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212Y1 -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1212Y1 KR200321212Y1 KR20-2003-0012116U KR20030012116U KR200321212Y1 KR 200321212 Y1 KR200321212 Y1 KR 200321212Y1 KR 20030012116 U KR20030012116 U KR 20030012116U KR 200321212 Y1 KR200321212 Y1 KR 20032121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ircuit breaker
- case
- wiring
- main
- break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전반의 크기를 콤팩트화 할 수 있으며 확산소화기를 이용하여 분전반의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화재를 진화하여 분전반을 통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의 후면 전방에 배전판(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전판(2)에는 상부에 설치된 주 차단부(4)와 상기 주 차단부(4)의 하부 양측에 다수 개로 설치된 분기 차단부(7)가 다수의 부스바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는 상기 각 차단부를 포함하는 배전판(2)을 커버하는 보호 커버(3)가 구비되어 있는 통상의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주 차단부(4)는 상기 배전판(2)의 중앙부에 수직 통로(V)가 형성되도록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간선(M)이 연결되며 전, 후면이 상기 보호 커버(3) 및 배전판(2)에 밀착되는 배선용 차단기(5)와, 상기 배선용 차단기(5)의 타측인 배전판의 수직 통로(V)에 구비되고, 수직 통로(V)로 인출되는 주 부스바(8)를 상기 배선용 차단기(5)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그 전면과 상기 보호 커버(3)의 후면 사이에 공간 통로(S)가 형성되게 하는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전반의 크기를 콤팩트화 할 수 있으며, 확산소화기를 이용하여 분전반의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화재를 진화하여 분전반을 통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이라 함은 옥내배선에 있어서, 간선(幹線)으로부터 각 분기회로(分岐回路)로 갈라지는 곳에 각 분기회로마다의 스위치를 설치해 놓은 것으로, 배전반으로부터 소정의 전력공급을 받아 주택이나 빌딩 내의 각 사무실, 공장 등의 전등, 전열, 동력부하 등 각종 부하에 맞게 전력을 배분하여 주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분전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주 부스바(100) 및 분기 부스바(200)가 연결되는 수직 통로의 상단 중앙에 배전소로부터 인입되는 간선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에 주 부스바(100)가 부착되어 있는 배선용 차단기(300)와, 상기 배선용 차단기(300)의 하부 양측에 상기 주부스바(100)에 직각으로 순차적으로 연결 접속되는 분기 부스바(200)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에 부하측 전선이 연결되도록 다수의 분기 차단기(40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차단기들(300,400)이 설치된 배전판(500)의 전방에는 이를 커버하는 보호 커버(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 차단기들(300,400)의 전면 및 후면은 상기 보호 커버 및 배전판(500)에 밀착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내부 연결을 통해 어떤 실내의 배선점검이나 수리 등을 할 때에는 그 방의 분기 스위치를 분전반에서 절단하여 정전시킨 후, 전기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상적인 분전반은 그 구조 상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간선이 배전판의 상부 중앙에서 하부로 한번 더 절곡되어 배선용 차단기의 입력단에 연결됨으로써, 분전반의 상부에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분전반의 크기 및 케이스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배전판, 보호 커버 역시 크기가 증가하여 제작 시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분전반 내부의 구조 상 분전반 내의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소화기를 분전반 내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없을 뿐만 아니라, 현재 분전반 내부에 설치되는 소규모의 소화기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단자 접촉 불량 또는 연소로 인한 분전반의 화재 시 배선용 차단기 및/또는 분기용 차단기에 연결된 전선을 타고 건물 전체 또는 간선으로 화재가 번지는 분기점 역할을 하여 대형 화재 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분전반은 전문가들만이 각종 검침장치를 이용하여 배전판의 배선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일반인들이 배전판을 보고 단자 간의 접촉상태나 내부에 설치된 각 전선들의 피복상태 등과 같은 배선상태를 확인하는데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배선용 차단기와 주 부스바 사이에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하여 종래 분전반 상부에 존재하였던 불필요한 간선용 배선공간을 제거하고, 이를 통해 분전반의 크기를 콤팩트화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확산소화기를 이용하여 분전반 내부의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진화하여 분전반에 연결된 전선이나 간선을 통해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외부에서 일반인이 분전반의 내부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분전반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전선을 통해 분전반 내부 또는 외부로 화재가 진행하는 것을 지연시켜 연소로 인한 화재의 번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분전반의 내부 구성에 대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내부 구성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확대 사시도이며,
