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272Y1 -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272Y1
KR200393272Y1 KR20-2005-0009843U KR20050009843U KR200393272Y1 KR 200393272 Y1 KR200393272 Y1 KR 200393272Y1 KR 20050009843 U KR20050009843 U KR 20050009843U KR 200393272 Y1 KR200393272 Y1 KR 200393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gas insulated
cable
bush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유식
Original Assignee
진광 이 앤 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광 이 앤 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광 이 앤 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9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2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2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공선로(架空線路)의 지중화(地中化)에 따라 지중 배전선로의 선로구분 및 선로분기시 조작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구조물(11)의 상측에 위치되는 외함(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기 본체(12)와, 상기 개폐기 본체(12)의 상측에 설치되어 회로를 개폐시키거나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13)와, 상기 조작부(13)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개폐기 본체(12)에 형성된 부싱(15)에 지중으로부터 나온 케이블(16)이 접속재(17)에 의해 각각 연결되며 3개의 부싱(15)이 하나의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부(14)를 포함하는 가스절연부하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 본체(12)는, 상기 회로부(14) 부분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으로 형성되고 각 단을 이루는 면에 각 회로당 적어도 1개의 부싱(15)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정 공간에 더 많은 회로를 구성할 수 있어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 변경없이도 5회로 및 6회로가스절연부하개폐기를 제작할 수 있고, 케이블 연결시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충분한 절연거리의 확보가 가능하고 케이블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Cable Mounting for Gas Insulation type Load Switch}
본 고안은 가공선로(架空線路)의 지중화(地中化)에 따라 지중 배전선로의 선로구분 및 선로분기시 조작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가스절연부하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폐기 본체와 지중 케이블을 연결할 때 개폐기 본체의 형상을 변경하여 하나의 함체 내부에 다수의 회로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폐기의 설치 대수 및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절연부하개폐기는 현재 지상에 설치되고 있는 가공선로를 지중화시킬 때, 지중 배전선로의 선로구분 및 선로분기, 수용가의 인입용 개폐장치인 인터럽트 스위치(Interrupt Switch)의 대용으로 사용되는 전력보호기기이다.
가스절연부하개폐기는 개폐기의 보수 및 점검시의 간편한 조작, 조작시의 안정성, 설치환경과의 조화 및 일반인의 접근에 대한 안정성 등을 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가스절연개폐기가 개발되었으며, 본 고안의 SF6가스절연개폐기도 그중 하나이다. SF6가스절연개폐기에 사용되는 SF6 가스는 불연성이므로 화재의 위험이 없어 옥내 또는 옥외 등 어떤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인체에 대하여 무해하므로 안전성이 높습니다. 또한, SF6 가스는 높은 절연회복률과 우수한 소호능력 및 완벽한 차단성능을 보여줌으로써 조작시의 안정성을 담보하고 있다.
종래의 가스절연부하개폐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매설되는 구조물(도시 생략)의 상측에 위치되는 외함(50)과, 상기 외함(5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기 본체(52)와, 상기 개폐기 본체(52)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회로를 개폐시키거나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53)와, 상기 조작부(53)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개폐기 본체(52)에 형성된 부싱(55)에 지중으로부터 나온 케이블(56)이 엘보 커넥터 형상의 접속재(57)에 의해 각각 연결되며 3개의 부싱(55)이 하나의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부(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로부(54)를 구성하는 각 회로의 부싱(55)은 도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는데, 설치조건에 따라 최적의 부싱배열을 선택하고 있다. 