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589Y1 -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589Y1
KR200395589Y1 KR20-2005-0018161U KR20050018161U KR200395589Y1 KR 200395589 Y1 KR200395589 Y1 KR 200395589Y1 KR 20050018161 U KR20050018161 U KR 20050018161U KR 200395589 Y1 KR200395589 Y1 KR 200395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ombustion chamber
oil
combustion
f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맹록
Original Assignee
미진식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진식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진식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8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5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5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4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heated with burners
    • A47J37/1247Details of the burners; Details of the channels for guiding the combustion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2Deep fat fryers, e.g. for frying fish or chips
    • A47J37/1276Constructional details
    • A47J37/1285Valves or arrangements to drain used oil or food particles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frying vess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42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oodstuf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튀김용 기름의 가열시 연소열과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열을 회수하여 단시간에 가열시킴과 동시에 냉각수를 예열시키는 에너지원을 사용함으로써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저부에 버너(14)가 구비되고, 내주면에 연소열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보온재와 단열재로 적층된 원통형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내측벽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제2분할판(27)이 형성되되 상측이 서로 연통되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된 연소실(20)과; 상기 연소실(20)의 내부에 상기 버너(14)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반사시켜 하측으로 유도하는 반사부재(30)와; 상기 연소실(20)의 내부에 다수개의 고정대(46)에 의해 고정되고, 기름투입부(42)를 통해 투입되는 기름을 순환시켜 기름배출부(44)로 배출시키는 순환관(40)과; 상기 연소실(20)의 하측에 형성된 연소열배출구(28)에 연결되어 냉수를 예열시키는 냉수예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HEAT EXCHANGER OF MANY PURPOSES FOR FRYING}
본 고안은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튀김용 기름의 가열시 연소열과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열을 회수하여 단시간에 가열시킴과 동시에 냉각수를 예열시키는 에너지원을 사용함으로써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자를 튀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유탕기는 튀김솥 내측으로 튀김물을 걸러 원심분리기내로 공급하는 거름망과, 그 상부로 튀김을 휘저어 주는 회전체와, 상기 튀김솥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버너로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는 것으로, 이는 통상 튀김솥으로 일정량의 튀김용 기름을 넣어 가열버너로 충분히 가열한 다음 성형된 과자를 투입시켜 회전체로 튀김물을 회전시키면서 튀김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탕기는 상기 튀김솥에 가열버너의 열을 직접 가하여 그 내의 기름을 가열케 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열이 직접 가해지는 튀김솥의 하단부 즉 열전달부위가 필요이상으로 가열됨으로써 튀김솥 내의 상부 기름과 하부기름(열이 가해지는 열전달부위 측의 기름)의 온도 차가 심하게 발생하게 되어 튀김솥내의 기름을 항상 일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없었다.
또한, 상기 튀김솥의 가열면적이 작아 기름의 가열시 장시간의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이로 인한 작업의 효율성 저하는 물론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는 폐단이 있었다.
도4는 종래의 튀김장치용 열교환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9933호(2004.08.16, 고안의 명칭: 과자 및 스넥류 튀김장치용 열교환기)를 보면, 양측부로 가열버너(101)와 배기부(102)가 일체 구성된 열교환기(100) 내측으로 가열실(110)을 마련한 다음 상기 가열실(110) 내주연에 양측으로 기름투입부(121)와 기름배출부(122)가 마련된 가열관(120)을 스크류형상으로 구성하여 다수개의 고정대(130)로 삽섭하되, 상기 열교환기(100) 내주연로는 각각 보온재와 세라믹재질의 단열재를 적층시켜 구성된 과자 및 스넥류 튀김장치용 열교환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열교환기는 기름이 투입되어 순환되는 가열관과 연소열의 접촉면적이 적어 연소열을 효율적으로 회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가열시간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어 효율이 저하되고, 연소실을 경유한 열을 그대로 배출시킴으로써 연소열의 낭비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튀김용 기름의 가열시 연소열과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열을 회수하여 단시간에 가열시킴과 동시에 배출되는 폐열을 냉각수를 예열시키는 에너지원을 사용함으로써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연소실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기름의 가열을 보다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열의 이동방향을 유도하여 열손실을 방지함으로써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저부에 버너가 구비되고, 내주면에 연소열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보온재와 단열재로 적층된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내측벽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분할판이 형성되되 상측이 서로 연통되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된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내부에 상기 버너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반사시켜 하측으로 유도하는 반사부재와; 상기 연소실의 내부에 다수개의 고정대에 의해 고정되고, 기름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기름을 순환시켜 기름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순환관과; 상기 연소실의 하측에 형성된 연소열배출구에 연결되고,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냉수유입부로 유입되는 냉수를 예열시키는 냉수예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와 연소실의 상부에 각각 구비된 덮개의 중앙부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열배출공이 형성되고, 외주연은 상기 본체와 연소실의 상부에 조임볼트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며, 상기 열배출공에는 연소실 내부의 연소열을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안전핀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본체의 저부에는 상기 연소실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개폐밸브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소실의 온도와 압력을 체크하도록 연소체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순환관은 하측에 기름투입부와 기름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름투입부로 투입되는 기름이 상기 분할판의 외주면을 따라 상부로 순환된 다음 상기 분할판의 내주면을 따라 하부로 순환되어 상기 기름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이중 스크류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순환관은 하측에 기름투입부와 기름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름투입부로 투입되는 기름이 상기 분할판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서 상,하부로 복수번 순환되어 상기 기름배출부로 배출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번 굴곡된 이중 웨이브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는 저부에 버너(14)가 구비되고 내주면에 연소열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보온재와 질석재질의 단열재로 적층된 원통형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상기 버너(14)로부터 연소되는 열이 순환되는 연소실(20)과, 상기 연소실(20)의 내부에 상기 버너(14)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반사시켜 하측으로 유도하는 반사부재(30)와, 상기 연소실(20)의 내부에 다수개의 고정대(46)에 의해 고정되는 순환관(40)과, 상기 연소실(20)의 하측에 형성된 연소열배출구(28)에 연결되는 냉수예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소실(2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내측벽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제1분할판(26)으로 측벽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분할판(26)의 내측으로 제2분할판(27)이 형성되되 상측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분할판(27)의 내측과 외측을 상기 순환관(40)이 통과하게 된다.