도 3b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의 내부 정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B부 확대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배전판
3 : 보호 커버 4 : 주 차단부
5 : 배선용 차단기
6 :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
61 : 후방 케이스 62 : 전방 케이스
7 : 분기 차단부 8 : 주 부스바
9 : 분기 부스바 10 : 확산소화기
M : 간선 L : 부하측 전선
V : 수직 통로 S : 공간 통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은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후면 전방에 삽입 설치되는 배전판과 상기 배전판의 상부에 다수의 부스바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주 차단부와 분기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들을 포함하는 배전판을 커버하는 보호 커버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주 차단부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간선이 연결되는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출력단과 분전반의 수직 통로에 설치되는 다수의 주 부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는 상기 배전판의 중앙부에 수직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간선이 연결되며 전, 후면이 상기 보호 커버 및 배전판에 밀착되어 있으며,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타측인 배전판의 수직 통로에 구비되고, 수직 통로로 인출되는 주 부스바를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그 전면과 상기 보호 커버의 후면 사이에 공간 통로가 형성되게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은 연결 단자를 통해 종래와 달리 배선용 차단기의 입, 출력단이 횡 방향으로 설정되는 수평 구조로 배선용 차단기를 설치함으로써,외부로부터 배선용 차단기의 입력단으로 인입되는 간선의 배선공간을 제거하여 분전반의 케이스를 콤팩트화할 수 있으며 이에 수반되는 각종 구성, 예를 들면 배전판, 보호 커버 등의 크기 역시 축소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선용 차단기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간선의 절곡 횟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은 상기 주 차단부의 상부로 공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간부의 중앙인 상기 케이스의 상판 내측 중앙에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통해 형성된 공간 통로로 소화 분말을 확산시키는 노즐이 돌출된 확산소화기가 더 구비된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은 자체 또는 연소로 인한 분전반 내에서의 화재 발생 시 케이스의 상판 내측 중앙에 구비된 확산소화기가 작동하게 되며, 이 때 확산소화기의 소화분말은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의 전방으로 형성된 공간 통로를 통해 수직통로를 거쳐 분전반 내부 전체로 확산되어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전소와 연결되어 있는 간선 및 분기 차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각종 전선을 타고 건물 전체로 번지는 2차 연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또 부가적인 양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의 내부 구성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확대 사시도이며 도 3b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의 후면 전방에 배전판(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전판(2)에는 상부에 설치된 주 차단부(4)와 상기 주 차단부(4)의 하부 양측에 다수 개로 설치된 분기 차단부(7)가 다수의 부스바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는 상기 각 차단부를 포함하는 배전판(2)을 커버하는 보호 커버(3)가 구비되어 있는 통상의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 주 차단부(4)는 상기 배전판(2)의 중앙부에 수직 통로(V)가 형성되도록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간선(M)이 연결되며 전, 후면이 상기 보호 커버(3) 및 배전판(2)에 밀착되는 배선용 차단기(5)와, 상기 배선용 차단기(5)의 타측인 배전판의 수직 통로(V)에 구비되고, 수직 통로로 인출되는 주 부스바(8)를 상기 배선용 차단기(5)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그 전면과 상기 보호 커버(3)의 후면 사이에 공간 통로(S)가 형성되게 하는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6)로 구성된다.
