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905Y1 - 스테플러 - Google Patents

스테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905Y1
KR200393905Y1 KR20-2005-0017233U KR20050017233U KR200393905Y1 KR 200393905 Y1 KR200393905 Y1 KR 200393905Y1 KR 20050017233 U KR20050017233 U KR 20050017233U KR 200393905 Y1 KR200393905 Y1 KR 200393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pler
needle
paper
iron needle
pres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순명
황규태
최유진
Original Assignee
황순명
최유진
황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순명, 최유진, 황규태 filed Critical 황순명
Priority to KR20-2005-0017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9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9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1/00Nail, spike, and staple ex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2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25C5/0221Stapling tools of the table model type, i.e. tools supported by a table or the work during operation
    • B25C5/0242Stapling tools of the table model type, i.e. tools supported by a table or the work during operation having a pivoting upper leg and a leg provided with an anvil supported by the table or work
    • B25C5/025Stapling tools of the table model type, i.e. tools supported by a table or the work during operation having a pivoting upper leg and a leg provided with an anvil supported by the table or work the plunger being manu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10Driving means
    • B25C5/11Driving means operated by manual or foot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침 기능을 갖는 스테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플러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침시 스테플러 외부로 돌출 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제침 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이 편리한 스테플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베이스와 철침체가 장전되는 침케이스와 상기 철침체의 철침을 하나 씩 눌러 종이를 제본하는 누름대를 포함하는 스테플러에 있어서, 상기 누름대의 후방에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상기 누름대의 외부 돌출 및 내부 복귀가 이루어지고 종이에 제본된 철침을 제거하는 제침대를 포함하는 제침 수단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스테플러{Stapler}
본 고안은 제침 기능을 갖는 스테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플러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침시 스테플러 외부로 돌출 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제침 수단을 포함하여 사용이 편리한 스테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서류를 철할 수 있도록 된 문구류 중 스테플러(호치키스)가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상기 스테플러(호치키스)라 함은 여러 장의 종이를 하나의 묶음으로 제본하는 기구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알려진 스테플러는 제본하는 종이의 양에 따라 사용하는 철침의 크기를 달리하고 있으며 그 구성도 미차가 있다.
이에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스테플러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테플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 종래의 스테플러 구성을 살펴보면, 베이스(100)와 철침체가 수납되어 지는 침 케이스(200) 및 상기 철침체의 철침을 하나씩 눌러 종이를 제본하는 누름대(3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대(300)는, 후방이 상기 베이스(100)와 침 케이스(200)에 힌지축(400)으로 결합되어 있는 케이스(301)와, 이 케이스(301)의 내부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침 케이스(200)에 장전된 철침체의 철침을 하나 씩 누르는 수직 누름판(301)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00)와 침 케이스(200)의 사이에 여러 장의 종이를 삽입한 상태에서 누름대(300)를 누르는 과정을 통해 여러 장의 종이를 제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스테플러는 종이에 결합된 철침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제침기를 따로 구입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스테플러와 제침기가 일체화되지 않으므로 보관상 비합리적이고 분실의 우려가 있어서, 스테플러와 제침기가 각각 구비되어 나타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스테플러 본체 외측으로 돌출된 제침 수단을 부착한 제품들이 있으나, 제침 수단이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상해 발생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스테플러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침 수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스테플러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실0120495호에 "제침 장치가 부착된 호치키스" 라는 제목으로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제침 장치가 부착된 호치키스"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500) 침 절곡판(501)과 누름 뭉치(600)와 상기 베이스(500)의 전방부 일측면에 연계되도록 공간부(700)를 형성시키고 고정핀(800)을 축으로 하여 공간부(700) 속으로 접혀 들어가도록 하는 제침쇠(901)를 포함하는 제침 수단(900)을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 "제침 장치가 부착된 호치키스"에 따르면, 상기 제침쇠가 상기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종이에 결합된 철침을 제거할 때 제침쇠가 고정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종이가 찢어지거나 침이 원활하게 제침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누름 뭉치를 가압하여 종이에 철침을 결합시킬 때 상기 누름 뭉치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공간부의 상판인 침 절곡판이 휘어지기 때문에, 종이에 철침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누름대의 후방에 상부 개방부 및 후방 개방부를 갖는 안내 홈과, 상기 안내 홈의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삽입된 제침쇠 및 상기 제침쇠를 단속하도록 제침쇠의 상부에 조작 레버를 구비하되, 상기 제침쇠의 외부 돌출시 상부 개방부 단부에 형성된 홈에 상기 조작 레버의 측면에 구비된 스프링 돌기가 맞물려 제침쇠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종이의 찢어짐이 방지되는 스테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제침쇠가 스테플러의 누름대 후방에 구비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제침시 누름대에 가해지는 가압에 의해 제침쇠를 수용하는 공간부의 상판이 휘어져 종이에 철침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소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테플러를 제공한다.
