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161Y1 -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 - Google Patents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161Y1
KR200394161Y1 KR20-2005-0012684U KR20050012684U KR200394161Y1 KR 200394161 Y1 KR200394161 Y1 KR 200394161Y1 KR 20050012684 U KR20050012684 U KR 20050012684U KR 200394161 Y1 KR200394161 Y1 KR 200394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space
space
depth
clamp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설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설그린
Priority to KR20-2005-0012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1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1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면 녹화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녹화를 위한 벽면에 와이어 또는 메쉬 또는 로드(봉)를 2층 구조로 설치함이 불가능하였고, 와이어 등과 벽면 사이의 간격의 적절한 조절이 불가능하였고, 서로 교차하는 와이어 등이 변형됨을 방지함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클램프부는 제1단 클램프부와 제2단 클램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 클램프부의 일측부와 상기 제2단 클램프부의 일측부에는 각각, 끼움공간부가 한쌍의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인 끼움공간부"와, 다른 한쌍의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인 끼움공간부"로서 구비되고,
상기 제1단 클램프부의 타측부에는 캡볼트부의 볼트부와 같은 형상 및 같은 크기로 된 볼트부가 중간볼트부로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와이어 또는 메쉬 또는 로드(봉)를 혼용하며 2층 구조로 용이하게 녹화를 위한 벽면에 설치함이 가능하고, 와이어 또는 메쉬 또는 로드(봉)를 1층 구조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벽면으로부터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함이 가능하며, 와이어 또는 메쉬 또는 로드(봉)가 교차하며 클램프에 고정됨에서 그 교차하는 부분이 변형됨을 방지함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자연친화적 녹화를 용이하게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clamp for wall surface afforestation}
본 고안은,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clamp)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어(wire) 또는 메쉬(meshes) 또는 로드(rod, 봉(棒))를 혼용하며 2층 구조로 용이하게 녹화를 위한 벽면에 설치함이 가능하고, 와이어 또는 메쉬 또는 로드(봉)를 1층 구조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녹화를 위한 벽면으로부터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함이 가능하며, 와이어 또는 메쉬 또는 로드(봉)가 교차하며 클램프에 고정됨에서 그 교차하는 부분이 변형됨을 방지함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자연친화적 녹화를 용이하게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벽면 녹화용 클램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볼트(cap bolt)부(10)와, 클램프(clamp)부(20)와, 체결고정부(70)가 구비되고, "서로 교차(交叉)하는 와이어(wire)" 또는 메쉬(meshes) 또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로드(rod, 봉(棒))"가 끼워져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끼움공간부(23)가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23)는 개방부(23a)와 끝단부(23b)가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공간부(23)의 깊이(d)가 일정한 구성이었음에 따라,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녹화를 위한 벽면에 와이어(wire) 또는 로드(rod, 봉(棒))는 2층 구조로 설치함이 불가능하였고,
메쉬(meshes)는 2층 구조가 필요한 경우에는 용접으로 2층 구조로 별도로 제작하여서 현장에서 설치하여야 하였으므로 그 제작 및 시공에 번거러움이 있었고,
더욱이 와이어 또는 메쉬 또는 로드(봉)를 혼용하여 2층 구조로 설치함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와이어 또는 메쉬 또는 로드(봉)를 1층 구조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와이어 등과 벽면 사이의 간격 즉, 벽면으로부터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함이 불가능하였으며,
와이어 또는 메쉬 또는 로드(봉)가 교차하며 클램프에 고정됨에서 그 교차하는 부분이 변형됨을 방지함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상기 종래의 기술은 녹화를 위한 벽면에 와이어 또는 메쉬 또는 로드(봉)를 설치함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자연친화적인 녹화를 함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벽면 녹화용 클램프에 있어서,
클램프부는 제1단 클램프부와 제2단 클램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 클램프부의 일측부에는, 나사체결부와, 나사체결용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나사체결부의 분리된 각각의 부분의 사이에는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가 끼워져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끼움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 중,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한쌍은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인 끼움공간부"로서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 중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다른 한쌍은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인 끼움공간부"로서 구비되고,
상기 제1단 클램프부의 타측부에는, 상기 제2단 클램프부와 나사 체결됨이 가능하도록, 캡볼트부의 볼트부와 같은 형상 및 같은 크기로 된 볼트부가 중간볼트부로서 구비되고;
상기 제2단 클램프부의 일측부에는, 나사체결부와, 나사체결용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나사체결부의 분리된 각각의 부분의 사이에는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가 끼워져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끼움공간부가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 중,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한쌍은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인 끼움공간부"로서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 중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다른 한쌍은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인 끼움공간부"로서 구비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은, 와이어(wire) 또는 메쉬(meshes) 또는 로드(rod, 봉(棒))를 혼용하며 2층 구조로 용이하게 녹화를 위한 벽면에 설치함이 가능하고, 와이어 또는 메쉬 또는 로드(봉)를 1층 구조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녹화를 위한 벽면으로부터의 