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775Y1 - 합성수지재 창틀 용접부위의 내측모서리 비드 생성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재 창틀 용접부위의 내측모서리 비드 생성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775Y1
KR200393775Y1 KR20-2005-0010947U KR20050010947U KR200393775Y1 KR 200393775 Y1 KR200393775 Y1 KR 200393775Y1 KR 20050010947 U KR20050010947 U KR 20050010947U KR 200393775 Y1 KR200393775 Y1 KR 200393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blocking
welding
bea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0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도
Original Assignee
남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도 filed Critical 남영도
Priority to KR20-2005-0010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7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7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2Mechanical after-treatments
    • B29C66/0326Cutting, e.g. by using waterjets,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개의 융착기(M,M')가 하나의 테이블(20)에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고, 실린더로드(11)가 부착되고 이 실린더로드에는 고정압판(12)이 갖추어지고, 이 고정압판은 슬라이딩레일(13)을 통해 상,하이동을 할 수 있는 서로 대향되는 두개의 고정실린더(10,10'), 테이블(20), 열판(30) 및 가이드봉(21) 등을 갖추면서, 창틀부재(1,1')를 열판(30)을 통해 융착하여 용접하도록 되는 융착기(M,M')가 있는 장치에 있어서, 합성수지재 창틀부재(1,1')의 모서리 용접시 발생하는 모서리 내측부분의 용접비드(B1)의 생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창틀모서리(23) 및 창틀홈의 내측굴곡(24)의 각홈에 내접하도록한 형상을 갖는 각 차단날(25)이 다수의 창틀홈의 굴곡면(24)에 일체형으로 내접하도록 여러개의 차단날이 결합된 차단날뭉치(26,26')가 서로 직각으로 고정결합되어 슬라이딩홈부재(28)로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용접시 발생하게 되는 모서리부분의 내측비드(B1)의 생성을 차단하도록 한 상기 융착기(M,M') 장치의 테이블(20) 하단 내측부(31)에 수직되게 설치된 차단수단(100, 10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창틀 용접부위의 비드 생성 차단 장치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재 창틀 용접부위의 내측모서리 비드 생성차단 장치{Apparatus for bead cleaning for window frame}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창틀의 열융접합시 모서리부분의 내측부위의 비드 생성 차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 창틀의 모서리부분 용접시 발생하는 창틀모서리 내측부위의 용접비드 생성을 차단하여 별도의 수동으로 진행되어오던 합성수지재 모서리 내측부위의 용접 비드 제거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한 창틀 용접부위의 내측모서리 비드 생성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로 제조되는 창틀은 창틀의 내측면으로 방충망 또는 유리창틀이 결합됨으로 내측면에 결합홈을 형성시켜 주어야 하고 이로 인해 사각 또는 직사각형의 창틀을 단일체로 압출성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합성수지재로 된 창틀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임의의 길이로 절단된 창틀골재를 열융착기 등에 의해 모서리 접합 부위를 열융착하여 접합하므로 일정한 형태로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창틀의 제조과정에서는 창틀의 모서리 접합부위가 열융착 결합과정에서 녹아 돌출하여 형성되는 용접비드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건축물의 창틀로 그대로 사용할 경우, 미관상, 기능상의 문제를 일으키게 되므로 별도의 후가공 작업을 시행하여야만 한다. 결국, 종래의 창틀의 제조과정은 창틀골재를 열융착으로 접합하는 과정과 열융착부위에 발생되는 용접비드를 제거하기 위한 비드 사상제거 과정이 별도로 요구되어 그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게 되고, 이로 인해 창틀의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를 갖게 된다. 