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372Y1 -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372Y1
KR200441372Y1 KR2020070007638U KR20070007638U KR200441372Y1 KR 200441372 Y1 KR200441372 Y1 KR 200441372Y1 KR 2020070007638 U KR2020070007638 U KR 2020070007638U KR 20070007638 U KR20070007638 U KR 20070007638U KR 200441372 Y1 KR200441372 Y1 KR 200441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ipe
sleeve
cov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김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2020070007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3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3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관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벽에 매설된 이음관으로부터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콘크리트벽에 매설된 배관 보호용 주름관 선단에 결합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 외부로 인출된 배관을 안내하도록 이음관에 일단부가 나사결합되며 타단부 외주면에 링형태의 걸림테가 일체로 형성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를 관통하여 돌출된 배관 선단부에 결합되되, 외주면 선단부에 다각면이 형성되고, 그 후단부에 상기 배관이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게 배관을 고정하는 조임너트와 나사결합되게 하는 체결부가 형성된 소켓과; 조립시 상기 슬리브의 걸림테에 맞닿도록 위치하면서, 소켓 외측을 감싸되, 내주면에 엔드캡이 걸리는 받침턱이 형성되는 소켓커버와; 상기 슬리브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슬리브의 걸림테에 맞닿도록 위치한 소켓커버의 후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소켓커버의 전방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소켓고정용 캡과; 상기 소켓의 다각면에 형합되는 다각형의 통공이 형성되고, 후방 외주면에 상기 소켓커버의 받침턱에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소켓의 소켓커버내에서의 소켓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소켓커버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는 엔드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엔드캡은 선단부 양측에 걸림돌기를 갖는 누름편이 구비되고, 상기 소켓커버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가 제공된다.
수도꼭지, 연결, 이음

Description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Connecting device for coupling tap to pipe}
도 1은 종래의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의 참고 결합 단면도이다.
도 2는 도1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i는 본 발명의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가 시공되는 과정 및 분리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4a는 콘크리트벽 내측에 매설된 이음관으로부터 배관이 일정 부분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소켓고정용 캡 내측에 슬리브가 결합된 상태에서 슬리브를 상기 배관에 끼워 슬리브의 일단부를 상기 이음관에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c는 이음관으로부터 필요한 길이 만큼만 돌출되도록 배관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d는 배관에 소켓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e는 소켓고정용 캡의 후방이 슬리브의 전방에 걸리도록 이동시킨 다음 소켓고정용 캡에 엔드캡이 내측에 결합된 소켓커버를 결합시켜 배관에 결합된 소켓을 감싸주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f는 소켓커버 외측에 마감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g는 소켓커버를 고정하고 있는 마감부재의 전면에 타일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h는 소켓커버 내측에 속한 소켓에 수도꼭지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i는 소켓커버 내측에 결합된 엔드캡을 탈거한 후, 소켓을 소켓커버로부터 탈거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슬리브 130: 걸림테
300: 소켓고정용 캡 310: 걸림부
400: 소켓 410: 다각면
500: 소켓커버 510: 받침턱
530: 걸림홈 550: 플랜지
570: 나사산 590: 고정편
600: 클램프 700: 조임너트
800: 엔드캡 810: 다각면
830: 걸림턱 850: 누름편
850a: 걸림돌기 P: 배관
M: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
본 발명은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벽에 매설된 이음관으로터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주택 건물 등에 배관시키는 수도관은 철파이프, 동파이프 등이 사용되며, 여기에는 L연결관, T연결관 등의 금속관을 이용하여 배관의 시공을 하게 된다. 그러나 철파이프, 동파이프 등을 연결하는 L연결관, T연결관 등을 이용한 연결부분으로부터 많은 양의 누수가 발생되어 교체 작업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많이 발생되어 현재에는 잘 굽혀지면서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인 수도관(배관), 이음관(주름관)이 사용된다.
즉, 합성수지재의 이음관 내부에 합성수지재의 수도관을 끼워 수도관이 이음관 내에서 보온과 보호가 되도록 시공된다. 이때, 상기 이음관은 시공시 수도관을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수도관의 길이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상기 이음관(주름관)에는 수도꼭지의 연결을 위해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가 사용된다.