간격 즉 와이어 등과 벽면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함이 가능하며, 와이어 또는 메쉬 또는 로드(봉)가 교차하며 클램프에 고정됨에서 그 교차부분이 변형됨을 방지함이 가능하도록 된 벽면 녹화용 클램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olt)부(11)가 이루어진 캡볼트(cap bolt)부(10)와, 상기 캡볼트부(10)가 나사체결 가능하도록 된 클램프(clamp)부(20)와, 상기 클램프부(20)를, 녹화(綠化)를 위한, 벽면(90)[즉, 건축물의 벽면]에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체결고정부(70)가 구비되고, 상기 클램프부(20)의 일측부(20a)에는 상기 볼트부(11)와 나사 체결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나사체결부(21)[즉, "암나사로서의 나사체결부"임]와, 나사체결용 공간부(22)가 구비되고, 상기 나사체결부(21)의 분리된 각각의 부분(21-1)의 사이에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와이어(wire)(1)" 또는 메쉬(meshes)(1) 또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로드(rod, 봉(棒))(1)"[이하, 총칭하여 "서로 교차하는 부재(1)"라고 함]가 끼워져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끼움공간부(33)가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33)는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22)를 중심으로 십자("十"字) 방향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對向)하는 상기 끼움공간부(33) 사이에는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가 관통하여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통공간부(24)가 구비된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clamp)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20)는 제1단 클램프부(30)와 제2단 클램프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단 클램프부(30)의 일측부(30a)에는,
상기 볼트부(11)와 나사 체결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나사체결부(21)와, 나사체결용 공간부(22)가 구비되고, 상기 나사체결부(21)의 분리된 각각의 부분(21-1)의 사이에는 "서로 교차하는 부재(1)"가 끼워져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끼움공간부(33)가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33) 중,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22)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한쌍은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D1)인 끼움공간부(33-1)"[이하,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라고 함]로서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33) 중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22)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다른 한쌍은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D2)인 끼움공간부(33-2)"[이하,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라고 함]로서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33)는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22)를 중심으로 십자("十"字) 방향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對向)하는 상기 끼움공간부(33) 사이에는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가 관통하여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통공간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의 상기 깊이(D1)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와이어(wire)(1) 중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의 개방부(3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와이어(1a)" 또는, "메쉬(meshes)(1)의 교차하는 부재 중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의 개방부(3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 또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로드(rod, 봉(棒))(1) 중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의 개방부(3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로드(rod, 봉(棒))(1a)"[이하, 총칭하여 "개방부(3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라고 함]가, 즉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개방부(3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가,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에 끼워져 설치됨에서 상기 "개방부(3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를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의 끝단부(33-1b)가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깊이(D1)로 이루어지고,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의 상기 깊이(D2)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와이어(wire)(1) 중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의 끝단부(3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와이어(1b)" 또는, "메쉬(meshes)(1)의 교차하는 부재 중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의 끝단부(3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 또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로드(rod, 봉(棒))(1) 중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의 끝단부(3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로드(rod, 봉(棒))(1b)"[이하, 총칭하여 "끝단부(3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라고 함]가, 즉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끝단부(3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가,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에 끼워져 설치됨에서 상기 "끝단부(3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를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의 끝단부(33-2b)가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깊이(D2)로 이루어진다.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의 상기 깊이(D1)와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의 상기 깊이(D2)의 차이의 깊이는 상기 "끝단부(3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의 두께와 같거나 거의 같은 깊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단 클램프부(30)의 타측부(30b)에는, 상기 제2단 클램프부(50)의 나사체결부(21)와 나사 체결됨이 가능하도록, 상기 캡볼트부(10)의 볼트부(11)와 같은 형상 및 같은 크기로 된 볼트부가 중간볼트(bolt)부(39)로서 구비된다.