또한, 접합부위가 냉각된 후에는 그 물성이 단단하게 굳어지기 때문에 제거작업이 까다롭고 깔끔하게 마무리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창틀골재를 용접 조립한 후, 생성된 용접비드를 끌 등의 수공구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모서리 내측 용접비드를 제거하였으나, 이러한 작업에 노동력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수작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창틀(70)의 모서리 용접비드(71)를 압착시키는 압착유닛(72)을 이용하여 용접비드를 제거하는 기술이 공지되었으나, 이 기술은 모서리 용접시 발생한 용접비드를 사상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 눌러 압착하는 것이므로, 비드의 눌림이 완전하게 되지않는 경우 그 비드자체가 창틀모서리부의 내측에 잔존하게 됨으로써, 창틀의 기능에 여전히 방해가 되는 방해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창틀의 내측 홈이 다수개인 경우 그 실행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합성수지재 창틀의 모서리 접합부위가 열융착 결합과정에서 열융착시 발생하게 되는 모서리 내측 부분의 용접비드의 생성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 창틀의 열융착 용접시 모서리 내측 부분, 창틀내부홈모서리에 발생되는 용접비드의 생성을 차단하는 것이 자동화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합성수지재 창틀의 열융착 결합제조 공정시 발생되는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합성수지재 창틀 용접부위의 비드 생성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두개의 융착기(M,M')가 하나의 테이블(20)에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고, 실린더로드(11)가 부착되고 이 실린더로드에는 고정압판(12)이 갖추어지고, 이 고정압판은 슬라이딩레일(13)을 통해 상,하이동을 할 수 있는 서로 대향되는 두개의 고정실린더(10,10'), 테이블(20), 열판(30) 및 가이드봉(21) 등을 갖추면서, 창틀부재(1,1')를 열판(30)을 통해 융착하여 용접하도록 되는 융착기(M,M')가 있는 장치에 있어서,
합성수지재 창틀부재(1,1')의 모서리 용접시 발생하는 모서리 내측부분의 용접비드(B1)의 생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창틀모서리(23) 및 창틀홈의 내측굴곡(24)의 각홈에 내접하도록한 형상을 갖는 각 차단날(25)이 다수의 창틀홈의 굴곡면(24)에 일체형으로 내접하도록 여러개의 차단날이 결합된 차단날뭉치(26,26')가 서로 직각으로 고정결합되어 슬라이딩홈부재(28)로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용접시 발생하게 되는 모서리부분의 내측비드(B1)의 생성을 차단하도록 한 상기 융착기(M,M') 장치의 테이블(20) 하단 내측부(31)에 수직되게 설치된 차단수단(100, 10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창틀 용접부위의 내측모서리 비드 생성차단 장치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합성수지재 창틀 용접부위의 내측모서리 비드 생성차단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두개의 융착기(M,M')가 하나의 테이 블(20)에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고, 실린더로드(11)가 부착되고 이 실린더로드에는 고정압판(12)이 갖추어지고, 이 고정압판은 슬라이딩레일(13)을 통해 상,하이동을 할 수 있는 서로 대향되는 두개의 고정실린더(10,10'), 테이블(20), 열판(30,30') 및 가이드봉(21) 등을 갖추면서, 창틀부재(1,1')를 열판(30,30')을 통해 융착하여 용접하도록 되는 융착기(M,M')가 있고, 이 융착기에 의해 용접된 합성수지재 창틀부재(1,1')의 용접시 발생하는 모서리 내측부분의 용접비드(B1)의 생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창틀모서리(23) 및 창틀홈의 내측굴곡면(24)의 각홈에 내접하도록한 형상을 갖는 각 차단날(25)이 다수의 창틀홈의 굴곡면(24)에 일체형으로 내접하도록 여러개의 차단날이 결합된 차단날뭉치(26,26')가 서로 직각으로 고정결합되어 슬라이딩홈부재(28)에 의해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용접시 발생되는 모서리부분의 내측비드(B1)의 생성을 차단하도록 한 상기 융착기(M,M')의 테이블(20) 하단 내측부(31)에 수직되게 설치된 차단수단(100, 100')이 구성된다.
도 2는 합성수지재 창틀골재를 사각형상의 창틀로 형성하기 위하여 종래의 장치로 모서리 용접시 발생된 모서리 내측부분의 용접비드(B1)를 나타내는 실제사진이다. 합성수지재 창틀골재(1,1')는 창틀을 만들기 위해 융착기(M,M')에 의해 사각형태를 갖는 창틀을 제조하기 위하여 창틀 모서리(23)가 용접되는 경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서리(23) 내측부분에 용접비드(B1)가 발생된다. 이들 모서리(23) 내측부분의 용접비드(B1)를 제거하지 않은 채 건축물의 창틀에 그대로 사용할 경우, 기능상의 문제를 유발하게 되므로 별도의 후가공 처리작업을 거쳐야만 한다. 미설명 부호(12)는 고정압판, 미설명부호(14)는 받침대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차단수단(100)의 한쪽에 장착되는 차단날 뭉치(26)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이 차단날뭉치(26)가 창틀홈의 내굴곡면(24)에 일체형으로 내접하게 가공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3에 나타난 차단날뭉치는 다수의 각각의 차단날(25)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이들의 각 차단날(25)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창틀홈의 내굴곡면(24)에 창틀홈의 형상에 알맞도록 성형가공된다. 이러한 차단날(25)은 창틀홈에 끼워져 기능 할 때, 일부 제작시 발생하는 홈의 규격 오차를 적절하게 완충할 수 있도록 레일완충홈(27)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완충홈(27)의 간격은 1mm ~ 1.5mm 크기가 적합하다. 또한, 상기 차단날(25)과 차단날뭉치(26)의 사이에는 합성수지재 창틀 용접시 발생하는 열융합간격을 완충하기 위한 열융합간격완충홈(29)이 형성된다. 상기의 열융합간격을 완충하기 위한 열융합간격완충홈의 간격은 3mm ~ 3.5mm 크기가 적합하다. 즉 각 홈에는 홈에 완충력을 주는 수단을 갖추게 된다.