상기 주 차단부(4)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간선(M)과 배전판의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된 다수의 주 부스바(8)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5)와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6)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때 상기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6)는 배전판(2)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배선용 차단기(5)는 입력단에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간선(M)이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출력단에 상기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6)의 입력단이 연결되며, 상기 배전판(2)의 중앙부에 수직 통로(V)가 형성되도록 상부 일측에 그 전면 및 후면이 상기 보호 커버(3)의 후면 및 배전판(2)에 각각 밀착되게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6)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5)의 타측인 배전판의 수직 통로(V)에 구비되고, 수직 통로(V)로 인출되는 주 부스바(8)를 상기 배선용 차단기(5)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그 전면과 상기 보호 커버(3)의 후면 사이에 공간 통로(S)가 형성되게 하는 것으로, 도 3a,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케이스(61)와 전방 케이스(62)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후방 케이스(61)는 수평 홈부(611)와 수직 홈부(612)가 직각으로 굴곡되어 구성된 다수의 홈부에 일단이 타단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배선용 차단기(5)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주 부스바(8)에 연결되도록 각 끝단에 관통공(613)이 형성된 다수의 연결 부스바(614)가 삽입되며, 상기 수직 홈부(612)들의 각 끝단에는 상기 주 부스바(8)와 연결되도록 상기 관통공(613)과 상응되는 위치에 탭홀(6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케이스(62)는 상기 후방 케이스(61)에 밀착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주 부스바(8)가 연결되도록 상기 수직 홈부(612)에 대응되게 내측으로 함몰된 개방 요홈부(621)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6)의 일측은 외부로 돌출된다수의 연결 부스바(614)에 형성된 관통공(613)을 통해 배선용 차단기(5)의 출력단과 볼트 결합되며, 하측은 상기 개방 요홈부(621)를 통해 상기 후방 케이스(61)에 형성된 탭홀(615) 각각에 주 부스바(8)가 각각 삽입되어 볼트 결합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배선용 차단기(5)와 주 부스바(8)는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은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하여 종래 분전반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된 배선용 차단기와는 달리 배선용 차단기를 배전판의 상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간선이 절곡 홧수를 줄이며 배선용 차단기와 주 부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분전반에 형성되었던 불필요한 간선 배선용 공간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분전반 케이스 및 이에 수반되는 각종 구성을 콤팩트화 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하여 설치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의 내부 정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는 상기 주 차단부(4)의 상부로 공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공간부의 중앙인 상기 케이스(1)의 상판 내측 중앙에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6)를 통해 형성된 공간 통로(S)로 소화 분말을 확산시키는노즐(12)이 돌출된 확산소화기(1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산소화기(10)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6)의 상부 공간, 즉 상기 케이스(1)의 상판 내측 중앙에 구비되어 화재 발생 시 작동하는 것으로,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확산소화기가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 확산소화기는 본 고안의 출원일 이전에 이미 공지된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6)의 상부 공간에 확산소화기(10)를 통상의 연결수단을 통해 케이스(1) 상판 내측에 설치하는 경우 확산소화기의 노즐(12)은 상기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의 전방으로 형성된 공간 통로(S)로 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의 출력단과 수직 통로에 설치되는 다수의 주 부스바를 연결시켜 주는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6)가 배전판(2)의 중앙에 설치됨으로써,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전판(2) 중앙에 주 부스바(8) 및 분기 부스바(9)가 연결되는 수직 통로(V)와 상기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6)의 전방에 형성된 공간 통로(S)를 통해 이어주게 된다.