상기 제2단 클램프부(50)의 일측부(50a)에는,
상기 볼트부(11) 또는 상기 중간볼트부(39)와 나사 체결됨이 가능하도록 된 나사체결부(21)와, 나사체결용 공간부(22)가 구비되고, 상기 나사체결부(21)의 분리된 각각의 부분(21-1)의 사이에는 "서로 교차하는 부재(1)"가 끼워져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끼움공간부(53)가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53) 중,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22)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한쌍은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D1)인 끼움공간부(53-1)"[이하,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라고 함]로서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53) 중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22)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다른 한쌍은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D2)인 끼움공간부(53-2)"[이하,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라고 함]로서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53)는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22)를 중심으로 십자("十"字) 방향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對向)하는 상기 끼움공간부(53) 사이에는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가 관통하여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통공간부(54)가 형성된다.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의 상기 깊이(D1)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와이어(wire)(1) 중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의 개방부(5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와이어(1a)" 또는, "메쉬(meshes)(1)의 교차하는 부재 중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의 개방부(5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 또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로드(rod, 봉(棒))(1) 중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의 개방부(5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로드(rod, 봉(棒))(1a)"[이하, 총칭하여 "개방부(5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라고 함]가, 즉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개방부(5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가,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에 끼워져 설치됨에서 상기 "개방부(5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를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의 끝단부(53-1b)가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깊이(D1)로 이루어지고,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의 상기 깊이(D2)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와이어(wire)(1) 중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의 끝단부(5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와이어(1b)" 또는, "메쉬(meshes)(1)의 교차하는 부재 중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의 끝단부(5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 또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로드(rod, 봉(棒))(1) 중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의 끝단부(5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로드(rod, 봉(棒))(1b)"[이하, 총칭하여 "끝단부(5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라고 함]가, 즉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끝단부(5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가,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에 끼워져 설치됨에서 상기 "끝단부(5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를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의 끝단부(53-2b)가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깊이(D2)로 이루어진다.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의 상기 깊이(D1)와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의 상기 깊이(D2)의 차이의 깊이는 상기 "끝단부(5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의 두께와 같거나 거의 같은 깊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단 클램프부(50)의 타측부(50b)에는, 상기 체결고정부(70)의 볼트부(70a)와 나사 체결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나사체결부(20e)[즉, 암나사로서의 나사 체결부임]가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고정부(70)에는 상기 제2단 클램프부(50)를 지지하기 위한 볼트부(70a)가 구비되고, 녹화를 위한 벽면(90)에 체결되는 통상의 앵커 등의 고정부재(80)(81)의 상호 체결을 위한 체결용 관통 구멍(70b)이 구비된다.