그리고, 베이스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라인을 마킹함으로써 철침을 종이의 상단면과 수평을 유지하여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종이의 상단면과 철침 사이의 거리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테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베이스와 철침체가 장전되는 침케이스와 상기 철침체의 철침을 하나 씩 눌러 종이를 제본하는 누름대를 포함하는 스테플러에 있어서, 상기 누름대의 후방에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상기 누름대의 외부 돌출 및 내부 복귀가 이루어지고 종이에 제본된 철침을 제거하는 상기 제침대를 포함하는 제침 수단이 구비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테플러의 후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스테플러는, 베이스(1)와 철침체가 장전되는 침 케이스(2)와 상기 철침체의 철침을 하나 씩 눌러 종이를 제본하는 누름대(3)를 포함하는 스테플러에 있어서, 상기 누름대(3) 후방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상기 누름대(3)의 외부 돌출 및 내부 복귀가 이루어지고 종이에 제본된 철침을 제거하는 제침대(41)를 포함하는 제침 수단(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침 수단(4)은 상부 개방부(421)와 후방 개방부(422)를 포함하여 구비된 안내 홈(42)과, 상기 안내 홈(42)에 구비되어 외부의 조작을 통해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침대(4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침대(41)는 상기 안내 홈(42)에 삽입되는 제침쇠(411)와 상기 제침쇠(411)의 상부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상부 개방부(421)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 레버(412)를 포함한다.
상기 제침쇠(411)는 그 끝단이 "E" 자 형상 또는 "W"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상부 개방부(421)와 조작 레버(412) 사이에는 제침쇠(411)의 삽입과 돌출을 단속하는 단속 수단(43)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단속 수단(43)은 상기 상부 개방부(421)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전,후방 홈(431,432)과, 상기 조작 레버(412)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방 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스프링 돌기(433)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 돌기(433)는 상기 조작 레버(412)에 양 끝단이 삽입되고 그 중앙부가 반 원호 형상으로 상기 조작 레버(412)의 측부에서 돌출 구비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B"부 확대도로, 베이스(1)에는 상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라인(11)이 마킹되며, 상기 라인(11)은 베이스(1)의 양측 사이에 가공을 통한 홈 라인 또는 인쇄를 통한 라인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이를 제본하는 철침을 종이의 상단면과 수평을 유지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종이의 상단면과 철침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테플러의 제침 작동을 도시한 간략도로, 제침쇠(411)를 누름대(3)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이어서, 상기 누름대(3)가 하부 방향을 바라보도록 상기 스테플러를 회전시켜 후방의 제침쇠(411)가 종이에 결합된 철침(21)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 후 상기 제침쇠(411)를 미는 힘을 통해 상기 철침(21)을 제거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412)를 안내 홈의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러면, 상기 조작 레버(412)의 측부에 구비된 스프링 돌기(433)가 상부 개방부(421) 측면을 따라 가압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다가 상기 상부 개방부(421)의 단부에 형성된 후방 홈(432)에 맞물려 고정되고,상기 제침쇠(411)가 안내 홈의 후방 개방부(422)로 돌출된다.
그런 후에, 상기 누름대(3)가 상부 방향을 바라보도록 한 후 후방 개방부(422)로 돌출 고정된 제침쇠(411)를 이용하여 종이(5)에 결합된 철침(21)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테플러에 제침 수단(4)을 구비하여 구성을 간소화함으로써 제침 수단을 따로 보관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제침쇠(411)의 돌출시 제침쇠(411)가 상부 개방부(421)의 후방 홈(432)에 맞물려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제침시 제침쇠(411)가 고정된 상태로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침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종이(5)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침쇠가 스테플러의 누름대 후방에 구비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제침시 누름대에 가해지는 가압에 의해 제침쇠를 수용하는 공간부의 상판이 휘어져 종이에 철침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스테플러를 이용한 종이(5) 제본시의 간략도로, 스테플러의 베이스(1) 상부면에 마킹된 다수의 라인(11) 중에 원하는 위치에 종이(5)의 상단면(51)을 대응시키고 누름대(3)의 전방 단부를 가압하여 침 케이스(2)에 수용된 철침이 종이(5)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철침(21)이 종이(5)의 상단면(51)과 수평을 이루도록 할 수 있고, 철침(21)의 결합 위치를 조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누름대의 후방에 상부 개방부 및 후방 개방부를 갖는 안내 홈과, 상기 안내 홈의 외부로 돌출 가능하도록 삽입된 제침쇠 및 상기 제침쇠를 단속하도록 조작 레버의 상부에 조작 레버를 구비하되, 상기 제침쇠의 외부 돌출시 상부 개방부 단부에 형성된 홈에 상기 조작 레버의 측면에 구비된 스프링 돌기가 맞물려 제침쇠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종이의 찢어짐이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침쇠가 스테플러의 누름대 후방에 구비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제침시 누름대에 가해지는 가압에 의해 제침쇠를 수용하는 공간부의 상판이 철침을 종이에 결합시킬 때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라인을 마킹함으로써 철침을 종이의 상단면과 수평을 유지하여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종이의 상단면과 철침 사이의 거리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테플러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 부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스테플러의 제침 작동을 도시한 간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스테플러를 이용한 종이 제본시의 간략도.
도 8 및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테플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베이스
11 : 라인
2 : 침 케이스
21 : 철침
3 : 누름대
4 : 제침 수단
41 : 제침대
411 : 제침쇠, 412 조작 레버
42 : 안내홈
421 : 상부 개방부, 422 : 후방 개방부
43 : 단속 수단
431 : 전방 홈, 432 : 후방 홈, 433 : 스프링 돌기

