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440Y1 - 방사선조사장비의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조사장비의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440Y1
KR200394440Y1 KR20-2005-0011892U KR20050011892U KR200394440Y1 KR 200394440 Y1 KR200394440 Y1 KR 200394440Y1 KR 20050011892 U KR20050011892 U KR 20050011892U KR 200394440 Y1 KR200394440 Y1 KR 200394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stop member
guide tube
transparent tube
tub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구
Original Assignee
중앙검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검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앙검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1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4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 G01N2223/330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object fixed; source and detector mo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용접부위나 구조물의 비파괴검사 등에 사용되는 방사선조사장비의 소스가이드 튜브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소스가이드 튜브장치는 작업자가 시각을 통해 소스스탑부재 내부에 방사선소스 어셈블리가 남아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소스스탑부재와 상기 소스스탑부재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소스스탑부재 내부의 고체방사능오염물질이 상기 구멍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소스스탑부재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명관이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고체방사능오염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작업자가 소스스탑부재 내부에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피그테일이 있는지의 여부를 시각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어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방사선조사장비의 소스가이드 튜브장치{source guide tube device for a radioactive ray irradiation equipment}
본 고안은 튜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물의 비파괴검사 등에 사용되는 방사선조사장비의 소스가이드(source guide) 튜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을 이용한 비파괴검사란 방사성물질에서 나오는 X선이나 감마선 등의 방사선을 검사하고자하는 용접부위나 구조물에 투과시키고 투과된 방사선으로부터 필름이나 CRT 등에 그 상을 재생하여 피검사물의 내부결함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검사방법이다.
도 1은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방사선조사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방사선조사장비(100)는 방사선원(112)을 내장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110)와, 방사선원 어셈블리(110)를 차폐상태로 내부에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120)와, 방사선원 어셈블리(110)와 연결하여 방사선원 어셈블리(1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케이블 어셈블리(130)와, 컨테이너(120)에 연결되어 검사 시 검사대상물체의 위치까지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안내하는 소스가이드 튜브장치(140)로 이루어져 있다.
방사선원 어셈블리(110)는 이리듐-192 등의 방사성원소로 된 방사선원(112)을 캡슐에 내장하고 이를 나선이 형성된 피그테일(pig tail, 114)의 일단에 연결하고, 피그테일(114) 나머지 일단에 커넥터(connector, 116)를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120)에는 방사선원(112)의 방사선을 차폐하기 위한 방사선 차폐물질(122)이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S자 형태의 방사선원 어셈블리 보관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제어케이블 어셈블리(130)의 튜브(132) 내부와 소스가이드 튜브장치(140)의 튜브(142) 내부에는 피그테일(114)이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케이블 어셈블리(130)는 튜브(132)와 기어(134), 핸들(136)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방사선원 어셈블리(110), 컨테이너(120), 제어케이블 어셈블리(130)의 구성은 일반적인 내용이므로 여기에서 자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소스가이드 튜브장치(140)는 컨테이너(12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144)와 튜브(142)와 튜브(142) 끝단에 방사선원(112)이 수용되어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소스스탑(source stop)부재(146)가 구비된다. 이 소스스탑부재(146)는 방사선 투과시험 시 피검사대상물이 있는 위치에 놓여진다.
