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688Y1 - 온수 보일러 - Google Patents

온수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688Y1
KR870001688Y1 KR2019840009710U KR840009710U KR870001688Y1 KR 870001688 Y1 KR870001688 Y1 KR 870001688Y1 KR 2019840009710 U KR2019840009710 U KR 2019840009710U KR 840009710 U KR840009710 U KR 840009710U KR 870001688 Y1 KR870001688 Y1 KR 870001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eating
water tank
pip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9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109U (ko
Inventor
강영부
Original Assignee
강영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부 filed Critical 강영부
Priority to KR2019840009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688Y1/ko
Publication of KR8600051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1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6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6/00Combined water and ai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2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수 보일러
제 1 도는 본 고안의 따른 온수 보일러의 일부 절결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2차 가온용 나선관의 부분 확대절결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우측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좌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일러본체 2 : 가온수조
3 : 급탕온수관 4 : 2차가온용나선관
5 : 연소실 6 : 송풍모우터
7 : 온풍장치 8 : 난방토출구
9 : 기포토출구
본 고안의 기름 또는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수가 2중으로 가온되게 됨과 더불어 급탕온수관과 열풍장치도 함께 설치해 놓음으로써 온수순환난방과 온풍난방 및 급탕용은 수공급을 겸하도록 한 다목적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온수보일러는 일반적으로 연소실 주위에 가온수조가 배치되어 난방용수나 급수가 함께 가온되도록 되어 있어서, 종래의 온수보일러는 물이 연소실의 복사열에 의해 1차적으로만 가열되기 때문에 열효율이 좋지 못하였고, 또 수조의 온수를 난방용과 급탕 및 급수용으로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수조의 온수가 급수용으로 너무 많이 사용되게 되면 수조 내의 물 온도가 급격히 변화되기 때문에 수조의 물 온도를 항상 높은 온도로 유지해 주기가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수조의 물을 가온시켜 주는데 더 많은 연료가 소모된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수조에 넣어져 있는 물의 급격한 온도변화(특히 간헐적인 냉수상태)에 따라 보일러 연소실에서 연료가 불완전 연소되어 연료 효율에도 나쁜 영향이 끼칠 뿐만 아니라, 불완전 연소로 인한 그울음이 많이 생겨 이것이 연소기와 수조외벽 등에 부착되어 열효율을 저하시키게 됨은 물론 이를 자주 청소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보일러 가동을 자주 중단시켜야 하는 등 많은 결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결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종래 온수보일러와 같이 보일러 주위에다 수조를 배치하여 1차적으로 가온시킨 온수를 상기 수조 내부에다 급탕온수관이 그 내부에 끼워 배치된 2중관을 나선스프링 모양으로 형성시켜 배치해 놓은 나선관 내부를 통과시켜 2차로 가온시켜 줌으로써, 난방용 온수의 순환속도를 빨라지게 함과 더불어 나선관 내부에 끼워진 급탕 온수관에 의해서 급수용 온수를 상기 2차 가온용 나선관의 온수에 의해서 급탕 가온시켜 사용하게 되므로서 수조내의 온수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난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됨으로 물론 그로 말미암아 연소실 주위 온도에 급속한 온도변화가 없이 연소효율도 개선되도록 한 온수보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부가적으로 보일러 내부에 공기가온 장치를 내장시켜 