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2133Y1 - 제거형 앵커 - Google Patents

제거형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2133Y1
KR200392133Y1 KR20-2005-0012388U KR20050012388U KR200392133Y1 KR 200392133 Y1 KR200392133 Y1 KR 200392133Y1 KR 20050012388 U KR20050012388 U KR 20050012388U KR 200392133 Y1 KR200392133 Y1 KR 200392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wedge
groove
support plate
removable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주
Original Assignee
김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주 filed Critical 김응주
Priority to KR20-2005-0012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2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2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2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2D5/765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re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거형 앵커에 관한 것으로, 강연선(10)이 웨지와 헤드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거형 앵커의 구조에 있어서, 웨지(3)의 상부에 홈(32)을 형성되어 있는 링(50)과, 링(50)의 홈(32)에 설치되는 테엽(25)과, 테엽(25)의 상부를 고정하는 지지판(29)과, 지지판(29)의 상부에서 조임구(22)에 의하여 지지판(29)을 가압하는 가압구(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지지판(29)에는 홈(30)을 형성하여, 상기한 홈(30)에 테엽(25)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거형 앵커{removable anchor}
본 고안은 토목 및 건축 분야에서 사용되는 제거형 앵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이 제거형 앵커는 여러 종류가 있는 바, 이들은 대부분 구조가 복잡하고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였다. 즉, 정확한 작동이 되지 않아 강연선의 제거에 불량이 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또한 대부분의 제거형 앵커는 그 제거 작업이 매우 힘들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단점이 있으며, 그리고 단지 고정만을 이한 각도로 제작된 웨지의 사용으로 인해 웨지의 이탈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 강연선의 제거가 간편하고 편리하며, 또 그 작동이 원활한 구조의 제거형 앵커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강연선(10)이 웨지와 헤드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거형 앵커의 구조에 있어서, 웨지(3)의 상부에 홈(32)을 형성되어 있는 링(50)과, 링(50)의 홈(32)에 설치되는 테엽(25)과, 테엽(25)의 상부를 고정하는 지지판(29)과, 지지판(29)의 상부에서 조임구(22)에 의하여 지지판(29)을 가압하는 가압구(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지지판(29)에는 홈(30)을 형성하여, 상기한 홈(30)에 테엽(25)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특징 외의 다른 특징 및 구성에 대하여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앵커의 구조에 대한 한 실시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강연선(10)을 물고 있는 웨지(3) 위에 테엽(25)이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테엽(25)은 그 위에서 나사를 갖는 조임구(22)로 조인 상태로 설치된다. 테엽(25)은 여러개 설치한다. 예를들어, 2개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3-6 개 정도 설치한다
테엽(25)은 그 위에서 설치한 가압구(28) 및 조임구(22)에 의하여 조여지되 조임구(22) 하단엔 지지판(29)을 설치하여 지지판(29)을 미는 것에 의하여 테엽(25)이 고정되게 설치된다. 즉 조임구(22)를 나사식으로 조이면 지지판(29)이 테엽(25)을 가압한다. 지지판(29)에는 홈(30)이 설치되어 이 홈(30)에 테엽(25)의 상단이 삽입된다
테엽(25)의 하단은 웨지(3) 위에 설치된 링(50)의 홈(32)에 고정된다. 링(50)은 별도의 부재로 만들거나 또는 웨지(3)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게 할 수 도 있다.
가압구(28)와 조임구(22)를 이용하여 테엽(25)으로 웨지(3)를 가압하는 이유는, 웨지(3)와 헤드(4)가 테이퍼로 구성되어 있어서 제작에서 시공까지 제품의 취급 과정에 웨지(3)가 이탈되기 쉽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는 위한 것이다.
도면에서는 강연선을 중앙에 하나만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강연선이 여러 개 내장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앵커 구조 안에 여러 개의 강연선이, 상기한 도면과 동일한 구조로 즉, 하나의 헤드(4)에 여러개의 웨지(3)와 그 웨지(3)를 물고 있는 각각의 강연선(10)이 설치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여러개의 웨지(3) 위를 커버하는 링(50)을 구성하고, 그 위에 테엽(25)을 설치할 수 있다
도 3 은 참고로, 링(50) 위에 형성된 홈(32)에 테엽(25)이 설치되는 것을 분할하여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면, 앵커를 설치한 후, 그 견고한 설치를 위하여 강연선(10)을 인장하면 인장력에 의해 강연선(10)과 그립된 채 웨지(3)가 인장력의 크기에 따라 6-10mm 정도 도면상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러면 테엽(25)이 도 4 와 같이 홈(30,32)에서 자유롭게 되어 좌우로 벌어진다. 따라서 테엽(25)이 설치되었던 그 수직한 공간이 자유롭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강연선(10)을 제거할 경우, 강연선(10)을 "a" 방향으로 민다. 그러면 강연선(10)과 강연선(10)을 물고 있던 웨지(3)가 전진할 수 있다. 그러면 물려 있던 분할된 웨지(3)가 그 외주를 잡아주는 물체가 없으므로 좌우로 벌어 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먼저 강연선(10)을 인장하여 잡아 당겼을때 테엽(25)이 홈(30,32)에서 이탈되었기 때문에 그 테엽(25)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공간이 자유롭게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 공간으로 웨지(3)와 강연선(10)이 전진될 수 있음은 바로 위에서 설명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강연선을 인장하면 웨지(3)의 이동량에 의해 테엽(25)이 그 지지 공간에서 쉽게 이탈되고 강연선(10)을 다시 밀어 넣으면 웨지(3)가 후진되어 웨지(3)가 좌우로 쉽게 벌어지며 그에 따라 강연선이 그 물림 상태에서 정확하고도 용이하게 벗어나 강연선을 편리하게 제거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제거형 앵커에 대한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테엽(25)과 링(50)을 분할하여 본 사시도
도 4 는 테엽(25)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2)