본 고안의 재질은 경질(硬質)의 금속재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의 작용은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의 작용은, 도 2 내지 도 8, 특히 도 5,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부(20)가 제1단 클램프부(30)와 제2단 클램프부(50)로 이루어져 있고, 제1단 클램프부(30)과 제2단 클램프부(50)에는 모두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즉, "서로 교차(交叉)하는 와이어(wire)(1)" 또는 메쉬(meshes)(1) 또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로드(rod, 봉(棒))(1)"]가 끼워져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끼움공간부(33)(53)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아울러 끼움공간부(33)(53)에 끼워진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는 각각 캡볼트부(10)의 볼트부(11)와, 중간볼트부(39)에 의한 각각의 나사체결에 따라 고정되어지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와이어(wire)(1) 또는 메쉬(meshes)(1) 또는 로드(rod, 봉(棒))(1)를 2층 구조로 용이하게 녹화를 위한 벽면(90)에 설치함이 가능하다. 따라서, 현장의 시공에서 용이하게 이러한 2층 구조의 시공이 가능하다.
더욱이 이러한 2층 구조의 설치에서, 본 고안은, 와이어(wire) 또는 메쉬(meshes) 또는 로드(rod, 봉(棒))를 혼용하며; 즉 제1단 클램프부(30)에는 와이어를 끼우고, 제2단 클램프부(50)에는 메쉬 또는 로드(봉)를 끼우거나; 제1단 클램프부(30)에는 메쉬를 끼우고, 제2단 클램프부(50)에는 와이어 또는 로드(봉)를 끼우거나; 제1단 클램프부(30)에는 로드(봉)를 끼우고, 제2단 클램프부(50)에는 와이어 또는 메쉬를 끼우거나 하여; 혼용된 2층 구조로 용이하게 녹화를 위한 벽면(90)에 설치함이 가능하다. 따라서, 현장의 시공에서 용이하게 이러한 혼용된 2층 구조의 시공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고안은, 제1단 클램프부(30)와 제2단 클램프부(50)가 결합된 상태에서, 녹화를 위한 벽면(90)으로부터의 간격 즉 와이어(1) 또는 메쉬(1) 또는 로드(봉)(1)와 벽면(90) 사이의 간격 조절이 필요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를 제1단 클램프부(30)의 끼움공간부(33)에 끼워서 설치하면 녹화를 위한 벽면(9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거리의 간격으로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가 설치됨이 가능하여, 상기 와이어(1) 또는 상기 메쉬(1) 또는 상기 로드(봉)(1)가 녹화를 위한 벽면(9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거리의 간격으로 설치됨이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제1단 클램프부(30)와 제2단 클램프부(50)가 결합된 상태에서, 녹화를 위한 벽면(90)으로부터의 간격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를 제2단 클램프부(50)의 끼움공간부(53)에 끼워서 설치하면 녹화를 위한 벽면(9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의 간격으로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가 설치됨이 가능[동 경우의 도시는 생략함]하여, 상기 와이어(1) 또는 상기 메쉬(1) 또는 상기 로드(봉)(1)가 녹화를 위한 벽면(9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의 간격으로 설치됨이 가능하다. 따라서, 현장의 시공에서 용이하게 이러한 간격 조절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부(20)가 제1단 클램프부(30)와 제2단 클램프부(5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캡볼트부(10)의 볼트부(11)와 상기 제1단 클램프부(30)의 타측부(30b)의 상기 중간볼트부(39)는 서로 같은 형상 및 같은 크기로 구성되며, 아울러, 상기 제1단 클램프부(30)의 상기 나사체결부(21)와 상기 제2단 클램프부(50)의 상기 나사체결부(21)는 모두 상기 캡볼트부(10)의 볼트부(11)가 나사 체결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녹화를 위한 벽면(90)으로부터의 간격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로서,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가 제2단 클램프부(50)에 끼워져 설치되는 경우 제2단 클램프부(50)의 나사체결부(21)는 캡볼트부(10)의 볼트부(11)와 나사 체결됨이 가능하므로,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가 제2단 클램프부(50)의 끼움공간부(53)에 끼워져 설치되는 경우에는, 녹화를 위한 벽면(9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의 간격으로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의 설치가 가능하여, 상기 와이어(1) 또는 메쉬(1) 또는 로드(봉)(1)가 녹화를 위한 벽면(90)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의 간격으로 그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현장의 시공에서 용이하게 이러한 간격 조절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 클램프부(30)에는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와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가 구비되고, 제2단 클램프(50)에는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와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가 구비되어, 제1단 클램프부(30)에서 "개방부(3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는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의 끝단부(33-1b)에 의하여 지지되며, "끝단부(3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는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의 끝단부(33-2b)에 의하여 지지되며,
아울러 마찬가지로, 제2단 클램프부(50)에서 "개방부(5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는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의 끝단부(53-1b)에 의하여 지지되며, "끝단부(5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는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의 끝단부(53-2b)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서로 교차하는 부재(1)"는 그 끼워져 설치됨에서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개방부(33-1a)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재(1a)" 및 "개방부(53-1a)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재(1a)"가, 그 각각의 상응하는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의 끝단부(33-1b)" 및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의 끝단부(53-1b)에 의하여 지지되고, 아울러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끝단부(33-2b)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재(1b)" 및 "끝단부(53-2b)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재(1b)"가, 그 각각의 상응하는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의 끝단부(33-2b)" 및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의 끝단부(53-2b)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서로 교차하는 부재(1)"는 제1단 클램프부(30) 및 제2단 클램프부(50)에 의하여 고정됨에서 그 교차함에 따른 변형됨을 방지함이 가능하다. 즉,