종래의 수도꼭지 이음장치는 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4808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벽부(12)에 수도꼭지 이음장치를 매설되게 설치함에 있어, 합성 수지재의 연결소켓(15) 일측으로 주름관(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름관(16) 내측에는 합성수지재의 수도관(14)이 상기 연결소켓(15) 입구 쪽으로부터 일정 부분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소켓(15)에는 소켓 이음관(2)을 감싸는 커버(1)가 결합되고, 상기 수도관(14)에는 상기 커버(1)에 감싸지는 소켓 이음관(2)이 체결관(13)에 의해 상기 수도관(14)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1)의 전방 내측에는 상기 커버(1)가 상기 소켓 이음관(2) 후미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링나사(6) 결합되고, 상기 소켓 이음관(2)의 전방 헤드부(2a)에는 수도꼭지(10)가 원형 덮개(9)와 더불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버(1)의 내측면에는 상기 소켓 이음관(2)이 상기 커버(1)의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상기 소켓 이음관(2)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5)가 걸려지게 걸림턱(4)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링나사(6)의 면상에는 상기 커버(1)로부터 탈거가 용이하게 공구 삽입홈(7)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도꼭지 이음장치는 시공 과정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종래의 수도꼭지 이음장치를 벽부(12)에 매설할 경우 주름관(16) 일측으로 형성된 연결소켓(15)에 커버(1)의 일측을 결합한 후, 상기 주름관(16)을 포함한 연결소켓(15) 및 상기 커버(1) 외측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만들어진 벽부(12) 내측에 매설하게 된다.
이때, 상기 주름관(16) 내측으로 수도관(14)이 매설된 상태로서, 상기 수도관(14)의 일단은 냉, 온수를 공급받아 각각의 수도관(14)으로 냉, 온수를 분배하는 냉, 온수 분배기(도시는 생략함)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고, 다른 일단은 상기 커 버(1)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도관(14)에 소켓 이음관(2)을 결합할 경우 상기 소켓 이음관(2)이 상기 커버(1) 내측에 결합될 수 있게 냉, 온수 분배기에 결합되지 않은 상기 수도관(14)을 잡아 당겨 결합시키거나, 또는 상기 수도관(14)을 상기 주름관(16) 쪽으로 밀어 넣어 상기 커버(1) 내측에 결합시킨 다음 냉, 온수 분배기에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1) 내측에 상기 소켓 이음관(2)을 결합할 경우 상기 커버(1) 내측에 소켓 이음관(2)을 결합한 다음 상기 냉, 온수 분배기에 결합되지 않은 상기 수도관(14)을 다시 결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기 소켓 이음관(2)을 상기 커버(1)로부터 탈거할 경우 냉, 온수 분배기에 결합된 상기 수도관(14)을 분리시켜야만 상기 소켓 이음관(2)을 상기 커버(1)로부터 탈거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및 교체 작업에 어려움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주름관(16) 내측으로 매설되는 수도관(14)은 수도꼭지 이음 장치가 벽부(12)에 매설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1) 내측에 결합되는 소켓 이음관(2)이 상기 수도관(14)에 결합될 수 있게 여유분의 수도관(14)을 벽부 외측으로 빼놓게 되고, 또한 냉, 온수 분배기에 상기 수도관(14)의 일단부가 결합될 수 있게 여유분의 수도관(14)을 벽부(12) 외측으로 빼놓게 된다.
이는, 콘크리트로 매설되는 수도 꼭지 이음장치의 구조상 상기 냉, 온수 분배기에 상기 수도관의 일단을 결합한 상태에서 매설할 수 없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매설 작업이 이루어진 후, 상기 소켓 이음관(2) 및 상기 냉, 온수 분배기에 상기 수도관(14)을 절단하여 정확한 길이로 결합될 수 있는 여유분의 길이가 요구된다.