도 5a, 도 5b, 도 5c, 도 5d는 본 고안의 차단날(25)과 차단날뭉치(26,26')가 열판(30)에 의해 합성수지재 창틀의 모서리부분을 용접할 때 발생하는 창틀모서리 내측부위의 용접비드의 생성을 차단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즉, 도 5a는 창틀모서리(23)를 용접하기 위하여 열판(3)이 창틀의 모서리 용접부위 사이의 방향(a)으로 이동하여 들어오고, 그때 창틀 모서리(23)의 내측굴곡면(24)에 내접하게 차단날(25)이 위치된다. 이때 차단날(25)의 끝날은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창틀모서리(23)의 끝단보다 0.5 mm ~ 1mm정도 앞으로 나오도록 차단날뭉치(26)가 위치된다.
이어서, 도 5b는 상기 도 5a에서 열판(30)이 이동한 후 창틀모서리(23)에 내접한후 가열되어 합성수지재의 창틀모서리(23) 용접부위를 열융합하게 된다. 열판(30)에 의해 열융합하는 경우 창틀모서리(23)는 모서리 방향(b)으로 눌려지도록 차단날뭉치(26)에 힘이 가해지며, 이때 합성수지재는 약 2.5mm정도 녹아 용융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 시기에 용접비드의 일부가 생성된다. 하지만, 본 고안은 이때 차단날(25)이 열융합간격완충홈(29)의 완충력에 의해 용융되는 창틀모서리(23)의 끝단선과 일치하게 미세하게 방향(c)이동 됨으로써, 발생되는 용융비드가 창틀의 내측굴곡면(24)으로 형성될수 있는 공간을 차단하게 되므로 내측굴곡면(24)에는 용융비드가 생성되지 못하고, 창틀의 샷시파이프의 이면비드(31)로 생성된다.
이어서, 도 5c는 상기 도 5b에서 열판(30)에 의해 창틀모서리(23)가 열융착에 적합한 온도로 열융해되면 열판(30)이 방향(d)으로 원위치 되며, 이때 창틀모서리(23)와 차단날뭉치(26,26')는 열판이 이동할수 있도록 간격을 주기 위해 벌어지며, 이때 차단날뭉치(26)에 완충고정된 차단날(25)은 열융합간격완충홈(29)의 완충복원력에 의해 방향(e)으로 원위치 복원된다. 이때 열판에 의해 열용융된 창틀모서리(23) 끝단에 생성될 수 있는 용접비드 마저 완전하게 제거하게 된다.
이어서, 도 5d는 상기 도 5c에서 열용융된 창틀모서리를 열용접완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역시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 시기에 용접비드가 주로 생성된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창틀모서리(23)를 열용접하기 위하여 방향(f)으로 이동하면서 눌러줄때 차단날(25)은 열융합간격완충홈(29)에 의해 자연스럽게 방향(g)으로 이동하여 창틀모서리(23)의 끝단선과 일치하게 되므로써 창틀모서리(23)에 열용융되어 발생되는 용융비드가 창틀의 내측굴곡면(24)으로 형성될수 있는 공간을 차단하게 되므로 내측굴곡면(24)에는 용융비드가 생성되지 못하고, 창틀의 샷시파이프의 이면비드(31)로 생성된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창틀의 모서리 접합부위가 열융착 결합과정에서 열융착시 발생하게 되는 모서리 내측부분의 용접비드의 생성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 향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합성수지재 창틀 용접부위의 내측모서리 비드 생성차단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합성수지재 창틀 골재를 사각형상의 창틀로 형성하기 위하여 종래기술로 모서리 용접시 발생된 모서리 내측 부분의 용접비드(B1)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차단수단(100)의 한쪽에 장착되는 차단날뭉치(2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차단날뭉치(26)가 창틀홈의 내굴곡면(24)에 일체형으로 내접하게 가공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도 5b, 도 5c, 도 5d는 본 고안의 차단날(25)과 차단날뭉치(26,26')가 열판(30)에 의해 합성수지재 창틀의 모서리부분을 용접할 때 발생하는 창틀 모서리 내측부위의 용접비드의 생성을 차단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기술의 창틀의 모서리 용접비드를 압착시키는 압착유닛을 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1---창틀 10,10'---고정실린더
11---실린더로드 12---고정압판
13---슬라이딩레일 14---받침대
20---테이블 21---가이드봉
23---창틀모서리 24---내측굴곡면
25---차단날 26---차단날뭉치
27---레일완충홈 28---슬라이딩홈부재
29---열융합간격완충홈 30,30'---열판
31---이면비드 32---지지부재
100,100'---차단수단
M,M'---융착기 B1---내측비드

Claims (5)

  1. 두개의 융착기(M,M')가 하나의 테이블(20)에 서로 마주보게 장착되고, 실린더로드(11)가 부착되고 이 실린더로드에는 고정압판(12)이 갖추어지고, 이 고정압판은 슬라이딩레일(13)을 통해 상,하이동을 할 수 있는 서로 대향되는 두개의 고정실린더(10,10'), 테이블(20), 열판(30) 및 가이드봉(21) 등을 갖추면서, 창틀부재(1,1')를 열판(30)을 통해 융착하여 용접하도록 되는 융착기(M,M')가 있는 장치에 있어서,
