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463Y1 -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463Y1
KR200393463Y1 KR20-2005-0005873U KR20050005873U KR200393463Y1 KR 200393463 Y1 KR200393463 Y1 KR 200393463Y1 KR 20050005873 U KR20050005873 U KR 20050005873U KR 200393463 Y1 KR200393463 Y1 KR 200393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eninsula
fixed
fixing devic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5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성호
Original Assignee
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성호 filed Critical 변성호
Priority to KR20-2005-0005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4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4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engaging it by snap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대와 고정반도를 결합시키는 결합구의 일측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고정반도에 원형고리와 중심축으로 형성된 개폐구를 중심으로 이동반도의 형성으로 개폐 이동시킴에 따라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이동반도를 분리이동함으로서 파이프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의 형성으로 파이프 설치 및 제거 작업이 용이하고, 체결구는 지지대와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서,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어느 위치에든 취부면에 관계없이 고정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고정반도에는 다수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고무패킹에는 상기 삽입공에 일치하는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서 전류를 차단하는 절연효과와 외부의 온도를 차단하여 파이프 보온에 있어서 단열단냉효과를 높이고, 고정반도 개폐시에도 고무패킹이 분리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파이프 고정에 있어서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A PIPE FIXING DEVICE}
본 고안은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대와 고정반도를 결합시키는 결합구의 일측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고정반도에 원형고리와 중심축으로 형성된 개폐구를 중심으로 이동반도의 형성으로 개폐 이동시킴에 따라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이동반도를 분리이동함으로서 파이프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의 형성으로 파이프 설치 및 제거 작업이 용이하고, 체결구는 지지대와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서,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어느 위치에든 취부면에 관계없이 고정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고정반도에는 다수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고무패킹에는 상기 삽입공에 일치하는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서 전류를 차단하는 절연효과와 외부의 온도를 차단하여 파이프 보온에 있어서 단열단냉효과를 높이고, 고정반도 개폐시에도 고무패킹이 분리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파이프 고정에 있어서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파이프 헹가의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와 부분단면도이다. 종래의 파이프 헹가의 고정장치는 파이프가 설치되는 고정반도(12)와 상기 고정반도(12)를 취부면에 결합시키도록 형성된 지지대(28)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반도(12)와 지지대(28)에는 결합공(26)을 구비한 결합구(24)가 각각 형성되고, 결합볼트(42)와 결합너트(44)를 사용하여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28) 상부에는 체결공(36)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공(36)에 체결구(40)에는 걸림턱(34)과 체결너트(32)의 형성으로 지지대(28)를 취부면에 결합시킨다.
상기 고정반도(12)의 일측에는 개폐구(18)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구(18)는 두 개의 연결고리 구조로서 형성되어 있는데, 파이프 설치 및 제거 작업을 쉽게 하려면 두 개의 연결고리로서 파이프(50)를 감싸거나 분리함으로서 지지대(28)에 형성된 결합구(24)와 일치시켜 고정반도(12)가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28)와 고정반도(12)에는 각각 결합공(26)을 구비한 결합구(24)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6)을 관통하여 결합볼트(42)를 설치한 다음, 결합너트(44)를 조여서 체결구(40)와 고정반도(12)를 결합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 고정반도(12)에는 두 개의 연결고리로서 파이프(50)를 감싸서 지지대(28)를 결합시킬 때 결합볼트(42)와 결합너트(44)를 설치하기 위하여 결합공(26)의 위치를 맞추는 작업도 상당한 불편함이 있으며, 복잡한 공정으로 다수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며 파이프(50)를 제거하기 위해서 결합볼트(42)와 결합너트(44)를 분리시키면 자체 중량에 의해 고정반도(12)가 지지대(28)와 분리되면서 낙하하여 작업자가 부상당할 위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반도(12) 내부에 홈(72)이 형성되고 표면에 돌출면(70)이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홈(72)이 형성됨으로서 고정반도(12)와 파이프(50)가 밀착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단열 및 절연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고무패킹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도 2는 종래의 파이프 헹가의 고정장치의 결합모습을 정면에서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취부면(100)에 앙카(46)를 설치한 후, 체결볼트(48)를 이용하여 지지대(28)에 설치된 체결너트(32)와 상기 앙카(46)를 결합시킴으로서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를 취부면(100)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파이프 헹가의 고정장치에서, 상기 체결너트(32)는 지지대(28)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하 양측 단부에 걸림턱(34)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지지대(28)와의 결합상태는 유지할 수 있으나, 일정한 유격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서 파이프(50) 설치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한다.