즉, 부싱(55)은 일(一)자형 배열(A형), 사선형 배열(B형), 삼각형 배열(C형), 역삼각형 배열(D형)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갖도록 배열되고 있으며, 모든 부싱(55)이 하나의 평면에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로부(54)는 복수의 회로로 이루어지는데, 보통 3회로 또는 4회로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하나의 가스절연부하개폐기에 너무 많은 회로를 구성할 경우, 장치의 크기가 커져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시민들의 통행에 불편을 주고 설치공간의 확보도 곤란하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부싱(55)과 케이블(56)은 서로 수직하게 위치되는 바, 부싱(55)에 연결하기 위하여 케이블(56)을 구부릴 때 케이블 내부의 전선 또는 외부의 피복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56)을 구부려 설치하는 경우 구부려진 상태로 수납되기 위해서는 외함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엘보 커넥터 형상의 접속재(57)를 이용하여 케이블(56)을 구부리지 않고도 부싱(55)에 연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는, 부하 밀집지역에서 지중선로를 확충하기 위하여 개폐기를 추가로 설치함에 따라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고 도로점용료 등의 간접비용이 증가되며 도시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시의 집중화에 따라 부하가 밀집되어 있는 지역이 발생되는데, 이런 지역의 경우 요구되는 지중선로를 확충하는 경우 단자의 부족으로 인하여 동일장소에 개폐기를 1대 이상 추가로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게 되고, 개폐기의 추가 설치에 따른 도로점용료가 증가하는 등 간접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지상에 노출되는 다수의 개폐기로 인하여 도시 미관을 해치게 되어 시민들의 민원을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나의 개폐기 내에 다수의 회로를 구성한 다회로 개폐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나, 5회로 이상의 회로를 하나의 개폐기에 구성하는 경우 개폐기 본체 및 외함의 크기가 커지고 외함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를 변경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통상의 가스절연부하개폐기는 3회로 또는 4회로의 구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도시의 미관을 크게 해치지 않는 현재의 외함 크기에 적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부싱간 간격이 80~90㎜, 스위치 사이의 간격이 80~110㎜로 되어 있어, 가로 크기가 1640㎜ 가량인 현재의 외함 크기에서는 5회로 이상으로 구성하기가 곤란하다. 여기서, 부싱간 간격 및 스위치간 간격을 80㎜ 이상으로 하는 이유는 케이블과 부싱을 연결하는 접속재의 실 제작 치수가 76~80㎜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5회로 또는 6회로 가스절연부하개폐기를 제작할 때 부싱의 소요 갯수가 15~18개임을 고려하면, 외함의 크기는 최소 1800㎜ 이상이 되어야 한다. 즉, 부싱의 배열구조에 관계없이 설치 시공성을 고려하여 부싱간 간격을 85㎜로 할 경우 부싱의 설치에 따른 치수가 1275~1530㎜이며, 작업성 및 절연거리 등을 고려할 때 6회로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경우 개폐기 본체의 가로 치수는 1650㎜ 이상, 외함의 가로치수는 1800㎜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외함 크기가 1640㎜ 이므로 5회로 또는 6회로를 수용하기는 곤란할 뿐 아니라,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가로치수가 1450㎜이므로, 케이블을 구부리거나 꺽어서 시공해야 할 뿐 아니라 케이블의 절연 피복에 손상을 가져올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든 부싱을 하나의 평면에 배치하지 않고 서로 다른 평면에 배치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외함의 폭을 키우지 않고도 5회로 또는 6회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개폐기의 추가 설치에 따르는 통행 불편 및 간접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지중에 매설되는 구조물의 상측에 위치되는 외함과, 상기 외함의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기 본체와, 상기 개폐기 본체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회로를 개폐시키거나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개폐기 본체에 형성된 부싱에 지중으로부터 나온 케이블이 엘보 커넥터 형상의 접속재에 의해 각각 연결되며 3개의 부싱이 하나의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가스절연부하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 본체는 상기 회로부 부분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으로 형성되어 각 단을 이루는 면에 각 회로당 적어도 1개의 부싱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에 따르면, 상기 회로부는, 개폐기 본체와 평행한 제1면에 형성된 1개의 부싱과 상기 제1면에 비해 안쪽에 형성된 제2면에 형성된 2개의 부싱으로 이루어진 회로를 적어도 4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에 따르면, 상기 제2면은 상기 제1면에 비해 적어도 상기 접속재의 수직부 직경 이상만큼 안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에 따르면, 상기 개폐기 본체는 상기 회로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3단으로 