200396253Y1 (ko) 2005-06-30 2005-06-30 자동차용 살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041U KR200396253Y1 (ko) 2005-06-30 2005-06-30 자동차용 살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253Y1 true KR200396253Y1 (ko) 2005-09-20

Family

ID=4369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041U KR200396253Y1 (ko) 2005-06-30 2005-06-30 자동차용 살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25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257B1 (ko) 2006-09-19 2007-04-25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흡입 및 배출이 가능한 살수펌프가 구비된 살수차
KR100984138B1 (ko) 2010-01-14 2010-09-28 주식회사 광림 고소 살수차
KR101295253B1 (ko) 2012-04-27 2013-08-12 (주)금강차체 살수차량의 펌프 보호 시스템
KR101397402B1 (ko) 2013-12-17 2014-06-02 (주)한성티앤아이 결빙 및 고장 대응 수단을 갖는 방역장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257B1 (ko) 2006-09-19 2007-04-25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흡입 및 배출이 가능한 살수펌프가 구비된 살수차
KR100984138B1 (ko) 2010-01-14 2010-09-28 주식회사 광림 고소 살수차
KR101295253B1 (ko) 2012-04-27 2013-08-12 (주)금강차체 살수차량의 펌프 보호 시스템
KR101397402B1 (ko) 2013-12-17 2014-06-02 (주)한성티앤아이 결빙 및 고장 대응 수단을 갖는 방역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12989B (zh) 护栏清洗、路面洒水多功能作业车
KR200396253Y1 (ko) 자동차용 살수장치
CN107444113B (zh) 一种单动力多功能抑尘车
CN205370591U (zh) 隧道二衬养护及降尘台车
CN102296554A (zh) 可分式自动公路护栏擦拭机
CN204172868U (zh) 一种汽车清洗设备
CN105075805A (zh) 一种带有多功能牵引车的搅盘式喷灌机
CN212772159U (zh) 一种市政清洁装置
CN201672002U (zh) 清洗洒水车作业动力传动装置
CN219723308U (zh) 一种喷涂车
CN104328761A (zh) 道路清洗车
CN117005346A (zh) 一种公路隧道清洗车装置
CN204325996U (zh) 道路清洗车
CN207435983U (zh) 高压冲洗车的管路调节系统
CN201071483Y (zh) 一种液压驱动轮胎压路机
CN2411275Y (zh) 多功能清洗车
CN202686311U (zh) 汽车底盘冲洗机
CN104895003A (zh) 滚刷装置
KR100473288B1 (ko) 자동차의 보조동력 전달장치
CN111391788A (zh) 一种气动旋转式汽车挡风玻璃雨刮器
RU55341U1 (ru) Полноприводной прицеп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7080452B1 (ja) トンネル清掃車
KR200333291Y1 (ko) 표지병 청소장치
CN205835287U (zh) 一种多功能修剪机器人
CN218992026U (zh) 一种洗扫车前置护栏清洗液压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