따라서, 종래의 파이프 헹가의 고정장치는 파이프(50)를 취부면(100)에 완전히 고정시키지 못하는 단점으로는, 고정반도(12)에 형성된 개폐구(18)는 두 개의 연결고리로서 형성되어 파이프(50)의 고정에 있어 파이프(50)의 외면을 감싸서 체결하는 단점과 결합구(24)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26)의 위치를 맞춘 후 결합볼트(42)를 삽입하여 결합너트(44)로서 파이프(50)를 고정시키는 것은 아주 힘들며 지지대(28)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구(40)는 삽입구멍의 너슨함으로서 더욱 더 파이프(50)를 고정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체결구(40)에 형성된 걸림턱(34)은 기계의 압착으로 형성함으로서 파이프(50)에 각종 액체 및 펌프의 가압이 발생할 때는 더욱 더 사용상에 위험이 따르며, 파이프(50)의 보온에 있어 고정반도(12)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부(70)의 형성은 보온장치를 더욱 더 어렵게 한다.
따라서 상기의 종래의 파이프 헹가의 고정장치는 파이프(50)의 배관길이가 아주 짧은 거리에 사용할 수 있으며 파이프(50)를 고정시키지 못하고 걸쳐서 올려놓는 역할과 사용상에 제한이 있는 단점과 함께 복잡한 공정으로 다수의 작업자들이 힘들게 작업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도 3은 종래의 파이프 유볼트의 고정장치의 사용모습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유볼트의 고정장치는 도1, 도2의 종래의 파이프 헹가의 고정장치로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이프(50)를 고정시키는 파이프 고정장치다.
도 3에 있어서 (가)와 (다)는 파이프(50)의 길이가 긴 배관을 각종 건물의 실내나 실외에 설치하는 장치로서 천장과 지면의 콘크리트 면에 앵글이나 'ㄷ'형강으로 취부틀(52)을 만든 후 앙카(46)와 체결볼트(48)을 이용해 고정 후 취부면(100)에 유볼트(60)의 고정구멍을 형성 후 취부면(100)에 파이프(50)를 올려놓고 유볼트(60)로서 고정구멍에 삽입후 너트(58)로서 파이프(50)를 고정하는 고정장치다.
상기의 단점은 파이프(50)의 고정에는 문제가 없지만 파이프(50)가 고정된 취부면(100)의 노출로 각종 건축물의 실내에 천고를 줄이는 역할과 유볼트(60)의 두 개의 볼트를 너트(58)로서 체결하는데 시간적 소모가 많으며 절연효과를 내려면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하고 배관된 파이프(50)의 보온장치에 있어 취부면(100)의 돌출로 보온장치의 공정의 소모가 많으며 취부틀(52)의 노출로 외기의 온도를 파이프(50)에 전도함으로서 단열과 단냉의 효과를 떨어뜨려 에너지 소모로까지 이어지는 단점이 있다.
도 3의 (나)는 파이프(50)의 길이가 긴 배관을 행할 때 각종 건축물의 실외에 배관하고자 할 때 주로 옥상바닥 우수 파이프(50)를 배관하고자 할 때 콘크리트 취부면(100)에 앙카(46)를 삽입고정한 후 직각고리 등을 이용해 고정반도를 체결볼트(48)로서 파이프(50)를 고정시키는 파이프 고정장치다.