이로 인해, 수도꼭지 이음장치의 시공 후, 상기 소켓 이음관(2)이 수도관(14)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절단되어 버려지는 수도관(14) 토막과, 상기 냉, 온수 분배기에 상기 수도관(14)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절단되어 버려지는 수도관(14) 토막이 필요 이상으로 버려져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콘크리트벽에 매설된 이음관으로부터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를 용이한 수도꼭지의 설치시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 공정을 단축시키고, 시공시 배관이 불필요하게 절단되어 버려지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하는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는, 콘크리트벽에 매설된 배관 보호용 주름관 선단에 결합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 외부로 인출된 배관을 안내하도록 이음관에 일단부가 나사결합되며 타단부 외주면에 링형태의 걸림테가 일체로 형성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를 관통하여 돌출된 배관 선단부에 결합되되, 외주면 선단부에 다각면이 형성되고, 그 후단부에 상기 배관이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게 배관을 고정하는 조임너트와 나사결합되게 하는 체결부가 형성된 소켓과; 조립시 상기 슬리브의 걸림테에 맞닿도록 위치하면서, 소켓 외측을 감싸되, 내주면에 엔드캡이 걸리는 받침턱이 형성되는 소켓커버와; 상기 슬리브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슬리브의 걸림테에 맞닿도록 위치한 소켓커버의 후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소켓커버의 전방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소켓고정용 캡과; 상기 소켓의 다각면에 형합되는 다각형의 통공이 형성되고, 후방 외주면에 상기 소켓커버의 받침턱에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소켓의 소켓커버내에서의 소켓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소켓커버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는 엔드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엔드캡은 선단부 양측에 걸림돌기를 갖는 누름편이 구비되고, 상기 소켓커버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M)는 콘크리트벽(CON)에 매설된 배관 보호용 주름관(210) 선단에 결합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이음관(200)과; 상기 이음관(200) 외부로 인출된 배관(P)을 안내하도록 이음관(200)에 일단부가 나사결합되며 타단부 외주면에 링형태의 걸림테(130)가 일체로 형성된 슬리브(100)와; 상기 슬리브(100)를 관통하여 돌출된 배관(P) 선단부에 결합되되, 외주면 선단부에 다각면(410)이 형성되고, 그 후단부에 상기 배관(P)이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게 배관(P)을 고정하는 조임너트(700)와 나사결합되게 하는 체결부(430)가 형성된 소켓(400)과; 조립시 상기 슬리브(100)의 걸림테(130)에 맞닿도록 위치하면서, 소켓(400) 외측을 감싸되, 내주면에 엔드캡이 걸리는 받침 턱(510)이 형성되는 소켓커버(500)와; 상기 슬리브(100)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슬리브(100)의 걸림테(130)에 맞닿도록 위치한 소켓커버(500)의 후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소켓커버(500)의 전방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소켓고정용 캡(300)과; 상기 소켓(400)의 다각면(410)에 형합되는 다각형의 통공(810)이 형성되고, 후방 외주면에 상기 소켓커버(500)의 받침턱(510)에 걸려지는 걸림턱(830)이 형성되어 소켓(400)의 소켓커버(500)내에서의 소켓(40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소켓커버(500)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는 엔드캡(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켓고정용 캡(300)의 외주면은 파지가 용이하게 조임력을 쉽게 가하기 위해 돌출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엔드캡(800)은 선단부 양측에 걸림돌기(850a)를 갖는 누름편(850)이 구비되고, 상기 소켓커버(500)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850a)가 걸려고정되는 걸림홈(5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켓커버(500) 외주면 중심부에는 상기 소켓고정용 캡(300)과의 연결시, 조임력을 쉽게 가하기 위해 다각형태의 플랜지(550)가 형성된다. 이는 상기 소켓고정용 캡(300)과의 결합시, 쉽게 조여줄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소켓고정용 캡(300)과 소켓커버(500)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한편, 소켓고정용 캡(300)은 상기 슬리브(100)의 걸림테(130)에 걸리는 걸림부(310)가 내측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가 콘크리트벽 외측으로 돌출되게 시공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i는 본 발명의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가 시공되는 과정 및 분리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 시공 과정 및 그 과정에서의 본 발명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여 보면, 콘크리트벽(CON) 내측에 이음관(200)이 매설되고, 상기 이음관(200)으로부터 배관(P)이 일정 부분 돌출된다.
즉, 상기 이음관(200)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주름관(210) 내측을 통과하여 일정 부분 상기 이음관(200)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배관(P)은 냉, 온수를 공급받아 각각의 배관으로 냉, 온수를 분배하는 냉, 온수 분배기(도시는 생략함)에 상기 배관(P)의 일단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이음관(20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이다.
상기 설명에서, 상기 주름관(210)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이음관(200)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배관(P)은 종래의 시공시, 냉, 온수 분배기(도시는 생략함)에 상기 배관(P)의 일단부를 결합할 수 있도록 일정 부분 빼놓게 되며, 이때 상기 배관(P)은 상기 냉, 온수 분배기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슬리브(100) 외측에 소켓고정용 캡(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100)를 상기 배관(P)에 끼워 넣은 후, 상기 슬리브(100)의 일단부를 상기 이음관(200)에 결합하게 된다.