    합성수지재 창틀부재(1,1')의 모서리 용접시 발생하는 모서리 내측부분의 용접비드(B1)의 생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창틀모서리(23) 및 창틀홈의 내측굴곡(24)의 각홈에 내접하도록한 형상을 갖는 각 차단날(25)이 다수의 창틀홈의 굴곡면(24)에 일체형으로 내접하도록 여러개의 차단날이 결합된 차단날뭉치(26,26')가 서로 직각으로 고정결합되어 슬라이딩홈부재(28)로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용접시 발생하게 되는 모서리부분의 내측비드(B1)의 생성을 차단하도록 한 상기 융착기(M,M') 장치의 테이블(20) 하단 내측부(31)에 수직되게 설치된 차단수단(100, 10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창틀 용접부위의 내측모서리 비드 생성차단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차단날(25)은 1mm ~ 1.5mm 크기 간격의 레일완충홈(2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창틀 용접부위의 내측모서리 비드 생성차단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차단날(25)과 차단날뭉치(26) 사이에는 열융합간격을 완충하기 위한 3mm ~ 3.5mm 크기 간격의 열융합간격완충홈(2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창틀 용접부위의 내측모서리 비드 생성차단 장치.
KR20-2005-0010947U 2005-04-20 2005-04-20 합성수지재 창틀 용접부위의 내측모서리 비드 생성차단장치 KR200393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947U KR200393775Y1 (ko) 2005-04-20 2005-04-20 합성수지재 창틀 용접부위의 내측모서리 비드 생성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0947U KR200393775Y1 (ko) 2005-04-20 2005-04-20 합성수지재 창틀 용접부위의 내측모서리 비드 생성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775Y1 true KR200393775Y1 (ko) 2005-08-30

Family

ID=4369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0947U KR200393775Y1 (ko) 2005-04-20 2005-04-20 합성수지재 창틀 용접부위의 내측모서리 비드 생성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7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16528A (zh) 用于焊接两个由塑料制成的空心型材杆的方法和装置
JP5088772B2 (ja) 被加工物の溶着装置及び樹脂枠の組立装置
KR20200005247A (ko) 창호프레임 가공용 열 융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8521876A (ja) プラスチック製プロフィール付き要素を密封する機械
KR200393775Y1 (ko) 합성수지재 창틀 용접부위의 내측모서리 비드 생성차단장치
KR100373983B1 (ko) 플라스틱 소재간의 절단면 열융착 접합 및 비드 제거장치
KR102041016B1 (ko) 창호 융착 장치용 열판
JP5284073B2 (ja) 建具
KR102033303B1 (ko) 창호용 합성수지 프로파일의 무이음매 용접장치
KR200377615Y1 (ko) 창틀 용접부위의 용접비드 사상제거 장치
KR100761448B1 (ko) 창틀 골재의 열융착 장치용 비드 사상제거장치
KR100589863B1 (ko) 창틀 용접부위의 비드사상제거장치
JP5461647B2 (ja) 建具
KR200367877Y1 (ko) 창틀 용접부위의 비드사상제거장치
KR102274851B1 (ko) 합성수지제 창틀 프레임의 용접방법 및 그 장치
KR0134010Y1 (ko) 창틀골재의 열융착과 비드사상제거장치
JP3836345B2 (ja) 熱融着接合加工装置
GB23503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welded plastics frames
KR100877533B1 (ko)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JP5089675B2 (ja) 窓枠
KR20200126085A (ko) Pvc 창호용 프로파일 이를 이용한 pvc 창호의 제조방법
KR200371140Y1 (ko) 비드 제거장치
KR20220124958A (ko) 접합면의 비드가 최소화된 pvc 창호
WO2018109687A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window and door frameworks and casings, and related profile
EP3548255B1 (en) Process for the sealing of plastic profiled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