Claims (6)

  1. 베이스(1)와 철침체가 장전되는 침케이스(2)와 상기 철침(21)체의 철침(21)을 하나 씩 눌러 종이(5)를 제본하는 누름대(3)를 포함하는 스테플러에 있어서,
    상기 누름대(3)의 후방에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상기 누름대(3)의 외부 돌출 및 내부 복귀가 이루어지고 종이(5)에 제본된 철침(21)을 제거하는 제침대(41)를 포함하는 제침 수단(4)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침 수단(4)은
    상부 개방부(421)와 후방 개방부(422)를 포함하여 구비된 안내 홈(42)과,
    상기 안내 홈(42)에 구비되어 외부의 조작을 통해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침대(4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플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침대(41)는;
    상기 안내 홈(42)에 삽입되는 제침쇠(411)와 상기 제침쇠(411)의 상부에 돌출 구비되어 상기 상부 개방부(421)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 레버(4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플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개방부(421)와 조작 레버(412) 사이에는 제침쇠(411)의 삽입과 돌출을 단속하는 단속 수단(43)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플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 수단(43)은;
    상기 상부 개방부(421)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전,후방 홈(431,432)과,
    상기 조작 레버(412)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방 홈(431,43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스프링 돌기(43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플러.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의 상부면에는 철침(21)을 종이(5)의 상단면과 수평을 유지하여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종이(5)의 상단면과 철침(2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라인(11)이 마킹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플러.
KR20-2005-0017233U 2005-06-15 2005-06-15 스테플러 KR200393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233U KR200393905Y1 (ko) 2005-06-15 2005-06-15 스테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233U KR200393905Y1 (ko) 2005-06-15 2005-06-15 스테플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597 Division 2005-06-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905Y1 true KR200393905Y1 (ko) 2005-08-25

Family

ID=4369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233U KR200393905Y1 (ko) 2005-06-15 2005-06-15 스테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9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75835A (ja) ステープラー
US10737523B2 (en) Stapler
KR200393905Y1 (ko) 스테플러
WO2004011202A1 (ja) ステープラー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S5924469Y2 (ja) ホツチキス
JPH08112781A (ja) ステープラー
KR200395473Y1 (ko) 서류철 보조기
JP2005254431A (ja) 電動ステープラ
JP2004142074A (ja) ホッチキス
JP2002187392A (ja) 綴込装置
KR200367738Y1 (ko) 스테플러를 이용한 제본기
KR960009777Y1 (ko) 제침기겸용 커터
KR100404483B1 (ko) 서류철용 날클립 압착장치
JPH0430055Y2 (ko)
JP2000247084A (ja) 綴込装置
KR200216936Y1 (ko) 스테플러
KR200238104Y1 (ko) 스테플리무버
KR101422773B1 (ko) 스테이플러
KR101422774B1 (ko) 스테이플러
JP3571895B2 (ja) ステープラー装置
CN112008660A (zh) 一种装订装置
KR100584246B1 (ko) 스테플러를 이용한 제본기
JP2000313188A (ja) フラットファイル用綴じ具
JP3650961B2 (ja) フラットファイル
JPH054094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