따라서 분전반 내부에서 단자 간의 접촉 불량 또는 외부 화재로 인한 연소 시 케이스 상판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확산소화기로부터 소화분말이 노즐을 통해 분사되면, 분사된 소화 분말은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에 의해 형성된 공간통로를 통해 주 부스바 및 분기 부스바들이 연결되는 수직통로 전체로 분사되어 분전반 내의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양상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은 현재 각종 건물 등에 설치되어 있는 분전반이나 배전반에도 용이하게 적용하여 분전반 내에서의 화재를 용이하게 진화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하여 현재 분전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배전용 차단기를 수평구조로 하여 설치하고,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통해 형성된 상부 공간에 확산소화기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분기 부스바(9)에는 전력 공급에 따라 해당 분기 부스바(9)에서 발생하는 열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온도 테이프(91)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분기 부스바(9)에 온도 테이프(91)를 부착하는 경우 상기 보호 커버(3)는 투명 재질, 예를 들면 아크릴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 테이프(91)는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테이프의 색상이 변하는 것으로, 분기 차단부(7)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2차측 전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온도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비전문가가 육안으로 각 분기 차단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의 피복상태 및 전력 공급에 따라 전선에서 발생하는 열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보호 커버를 투명 재질로 하여 제작함으로써, 분전반의 개폐도어를 열고 온도 테이프의 색상 확인을 통해 분전반 내부에서의 화재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 차단부(7)의 출력단에서 인출되는 부하측 전선(L), 즉 2차측 전선의 연결부에는 전선 둘레에 절연재로 이루어진 열수축관(L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2차측 전선의 연결부에 열수축관을 사용함으로써, 분전반 내부에서 발생된 화재로 인해 상기 확산소화기가 작동하기 전에 2차측 전선을 타고 건물 전체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2차측 전선을 타고 인입된 화재가 분기 차단부로 번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열수축관(L1)은 분기용 차단부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부하측 전선의 연결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선용 차단기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간선의 연결부 및 더 나아가 부하측 전선의 타단, 예를 들면 각 사무실에 연결되는 부하측 전선의 출력단이나 조명 등에 연결되는 출력단에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의 상판 내측과 상기 확산소화기(10)의 상면 사이에는 양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소화기 받침대(12)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받침대를 이용하여 분전반 내부의 배선공사를 하는 경우, 예를 들면 분전반의 위에 설치되는 조명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분전반의 상측으로 2차측 전선을 인출한다. 이 때 부하측 전선을 분전반 내의 상측으로 상호 교차시키는 경우 확산소화기에 의해 배선이 장애를 받을 수 있게 되며 공사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양측이 개방되며 내부 공간을 가지는 소화기 받침대를케이스 상판의 내측에 고정함으로써, 내부 공간을 통해 전선을 안내하며 그 저면에 연결 수단을 통해 상기 확산소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은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하여 종래 분전반에 수직으로 설치된 배선용 차단기와는 달리 수평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간선이 절곡 횟수를 줄이며 배선용 차단기와 주 부스바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분전반에 형성되었던 불필요한 간선 배선용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분전반 케이스 및 이에 수반되는 각종 구성을 콤팩트화 할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종래에 비하여 설치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자체 또는 연소로 인한 분전반 내에서의 화재 발생 시 케이스의 상판 내측 중앙에 구비된 확산소화기를 통해 화재를 진화할 수 있으며, 특히 배전판의 수직통로와 연결되는 공간 통로를 통해 확산소화기의 소화분말이 분전반 내부 전체로 확산됨으로써, 배전소와 연결되어 있는 간선 및 분기 차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부하측 전선을 타고 건물 전체로 번지는 2차 연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식되었거나 화재 위험이 높은 기존의 분전반이나 배전반에도 연경 단자대 및 확산소화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분전반 또는 배전반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다.
그리고 분기 차단부에 연결되는 각 분기 부스바에 온도 테이프를 부착하고투명 재질의 보호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인들이 육안으로 각 분기 차단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의 피복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분전반의 개폐도어를 열고 온도 테이프의 색상 확인을 통해 분전반 내부에서의 화재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분기 차단부에 연결되는 2차측 전선의 연결부에 열수축관을 사용함으로써, 확산소화기가 작동하기 전에 2차측 전선을 타고 건물 전체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2차측 전선을 타고 인입된 화재가 분기 차단부로 번지는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양측이 개방되며 내부 공간을 가지는 소화기 받침대를 사용함으로써, 부하측 전선을 분전반의 상부로 교차하여 인출하여야 하는 경우 확산소화기의 간섭을 받지 않고 받침대의 내부공간을 통해 부하측 전선을 상호 교차하여 분전반의 상부로 인출되도록 용이하게 배선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6)