제1단 클램프부(30)에서, "개방부(3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즉, "서로 교차(交叉)하는 와이어(wire)(1) 중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의 개방부(3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와이어(1a)" 또는, "메쉬(meshes)(1)의 교차하는 부재 중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의 개방부(3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 또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로드(rod, 봉(棒))(1) 중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의 개방부(3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로드(rod, 봉(棒))(1a)"]를 지지하도록 된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의 끝단부(33-1b)가 구비되고,
아울러 "끝단부(3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즉, "서로 교차(交叉)하는 와이어(wire)(1) 중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의 끝단부(3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와이어(1b)" 또는, "메쉬(meshes)(1)의 교차하는 부재 중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의 끝단부(3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 또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로드(rod, 봉(棒))(1) 중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의 끝단부(3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로드(rod, 봉(棒))(1b)"]를 지지하도록 된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의 끝단부(33-2b)가 구비되므로,
제1단 클램프부(30)의 끼움공간부(33)에 끼워져 설치되어 관통공간부(24)에 관통설치된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개방부(33-1a)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는,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에 끼워져 설치되어 그 끝단부(33-1b)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끝단부(33-2b)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를 과도하게 압박하지 아니한다.
아울러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끝단부(33-2b)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한 부재(1b)"는,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에 끼워져 설치되어 그 끝단부(33-2b)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서로 교차하는 부재(1)"가 제1단 클램프부(30)에 의하여 고정됨에서 "서로 교차하는 부재(1)"의 서로 교차함에 따른 변형됨을 방지함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의 상기 깊이(D1)와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의 상기 깊이(D2)의 차이의 깊이는 상기 "끝단부(3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의 두께와 같거나 거의 같은 깊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므로,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개방부(33-1a)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는,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에 끼워져 설치되어 그 끝단부(33-1b)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끝단부(33-2b)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를 과도하게 압박하지 아니하므로, 상기 변형됨을 방지함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2단 클램프부(50)에서, "개방부(5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즉, "서로 교차(交叉)하는 와이어(wire)(1) 중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의 개방부(5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와이어(1a)" 또는, "메쉬(meshes)(1)의 교차하는 부재 중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의 개방부(5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 또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로드(rod, 봉(棒))(1) 중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의 개방부(5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로드(rod, 봉(棒))(1a)"]를 지지하도록 된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의 끝단부(53-1b)가 구비되고,
아울러 "끝단부(5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즉, "서로 교차(交叉)하는 와이어(wire)(1) 중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의 끝단부(5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와이어(1b)" 또는, "메쉬(meshes)(1)의 교차하는 부재 중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의 끝단부(5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 또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로드(rod, 봉(棒))(1) 중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의 끝단부(5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로드(rod, 봉(棒))(1b)"]를 지지하도록 된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의 끝단부(53-2b)가 구비되므로,
제2단 클램프부(50)의 끼움공간부(53)에 끼워져 설치되어 관통공간부(54)에 관통설치된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개방부(53-1a)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는,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에 끼워져 설치되어 그 끝단부(53-1b)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끝단부(53-2b)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를 과도하게 압박하지 아니한다.