상기의 단점은 파이프(50)의 고정에 있어 고공에서 작업이 이루어져 고가사다리차나 외부용비계를 설치 후 작업이 행해지는데 체결공 개수가 너무 많아 파이프(50) 고정이 힘들며 작업시간의 소모가 많아 비경제적이며 안전에도 문제점이 많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대와 고정반도를 결합시키는 결합구의 일측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고정반도에 원형고리와 중심축으로 형성된 개폐구를 중심으로 이동반도의 형성으로 개폐시킴에 따라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이동반도의 분리로 이동함으로서 파이프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의 형성으로 파이프 설치 및 제거 작업이 용이한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체결구는 지지대와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서,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어느 위치에든 취부면에 관계없이 고정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반도에는 다수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고무패킹에는 상기 삽입공에 일치하는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서 절연 및 단열효과를 높이고, 고정반도 개폐시에도 고무패킹이 분리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의 보온장치에 있어서 취부틀의 외기온도를 차단하고 파이프 고정 취부면의 장애를 피할 수 있으므로 파이프를 단독 보온장치를 할 수 있는 이점으로 보온장치의 공정의 삭감과 단열, 단냉의 효과를 높임으로서 에너지 절감효과를 낼 수 있는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는 취부면에 고정되는 앙카볼트와 결합되도록 체결구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고정반도와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결합공이 구비된 결합구가 형성된 지지대, 및 파이프를 설치하도록 원형고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개폐가 가능하도록 일측에 개폐구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와 결합되도록 상부에 다수개의 결합공을 구비한 결합구가 형성된 고정반도를 포함하는데, 상기 고정반도와 지지대의 결합구는 일측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결합볼트와 결합너트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고정반도 내부에는 파이프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절연 및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고무패킹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를 취부면에 고정시키도록 지지대 상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무패킹이 고정반도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반도에는 다수개의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에 일치하는 형상으로 고무패킹에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구는 원형고리와 중심축으로 형성되며 경첩, 흰지, 연결고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구는 체결너트와 고정너트의 결합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너트는 상기 지지대의 체결공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너트와 결합되도록 외측에 나사선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반도에는 개폐구 중심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반도의 형성으로 이동함으로서 파이프를 고정과 분리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와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의 결합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는 지지대(28)와 고정반도(12)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대(28)와 고정반도(12)는 결합구(24)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결합구(24)의 일측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반도(12)의 일측에는 회전축 역할을 하는 원형고리(17)와 중심축(16)의 형성으로 개폐구(18)의 중심으로 이동반도가 설치되어 지지대(28)와 고정반도(12)의 결합 및 분리 작업이 간편해진다.
상기 지지대(28)와 고정반도(12)에 형성된 결합구(24)의 일측이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개폐구(18) 중심으로 이동반도(14)의 이동으로 개폐할 때 지지대(28)와 고정반도(12)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결합구(24)의 체결 및 분리가 쉬워지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종래에는 고정반도에는 두 개의 연결고리와 결합구가 각각 분리되어 결합구의 체결 및 분리가 아주 불편한 점이 많았다.
그리고 지지대(28)를 취부면에 결합시키도록 체결너트(32)가 설치되는데, 상기 체결너트(32)의 하단부에는 걸림턱(34)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정너트(30)와 체결너트(32)의 하부 외쪽에 나사선(38)과 결합되어 지지대(28)와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밀착되게 설치된다.