-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의 후면 전방에 배전판(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전판(2)에는 상부에 설치된 주 차단부(4)와 상기 주 차단부(4)의 하부 양측에 다수 개로 설치된 분기 차단부(7)가 다수의 부스바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는 상기 각 차단부를 포함하는 배전판(2)을 커버하는 보호 커버(3)가 구비되어 있는 통상의 분전반에 있어서,상기 주 차단부(4)는 :상기 배전판(2)의 중앙부에 수직 통로(V)가 형성되도록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간선(M)이 연결되며 전, 후면이 상기 보호 커버(3) 및 배전판(2)에 밀착되는 배선용 차단기(5)와,상기 배선용 차단기(5)의 타측인 배전판의 수직 통로(V)에 구비되고, 수직 통로(V)로 인출되는 주 부스바(8)를 상기 배선용 차단기(5)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그 전면과 상기 보호 커버(3)의 후면 사이에 공간 통로(S)가 형성되게 하는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6)는 :수평 홈부(611)와 수직 홈부(612)가 직각으로 굴곡되어 구성된 다수의 홈부에 일단이 타단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배선용 차단기(5)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주 부스바(8)에 연결되도록 각 끝단에 관통공(613)이 형성된 다수의 연결 부스바(614)가 삽입되며, 상기 수직 홈부(612)들의 각 끝단에는 상기 주 부스바와 연결되도록 상기 관통공(613)과 상응되는 위치에 탭홀(615)이 형성되어 있는 후방 케이스(61)와,상기 후방 케이스(61)에 밀착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주 부스바(8)가 연결되도록 상기 수직 홈부(612)에 대응되게 내측으로 함몰된 개방 요홈부(621)를 가지는 전방 케이스(6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1)는 상기 주 차단부(4)의 상부로 공간부를 더 구비하고,상기 공간부의 중앙인 상기 케이스(1)의 상판 내측 중앙에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6)를 통해 형성된 공간 통로(S)로 소화 분말을 확산시키는 노즐(12)이 돌출된 확산소화기(1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1)의 상판 내측과 상기 확산소화기(10)의 상면 사이에는 양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소화기 받침대(1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주 부스바(8)와 분기 차단부(7)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분기 부스바(9)에는 전력 공급에 따라 해당 분기 부스바에서 발생하는 열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온도 테이프(91)가 부착되어 있으며,상기 보호 커버(3)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분기 차단부(7)의 출력단에서 인출되는 부하측 전선(L)의 연결부에는 전선 둘레에 절연재로 이루어진 열수축관(L1)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2116U KR200321212Y1 (ko) | 2003-04-19 | 2003-04-19 |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12116U KR200321212Y1 (ko) | 2003-04-19 | 2003-04-19 |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1212Y1 true KR200321212Y1 (ko) | 2003-07-23 |
Family
ID=4933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12116U KR200321212Y1 (ko) | 2003-04-19 | 2003-04-19 |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1212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4905B1 (ko) | 2004-08-23 | 2006-06-30 | (주)제일피앤피 | 분배전반 제조방법 |
KR101410912B1 (ko) * | 2012-08-03 | 2014-06-23 | 남영기전 주식회사 | 세대 분전반 |
KR102631958B1 (ko) * | 2023-03-08 | 2024-01-31 | (주)새한기전 | 2차 사고를 예방하는 안전한 전력 장치함 |
-
2003
- 2003-04-19 KR KR20-2003-0012116U patent/KR20032121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4905B1 (ko) | 2004-08-23 | 2006-06-30 | (주)제일피앤피 | 분배전반 제조방법 |
KR101410912B1 (ko) * | 2012-08-03 | 2014-06-23 | 남영기전 주식회사 | 세대 분전반 |
KR102631958B1 (ko) * | 2023-03-08 | 2024-01-31 | (주)새한기전 | 2차 사고를 예방하는 안전한 전력 장치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08653B2 (en) | Load center with plug in neutral connections | |
KR101209892B1 (ko) |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 |
KR100834499B1 (ko) | 분배전반의 모선 및 자선버스바용 접속장치 | |
KR100805392B1 (ko) |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 |
KR100973944B1 (ko) | 분전반용 플러그 | |
KR101130309B1 (ko) | 분전반 | |
KR100767400B1 (ko) | 조립식 분전반 | |
KR200321212Y1 (ko) | 배선용 차단기 보조대를 이용한 콤팩트형 안전 분전반 | |
JP3113266U (ja) | ユニット式分電盤 | |
CN207884110U (zh) | 一种配电柜 | |
KR100641031B1 (ko) | 전력장치용 배전반 | |
JPH06507781A (ja) | 後面より電気的アクセス可能な配電盤 | |
KR200331163Y1 (ko) | 배전반 | |
KR101205337B1 (ko) |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 |
KR200395590Y1 (ko) | 저압 배전반용 부스바접속부재 | |
KR200395579Y1 (ko) | 저압 배전반용 조립식 부스바커넥터 | |
KR100843457B1 (ko) | 철재 분전반의 부스바 절연장치 및 구조 | |
CN102217155A (zh) | 一种制造开关设备面板的方法 | |
JP2525319Y2 (ja) | 無停電分電盤 | |
JP2002199515A (ja) | 分電盤ユニットおよびそれで構成される分電盤 | |
KR200395578Y1 (ko) | 저압 배전반용 착탈식 어댑터 | |
KR102013257B1 (ko) | 분전반용 콘센트 | |
JPH1154017A (ja) | 配線用遮断器 | |
KR200379736Y1 (ko) |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 | |
KR200449732Y1 (ko) | 조립형 분전반용 플러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318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