아울러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끝단부(53-2b)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한 부재(1b)"는,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에 끼워져 설치되어 그 끝단부(53-2b)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서로 교차하는 부재(1)"가 제2단 클램프부(50)에 의하여 고정됨에서 "서로 교차하는 부재(1)"의 서로 교차함에 따른 변형됨을 방지함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의 상기 깊이(D1)와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의 상기 깊이(D2)의 차이의 깊이는 상기 "끝단부(5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의 두께와 같거나 거의 같은 깊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므로,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개방부(53-1a)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는,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에 끼워져 설치되어 그 끝단부(53-1b)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끝단부(53-2b)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를 과도하게 압박하지 아니하므로, 상기 변형됨을 방지함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서로 교차하는 부재(1)"는 제1단 클램프부(30)와 제2단 클램프부(50)에 의하여 각각 고정됨에서 "서로 교차하는 부재(1)"의 서로 교차함에 따른 변형됨을 방지함이 가능하다.
종래 기술에서의 "서로 교차하는 부재(1)"에서의 교차함에 따른 변형은 녹화를 위한 벽면(90)에서 와이어(1) 또는 메쉬(1) 또는 로드(봉)(1)가 전체적으로 왜곡된 형상을 초래하여 시공상에 어려움이 많았으나, 본 고안에서는 "서로 교차하는 부재(1)"에서의 상기 교차함에 따른 변형됨을 방지함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제1단 클램프부(30)의 나사체결부(21)와 제2단 클램프부(50)의 나사체결부(21)는 서로 같은 구성이고, 아울러 볼트부(11)와 중간볼트부(39)는 서로 같은 구성이므로,
제1단 클램프부(30)와 제2단 클램프부(50) 사이에 별개의 제1단 클램프부(30)가 나사 체결됨이 가능[그 도시는 생략함]하므로, 본 고안은 상기 2층 구조에 1층 구조가 더하여져 3층 구조로서도 가능하며, 마찬가지로 별개의 제1단 클램프부(30)를 추가로 나사 체결하여 3층 이상의 구조도 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 체결고정부(70)와, 통상의 고정부재(80)(81)에 의하여, 녹화를 위한 벽면(90)에 체결고정된다.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면에 적용되는 것이며, 아울러 담장, 방음벽, 옹벽 등에도 널리 적용되는 고안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와이어(wire) 또는 메쉬(meshes) 또는 로드(rod, 봉(棒))를 혼용하며 2층 구조로 용이하게 녹화를 위한 벽면에 설치함이 가능하고, 와이어 또는 메쉬 또는 로드(봉)를 1층 구조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녹화를 위한 벽면으로부터의 간격을 적절히 조절함이 가능하며, 와이어 또는 메쉬 또는 로드(봉)가 교차하며 클램프에 고정됨에서 그 교차부분이 변형됨을 방지함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자연친화적 녹화를 용이하게 실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벽면 녹화용 클램프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로서, 서로 교차하는 와이어(wire) 등의 "서로 교차하는 부재"가 제1단 클램프부와 제2단 클램프부에 모두 설치된 경우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로서, 서로 교차하는 와이어(wire) 등의 "서로 교차하는 부재"가 제1단 클램프부에만 설치된 경우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로서, 서로 교차하는 와이어(wire) 등의 "서로 교차하는 부재"가 캡볼트부와 나사 체결된 제2단 클램프부에만 설치된 경우의 사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여러 개의 벽면 녹화용 클램프가 녹화를 위한 벽면에 설치된 경우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와이어(wire), 또는 메쉬(meshes) 또는, 로드(rod, 봉(棒)),
10 : 캡볼트(cap bolt)부, 11 : 볼트(bolt)부,
20 : 클램프(clamp)부, 20a : 클램프부의 일측부, 20b : 클램프부의 타측부, 21 : 나사체결부, 22 : 나사체결용 공간부, 23 : 끼움공간부, 23a : 끼움공간부의 개방부, 23b : 끼움공간부의 끝단부, 24 : 관통공간부,
30 : 제1단 클램프(clamp)부, 30a : 제1단 클램프부의 일측부, 30b : 제1단 클램프부의 타측부, 33 : 끼움공간부, 33-1 :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D1)인 끼움공간부, 33-1a: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D1)인 끼움공간부의 개방부, 33-1b :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D1)인 끼움공간부의 끝단부, 33-2 :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D2)인 끼움공간부, 33-2a: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D2)인 끼움공간부의 개방부, 33-2b :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D2)인 끼움공간부의 끝단부,
39 : 중간볼트(bolt)부,