즉, 상기 순환관(40)은 상기 제2분할판(27)의 내측과 외측을 통과함과 동시에 상기 연소실(20)의 내부에 순환되는 연소열을 용이하게 회수하도록 이중 스크류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관(40)의 기름투입부(42)를 통해 투입되는 기름은 상기 제2분할판(27)의 외주면을 따라 상부로 순환되어진 후 제2분할판(27)의 내주면을 따라 하부로 순환되어 기름배출부(44)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름의 투입 및 배출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2분할판(27)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순환시키거나 제2분할판(27)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순환시킬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서, 여기서는 상기 기름투입부(42)가 제2분할판(27)의 외측에 연결되고 상기 기름배출부(44)가 제2분할판(27)의 내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반사부재(30)는 상기 연소실(20)의 중앙부 및 상부에 각각 구비하여 상기 버너(14)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연소실(20)의 내부에서 순환되는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열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소실(20)의 내부에서 순환되어진 연소열은 연소열배출구(28)를 통해 외부에 구비된 연소열배출통(29)으로 배출되어 지고, 이때 상기 연소열배출통(29)에는 배출되는 폐열을 회수하여 냉수유입부(52)를 통해 투입되는 냉수를 가열시켜 온수로 사용하도록 냉수예열부(50)가 구비되며, 상기 냉수예열부(50)에서 가열된 온수는 온수배출부(54)를 통해 적당한 용도로 사용하면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와 연소실(20)의 상부에는 각각 보온덮개(12)와 연소실덮개(22)가 구비되되, 상기 보온덮개(12)와 연소실덮개(22)의 중앙부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비상연소배출구(24)이 형성되고, 외주연은 상기 본체(10)와 연소실(20)의 상부에 조임볼트(60)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결합 고정되게 하여 고장이나 수리 및 청소시 분리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비상연소배출구(24)에는 연소실(20) 내부의 불연소로 인하여 가스누출등의 비상시를 대비하도록 안전핀(25)이 구비되어 상기 연소실(2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화재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저부에는 연소장치의 내부를 청소하는 경우 상기 연소실(20)의 이물질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도록 개폐밸브(16)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소실(20)의 온도와 압력을 체크하도록 연소체크부(18)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순환관이 사시도이다.
상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관(40)은 하측에 기름투입부(42)와 기름배출부(44)가 형성되고, 상기 기름투입부(42)로 투입되는 기름이 상기 제2분할판(27)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서 상,하부로 복수번 순환되어 상기 기름배출부(44)로 배출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번 굴곡된 이중 웨이브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본체(10)의 저부에 구비된 버너(14)를 동작시켜 연소실(2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킨 후, 순환관(40)의 기름유입부(42)의 밸브(미도시)를 열어 기름이 투입되도록 한다.