열풍난방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보일러 본체(1) 내부에 가온수조(2)와 이 가온수조(2)의 안쪽 그 하단에 접촉 연결되어 급탕온수관(3)이 내부에 배치된 이중관을 나선스프링 형태로 형성시킨 2차 가온용나선관(4) 및 상기 2차 가온용나선관(4)의 안쪽 연소실(5)에 배치되어 송풍모우터(6)와 연결되어 있는 온풍장치(7) 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2차 가온용나선관(4)의 난방토출구(8)에는 상기 가온수조(2)와 연통되는 기포토출구(9)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와 3"는 급탕온수관의 입구과 출구, 10은 난방환수구, 11은 공기주 입구, 12는 드레인관의 접속부, 13은 자동온도 조절타이머, 14는 뚜껑, 15는 연결부, 16은 연소기, 17은 연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 본 구성은 보일려 본체(1) 내부에서 물을 이중으로 가열시키기 위하여 가온수조(2)와 2차 가온용나선관(4)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가온수조(2) 안쪽 하단에서 연결되어 있는 상기 2차 가온용나선관(4)의 내부에 급탕온수관(3)이 동심적으로 장착되어 이중 나선관 형태로 되어 있어서, 상기 2차 가온용나선관(4) 내부에 있는 가열온수에 의해서 급탕온수관(3)의 입구(3')로 들어간 물이 대워져서 급탕온수관(3)의 출구(3") 쪽으로 토출되게 하므로서 급탕용의 온수를 종래와 같이 난방용의 가온수조(2)에서 뽑아 사용하지 않게 되어 상기 가온수조(2)의 온수 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급탕온수관(3)의 입구(3')를 수도꼭지나 물 저장탱크로부터 바로 연결하여 상기 2차 가온용나선관(4)의 온수에 의해 가열되도록 하므로서 순간 가열방식에 의해 급탕온수관(3)의 출구(3")로 빼쓸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온수조(2)에서 연소실(5)의 연소열에 의해 1차로 데워진 온수는 2차 가온용나선관(4) 쪽으로 유입되어 재차 가열되어지게 되는 바, 즉 상기 가온수조(2)에서 1차 예열된 온수가 2차 가온용나선관(4)에서 가열되면 대류 현상에 의해 난방 토출구(8) 쪽으로의 이동이 일어나고 그에 따라 가온수조(2) 내에 있던 예열된 온수가 다시 2차 가온용나선관(4)으로 주입되게 된다. 이때 2차 가온용나선관(4)의 온수는 상기 연소실(5)에 직접 접하여 재 가열되면서 상기 2차 가온용나선관(4)을 따라 위로 올라가 난방토출구(8)를 통하여 빠져나간 다음 난방순환로를 거쳐 다시 난방환수구(10)쪽으로 귀환되어 상기 가온수조(2)에 차 있는 온수와 함께 합해져 1차로 예열되는 식의 순환을 박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일러 본체(1) 내부의 가온수조(2)에서 온수가 고온으로 가열될 때 기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들 기포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온수조(2) 상단을 통과하는 2차 가온용나선관(4)의 난방토출구(8) 쪽에 형성시킨 기포토출구(9)를 통하여 상기 난방토출구(8) 쪽으로 방출되어 2차 가온용나선관(4)의 온수와 함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난방장치로 빠져 나가게 되므로, 상기 보일려 본체(1)의 가온수조(2)에서 생성된 수증기로 말미암은 과중한 압력발생을 특별한 스팀 방출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보일려 본체(1)의 가온수조(2)에서 생성된 기포를 자동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자동에어밸브나 압력밸브 등을 장착하지 않고서도 증기로 인해 야기되는 보일려 본체(1)의 가온수조(2)에 과중한 압력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온수조(2) 상단에서 2차 가온용나선관(4)의 난방토출구(8) 쪽에서 형성된 기포토출구(9)로 빠져 나가는 기포와 다소의 고온수는 함께 순환하게 되나, 상기 기포토출구(9)의 직경을 상기 가온수조(2)에 생성되는 기포가 빠져나갈 수 있는 크기로 형성시켜 주면 극소량의 고온수만이 상기 기포와 함께 가온수조(2)에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기포토출구(9) 쪽으로 기포와 함께 빠져 나간 고온수는 2차 가온용나선관(4)의 온수 온도와 비슷한 높은 온도가 되므로 온수순환 방식에는 아무럭 장액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은 상기 가온수조(2)에서 발생한 기포, 즉 증기압력의 위험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가 있게 되고, 또 2차 가온용나선관(4)에서는 가온수조(2)에서 일단가온 되어져 있는 상태의 온수를 재차 가열시켜 주게 되므로서 순환이 보다 신속히 이루어지게 되어 보일려 전체의 온수순환이 더욱 빨라지게 된다.
이려한 온수순환이 빨라지게 되는 결과로 말미암아 온수의 온도차를 최대한으로 줄여줄 수가 있기 때문에 보일려의 열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12는 가온수조(2)에 물을 채우고 빼는 드레인관의 접속부이다.
