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168Y1 - 유도막대가 부착된 랩 케이스 - Google Patents

유도막대가 부착된 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168Y1
KR200395168Y1 KR20-2005-0017862U KR20050017862U KR200395168Y1 KR 200395168 Y1 KR200395168 Y1 KR 200395168Y1 KR 20050017862 U KR20050017862 U KR 20050017862U KR 200395168 Y1 KR200395168 Y1 KR 200395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
case
saw blade
guide ba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훈성
Original Assignee
남훈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훈성 filed Critical 남훈성
Priority to KR20-2005-0017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1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1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8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2583/082Details relating to container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2583/085Details relating to the cut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이나 물품의 보관시에 사용되는 랩(Wrap)을 편리하게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랩을 케이스로부터 깔끔하게 인출할 수 있고, 또한 인출된 랩을 필요한 길이로 편리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종래의 랩 케이스를 개선한 것이다.
즉 랩 케이스의 앞면에 절단 톱날과 평행하게 홈을 만들고, 그곳에 유도막대를 삽입시켜 놓아, 랩을 인출할 때 랩을 유도막대에 부착시켜 함께 잡아당기면 랩이 서로 엉겨붙지 않고 팽팽하게 인출된다. 또한 유도막대의 한쪽 끝을 칼 모양이나 톱날 모양으로 만들면 인출된 랩을 절단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Description

유도막대가 부착된 랩 케이스{Wrap case with a leading stick}
본 고안은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는 랩(Wrap)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랩을 사용할 때 랩 케이스에 부착된 유도막대를 이용하여 랩을 케이스로부터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랩은 합성수지재질의 투명필름으로서, 음식물이나 물품 등을 보관할 때 간편하게 덮어서 감쌀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제품이다.
그러나 랩은 매우 얇고 그 자체로 접착력이 있어서 손으로 당겨서 케이스로부터 인출할 때 서로 엉겨붙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랩을 인출한 후 엉겨붙은 부분을 떼거나 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더구나 폭이 넓은 랩의 경우는 그 정도가 심해 못쓰고 버리는 부분이 많아 낭비가 심하였다.
또한, 종래의 랩 케이스에는 대부분 인출된 랩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톱날이 부착되어 있는데 이것만으로는 랩의 절단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랩 케이스로부터 랩을 서로 엉겨붙지 않고 깔끔하게 인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은 그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랩 케이스의 앞면에 홈을 만들고 그곳에 유도막대를 삽입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로부터 인출된 랩을 용이하게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유도막대의 한쪽 끝을 칼날이나 톱날 모양으로 만들어 기존의 랩 케이스에 부착된 톱날과 함께 작용시켜 절단력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랩(90)을 케이스로부터 깔끔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과 인출된 랩을 쉽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먼저 랩을 케이스로부터 인출하는 부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로부터 랩(90)을 인출할 때 손으로만 잡아당기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많은 주름이 생기게 되고 따라서 랩 끼리 서로 엉겨붙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점은 유도막대(70)를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 유도막대(70)의 길이는 랩 케이스의 가로길이와 같게 하며, 모양은 원통형도 가능하나 각형으로 하는 것이 랩과의 접착면을 넓힐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고, 표면은 랩이 잘 접착되도록 매끈하게 해야한다. 이러한 유도막대는 플라스틱재질 등으로 쉽게 만들 수 있는데 랩을 잡아당길 때 심하게 구부러지지 않을 정도의 힘만 있으면 된다.
유도막대(70)가 안착 될 홈(50)은 도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앞면(20)에 절단용 톱날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홈(50)의 모양은 유도막대(70)와 같게 한다. 랩이 유도막대에 잘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홈(50)과 절단 톱날(40) 사이의 간격을 약 1 내지 2㎝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너무 넓게 하면 랩을 낭비하는 부분이 많아지고, 너무 좁게 하면 랩을 인출할 때 유도막대로부터 랩이 쉽게 이탈되게 된다.
홈(50)의 중간 부분에는 유도막대(70)를 랩과 함께 들어올릴 때 용이하도록 손가락 하나가 넉넉히 들어갈 정도의 구멍(60)을 뚫어 놓는다.
케이스로부터 인출된 랩(90)을 필요한 길이만큼 케이스에 부착된 톱날(40)을 이용하여 절단하고나면 나머지 랩(90)은 다시 케이스 안으로 말려들어가지 않고 그 고유한 접착력으로 인해 케이스의 앞면(20)에 달라붙어 있게 된다. 이때 케이스의 앞면(20)에 만들어 놓은 홈(50)에는 랩(90)이 붙지않아 홈(50)과 랩(90)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게 되고, 그곳에 유도막대(70)를 삽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랩을 케이스로부터 인출하려면 홈(5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구멍(60)에 손가락을 넣어 유도막대(70)를 랩과 함께 들어올린다. 이때 랩(90)은 그 자체의 접착력으로 인해 유도막대(70)의 매끈한 표면에 달라붙게 되고, 유도막대(70)를 랩과 함께 잡아당기면 랩(90)이 주름지거나 서로 엉겨붙지 않고, 도 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깔끔하게 인출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인출된 랩을 절단하는 부분에 대해 살펴보면, 종래에는 랩(90)을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한 후 인출된 랩을 케이스의 앞면(20)에 밀착시키면서 저면의 톱날(40)을 눌러 압박하는 동시에 인출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방법으로 절단했다. 그러나 케이스에 부착된 절단 톱날(40)은 사용자의 부상 우려 때문에 날카롭게 만들 수 없어서 이것만으로는 절단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그동안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시도들이 있었지만 지나친 제조비용 상승이나 사용상의 불편함으로 인해 실용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상기한 유도막대(70)의 한쪽 끝을 뾰족하게 칼 모양이나 톱날 모양(80)으로 만듦으로써 해결했다. 즉 유도막대(70)를 이용하여 인출된 랩(90)을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이나 물품 위에 올려놓은 뒤, 유도막대를 랩으로부터 분리해 내고, 케이스에 부착된 절단 톱날(40)을 이용해 랩을 절단하면서 유도막대(70)의 한쪽 끝에 마련된 절단 날(80)을 케이스 저면의 절단 톱날(40)과 밀착시키면서 랩(90)을 썰듯이 적용시키면 훨씬 쉽게 랩을 절단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하고난 유도막대(70)는 다시 홈(50) 속에 삽입시켜 놓으면 간편하게 보관되는 동시에 다음 사용을 위한 준비가 된다.
이상 살펴본 내용은 시중 제품에 최소한의 비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한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랩 케이스들이 종이재질로 된 1회용이지만 플라스틱재질 등으로 보다 견고하게 만들 수도 있고, 그 모양 또한 직육면체 형상뿐 아니라 원통형 등으로 다양하게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유도막대에 눈금을 새겨 놓으면 사용 후 자로 재활용할 수 있어 쓰레기로 버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랩을 케이스로부터 주름지거나 서로 엉겨붙지 않고 팽팽하게 인출할 수 있고, 인출된 랩을 훨씬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된 유도막대는 사용 후에 자로 재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케이스로부터 랩을 인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유도막대를 이용하여 랩을 인출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랩 케이스 뚜껑 20: 랩 케이스 앞면
30: 랩 케이스 옆면 40: 랩 절단 톱날
50: 유도막대를 삽입시킬 홈 60: 유도막대를 집어들기 위한 구멍
70: 유도막대 80: 랩 절단 날
90: 랩