상기 기름유입부(42)를 통해 투입되는 기름은 제2분할판(27)의 외주면에 구비된 순환관(40)을 따라 상측으로 순환된 후 제2분할판(27)의 내주면에 구비된 순환관(40)을 따라 다시 하측으로 순환되어진 다음 기름배출부(4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이때, 상기 순환관(40)은 제2분할판(27)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따라 이중 스크류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연소열과의 증대된 접촉면적으로 단시간에 가열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버너(14)로부터 발산되는 열은 연소실(20)의 내부에 구비된 반사부재(30)에 의해 반사되어 하측으로 유도됨으로써 연소열의 순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실(20)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소실(20)의 내부온도가 일정 이상으로 높아지게 되거나 불연소 되는 경우에는 비상연소배출구(24)에 구비된 안전핀(25)이 작동하여 비상연소배출구(24)을 개방함으로써 연소실(20)의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과 더불어 가스나 분진등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연소실(20)의 연소열배출구(2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냉수를 가열시켜 온수로 사용함으로써 에너지를 낭비함과 동시에 연소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튀김용 기름의 가열시 연소열과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열을 회수하여 단시간에 가열시킴과 동시에 배출되는 폐열을 냉각수를 예열시키는 에너지원을 사용함으로써 열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연소실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기름의 가열을 보다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열의 이동방향을 유도하여 열손실을 방지함으로써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의 측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순환관의 사시도,
도4는 종래의 튀김장치용 열교환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보온덮개
14: 버너 16: 개폐밸브
18: 연소체크부 20: 연소실
22: 연소실덮개 24: 비상연소배출구
25: 안전핀 26: 제1분할판
27: 제2분할판 28: 연소열배출구
29: 연소열배출통 30: 반사부재
40: 순환관 42: 기름투입부
44: 기름배출부 46: 고정대
50: 냉수예열부 52: 냉수유입부
54: 온수배출부 60: 조임볼트

Claims (5)

  1. 저부에 버너(14)가 구비되고, 내주면에 연소열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보온재와 단열재로 적층된 원통형상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고, 내부에 내측벽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제2분할판(27)이 형성되되 상측이 서로 연통되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된 연소실(20)과;
    상기 연소실(20)의 내부에 상기 버너(14)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반사시켜 하측으로 유도하는 반사부재(30)와;
    상기 연소실(20)의 내부에 다수개의 고정대(46)에 의해 고정되고, 기름투입부(42)를 통해 투입되는 기름을 순환시켜 기름배출부(44)로 배출시키는 순환관(40)과;
    상기 연소실(20)의 하측에 형성된 연소열배출구(28)에 연결되고,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냉수유입부(52)로 유입되는 냉수를 예열시키는 냉수예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연소실(20)의 상부에 각각 구비된 보온덮개(12)와 연소실덮개(22)의 중앙부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비상연소배출구(24)가 형성되고, 외주연은 상기 본체(10)와 연소실(20)의 상부에 조임볼트(60)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며,
    상기 비상연소배출구(24)에는 연소실(20) 내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안전핀(2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저부에는 상기 연소실(20)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개폐밸브(16)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소실(20)의 온도와 압력을 체크하도록 연소체크부(18)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40)은 하측에 기름투입부(42)와 기름배출부(44)가 형성되고, 상기 기름투입부(42)로 투입되는 기름이 상기 제2분할판(27)의 외주면을 따라 상부로 순환된 다음 상기 제2분할판(27)의 내주면을 따라 하부로 순환되어 상기 기름배출부(44)로 배출되도록 이중 스크류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40)은 하측에 기름투입부(42)와 기름배출부(44)가 형성되고, 상기 기름투입부(42)로 투입되는 기름이 상기 제2분할판(27)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서 상,하부로 복수번 순환되어 상기 기름배출부(44)로 배출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복수번 굴곡된 이중 웨이브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
KR20-2005-0018161U 2005-06-23 2005-06-23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 KR2003955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161U KR200395589Y1 (ko) 2005-06-23 2005-06-23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161U KR200395589Y1 (ko) 2005-06-23 2005-06-23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589Y1 true KR200395589Y1 (ko) 2005-09-13

Family

ID=4369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161U KR200395589Y1 (ko) 2005-06-23 2005-06-23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5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344A (ko)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조리용 오일 가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344A (ko)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조리용 오일 가열장치
KR102479712B1 (ko) * 2021-04-27 2022-12-21 주식회사대한기계 식품조리용 오일 가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5589Y1 (ko) 튀김용 다용도 열교환기
KR20060110726A (ko) 회전식 연탄보일러
KR100436826B1 (ko) 튀김기용 열교환기
KR100982908B1 (ko) 가스 튀김기
KR20110080431A (ko) 펠렛 보일러
KR100699446B1 (ko) 다목적 폐열 회수기
KR200406499Y1 (ko) 폐유를 이용한 보일러장치
CN208579357U (zh) 一种燃气灶热能再利用加热杯装置
KR100526176B1 (ko) 반전연소 무압관수식 온수 보일러
KR102072694B1 (ko) 열교환 모듈을 포함하는 콤비 오븐
KR200333251Y1 (ko) 온수 보일러
KR870001688Y1 (ko) 온수 보일러
KR200412325Y1 (ko) 보일러
CN108613228A (zh) 一种燃气灶热能再利用加热杯装置
US20100236421A1 (en) Fuel saving food cooker and water heater arrangement
KR200320168Y1 (ko) 보일러용 폐열 회수장치
KR200379455Y1 (ko) 조리용 솥
KR100737684B1 (ko) 튀김기의 버너구조
KR200435897Y1 (ko) 반전연소 무압관수식 온수 보일러의 팽창탱크 내부에 형성되는 열 교환기 구조
KR200327910Y1 (ko) 연탄보일러용에어스쿠프구조
KR200348329Y1 (ko) 반전연소 무압관수식 온수 보일러
KR200339300Y1 (ko) 간접열에 의해 용수가 보온되는 구조의 유대가마
KR20050081912A (ko) 가정용 연탄 보일러
KR20050080096A (ko) 가정용 연탄보일러
KR200359575Y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