종래에는 체결너트의 상하 양측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별도로 고정너트를 사용할 필요는 없었으나, 체결너트와 지지대 사이에 발생하는 유격 때문에 지지대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없었다. 하지만, 본 고안의 체결구(40)는 체결너트(32)의 하부 외측에 나사선(38)을 형성하고 고정너트(30)를 단단하게 조여 체결구(40)와 지지대(28)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 고정반도(12)에는 일측에는 원형고리(17)와 중심축(16)의 형성으로 개폐구(18)를 중심으로 이동반도(14)가 형성되어 이동함으로서 고정반도(12)에는 파이프(40)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의 형성으로 파이프(50)의 고정과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반도(12)에는 다수개의 삽입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2)에 일치하는 형상의 다수개의 돌출부(19)가 형성된 고무패킹(20)이 고정반도(12)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고무패킹(20)은 고정반도(12)에 밀접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무패킹(20)을 설치함으로서 파이프(50)의 단열, 단냉의 효과 및 절연 효과를 얻게 되고, 파이프(50)를 고정시키는 효과도 높이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와 취부면의 결합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지지대(28)를 취부면(100)에 설치하여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를 고정시키도록, 취부면(100)에 설치된 앙카(46)와 지지대(28)에 설치된 체결구(40)에 형성된 체결너트(32)에 체결볼트(48)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본 고안의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는 지지대(28)와 고정반도(12)의 결합구(24)의 일측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를 취부면(100)에 설치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이동반도(14)를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대(28)와 고정반도(12)를 체결 및 분리시킬 때 결합공(26)을 일직선상에 일치시키거나 결합볼트(42)와 결합너트(44)를 결합시키기도 편리하다. 또한, 고정반도(12)는 일체형으로 고정되고 개폐구(18)의 설치로서 이동반도(14)의 이동으로 파이프(50)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으로 파이프(50)의 고정과 분리를 손쉽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와 고무패킹의 단면을 도시하는 분리단면도이다. 도 7에 따르면, 고정반도(12)에는 다수개의 삽입공(22)이 형성되고, 고무패킹(20) 표면에는 상기 삽입공(22)에 일치하는 형상의 다수의 돌출부(19)가 형성되어, 고무패킹(20)이 고정반도(12)에 밀착하게 된다.
종래에는 필요할 경우에 고정반도 내부에 단순히 고무패킹을 추가로 끼워 넣음으로서 고무패킹이 고정반도로부터 이탈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에서와 같이 고정반도(12)에 삽입공(22)과 돌출부(19)를 형성하면, 고무패킹(20)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며 고정반도(12)에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를 고정시킴에 있어서 안정성이 높아지고, 단열, 단냉의 효과 및 절연 효과도 얻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의 결합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따르면, 체결구(40)는 체결너트(32)와 고정너트(30)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너트(32)는 하단부에 걸림턱(34)이 형성되고 체결구(40)의 몸체가 체결공(36)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체결너트(32)의 하부 외측에는 나사선(38)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너트(30)와 결합된다. 고정너트(30)를 사용함에 따라 체결너트(32)의 하부 외측의 나사선(38)과 고정너트(30)를 단단히 조임으로서 걸림턱(34)을 고정함으로서 지지대(28)와 밀착하여 유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가 취부면에 단단히 고정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구와 고정반도의 형상을 상부에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에 따르면, 원형고리(17)와 중심축(16) 형성으로 개폐구(18)가 형성되며 개폐구(18)의 중심으로 몸체에 고정된 고정반도(12)와 이동할 수 있는 이동반도(14)가 형성되며 고무패킹을 설치할 수 있는 다수의 삽입공(22)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구(18)는 경첩, 흰지, 연결고리 등 어떠한 형상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의 사용모습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가)와 (다)는 파이프(50)의 길이가 긴 배관을 각종 건물의 실내나 실외에 설치하는 장치로서 천장과 지면의 콘크리트면에 앵글이나 'ㄷ'형강으로 취부틀(52)을 만든 후 앙카(46)와 체결볼트(48)을 이용해 고정한 후 취부면(100)에 고정구멍을 형성후 본 고안의 고정장치(10)의 체결구(40)에 형성된 체결너트(32)에 체결볼트(48)로서 고정함으로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파이프(50)의 고정은 이동반도(14)의 이동으로서 고정과 분리가 쉽다.
종래의 유볼트의 체결에서는 취부틀에 고정된 파이프(50)는 취부면의 노출로 각종 건축물의 실내에 천고를 줄이는 역할과 유볼트의 두 개의 볼트를 너트로서 체결하는데 시간적 소모가 많으며 절연효과를 내려면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하고 배관된 파이프의 보온장치에 있어서 취부면의 돌출로 보온장치의 공정의 소모가 많으며 취부틀의 노출로 외기의 온도를 파이프에 직접 전도함으로서 단열과 단냉의 효과를 떨어뜨려 에너지 소모로까지 이어지는 단점을 본 고안으로서 상기의 단점을 해소하는 고안으로서 파이프(50)의 고정에 있어서 취부면(100)에 관계없이 고정할 수 있고 취부틀(52)의 상, 하, 좌, 우, 어느 위치든지 고정할 수 있으며 간단한 공정과 파이프(50)를 단독보온장치를 할 수 있어 절연 및 단열과 단냉의 효과를 높임으로서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낼 수 있게 한다.
