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939Y1 -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 Google Patents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939Y1
KR200395939Y1 KR20-2005-0019587U KR20050019587U KR200395939Y1 KR 200395939 Y1 KR200395939 Y1 KR 200395939Y1 KR 20050019587 U KR20050019587 U KR 20050019587U KR 200395939 Y1 KR200395939 Y1 KR 200395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st
supply
air supply
air
inc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환
Original Assignee
노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환 filed Critical 노영환
Priority to KR20-2005-0019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9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9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거공간의 실내 환기기능에 부가하여 삼림욕의 효과를 발현하는 물질을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에 추가하여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실내 주거공간의 공기 조건을 제공하도록 한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나 이상의 실내에 구비되는 배기구와 연결되며 배기팬을 포함하는 배기덕트, 하나 이상의 실내에 구비되는 급기구와 연결되며 급기팬을 포함하는 급기덕트 및 배기열을 급기덕트로 열을 교환 회수하는 전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열교환기의 급기팬이 위치한 급기부분 내에 혹은 그 곳으로부터 전열교환기로 부터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덕트의 소정위치에 삼림향 공급수단이 부가 설치한 것으로 상기 삼림향 공급수단은 상온에서 스스로 기화되는 액상의 삼림향을 개방용기에 담아 공급하는 기화형 시스템과;
다른 실시예로 상온에서 스스로 기화하지 못하는 액상의 삼림향을 담아 공급하는 반밀폐용기와; 상기 반밀폐용기로 부터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액상의 삼림향을 공급하는 모세공급관과; 상기 모세공급관에 의해 공급된 삼림향을 증발시켜 급기덕트에 공급하는 증발기로 구성 증발형 시스템과;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삼림향 공급수단은 액상의 삼림향을 담아 공급하는 반밀폐용기와; 상기 반밀폐용기로 부터 액상의 삼림향을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에 의해 공급된 삼림향을 급기덕트에 분사시켜 공급하는 분사기로 구성된 분사형 시스템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Indoor Ventilation System that add Forest Direction}
본 고안은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거공간의 실내 환기기능에 부가하여 삼림욕의 효과를 발현하는 물질을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에 추가하여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쾌적하고 건강에 유익한 실내 주거공간의 공기 조건을 제공하도록 한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기오염으로부터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종래의 주거용 건축물의 환기시스템은 도 9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주방, 화장실에 설치된 배기팬(3a)에 의해 강제적으로 배기가 이루어지는 개별 환기시스템(3)과, 급기덕트(120) 및 배기덕트(110)와 연결되고 실별, 혹은 세대별로 설치된 급기구(121)와 배기구(111)를 통하여 공기가 동량으로 급배 교환되며, 배기열을 교환 회수하는 열교환기(130)가 구비되는 공유 환기시스템(100)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기시스템은, 건자재의 발달로 실내가 외부와 밀폐되는 경우, 배기팬을 통하여 배기되는 공기량만큼 실내 압력은 낮아지고 이와 동시에 외부공기가 유입되지 않음으로 실내공기의 대류가 일어나지 않게 되어 활동이 정지된 수면자의 주변공기는 심하게 오염되어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급기구(121)와 배기구(111)가 모두 천정에 설치됨으로 급기구를 통하여 유입된 신선공기가 실내 공간에 전체적으로 확산되기 전에 배기구로 바로 유입 배출됨으로 환기시스템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환기시스템의 운전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선출원 특허 10-2004-0044863호(명칭: 기압조정 환기시스템)을 통하여 환기기능으로 주거공간의 공기를 쾌적하게 조성함은 물론이고, 여기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기압조건을 배려하는 급/배기량이 조정되어 주거공간을 인간의 호흡활동에 최적조건의 기압상태로 조성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떤 악조건의 주거환경도 최적의 환경으로 만들어 건강생활에 기여하도록 하는 기압조정 환기시스템을 개시한 바 있다.