Claims (3)

  1. 랩(90)을 케이스로부터 인출하는데 있어서, 손으로만 잡아당길 때 랩(90)이 주름지면서 서로 엉겨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랩(90)을 부착시켜 함께 잡아당기면서 랩을 팽팽하게 인출시키는 유도막대(70); 및 그 유도막대를 삽입시키기 위해 랩 케이스의 앞면(20) 중 랩의 인출구와 절단 톱날(40) 사이에 형성되는 홈(50);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홈(50)에 삽입되어 있는 유도막대(70)를 랩(90)과 함께 집어올릴 때 용이하도록 홈(50)의 중간 부분에 구멍(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인출된 랩(90)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는데 용이하도록 유도막대(70)의 한쪽 끝을 칼 모양이나 톱날 모양(80)으로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 케이스.
KR20-2005-0017862U 2005-06-21 2005-06-21 유도막대가 부착된 랩 케이스 KR200395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862U KR200395168Y1 (ko) 2005-06-21 2005-06-21 유도막대가 부착된 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862U KR200395168Y1 (ko) 2005-06-21 2005-06-21 유도막대가 부착된 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168Y1 true KR200395168Y1 (ko) 2005-09-07

Family

ID=4369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862U KR200395168Y1 (ko) 2005-06-21 2005-06-21 유도막대가 부착된 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1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063B1 (ko) * 2017-11-21 2018-12-06 이재윤 랩 절취를 위한 열선이 구비된 랩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063B1 (ko) * 2017-11-21 2018-12-06 이재윤 랩 절취를 위한 열선이 구비된 랩 케이스
WO2019103403A1 (ko) * 2017-11-21 2019-05-31 주식회사 크린랲라텍스 랩 절취를 위한 열선이 구비된 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4428B2 (en) Sheet product dispenser
JPH01267182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2006206110A (ja) ラップフィルムの格納用化粧箱
KR200395168Y1 (ko) 유도막대가 부착된 랩 케이스
US2734576A (en) Tape dispensing device
KR200398416Y1 (ko) 랩 홀더
KR200392331Y1 (ko) 포장 랩 절단장치
JP2009292508A (ja) ラップフィルム用収納箱
CN107719945B (zh) 包装袋
KR200186487Y1 (ko) 휴대용 랩 커터
JPH0734823Y2 (ja) ラップフィルムの収納ケース
CN214934720U (zh) 一种塑胶包装带
JP2002308283A (ja) ラップフィルムの格納用化粧箱
JPH0619512Y2 (ja) 収納箱入り衛生用紙
JP2003312652A (ja) 包装フィルムの収納容器
JP3008920U (ja) 財 布
KR200401737Y1 (ko) 롤형태로 권취사용되는 박막물품의 수납 및 컷팅 홀더
JP2001301760A (ja) ラップフィルム等のシート材料の収納ケース
KR101295771B1 (ko) 테이프 부착기
KR20230121392A (ko) 테이프 디스펜서
JPH0638842Y2 (ja) テープ支持枠
JP3157723U (ja) ロールティッシュボックス
JPS5937462Y2 (ja) 包装用フイルム収納容器
JPH11193170A (ja) 粘着テープホルダー
JPH1170944A (ja) 巻戻り防止用押さえ片付きラップ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