이러한 방사선 조사장비에서, 초기에 방사선원 어셈블리(110)는 컨테이너(120)에 내장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방사선원 어셈블리(110)의 커넥터(116)에 제어 케이블 어셈블리(130)를 연결하여 핸들(136)을 회전시키면 방사선원 어셈블리(110)는 컨테이너(120) 빠져나와 튜브(142)를 따라 소스스탑부재(146)까지 이동하여 멈추고, 그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지고, 촬영이 끝나면 핸들(136)을 처음과는 반대로 회전시켜 방사선원 어셈블리(110)를 후퇴시켜 컨테이너(120)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비파괴검사에 이용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구성은 특허 공개번호 2003-0029317호 등을 참조하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파괴검사 과정에서 방사선원 어셈블리(110)가 제어케이블 어셈블리(130)의 작동와이어(138)에서 분리되어 방사선원 어셈블리(110)가 복귀되지 않고 소스스탑부재(146) 부근에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그 사실을 인지할 수 없으며, 소스가이드 튜브장치(140)를 취급한 작업자는 손가락 등에 방사선 과피폭을 입게 되고, 손가락을 절단하여야 하는 방사선사고를 당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고체방사능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해주면서도 방사선원 어셈블리가 회수되지 않고 소스스탑부재에 남아있는지를 작업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스가이드 튜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야간에도 방사선원 어셈블리가 회수되지 않고 소스스탑부재에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수가이드 튜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방사선조사장비의 소스가이드 튜브장치는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보관하는 컨테이너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 반대편 끝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방사선소스어셈블리가 수용되어 멈출 수 있도록 해주는 빈 공간을 가지며 외부 표면은 연결구 쪽으로 갈수록 굵어지도록 다단으로 단이 지게 형성된 소스스탑부재와 상기 연결구와 상기 소스스탑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방사선소스어셈블리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튜브를 구비하는 방사선조사장비용 소스가이드 튜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스스탑부재에는 작업자가 시각을 통해 상기 소스스탑부재 내부에 상기 방사선소스어셈블리가 남아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스스탑부재 외주면에는 상기 소스스탑부재 내부의 고체방사능오염물질이 상기 구멍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소스스탑부재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명관이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소스스탑부재 외주면에는 투명관이 결합되고, 상기 투명관에는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소스스탑부재 내부를 비추기 위한 조명기구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기구는 건전지와 건전지장착부와 전선과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건전지장착부에 연결된 전기램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관은 외주면에 상기 건전지장착부와 전선 및 전기램프가 수용될 수 있는 조명기구수용홈이 형성된 제 1투명관과 상기 제 1투명관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기구가 상기 조명기구수용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제 2투명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투명관의 내주면에는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건전지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건전지를 가압하여 상기 전기램프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상기 건전지의 가압이 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전기램프로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상기 제 1투명관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멍은 상기 소스가이드 튜브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멍은 상기 소스스탑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투명관에는 간격을 두고 2이상의 조명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180° 간격의 구멍의 쌍을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투명관 일측 끝단의 외주면에 제 1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투명관의 일측 끝단 내주면에는 상기 제 1나선에 체결되는 제 2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투명관의 타측 끝단에는 상기 제 2투명관이 일정 이상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스가이드 튜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소스스탑부재가 설치된 부위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가이드 튜브장치(200)는 방사선소스어셈블리를 보관하는 컨테이너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210)와 연결구(210) 반대편 끝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방사선소스 어셈블리가 수용되어 멈출 수 있도록 해주는 빈 공간(222)을 가지는 소스스탑부재(220)와 연결구(210)와 소스스탑부재(220) 사이에 설치되어 방사선소스어셈블리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튜브(29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연결구(210)와 튜브(290)는 기존의 것과 동일하다.