즉, 상기 이음관(200)에 상기 슬리브(100)를 먼저 결합하고 난 후, 상기 소켓고정용 캡(300)을 상기 슬리브(100)에 결합할 경우, 상기 소켓고정용 캡(3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부(310) 직경 보다 상기 슬리브(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걸림테(130)의 직경이 커서 결합이 되지 않는다. 때문에, 상기 소켓고정용 캡(300) 내측을 통해 슬리브(100)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이음관(200)에 상기 슬리브(100)의 일단부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슬리브(100)의 외주면상에서 축방향을 슬라이딩되는 상기 소켓고정용 캡(300)은 상기 이음관(200)에 일단이 결합된 상기 슬리브(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이음관(200)에 결합되지 않은 상기 슬리브(100)의 일단부에 형성된 걸림테(130)의 직경이 상기 소켓고정용 캡(300)의 걸림부(310)의 직경 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소켓고정용 캡(300)의 슬라이딩시 소켓고정용 캡(300)의 걸림부(310)가 상기 슬리브(100)의 걸림테(130)에 걸려지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이음관(200)으로부터 필요한 길이 만큼만 돌출되도록 상기 배관(P)을 절단하게 된다.
즉, 상기 슬리브(100)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배관(P)은 ℓ의 길이만 남을 수 있게 도시된 부분 중 가상선 부분을 절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배관(P)에 소켓(400)을 결합하게 된다.
즉, 수도꼭지(50)와 결합되는 상기 소켓(400)은 상기 슬리브(100)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배관(P)에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관(P)에 결합되는 상기 소켓(400)의 후단부에는 상기 배관(P)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클램프(600) 및 조임너트(700)가 결합된다.
요컨대, 상기 배관(P)에 클램프(600) 및 조임너트(700)를 미리 결합한 다음, 상기 배관(P)에 상기 소켓(400)을 끼운 상태에서 미리 끼워져 있던 상기 클램프(600)를 상기 소켓(400)에 끼워진 상기 배관(P)의 외주면에 놓이게 한 후, 상기 소켓(400)의 나사산(430)에 상기 조임너트(700)를 체결하여 상기 소켓(400)이 상기 배관(P)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슬리브(100)의 축방향을 따라 슬리브(100)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소켓고정용 캡(300)의 걸림부(310)가 슬리브(100)의 걸림테(130)에 걸리도록 이동시킨 다음, 소켓커버(500)를 결합시켜 상기 배관(P)에 결합된 소켓(400)을 감싸주게 된다.
즉, 소켓(400)을 감싸주게 슬리브(100)의 걸림테(130)에 맞닿게 위치된 소켓커버(500)를 상기 슬리브(100)의 외주면을 타고 슬라이딩되는 상기 소켓고정용 캡(300)이 가상선 위치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소켓커버(500)의 후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소켓커버(500)와 슬리브(100)를 밀착되게 연결시키므로써, 상기 배관(P)에 결합된 상기 소켓(400) 외주면을 감싸주게 된다.
이때 소켓커버(500) 내측에는 상기 소켓(400)의 전방 외주면에 형성된 다각면(410) 부분과 형합되어 소켓(400)에 수도꼭지(50)를 착탈하는 과정에서 소켓(400)이 헛돌기 않게 고정하는 엔드캡(800)이 결합된 상태이다.
즉, 소켓커버(500) 내측에 엔드캡(800)의 결합은 엔드캡(800)의 하단부를 소켓커버(500) 내측에 끼워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엔드캡(800) 전방 외주면 양측에 형성된 누름편(850)이 소켓커버(500) 내측면에 눌리면서 결합된다.