형성되어 각 단을 이루는 면마다 각 회로의 부싱이 1개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6회로형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는, 지중에 매설되는 구조물(11)의 상측에 위치되는 외함(10)과, 상기 외함(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기 본체(12)와, 상기 개폐기 본체(12)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회로를 개폐시키거나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13)와, 상기 조작부(13)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개폐기 본체(12)에 형성된 부싱(15)에 지중으로부터 나온 케이블(16)이 엘보 커넥터 형상의 접속재(17)에 의해 각각 연결되며 3개의 부싱(15)이 하나의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부(14)를 포함하는 가스절연부하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 본체(12)가 상기 회로부(14) 부분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으로 형성되고, 각 단을 이루는 면(12a,12b)에 각 회로당 적어도 1개의 부싱(15)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회로부(14)는 개폐기 본체(12)와 평행한 제1면(12a)에 형성된 1개의 부싱(15)과 상기 제1면(12a)에 비해 안쪽에 형성된 제2면(12b)에 형성된 2개의 부싱(15)으로 이루어진 회로로 이루어지는데, 필요에 따라 4회로나 5회로 및 6회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면(12b)은 상기 제1면(12a)에 비해 적어도 상기 접속재(17)의 수직부 직경 이상만큼 안쪽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는 하나의 회로당 2개의 부싱(15)만이 연속으로 배열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3개의 부싱(55)이 연속으로 배열되는 종래의 가스절연부하개폐기에 비해 각 회로가 차지하는 폭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가스절연부하개폐기에서 2개의 회로를 설치할 수 있는 폭이라면 본 고안에서는 3개의 회로를 설치할 수 있어, 종래의 4회로 가스절연부하개폐기가 설치될 정도의 크기에 6회로가스절연부하개폐기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이 적용된 가스절연부하개폐기는 개폐기 본체(12)의 회로부(14)에 대응되는 부분이 2단으로 되어 있어, 3개의 부싱(15)으로 이루어진 회로의 부싱중 하나를 제1면(12a)에 위치시키고 나머지 2개의 부싱(15)을 제2면(12b)에 위치시킨다. 물론, 그 반대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케이블(16)의 소모량 등을 감안하면, 제1면(12a)에 비해 아래쪽이고 안측면인 제2면(12b)에 2개의 부싱(15)을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단일면에 3개의 부싱(55)이 모두 배열되던 종래의 가스절연부하개폐기에 비해 더 많은 회로가 개폐기 본체(12)에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회로가 설치되는 폭이 종래에 비해 약 2/3 정도로 감소되며, 동일한 폭을 가지는 개폐기 본체(12)에 대하여 더 많은 회로를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상기 부싱(15)을 2단으로 설치함에 따라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개폐기 본체(12)의 높이를 약 180㎜ 정도 크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에 따르면, 외함(10)을 지지하는 구조물(11)의 형상 및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더 많은 회로를 외함(10) 내에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폭을 가지는 외함(10)에 대하여 회로의 구성에 요구되는 폭이 감소되어 케이블(16)의 설치작업이나 절연거리의 확보 등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기 본체(12)에서 상기 회로부(14)에 대응되는 부분을 3단으로 형성하고, 각 단을 이루는 면마다 각 회로의 부싱(15)이 1개씩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회로의 구성에 필요한 폭을 줄일 수는 있으나, 조작부(13)의 설치공간의 확보가 곤란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회로부(14)에 대응되는 부분이 3단으로 구성됨에 따라 외함(10)의 높이가 너무 커질 수 있고 케이블(16)의 소모량도 증가될 수 있어, 회로부(14)에 대응되는 부분은 2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에 따르면, 일정 공간에 더 많은 회로를 구성할 수 있어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 변경없이도 5회로 및 6회로가스절연부하개폐기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에 따르면, 케이블 연결시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충분한 절연거리의 확보가 가능하고 케이블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에 따르면, 하나의 개폐기에 더 많은 회로를 구성할 수 있어 부하 밀집지역에 개폐기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거나 추가 설치 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을 주거나 거리 미관을 해치는 일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4회로형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가스절연부하개폐기에서 다양한 형태의 부싱배열이 도시된 참고도.