상기 선출원은 첨부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실내에 구비되는 배기구(11)와 연결되며 배기팬(13)을 포함하는 배기덕트(10), 하나 이상의 실내에 구비되는 급기구(21)와 연결되며 급기팬(23)을 포함하는 급기덕트(20) 및 배기열을 급기덕트로 교환 회수하는 전열교환기(30)를 포함하되, 상기 배기덕트(10)와 급기덕트(20)는 해당 주거공간의 자연상태의 기압 및 배기풍량, 배기압력 등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체 실내의 기압이 표준기압으로 유지되도록 배기량 및 급기량이 조정되는 배기팬(13) 및 급기팬(23)의 모터 회전비 등을 설정하여 줌으로써 실내 표준기압(1기압)에 맞추어 급기량 및 배기량이 조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실내 환기를 보다 충실하게 하여 주도록 한 환기시스템에 부가하여 보다 건강한 생활을 위한 쾌적한 실내공조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삼림욕은 숲속에서 나무가 내뿜는 방향성 물질인 피톤치드, 테르펜, 음이온 등을 접하게 됨으로써 스트레스 해소, 심폐기능 강화효과 등 피로에 지친 심신의 활력을 되찾게 해준다.
즉, 수목이 울창한 산 속을 걸으면 누구나 상쾌한 기분이 되는데, 그 원인의 하나는 '피톤치드’라고 하는 방향성 물질이 수목에서 발산되어 인체에 건강한 작용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러한 삼림욕은 사람의 건강에 매우 유익한 것임이 실증되었다.
삼림욕에서‘피톤치드(phytoncide)’라는 말이 자주 등장하는데 '식물의’라는 뜻의 ‘파이톤(phyton)’과 ‘죽이다’라는 뜻의 ‘사이드(cide)’를 합쳐 만든 말로, '식물이 분비하는 살균 물질’이란 뜻으로 숲 속에 들어가면 시원한 삼림향이 풍기는 것은 상기한 피톤치드 때문이며, 수목 주위의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디프테리아 따위의 미생물을 죽이는 휘발성 물질임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삼림욕의 효과를 항상 거주하는 실내에서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보다 건강한 생활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항상 상쾌한 기분으로 활기차게 모든 일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삶에 활기를 줄 것이므로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요구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 환기 시스템의 급기덕트 상에 별도의 삼림향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실내에서 삼림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쾌적하고 건강에 좋은 실내공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하나 이상의 실내에 구비되는 배기구와 연결되며 배기팬을 포함하는 배기덕트, 하나 이상의 실내에 구비되는 급기구와 연결되며 급기팬을 포함하는 급기덕트 및 배기열을 급기덕트로 열을 교환 회수하는 전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열교환기의 급기팬이 위치한 급기부분 내에 혹은 그 곳으로부터 전열교환기로 부터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덕트의 소정위치에 삼림향 공급수단이 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삼림향 공급수단은 개방용기에 액상의 삼림향을 담아 공급하되 상기 삼림향의 필요 공간 체적에 비례하여 공급량을 조정 가능한 공급량 조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공급량 조정수단은 삼림향 공급수단의 삼림향 방출구인 개방용기 입구는 크기가 일정하게 고정된 것은 개방용기의 갯수에 의하여 공급량을 조정하도록 하거나 삼림향 공급수단의 삼림향 방출구인 개방용기의 입구 크기가 가변되어 공급량을 조정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삼림향 공급수단은 액상의 삼림향을 담아 공급하는 반밀폐용기와; 상기 반밀폐용기로 부터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액상의 삼림향을 공급하는 모세공급관과; 상기 모세공급관에 의해 공급된 삼림향을 증발시켜 급기덕트에 공급하는 증발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삼림향 공급수단은 액상의 삼림향을 담아 공급하는 반밀폐용기와; 상기 반밀폐용기로 부터 액상의 삼림향을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에 의해 공급된 삼림향을 급기덕트에 분사시켜 공급하는 분사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개략 구성도로서 하나 이상의 실내에 구비되는 배기구(11)와 연결되며 배기팬(13)을 포함하는 배기덕트(10), 하나 이상의 실내에 구비되는 급기구(21)와 연결되며 급기팬(23)을 포함하는 급기덕트(20) 및 배기열을 급기덕트(20)로 교환 회수하는 전열교환기(30)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열교환기(30)로 부터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덕트(20)의 소정위치에 삼림향 공급수단(40)이 부가 설치된 것이다.