도 10(나)에 따르면, 파이프(50)의 길이가 긴 가로세우기 배관을 할 대 각종 건축물의 실외에 배관하고자 할 대 주로 옥상바닥 우수파이프(50)를 배관하고자 할 때 콘크리트 외벽 취부면(100)에 앙카(46)를 삽입고정후 본 고안의 고정장치(10)로서 간단하게 파이프(50)를 고정시킨다.
종래에는 파이프의 고정에 있어 체결공수가 너무 많아 파이프(50)의 고정이 힘들며 작업시간의 소모도 많고 안전에도 문제점이 많은 단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지지대와 고정반도에 결합구가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서, 지지대와 고정반도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즉, 지지대와 고정반도가 별도로 형성되어서, 지지대를 취부면에 결합시킨 다음, 다시 지지대와 고정반도를 결합시켜야 했다. 게다가 파이프를 고정반도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 과정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에서는 지지대(28)와 고정반도(1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체결구(40)를 이용하여 지지대(28)를 취부면(100)에 고정시킨 후 고정반도(12)에 개폐구(18)를 중심으로 형성된 이동반도(14)의 개폐이동으로 파이프(50)를 설치하고, 그런 다음 결합볼트(42)와 결합너트(44)를 이용하여 결합구(24)를 체결하면 되므로, 작업과정이 쉽고 간단해진다.
또한, 종래에는 다수의 작업자가 힘들게 작업을 하였지만 한 명의 작업자가 파이프(50)를 고정과 분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40)와 지지대(28) 사이에 유격을 없애고 밀착되도록 결합시켜서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취부면(100)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고무패킹(20)이 고정반도(12)에 결합되지 않아서 고정반도(12)를 개폐할 때 이탈되는 현상이 빈번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고정반도(12)에 다수개의 삽입공(22)을 형성하고 고무패킹(20)에는 상기 삽입공(22)에 일치하는 다수개 돌출부(19)를 형성함으로서, 이동반도(14)를 개폐할 때에도 고무패킹(20)의 위치가 고정되어 불필요한 작업을 감소시키게 된다.파이프 고정장치는 파이프의 외경의 치수에 따라 파이프 고정장치의 몸체에 형성된 모든 부품의 두께와 크기가 변화되며, 파이프 고정장치의 재질은 금속이나 고강도 플라스틱 재질로서 형성된다. 파이프(50)의 지름의 치수에 따라 15㎜ ~ 300㎜ 이상의 다양한 규격의 금속재질의 파이프(50)나 PVC 재질의 파이프(50)등이 유통됨으로써 지름의 치수에 비례하여 하중 또한 비례하여 커짐에 따라 파이프 고정장치(10) 또한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할수 있으며, 파이프(50)의 하중에 비례하여 파이프 고정장치(10) 또한 크기와 두께가 변화되며, 파이프 고정장치(10)는 주로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는 지지대와 고정반도를 결합시키는 결합구의 일측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고정반도에 형성된 개폐구를 중심으로 이동반도의 형성으로 개폐 이동시킴에 따라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므로 파이프 고정 및 제거 작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체결구는 지지대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으로서,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어느 위치에든 다양한 취부면에 파이프 고정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반도에 다수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고무패킹에는 상기 삽입공에 일치하는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서 절연 및 단열 및 단냉효과를 높이고, 이동반도 개폐시에도 고무패킹이 분리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반도에는 원형고리와 중심축으로 형성된 개폐구를 중심으로 이동반도가 형성되는데 이동반도의 개폐이동으로서 손쉽게 파이프를 삽이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파이프의 고정 및 분리가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결합구는 결합공에 삽입된 결합볼트를 분해할 필요가 없으며 결합너트의 체결과 분리로서 이동반도를 개폐 이동시킴으로서 파이프의 고정 및 분리가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의 외경 치수에 따라 파이프 고정장치 몸체의 형성된 모든 부품의 크기와 두께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는 다양한 취부면에 장소와 위치에 관계없이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으며 파이프 보온장치에 있어 단독보온을 할 수 있어 외기의 온도를 차단하는 단열, 단냉의 효과를 높이고 손쉽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으로 에너지와 인건비 절감의 효과로 개인이나 국가적으로 아주 유익한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로 제공된다.