  1. 강연선(10)이 웨지와 헤드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거형 앵커의 구조에 있어서,
    웨지(3)의 상부에 홈(32)을 형성되어 있는 링(50)과,
    링(50)의 홈(32)에 설치되는 테엽(25)과,
    테엽(25)의 상부를 고정하는 지지판(29)과,
    지지판(29)의 상부에서 조임구(22)에 의하여 지지판(29)을 가압하는 가압구(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앵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판(29)에는 홈(30)을 형성하여, 상기한 홈(30)에 테엽(25)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형 앵커
KR20-2005-0012388U 2005-05-03 2005-05-03 제거형 앵커 KR200392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388U KR200392133Y1 (ko) 2005-05-03 2005-05-03 제거형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388U KR200392133Y1 (ko) 2005-05-03 2005-05-03 제거형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2133Y1 true KR200392133Y1 (ko) 2005-08-10

Family

ID=4369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388U KR200392133Y1 (ko) 2005-05-03 2005-05-03 제거형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21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972B1 (ko) 2007-04-26 2008-04-28 이인귀 하중 손실 방지용 헤드
KR101018386B1 (ko) 2010-06-18 2011-02-28 주식회사 무진네오테크 인장재의 제거가 용이한 정착구를 갖는 어스앵커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972B1 (ko) 2007-04-26 2008-04-28 이인귀 하중 손실 방지용 헤드
KR101018386B1 (ko) 2010-06-18 2011-02-28 주식회사 무진네오테크 인장재의 제거가 용이한 정착구를 갖는 어스앵커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715738U (zh) 一种用于建筑施工的钢丝绳紧固装置
US20180283606A1 (en) Cast-in-place anchors
KR200392133Y1 (ko) 제거형 앵커
KR20160141767A (ko) 긴-치수 대상물 고정구
KR200392132Y1 (ko) 제거형 앵커
KR200392134Y1 (ko) 제거형 앵커
CN210893916U (zh) 一种便捷的板材高温拉伸夹具
KR100892657B1 (ko) 인장재의 정착구
CN110184954B (zh) 一种桥梁预应力体外索拆除方法
JP2008007998A (ja) 斜張ケーブルの架設方法
JP3990708B2 (ja) Pc鋼材の固定方法
JP2006045860A5 (ko)
CN209923796U (zh) 预应力碳纤维张拉装置
JP2005264650A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の再緊張方法
CN219547572U (zh) 一种钢绞线退锚工具
KR20190043383A (ko) 그라운드 앵커용 강연선 재긴장 장치
KR200392136Y1 (ko) 제거형 앵커
CN214882966U (zh) 一种公路桥梁施工用预应力锚具
CN109667386B (zh) 具有能够分离的螺栓的锚固楔及用其锚固预应力筋的方法
CN110976963A (zh) 一种钢结构制作型钢打孔加工机械
KR100843981B1 (ko) 통신케이블의 조가선고정용 클램프
CN215368262U (zh) 一种预应力钢绞线拉索夹片整体式柔性防松动盖板
CN211897799U (zh) 一种预应力锚具夹片紧固装置
EP4234974A1 (en) A wedge clamp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wedge clamp
CN218698062U (zh) 一种钢丝拉力检测用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