본 고안의 가동시에는 상기 급기덕트(20)를 통하여 각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 중에 상기 삼림향 공급수단(40)에 의하여 삼림향이 혼합되어 각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요부 구성도로서 상온에서 액상의 삼림향이 스스로 기화하여 공급되도록 하는 기화형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상온에서 자연 기화하는 액상의 삼림향을 삼림향 공급수단(40)에 의해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삼림향 공급수단(40)은 개방용기(41)에 액상의 삼림향을 담아 공급하되 상기 삼림향의 필요 공간 체적에 비례하여 공급량을 조정 가능하도록 한 공급량 조정수단을 구비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삼림향 공급수단의 구성도이다.
상기 삼림향 공급수단(40)에 있어 공급량 조정수단은 삼림향 방출구인 개방용기(41)의 입구 크기가 일정하게 고정된 것으로서 공급량 조정은 개방용기(41)의 갯수에 의하여 조정하도록 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림향 공급수단의 구성도이다.
상기 공급량 조정수단은 삼림향 공급수단(40)의 삼림향 방출구인 개방용기(41)의 입구 크기가 가변되어 공급량을 조정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공급량 조정수단은 필요에 따라 또는 설치공간에 따라 용기의 모양과 크기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적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요부 구성도로서 상온에서 액상의 삼림향이 스스로 기화되기 어려운 형태일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별도의 증발기(44)를 부가 설치한 증발형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삼림향 공급수단 구성도로서 상기 삼림향 공급수단(40)은 액상의 삼림향을 담아 공급하는 반밀폐용기(42)와; 상기 반밀폐용기(42)로 부터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액상의 삼림향을 공급하는 모세공급관(43)과; 상기 모세공급관(43)에 의해 공급된 삼림향을 증발시켜 급기덕트(20)에 공급하는 증발기(44)로 구성된 것이다.
상온에서 기화됨이 용이하지 못한 액상의 삼림향을 반 밀폐용기(42)에 담고 이를 모세공급관(43)을 통하여 증발기(44)에 공급하여 급기덕트(20)의 내부에서 증발시켜 공급되는 공기와 섞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모세공급관(43)은 액상의 삼림향이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상기 증발기(44)에 의하여 증발된 량만큼 지속적으로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증발형의 경우 반밀폐용기(42)는 급기덕트(20)의 내측에 위치시킬 필요는 없으므로 설치가능한 장소에 비치되도록 하되 상기 증발기(44)는 반드시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23)의 후측 급기덕트(20)내에 설치하여 토출 공급되는 공기가 액상의 삼림향을 증발시켜 공기와 함께 실내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증발기(44)의 모양은 여러가지 형태로 가능하나 반드시 반 밀폐용기(42)와 증발기(44)의 사이에 모세공급관(43)의 모세관현상에 의해 액상의 삼림향이 적정량씩 공급되어 증발되도록 한다.
또한 증발기(44)에 공급된 액상 삼림향의 급기되는 공기의 풍속과 풍량에 의거 증발하여 실내로 공급되도록 하되, 공급량의 조정은 증발기의 면적을 조정하여 단위시간당 증발량을 산정하여 일정기간(예를 들면 30일 혹은 60일)동안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증발기(44)는 액상의 물질이 잘 증발될 수 있도록 망사와 같은 통기 구멍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여 급기덕트(20)의 내부에 장착한다.