50 : 제2단 클램프(clamp)부, 50a : 제2단 클램프부의 일측부, 50b : 제2단 클램프부의 타측부, 53 : 끼움공간부, 53-1 :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D1)인 끼움공간부, 53-1a: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D1)인 끼움공간부의 개방부, 53-1b :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D1)인 끼움공간부의 끝단부, 53-2 :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D2)인 끼움공간부, 53-2a: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D2)인 끼움공간부의 개방부, 53-2b :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D2)인 끼움공간부의 끝단부,
54 : 관통공간부,
70 : 체결고정부.

Claims (1)

  1. 볼트부(11)가 이루어진 캡볼트부(10)와, 상기 캡볼트부(10)가 나사체결 가능하도록 된 클램프(clamp)부(20)와, 상기 클램프부(20)를, 녹화(綠化)를 위한, 벽면(90)에 체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체결고정부(70)가 구비되고, 상기 클램프부(20)의 일측부(20a)에는 상기 볼트부(11)와 나사 체결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나사체결부(21)와, 나사체결용 공간부(22)가 구비되고, 상기 나사체결부(21)의 분리된 각각의 부분(21-1)의 사이에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와이어(wire)(1)" 또는 메쉬(meshes)(1) 또는 "서로 교차(交叉)하는 로드(rod, 봉(棒))(1)"[이하, 총칭하여 "서로 교차하는 부재(1)"라고 함]가 끼워져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끼움공간부(33)가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33)는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22)를 중심으로 십자("十"字) 방향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對向)하는 상기 끼움공간부(33) 사이에는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가 관통하여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통공간부(24)가 구비된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clamp)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20)는 제1단 클램프부(30)와 제2단 클램프부(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 클램프부(30)의 일측부(30a)에는,
    상기 볼트부(11)와 나사 체결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나사체결부(21)와, 나사체결용 공간부(22)가 구비되고, 상기 나사체결부(21)의 분리된 각각의 부분(21-1)의 사이에는 "서로 교차하는 부재(1)"가 끼워져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끼움공간부(33)가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33) 중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22)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한쌍은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D1)인 끼움공간부(33-1)"[이하,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라고 함]로서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33) 중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22)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다른 한쌍은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D2)인 끼움공간부(33-2)"[이하,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라고 함]로서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33)는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22)를 중심으로 십자("十"字) 방향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對向)하는 상기 끼움공간부(33) 사이에는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가 관통하여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통공간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의 상기 깊이(D1)는,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개방부(3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가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에 끼워져 설치됨에서 상기 "개방부(3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를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33-1)"의 끝단부(33-1b)가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깊이(D1)로 이루어지고,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의 상기 깊이(D2)는,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끝단부(3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가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에 끼워져 설치됨에서 상기 "끝단부(3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를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33-2)"의 끝단부(33-2b)가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깊이(D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 클램프부(30)의 타측부(30b)에는, 상기 제2단 클램프부(50)의 나사체결부(21)와 나사 체결됨이 가능하도록, 상기 캡볼트부(10)의 볼트부(11)와 같은 형상 및 같은 크기로 된 볼트부가 중간볼트부(39)로서 구비되고;
    상기 제2단 클램프부(50)의 일측부(50a)에는,