본 고안의 파이프 헹가는 각종 건축물 실내나 실외에 있어 냉난방배관, 정수장, 폐수장배관, 송유관 배관, 프렌트 기계배관 등에 파이프를 사용하는 곳에는 다방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헹가의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파이프 헹가의 고정장치의 결합모습을 정면에서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파이프 유볼트의 고정장치의 사용모습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를 도시하는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의 결합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와 취부면의 결합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와 고무패킹의 단면을 도시하는 분리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의 결합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구와 고정반도의 형상을 상부에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의 사용모습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파이프 고정장치 12: 고정반도
14: 이동반도 16: 중심축
17: 원형고리 18: 개폐구
19: 돌출부 20: 고무패킹
22: 삽입공 24: 결합구
26: 결합공 28: 지지대
30: 고정너트 32: 체결너트
34: 걸림턱 36: 체결공
38: 나사선 40: 체결구
42: 결합볼트 44: 결합너트
46: 앙카 48: 체결볼트
50: 파이프 52: 취부틀
58: 너트 60: 유볼트
70: 돌출면 72: 홈
100: 취부면

Claims (9)

  1.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10)에 있어서,
    취부면(100)에 고정되는 앙카볼트(46)와 결합되도록 체결구(40)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고정반도(12)와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결합공(26)이 구비된 결합구(24)가 형성된 지지대(28), 및
    파이프(50)를 고정하도록 고정반도(12)에는 다수개의 원형고리(17)를 형성하고 이에 중심축을 끼워 개폐가 가능하도록 일측에 개폐구(18)가 형성되며, 개폐구(18)의 중심으로 이동반도(14)가 형성으로 개폐이동으로 파이프(50)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와 결합되도록 상부에 다수개의 결합공을 구비한 결합구(24)가 형성된 고정반도를 포함하는데,
    상기 고정반도(12)와 지지대(28)의 결합구(24)는 일측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결합공(26)에 삽입된 결합볼트(42)와 결합너트(44)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고정반도(12) 내부에는 파이프(5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절연 및 단열, 단냉효과를 향상시키도록 고무패킹(20)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28)를 취부면(100)에 고정시키도록 지지대(28) 상부에 형성된 체결공(36)에 체결구(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20)이 고정반도(12)에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반도(12)에는 다수개의 삽입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2)에 일치하는 형상으로 고무패킹(20)에는 다수개의 돌출부(1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는 고정반도(12)에 다수개의 원형고리(17)에 중심축(16)을 끼워 개폐구(18)를 형성되며 경첩, 흰지, 연결고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반도(12)에는 개폐구(18)의 중심으로 지지대(28), 결합구(24)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고정반도(12)와 개폐이동을 할 수 있는 이동반도(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이동반도(14)의 개폐이동으로서 파이프(50)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40)는 체결너트(32)와 고정너트(30)의 결합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너트(32)는 상기 지지대(28)의 체결공(36)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걸림턱(34)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너트(30)와 결합되도록 외측에 나사선(3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파이프 고정장치(10)는 파이프의 외경의 치수에 따라 파이프 고정장치의 몸체에 형성된 모든 부품의 두께와 크기가 변화되며,
    파이프 고정장치(10)의 재질은 금속이나 고강도 플라스틱 재질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