도 4는, 부싱과 케이블의 연결 형태가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6회로형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가 도시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함 11: 구조물
12: 개폐기 본체 13: 조작부
14: 회로부 15: 부싱
16: 케이블(Cable) 17: 접속재

Claims (4)

  1. 지중에 매설되는 구조물(11)의 상측에 위치되는 외함(10)과, 상기 외함(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기 본체(12)와, 상기 개폐기 본체(12)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회로를 개폐시키거나 접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13)와, 상기 조작부(13)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개폐기 본체(12)에 형성된 부싱(15)에 지중으로부터 나온 케이블(16)이 엘보 커넥터 형상의 접속재(17)에 의해 각각 연결되며 3개의 부싱(15)이 하나의 회로를 구성하는 회로부(14)를 포함하는 가스절연부하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 본체(12)는, 상기 회로부(14) 부분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으로 형성되어 각 단을 이루는 면에 각 회로당 적어도 1개의 부싱(15)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14)는, 개폐기 본체(12)와 평행한 제1면(12a)에 형성된 1개의 부싱(15)과 상기 제1면(12a)에 비해 안쪽에 형성된 제2면(12b)에 형성된 2개의 부싱(15)으로 이루어진 회로를 4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12b)는, 상기 제1면(12a)에 비해 적어도 상기 접속재(17)의 수직부 직경 이상만큼 안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 본체(12)는, 상기 회로부(14)에 대응되는 부분이 3단으로 형성되어 각 단을 이루는 면마다 각 회로의 부싱(15)이 1개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
KR20-2005-0009843U 2005-04-11 2005-04-11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 KR200393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843U KR200393272Y1 (ko) 2005-04-11 2005-04-11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843U KR200393272Y1 (ko) 2005-04-11 2005-04-11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272Y1 true KR200393272Y1 (ko) 2005-08-22

Family

ID=4369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843U KR200393272Y1 (ko) 2005-04-11 2005-04-11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27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97B1 (ko) 2008-04-04 2008-06-30 유환홍 가공 및 지중전선의 배전선 인입출 케이스
KR100842068B1 (ko) 2008-04-04 2008-06-30 정동복 감전사고 방지형 지중전선 절연관
KR100872556B1 (ko) 2008-07-10 2008-12-08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전선 연결형 배전기기
KR101333569B1 (ko) 2012-07-12 2013-11-28 주식회사 베스텍 삼각모선부를 이용한 고ㆍ저압 배전반
KR20190005536A (ko) 2017-07-07 2019-01-16 주식회사 시온파워테크 지중형 가스개폐기용 전원 케이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97B1 (ko) 2008-04-04 2008-06-30 유환홍 가공 및 지중전선의 배전선 인입출 케이스
KR100842068B1 (ko) 2008-04-04 2008-06-30 정동복 감전사고 방지형 지중전선 절연관
KR100872556B1 (ko) 2008-07-10 2008-12-08 (주)우진엔지니어링 지중전선 연결형 배전기기
KR101333569B1 (ko) 2012-07-12 2013-11-28 주식회사 베스텍 삼각모선부를 이용한 고ㆍ저압 배전반
KR20190005536A (ko) 2017-07-07 2019-01-16 주식회사 시온파워테크 지중형 가스개폐기용 전원 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3272Y1 (ko) 가스절연부하개폐기의 케이블 설치구조
US7780470B2 (en) Plug tail lighting switch and control system
EP1705766B1 (en) Gas-insulated switchgear assembly
JP4512648B2 (ja) スイッチギヤ
CA1331474C (en) Residential load centre with busbar retaining means
CA1331773C (en) Residential load centre assembly container
US11451017B2 (en) Switchgear cabinet
JP5289169B2 (ja) 単相3線式分電盤
KR100843457B1 (ko) 철재 분전반의 부스바 절연장치 및 구조
KR100717889B1 (ko) 천정배선 분기장치
KR100207006B1 (ko) 몰드 변압기의 보호장치
JP5383420B2 (ja) 垂直布設バスダクトの防水構造
JP2642483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01327233B1 (ko) 부하개폐기 접속 장치
KR102095753B1 (ko) 버스웨이를 이용한 클린룸 천정 설비실의 전력 공급 라인 설치 방법
KR200321212Y1 (ko)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
CN215119648U (zh) 一种电源柜
JP2000050436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4056929A (ja) 中央部にガタースペースを有する分電盤
JP3432462B2 (ja) 架空送電線路のt分岐構造
KR20210130973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부스바
KR200337026Y1 (ko) 분전함 내부에 설치되는 접지대
JPH10108327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200288513Y1 (ko) 배전함
KR200302987Y1 (ko) 상가용 분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