    상기 볼트부(11) 또는 상기 중간볼트부(39)와 나사 체결됨이 가능하도록 된 나사체결부(21)와, 나사체결용 공간부(22)가 구비되고, 상기 나사체결부(21)의 분리된 각각의 부분(21-1)의 사이에는 "서로 교차하는 부재(1)"가 끼워져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끼움공간부(53)가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53) 중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22)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한쌍은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D1)인 끼움공간부(53-1)"[이하,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라고 함]로서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53) 중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22)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다른 한쌍은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D2)인 끼움공간부(53-2)"[이하,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라고 함]로서 구비되고, 상기 끼움공간부(53)는 상기 나사체결용 공간부(22)를 중심으로 십자("十"字) 방향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對向)하는 상기 끼움공간부(53) 사이에는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가 관통하여 설치됨이 가능하도록 하는 관통공간부(54)가 형성되고,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의 상기 깊이(D1)는,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개방부(5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가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에 끼워져 설치됨에서 상기 "개방부(53-1a)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a)"를 상기 "얕은 깊이 끼움공간부(53-1)"의 끝단부(53-1b)가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깊이(D1)로 이루어지고,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의 상기 깊이(D2)는, 상기 "서로 교차하는 부재(1)" 중 "끝단부(5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가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에 끼워져 설치됨에서 상기 "끝단부(53-2b)쪽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부재(1b)"를 상기 "깊은 깊이 끼움공간부(53-2)"의 끝단부(53-2b)가 지지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깊이(D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clamp).
KR20-2005-0012684U 2005-05-06 2005-05-06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 KR200394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684U KR200394161Y1 (ko) 2005-05-06 2005-05-06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684U KR200394161Y1 (ko) 2005-05-06 2005-05-06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730A Division KR100650166B1 (ko) 2005-05-04 2005-05-04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161Y1 true KR200394161Y1 (ko) 2005-08-31

Family

ID=43695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684U KR200394161Y1 (ko) 2005-05-06 2005-05-06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1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0150B1 (en) Anchor device for a wooden post
CA3007687A1 (en) Multiple port beam bracket
KR102124775B1 (ko) 조립식 무용접 트러스
CN110494616A (zh) 藤架建筑系统和支架
KR100650166B1 (ko)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
JP2007332548A (ja) 柱と梁の接合構造
JP5541521B2 (ja) 混合構造梁
KR200394161Y1 (ko)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
US6827336B2 (en) Concrete fencing system
KR200392354Y1 (ko)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
JP4024688B2 (ja) 金網固定金具
KR100840624B1 (ko) 휀스용 포스트
KR19990013079U (ko) 메쉬 휀스용 기둥
JP3315237B2 (ja) 支持用構造材のボルト固定構造
JP4861882B2 (ja) 耐力壁
JP2005232928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柱と梁との接合構造
KR102523001B1 (ko)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JPH10121791A (ja) メッシュフェンス
JP2005226258A (ja) アンカー筋付き定着金物
JP4717660B2 (ja) 格子面状体システム
JP5159430B2 (ja) 木造建築物の基礎構造
KR101123950B1 (ko) 철망 펜스용 지주
JP2574038Y2 (ja) 張弦梁のケーブルの交差部の構造
JP3489825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水平の鉄骨梁とを接合する一対のダイアフラムを有する接合装置
JPH07158169A (ja) 建設用部材の連結方法およ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