또한 본 고안은 연소실(5)에서 발생된 열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보일려 본체(1) 내부에 온풍장치(7)를 조립식으로 연소실(5)에다 장착시켜 놓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열풍이 링요하지 않을 때에는 이 온풍장치(7)의 일부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모우터(6)를 돌려 온풍장치(7)를 이용할 때에는 보일려의 내부 온도가 자연히 떨어지게 되는데, 그 온도가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공기주 입구(11)에 연결된 송풍모우터(6)가 자동온도 조절타이머(13)에 의해 구동이 중지되어 연소실(5) 내부에 있는 온풍장치(7)로의 외부의 온도가 낮은 공기의 공급을 중단시켜 주는 한편, 상기 연소실(5)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의 정상온도가 되면 자동온도 조절타이머(13)의 작동에 의해 송풍모우터(6)를 구동시켜 온풍장치(7)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일려 본체(1) 상부에 설치된 온풍장치(7)의 뚜껑(14)을 열고 온풍장치(7)와 이 온풍장치(7)를 제거한 뒤 보일려 내부를 청소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온풍장치(7)가 링요하지 않을 때에는 연결부(15)를 풀어서 보일려 본체(1) 내부에서 분리하고 화덕 등을 설치하여 고체연료인 연탄과 같은 연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를고 연소기(16)에서 연소된 연소가스는 공지의 장치인 연통(17)을 통하여 보일려 본체(1)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1차적으로 가온시킨 온수를 급탕온수관(3)이 그 내부에 끼워 배치된 2중관을 나선스프링 모양으로 형성시켜 배치해 놓은 2차 가온용나선관(4)을 통과시켜 재차가열 시킴과 더불어 상기 가온용나선관(4)에 끼워진 급탕온수관(3)에 의해서 급탕용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연소실(5)의 폐열을 이용하여 온풍장치(7)를 이용할 수 있고, 또 보일려를 장기간 사용하게 될 때 온풍장치(7)의 뚜껑(14)을 열고 보일려 본체(1)의 연소실에 달라붙은 그을음 등을 제거하여 항시 높은 열효율을 유지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Claims (1)

  1. 연소실 주위에 가온수조가 배치되어 구성된 온수 보일려에 있어서,
    상기 가온수조(2)의 안쪽 하단에 접속 연결되어 급탕온수관(3)의 내부에 배치된 이중관을 나선형태로 형성시킨 2차 가온용나선관(4)과, 상기 2차 가온용나선관(4)의 안쪽 연소실(5)에 배치되어 있는 송풍모우터(6)에 연결된 온풍장치(7)로 이루어지되, 상기 2차 가온용나선관(4)의 난방토출구(8)에는 상기 가온수조(2)와 연통되는 기포토출구(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보일려.
KR2019840009710U 1984-10-04 1984-10-04 온수 보일러 KR870001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9710U KR870001688Y1 (ko) 1984-10-04 1984-10-04 온수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9710U KR870001688Y1 (ko) 1984-10-04 1984-10-04 온수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109U KR860005109U (ko) 1986-05-10
KR870001688Y1 true KR870001688Y1 (ko) 1987-05-06

Family

ID=7016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9710U KR870001688Y1 (ko) 1984-10-04 1984-10-04 온수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6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532B1 (ko) * 2008-09-03 2010-08-17 일도바이오테크주식회사 열효율을 향상시킨 고체연료용 연소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532B1 (ko) * 2008-09-03 2010-08-17 일도바이오테크주식회사 열효율을 향상시킨 고체연료용 연소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109U (ko) 198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16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waste heat in hot water heaters
KR870001688Y1 (ko) 온수 보일러
SU1474390A1 (ru) Нагре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950006174Y1 (ko) 연탄 보일러를 개량한 난방장치
KR810002258Y1 (ko) 보일러의 식수 가온장치
SU365533A1 (ru)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KR200207399Y1 (ko) 화목보일러
RU2076284C1 (ru) Стальной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фермер"
KR960003884Y1 (ko) 저탕식 온수 보일러
KR200320168Y1 (ko) 보일러용 폐열 회수장치
KR820001710Y1 (ko) 열 순환식 온수 보일러
RU1820156C (ru)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KR200273995Y1 (ko) 다층 보일러
KR900004335Y1 (ko) 가스연소기를 이용한 가정용 온수 보일러
RU2174654C1 (ru) Отоп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с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циркуляцией теплоносителя
KR910006618Y1 (ko) 온수 보일러
JPH078981Y2 (ja) 温水器缶体
KR200205628Y1 (ko) 온수보일러
KR950004390Y1 (ko) 급탕겸용 연관식 온수보일러
KR900005594Y1 (ko) 온수보일러
KR890006767Y1 (ko) 구멍탄 보일러용 난방수 가열장치
KR900007936Y1 (ko) 굴뚝에 온수가열기가 부설된 어묵튀김솥
KR830002854Y1 (ko) 온수기 겸용 난방용 보일러
KR890005082Y1 (ko) 구공탄겸용 온수 보일러
JPS613924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