본 고안에 따른 소스가이드 튜브장치(200)는 연결구(210) 반대편의 튜브(290)의 끝단에 설치되는 소스스탑부재(220)에 특징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스스탑부재(220)의 내부에는 방사선소스 어셈블리가 수용되어 멈출 수 있도록 해주는 빈 공간(222)이 형성되어 있다. 방사선투과시험 시 방사선소스 어셈블리 끝단의 캡슐에 내장되는 방사성물질은 빈 공간(222)의 끝단에 위치한다. 이러한 소스스탑부재(220)의 외부 표면은 연결구(210) 쪽으로 갈수록 굵어지도록 다단으로 단(224, 225)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소스스탑부재(220)의 기본구조는 종래의 소스스탑부재에서와 동일하며, 종래에 알려진 여러 가지 다른 구조들도 본 고안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스탑부재(220)의 일측에는 구멍(2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226)은 방사선원 어셈블리가 컨테이너로 회수되지 않고 소스스탑부재(220)의 내부에 그대로 남아있는지를 작업자가 시각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멍(226)으로는 소스가이드 튜브장치(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이 적당하고, 소스스탑부재(22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하는 것이 좋다. 구멍(226)의 규격으로는 폭이 약 3㎜, 길이가 약 3㎝ 정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구멍(226)은 180° 반대편에 대응되는 구멍(226)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 소스스탑부재(220) 내부에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피그테일의 확인이 용이하다. 그러나 구멍의 형태와 크기와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단지 내부에 피그테일이 존재하는지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면 족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스가이드 튜브장치(200)의 외주면에는 투명관(240)이 씌워져 있다. 이 투명관(240) 역시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방사선원 어셈블리가 컨테이너와 튜브의 내부를 따라 이동할 때 서로간의 마찰에 의해 컨테이너와 튜브 및 소스스탑부재(220)의 내부에는 고체방사능오염물질이 생길 수 있는 데, 이 투명관(240)이 구멍(226)을 막아서 고체방사선오염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면서도 외부에서 구멍(226)을 통해 소스스탑부재(22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이 투명관(240)에는 조명기구(260)가 내장되어 있다. 조명기구(260)는 야간작업 시 소스스탑부재(220)의 내부를 비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 건전지(262)와 전기램프(264)를 구비한다. 이 투명관(240)과 조명기구(260)의 구조는 도 5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투명관의 분리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관(240)은 제 1투명관(241)을 구비한다. 이 제 1투명관(241)의 일단에는 걸림단(242)이 형성되어 있고, 그 타단에는 제 1나선(24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투명관(241)의 외주면에 조명기구수용홈(246)이 형성되어 있다. 조명기구(260)는 건전지(262)와 건전지장착부(266)와 전선(268)과 전선(268)을 통해 건전지장착부(266)에 연결된 전기램프(264)로 이루어진다. 전기램프(264)로는 발광다이오우드가 적당하다.
투명관(240)은 제 1투명관(241)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 2투명관(251)을 구비한다. 이 제 2투명관(251)은 제 1투명관(24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조명기구(260)가 조명기구수용홈(24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2투명관(251)의 일단에는 제 1투명관(241)의 제 1나선(244)에 결합되는 제 2나선(2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반대편 끝단 내주면에는 회전각도에 따라 건전지장착부(266)에 장착된 건전지(262)를 가압하여 전기램프(264)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건전지(262)의 가압이 해제되도록 하여 전기램프(264)로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돌출부(25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254)는 제 1투명관(241)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 2투명관(251) 내주면을 따라 소정 각도간격으로 여러 개 설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투명관(240)을 이용하는 경우, 방사선 투과시험 시에는 제 2투명관(251)을 약간 회전시켜 돌출부(254)가 건전지(262)를 가압하여 전기램프(264)가 켜져서 소스스탑부재(220)의 내부를 비출 수 있도록 하고, 작업이 끝난 후에는 제 2투명관(251)을 처음과는 반대방향으로 또는 같은 방향으로 더 돌려서 돌출부(254)가 건전지(262)를 가압하지 않도록 하면 전기램프(264)를 쉽게 켜거나 끌 수 있다.
그리고 투명관(240)에는 2이상의 조명기구(260)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스가이드 튜브장치는 고체방사능오염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소스스탑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작업자가 소스스탑부재 내부에 방사선원 어셈블리의 피그테일이 있는지의 여부를 시각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소스가이드 튜브장치는 조명기구를 구비하고 있어 야간작업 시에도 소스스탑부재 내부에 방사선원 어셈블리가 회수되지 않고 소스스탑부재의 내부에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방사선조사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스가이드 튜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소스스탑부재가 설치된 부위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투명관의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210 : 연결구
220 : 소스스탑부재 226 : 구멍
240 : 투명관 241 : 제 1투명관
242 : 걸림단 244 : 제 1나선
246 : 조명기구수용홈 251 : 제 2투명관
252 : 제 2나선 254 : 돌출부
260 : 조명기구 290 : 튜브

Claims (10)