  8. 취부면(100)에 결합되는 지지대(28)와 파이프가 설치되는 고정반도(12)에 각각 형성된 결합구(24)를 결합시켜 설치되는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24)의 일측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반도(12)를 개폐시키도록 고정반도(12) 일측에 개폐구(18)의 중심으로 이동반도(14)가 형성되고 고정반도(12)에는 다수개의 삽입공(22)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22)에 일치하는 형상의 다수개의 돌출부(19)가 형성된 고무패킹(20)이 고정반도(12) 내부와 이동반도(14)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28)의 상부 취부면(100)에 단단히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체결구(40)를 포함하는데,
    상기 체결구(40)는 외측에 나사선(38)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걸림턱(34)이 형성된 체결너트(32)와 상기 나사선(38)에 결합되는 고정너트(30)와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
  9. 삭제
KR20-2005-0005873U 2005-03-04 2005-03-04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 KR200393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873U KR200393463Y1 (ko) 2005-03-04 2005-03-04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873U KR200393463Y1 (ko) 2005-03-04 2005-03-04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463Y1 true KR200393463Y1 (ko) 2005-08-22

Family

ID=4369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5873U KR200393463Y1 (ko) 2005-03-04 2005-03-04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46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52Y1 (ko) 2007-08-20 2009-10-30 유병호 배관 고정용 행거
CN110039971A (zh) * 2019-04-10 2019-07-23 广豪汽车配件(合肥)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空调管路的可拆卸式保温支架
CN111089200A (zh) * 2019-06-28 2020-05-01 广州地铁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预埋滑槽区间给排水管道的转换装置及其安装方法
JP2020153477A (ja) * 2019-03-22 2020-09-24 有限会社アールストーン 配管支持具
KR20220019386A (ko) * 2020-08-10 2022-02-17 씨엔피씨 주식회사 연직형 지중파일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52Y1 (ko) 2007-08-20 2009-10-30 유병호 배관 고정용 행거
JP2020153477A (ja) * 2019-03-22 2020-09-24 有限会社アールストーン 配管支持具
CN110039971A (zh) * 2019-04-10 2019-07-23 广豪汽车配件(合肥)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空调管路的可拆卸式保温支架
CN110039971B (zh) * 2019-04-10 2024-04-23 广豪汽车配件(合肥)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空调管路的可拆卸式保温支架
CN111089200A (zh) * 2019-06-28 2020-05-01 广州地铁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预埋滑槽区间给排水管道的转换装置及其安装方法
KR20220019386A (ko) * 2020-08-10 2022-02-17 씨엔피씨 주식회사 연직형 지중파일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2423816B1 (ko) * 2020-08-10 2022-07-22 씨엔피씨 주식회사 연직형 지중파일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3463Y1 (ko)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
KR100893947B1 (ko) 건축용 천정판
CN110374325B (zh) 用于板坯的立式套管及其构造方法
KR100964892B1 (ko) 파이프 고정장치
KR20090006003U (ko) 파이프 행거
KR200467285Y1 (ko)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CN204139549U (zh) 一种用于立管洞混凝土浇灌的支撑装置
KR200314051Y1 (ko) 물탱크용 연결관
KR200197233Y1 (ko) 파이프 행거
KR200441372Y1 (ko)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
KR200195887Y1 (ko) 교량용 동바리 클램프
JP2001065741A (ja) 配管類の取付け構造
KR200351231Y1 (ko) 콘크리트 실링박스
KR0129827Y1 (ko) 건축배관용 슬리브관
CN211447743U (zh) 一种承插基座防崩脱功能扣件
KR101078103B1 (ko) 파이프 고정장치
KR200339366Y1 (ko) 거푸집 체결부재
KR200285253Y1 (ko) 콘크리트 형틀용 세퍼레이터
KR200335555Y1 (ko) 거푸집 체결부재
KR20090004401U (ko)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KR200421804Y1 (ko) 건물의 배관 고정용 인서트
KR200325702Y1 (ko) 수격 흡수기의 고정구조
KR200216498Y1 (ko) 보온성 파이프 행거
KR200405393Y1 (ko) 거푸집용 전기배선박스 고정구
KR200397248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