상기 증발기(44)의 재질과 형태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송풍량에 따라 바람직한 구조로 형성하되 반드시 급기덕트(20)의 내부에만 설치되면 족하다.
도 7은 본 고안 또다른 실시예의 요부 구성도로서 상온에서 액상의 삼림향이 스스로 기화되지 못하는 형태일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별도의 분사기(46)를 부가 설치한 분사형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상기 분사형 시스템의 삼림향 공급수단 구성도로서 상기 삼림향 공급수단(40)은 액상의 삼림향을 담아 공급하는 반밀폐용기(42)와; 상기 반밀폐용기(42)로 부터 액상의 삼림향을 공급하는 공급관(45)과; 상기 공급관(45)에 의해 공급된 삼림향을 급기덕트(20)에 분사시켜 공급하는 분사기(46)로 구성된다.
상온에서 기화되지 않는 액상의 삼림향을 반 밀폐용기(42)에 담고 이를 공급관(45)을 통하여 분사기(46)에 공급하여 급기덕트(20)의 내부에서 강제적으로 분사시켜 미세입자형태로 공기와 섞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급관(45)은 액상의 삼림향이 상기 분사기(46)에 의하여 분사된 량만큼 지속적으로 공급이 되도록 한다.
상기 분사형의 경우 반밀폐용기(42)는 급기덕트(20)의 내측에 위치시킬 필요는 없으므로 설치가능한 장소에 비치되도록 하되 상기 분사기(46)는 반드시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팬(23)의 후측 급기덕트(20)내에 설치하여 토출 공급되는 공기가 액상의 삼림향을 증발시켜 공기와 함께 실내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분사기(46)는 액체를 미립화시켜 공기중에 분사시키는 통사의 분사기 구조이며, 별도의 압력펌프(47)에 의해 반밀폐용기(42)로 부터 액상의 삼림향을 가압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분사기(46)는 여러가지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또한 분사기(46)에 공급된 액상 삼림향의 급기되는 공기의 풍속과 풍량에 의거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에 섞여 실내로 공급된다.
상기 분사형에서 실내로 공급되는 삼림향 공급량의 조정은 분사기(46)의 분사횟수를 조정하여 단위시간당 분사량을 산정하여 일정기간(예를 들면 30일 혹은 60일)동안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삼림향 공급량 조정을 위한 분사회수 제어는 설정된 소정의 주기마다 분사기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압력펌프(47)의 가동을 제어하는 통상적인 기술에 의해서 조정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급기덕트(20)을 통하여 각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중에 지속적으로 삼림향을 혼합시켜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실내를 숲속의 향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은, 배기 및 급기작용에 따른 환기기능으로 주거공간의 공기를 쾌적하게 조성함은 물론이고, 여기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삼림향을 부가하여 주거공간을 마치 숲이 우거진 숲 속의 공기상태와 동일한 상태로 변화시켜 줌으로써 실내공기의 질을 향상시켜 항상 상쾌한 분위기 속에서 주거생활을 영위하도록 하여 생활의 활력을 주는 것으로 주거환경에 새로운 변화를 주는 매우 유용한 기술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요부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삼림향 공급수단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삼림향 공급수단의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요부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삼림향 공급수단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의 삼림향 공급수단 구성도.
도 9는 종래의 환기시스템 개략 구성도.