  1. 방사선원 어셈블리를 보관하는 컨테이너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 반대편 끝단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방사선소스어셈블리가 수용되어 멈출 수 있도록 해주는 빈 공간을 가지며 외부 표면은 연결구 쪽으로 갈수록 굵어지도록 다단으로 단이 지게 형성된 소스스탑부재와 상기 연결구와 상기 소스스탑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방사선소스어셈블리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튜브를 구비하는 방사선조사장비용 소스가이드 튜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스스탑부재에는 작업자가 시각을 통해 상기 소스스탑부재 내부에 상기 방사선소스어셈블리가 남아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스스탑부재 외주면에는 상기 소스스탑부재 내부의 고체방사능오염물질이 상기 구멍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소스스탑부재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명관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관에는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소스스탑부재 내부를 비추기 위한 조명기구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는 건전지와 건전지장착부와 전선과 상기 전선을 통해 상기 건전지장착부에 연결된 전기램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관은 외주면에 상기 건전지장착부와 전선 및 전기램프가 수용될 수 있는 조명기구수용홈이 형성된 제 1투명관과 상기 제 1투명관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기구가 상기 조명기구수용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제 2투명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투명관의 내주면에는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건전지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건전지를 가압하여 상기 전기램프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상기 건전지의 가압이 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전기램프로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상기 제 1투명관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소스가이드 튜브장치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상기 소스스탑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관에는 간격을 두고 2이상의 조명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180° 간격의 구멍의 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투명관 일측 끝단의 외주면에 제 1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투명관의 일측 끝단 내주면에는 상기 제 1나선에 체결되는 제 2나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투명관의 타측 끝단에는 상기 제 2투명관이 일정 이상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KR20-2005-0011892U 2005-04-28 2005-04-28 방사선조사장비의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KR200394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892U KR200394440Y1 (ko) 2005-04-28 2005-04-28 방사선조사장비의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892U KR200394440Y1 (ko) 2005-04-28 2005-04-28 방사선조사장비의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440Y1 true KR200394440Y1 (ko) 2005-09-01

Family

ID=4369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892U KR200394440Y1 (ko) 2005-04-28 2005-04-28 방사선조사장비의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4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166A1 (ko) * 2016-07-01 2018-01-04 국립암센터 방사선 조사방향 조절이 가능한 체내 삽입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166A1 (ko) * 2016-07-01 2018-01-04 국립암센터 방사선 조사방향 조절이 가능한 체내 삽입기구
US11052263B2 (en) 2016-07-01 2021-07-06 National Cancer Center Body insertable device having adjustable radiation emission dir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30558T2 (de) Videokamera zur untersuchung von bohrlöchern
KR200394440Y1 (ko) 방사선조사장비의 소스가이드 튜브장치
CN111741706A (zh) 具有分离型探头的内窥镜
JP4881924B2 (ja) 工業用内視鏡
KR101337800B1 (ko) 방사선원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방사선 조사기
EP3391118B1 (en) Inspection assembly
RU2708092C2 (ru) Устройство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контроля конструкций методом гамма-дефектоскопии
EP0652570A1 (en) Connector assembly for a radiographic camera
KR200434989Y1 (ko) 방사선 원격조정기 제어용 케이블 커넥터
KR102149471B1 (ko) 부단수 시공을 위한 내시경 장치
JP2018119619A (ja) 管継手及び管接続管理方法
US20170090088A1 (en) Light-emitting apparatus
JPH0469596A (ja) 配管内の点検補修用ロボット
JP2013092180A (ja) 配水管等からの給水管分岐穿孔における密着コアの装着状態の確認検査方法及びその確認検査装置
KR102205484B1 (ko) 기어구동형 내시경장치
JP2005279128A (ja) 体内挿入型検査装置
JP4454356B2 (ja) 光照射装置及び光照射装置用ヘッド
EP0940818B1 (en) An airtight adapter and method for replacing the same
JP2649845B2 (ja) 管路導通試験方法
KR100241143B1 (ko) 협소공간 정밀 탐사용 이동 로보트
DE202009007665U1 (de) LED gestützte Bohreransatzhilfe an elektrischen Handbohrmaschinen
KR101290755B1 (ko) 다중 잠금 구조를 갖는 방사선 투과검사장치
KR101839934B1 (ko) 방사선조사기
KR101291687B1 (ko) 커넥터 풀림 방지구조를 갖는 방사선 투과검사장치
DE102010048011B4 (de) Vorrichtung zur Überprüfung von Innenmantelflächen von Schlauch- und/oder Rohrleitun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