다시 말해, 누름편(850)에 형성된 걸림돌기(850a)의 직경 보다 소켓커 버(500) 내측 직경이 작은 만큼 소켓커버(500) 내측면이 누름편(850)을 눌러주게 되고, 이로 인해 소켓커버(500) 내측에 엔드캡(80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소켓커버(500)의 걸림홈(530)에 누름편(850)의 걸림돌기(850a)가 결합되어 소켓커버(500) 내측에 엔드캡(800)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엔드캡(800)이 결합된 상기 소켓커버(500) 내측에 소켓(400)이 결합되면 상기 소켓(400)의 다각면(410)이 상기 엔드캡(800)의 통공(810)에 형합된 상태로 고정되어 소켓(400)을 고정하고 있으므로 상기 소켓커버(500) 내측에서 소켓(400)이 헛돌기 않게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f를 참조하면, 소켓(400)을 감싸는 소켓커버(500)의 외측으로 마감부재(30)를 시공하여 소켓커버(500)를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소켓(400)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상기 소켓커버(500)의 외측면은 마감부재(예;벽돌)(30)를 설치하여 상기 소켓커버(500)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감부재(30)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소켓커버(500)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편(590)이 상기 마감부재(30)에 맞물려 고정되기 때문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4g 및 도 4h를 참조하면, 소켓커버(500)를 고정하고 있는 마감부재(30)의 전면에 타일(70)이 부착되고, 이어 상기 소켓커버(500) 내측에 결합된 소켓(400)에 수도꼭지(50)가 결합되어 마무리된다.
여기서, 상기 소켓커버(500)와 상기 이음관(200)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슬리브(100) 외측으로 형성된 공간부에는 필요에 따라 방음재 등의 재료가 설치되나, 본 발명에서는 도시 및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소켓커버(500) 내측에 결합된 상기 소켓(400)을 교체할 경우 다음과 같다.
도 4i를 참조하면, 수도꼭지(50)를 탈거한 상태에서 상기 소켓커버(500) 전방 내측에 결합된 엔드캡(500)을 탈거 후, 상기 배관(P)에 결합된 상기 소켓(400)을 상기 소켓커버(500)로부터 탈거된다.
즉, 상기 소켓커버(500) 내측에 결합된 상기 소켓(400)을 교체할 경우 먼저, 냉, 온수를 분배하는 냉, 온수 분배기(도시는 생략함)에 결합된 상기 배관(P)을 분리시킨 후, 상기 소켓(400)에 결합된 상기 수도꼭지를 탈거하게 되고, 이어 상기 소켓커버(500) 전방 내측에 결합된 엔드캡(500)의 누름편(850)을 공구(예:일자 도라이버)를 이용 엔드캡(800)의 중심쪽으로 치우치게 밀어 엔드캡(800)을 소켓커버(500)로부터 탈거함으로써, 상기 소켓(400)을 상기 소켓커버(500)로부터 탈거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소켓커버(500) 내측에 결합된 엔드캡 중 한 쪽의 누름편(850) 부위에 생긴 틈 사이에 공구(예:일자 도라이버)를 삽입하여 누름편(850)이 엔드캡(800)의 중심쪽으로 치우치게 밀면 소켓커버(500)의 걸림홈(530)에 결려있는 누름편(850)의 걸림돌기(850a)가 걸림홈(530)으로부터 고정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소켓커버(500)로부터 엔드캡(800)이 쉽게 탈거되고, 상기 소켓(400)을 상기 소켓커버(500)로부터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는 다 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은 콘크리트의 타설시 냉, 온수를 분배하는 냉, 온수 분배기에 상기 배관(P)의 일단을 먼저 결합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종래에 냉, 온수 분배기에 상기 배관(P)을 결합하기 위해 필요했던 여유분의 길이가 필요 없어 배관의 1차 절감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은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M)의 매설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소켓(400)을 상기 배관(P)에 결합시, 상기 냉, 온수 분배기에 상기 배관(P)의 일단을 먼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소켓(400)이 결합되는 상기 배관(P)의 타단을 필요한 길이만큼 빼놓은 후, 상기 슬리브(100)와 상기 소켓커버(500)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소켓(400)의 결합이 용이하므로 종래에 상기 소켓(400)을 상기 배관(P)에 결합시키기 위해 빼놓던 여유분의 길이를 크게 줄일 수 있어 배관의 2차 절감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의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M)를 이용한 상기 배관(P)의 작업에서는 필요 이상으로 배관(P)이 절단되어 버려지는 것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자재비 절감의 효과가 있다.