도 10은 종래의 다른 환기시스템 개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 고안에 따른 기압조정 환기시스템
3 : 개별 환기시스템
10: 배기덕트 11: 배기구
13: 배기팬
20: 급기덕트 21: 급기구
23: 급기팬
30: 전열교환기
40: 삼림향 공급수단 41: 개방용기
42: 반밀폐용기 43: 모세공급관
44: 증발기 45: 공급관
46: 분사기 47: 압력펌프

Claims (6)

  1. 하나 이상의 실내에 구비되는 배기구(11)와 연결되며 배기팬(13)을 포함하는 배기덕트(10), 하나 이상의 실내에 구비되는 급기구(21)와 연결되며 급기팬(23)을 포함하는 급기덕트(20) 및 배기열을 급기덕트로 교환 회수하는 전열교환기(30)를 포함하는 환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열교환기(30)의 급기팬이 위치한 급기부분 내에 혹은 그 곳으로 부터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덕트(20)의 소정위치에 삼림향 공급수단(40)이 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림향 공급수단(40)은 개방용기(41)에 상온에서 기화하는 액상의 삼림향을 담아 공급하되 상기 삼림향의 필요 공간 체적에 비례하여 공급량을 조정 가능한 공급량 조정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량 조정수단은 삼림향 공급수단(40)의 삼림향 방출구인 개방용기(41)입구의 크기가 일정하게 고정된 것으로서 개방용기(41)의 갯수에 의하여 공급량을 조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량 조정수단은 삼림향 공급수단(40)의 삼림향 방출구인 개방용기(41)의 입구 크기가 가변되어 공급량을 조정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림향 공급수단(40)은
    액상의 삼림향을 담아 공급하는 반밀폐용기(42)와;
    상기 반밀폐용기(42)로 부터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액상의 삼림향을 공급하는 모세공급관(43)과;
    상기 모세공급관(43)에 의해 공급된 삼림향을 증발시켜 급기덕트(20)에 공급하는 증발기(4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림향 공급수단(40)은
    액상의 삼림향을 담아 공급하는 반밀폐용기(42)와;
    상기 반밀폐용기(42)로 부터 액상의 삼림향을 공급하는 공급관(45)과;
    상기 공급관(45)에 의해 공급된 삼림향을 급기덕트(20)에 분사시켜 공급하는 분사기(4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KR20-2005-0019587U 2005-07-06 2005-07-06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KR200395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87U KR200395939Y1 (ko) 2005-07-06 2005-07-06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587U KR200395939Y1 (ko) 2005-07-06 2005-07-06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531A Division KR100650595B1 (ko) 2005-07-06 2005-07-06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939Y1 true KR200395939Y1 (ko) 2005-09-14

Family

ID=4369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587U KR200395939Y1 (ko) 2005-07-06 2005-07-06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9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595B1 (ko)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JPH01302047A (ja) 香り供給方法および香り供給装置
JP2005500505A (ja) 空気流中に蒸気を分配するための装置
JP2022143985A (ja) 恒温庫および保温材が装着された被服の初期化方法
ES2275425B2 (es) Dispositivo neumatico para la produccion de un aerosol esterilizado mediante vaporizacion parcial.
KR100776268B1 (ko) 증발 개폐식 향 공급장치
KR200395939Y1 (ko) 삼림향을 부가한 실내 환기시스템
JP2586952B2 (ja) 香り供給装置
KR20200011724A (ko) 바이오필터가 내장된 공기조화장치
JP3154192U (ja) 次亜塩素酸水を使用した除菌消臭超音波加湿器
JPH03236531A (ja) 芳香発生装置の香料噴霧制御方法
KR20120111258A (ko) 휘산기
KR200245350Y1 (ko) 향발산장치를 구비한 선풍기
KR200261390Y1 (ko) 기화용 흡습패드를 이용한 다기능 공기 조화기
JP2003227635A (ja) 加湿器の構造
JPH0399670A (ja) 香り供給装置
JPH0543801Y2 (ko)
JPH02302534A (ja) 香り供給方法および香り供給装置
JP5462707B2 (ja) 加湿器
KR200186521Y1 (ko) 공조 덕트를 이용한 방향 시스템 설치구조
JPH0686948B2 (ja) 香り供給装置
KR200361400Y1 (ko) 산소 발생 가습장치
JPH0573424U (ja) 香り発生装置
JPH0628107Y2 (ja) 芳香発生装置
JPH09285226A (ja) 風を利用したハウス内の総合的環境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