셋째, 본 고안은 콘크리트(CON)를 타설하여 매설되는 과정에서 냉, 온수를 분배하는 냉, 온수 분배기에 상기 배관(P)을 미리 결합한 상태에서 시공되므로, 상기 소켓(400)을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냉, 온수 분배기에 상기 배관(400)의 일단을 다시 결합해야 하는 작업 공정상의 불편 및 단점을 개선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인건비 절감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콘크리트벽(CON)에 매설된 배관 보호용 주름관(210) 선단에 결합되며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이음관(200)과;
    상기 이음관(200) 외부로 인출된 배관(P)을 안내하도록 이음관(200)에 일단부가 나사결합되며 타단부 외주면에 링형태의 걸림테(130)가 일체로 형성된 슬리브(100)와;
    상기 슬리브(100)를 관통하여 돌출된 배관(P) 선단부에 결합되되, 외주면 선단부에 다각면(410)이 형성되고, 그 후단부에 상기 배관(P)이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게 배관(P)을 고정하는 조임너트(700)와 나사결합되게 하는 체결부(430)가 형성된 소켓(400)과;
    조립시 상기 슬리브(100)의 걸림테(130)에 맞닿도록 위치하면서, 소켓(400) 외측을 감싸되, 내주면에 엔드캡이 걸리는 받침턱(510)이 형성되는 소켓커버(500)와;
    상기 슬리브(100)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슬리브(100)의 걸림테(130)에 맞닿도록 위치한 소켓커버(500)의 후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소켓커버(500)의 전방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소켓고정용 캡(300)과;
    상기 소켓(400)의 다각면(410)에 형합되는 다각형의 통공(810)이 형성되고, 후방 외주면에 상기 소켓커버(500)의 받침턱(510)에 걸려지는 걸림턱(830)이 형성되어 소켓(400)의 소켓커버(500)내에서의 소켓(40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소켓커버(500)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는 엔드캡(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엔드캡(800)은
    선단부 양측에 걸림돌기(850a)를 갖는 누름편(850)이 구비되고, 상기 소켓커버(500)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돌기(850a)가 걸려고정되는 걸림홈(5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커버(500) 외주면 중심부에는
    상기 소켓고정용 캡(300)과의 연결시, 조임력을 쉽게 가하기 위해 다각형태의 플랜지(5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소켓고정용 캡(300)은
    상기 슬리브(100)의 걸림테(130)에 걸리는 걸림부(3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
KR2020070007638U 2007-05-09 2007-05-09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 KR200441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638U KR200441372Y1 (ko) 2007-05-09 2007-05-09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638U KR200441372Y1 (ko) 2007-05-09 2007-05-09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372Y1 true KR200441372Y1 (ko) 2008-08-12

Family

ID=4164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638U KR200441372Y1 (ko) 2007-05-09 2007-05-09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3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564B1 (ko) * 2012-07-17 2014-05-27 한병량 호스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564B1 (ko) * 2012-07-17 2014-05-27 한병량 호스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1996A (en) Plumbing system with connector between a flexible pipe conduit laid underneath plaster and a fitting to be arranged outside the plaster
KR101195280B1 (ko)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KR200491655Y1 (ko) 압착방식의 배관 연결구
KR101152994B1 (ko) 수도꼭지용 급수호스 연결장치
KR200441372Y1 (ko)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
KR200393463Y1 (ko) 파이프 헹가를 이용한 다기능 파이프 고정장치
KR101766601B1 (ko) 파이프용 지지장치
US8414034B2 (en) Replacement fitting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20100096613A (ko) 관연결구조
KR101804247B1 (ko) 분리형 연결재를 구비한 개방형 수전함
KR100755387B1 (ko) 수도꼭지 연결용 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775917B1 (ko) 수전박스의 배관연결장치
KR20100114679A (ko) 고압호스용 커플링
KR101114266B1 (ko)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기 위한 벽체 관통용 슬리브
KR20090042771A (ko) 패킹을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200342277Y1 (ko) 맨홀의 관 접합장치
KR200443643Y1 (ko) 냉, 온수 겸용 수도꼭지의 시공성 향상을 위한 이음용소켓커버의 간격 유지장치.
KR20080062204A (ko) 냉,온수 배관용 연결관의 구조
KR200348065Y1 (ko)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KR101171772B1 (ko) 천정형 냉온수분배기의 개선된 배관연결구조
KR101116305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의 개선된 냉온수배관 연결구조 및 냉온수배관용 연장
KR200429978Y1 (ko) 호스 연결 구조물
KR20100002856U (ko) 수전박스 배관 연결장치
KR101172024B1 (ko) 상수도관 연결 고정구
KR200374228Y1 (ko)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